금눈쇠올빼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눈쇠올빼미(''Athene noctua'')는 부엉이과에 속하는 작은 올빼미로,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1769년 조반니 안토니오 스코폴리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현재는 13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머리가 평평하고 둥근 몸매, 노란색 눈과 흰색 눈썹이 특징이며, 곤충, 작은 포유류, 조류 등을 먹이로 한다. 주로 밤에 활동하지만 부분적으로 낮에도 활동하며, 인간에게 익숙해져 사람이 있는 곳에서도 관찰될 수 있다. 개체수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지혜를 상징하는 아테나 여신과 관련되어 고대부터 예술 작품에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눈쇠올빼미속 - 가시올빼미
가시올빼미는 올빼미과에 속하는 작은 올빼미 속(Glaucidium)으로, 다양한 아종이 존재하며 곤충, 설치류 등을 먹고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1769년 기재된 새 - 쇠기러기
큰흰이마기러기는 밝은 주황색 다리와 흰 이마 무늬가 특징인 기러기과의 조류로, 회색기러기보다 작고 작은흰이마기러기보다 크며,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 북부에서 번식하고 다양한 지역에서 월동하며, 깃털 동위원소 분석으로 이동 경로 추적 및 조류 인플루엔자 연구에 활용된다. - 1769년 기재된 새 - 큰소쩍새
큰소쩍새는 인도 아대륙에 분포하며 머리에 작은 깃이 솟아 있고 회색 또는 갈색 몸에 황갈색 바탕의 줄무늬가 있는 23~25cm 크기의 야행성 맹금류로, 곤충을 주식으로 하며 대한민국에는 두 아종이 서식한다. - 네팔의 새 - 멧비둘기
멧비둘기는 유라시아 동부와 일본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도 흔히 보이는 새로, 회색빛 등과 갈색 날개, 목 옆 줄무늬가 특징이며, 곡식, 열매, 곤충을 먹고 나무에 둥지를 짓는 여러 아종이 존재하는 종이다. - 네팔의 새 - 수리부엉이
수리부엉이는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하는 대형 맹금류로, 다양한 깃털 색깔, 주황색 눈, 곧게 선 귀깃이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 먹이 오염 등으로 위협받고 있어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및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금눈쇠올빼미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Athene noctua |
명명자 | 스코폴리, 1769 |
이명 | Carine noctua |
보존 상태 | LC (최소 관심) |
CITES | 부록 II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올빼미목 |
과 | 올빼미과 |
속 | 금눈쇠올빼미속 |
종 | 금눈쇠올빼미 |
분포 | |
서식지 |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 |
기타 | |
영어 이름 | Little Owl, Carine noctua |
일본어 이름 | 코킨메후쿠로우 (コキンメフクロウ) |
2. 분류
금눈쇠올빼미는 1769년 이탈리아의 박물학자 조반니 안토니오 스코폴리가 이명법에 따라 Strix noctuala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술했다.[3] 현재는 1822년 독일의 동물학자 프리드리히 보이에가 도입한 속인 Athenela에 속하며,[4][5] 1841년 조지 로버트 그레이에 의해 이 속의 모식종으로 지정되었다.[6][7] 속명 Athenela는 지혜의 상징인 부엉이를 따서 그리스 여신 아테나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종명 noctuala는 아테나에 해당하는 로마 신화에서의 이름인 미네르바에게 신성시되었던 부엉이를 뜻하는 라틴어 이름으로, 사실상 같은 의미이다.[8]
유전적으로는 점박이올빼미(Athene bramala)와 가장 가까운 관계인 것으로 추정된다. 넓은 분포 지역 때문에 다양한 아종이 존재하며, 이들의 분류에 대해서는 일부 논쟁이 있다. 현재는 총 13개의 아종이 인정되고 있다.[5][18]
2. 1. 주요 아종
금눈쇠올빼미는 넓은 분포 지역에서 많은 변종이 발생하며, 분류에 대한 논쟁이 일부 존재한다. 가장 뚜렷한 아종 중 하나는 시리아 작은부엉이(A. n. lilithla)로 알려진 창백한 회색-갈색의 중동형이다. 2009년 조류학 저널 ''Dutch Birding''에서는 DNA 증거와 발성 패턴을 근거로 동남아시아 아종을 별도의 종인 릴리스부엉이(Athene glauxla)로 분리하고, 그 아종으로 A. g. glauxla, A. g. indigenala, A. g. lilithla를 제안하기도 했다.[18]다른 형태로는 북아프리카의 창백한 아종 A. n. desertaela, 동유럽 및 소아시아, 북아프리카 및 서남아시아의 A. n. glauxla, 중앙아시아의 A. n. bactrianala 등 3가지 중간 아종이 있다. A. n. spilogastrala를 분리하려는 근거로 제시된 새의 크기와 발가락 길이 차이는 결정적이지 않다는 평가가 있다. A. n. plumipesla는 다른 종 구성원과 유전적으로 다르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추가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변종들은 인접한 집단의 범위와 겹치며 경계를 넘어 상호교배한다.[18]
현재까지 인정되는 아종은 13종이다.[5]
학명 | 명명자 및 연도 | 주요 서식지 |
---|---|---|
A. n. noctuala | (스코폴리, 1769) | 중부, 남부, 동남부 유럽부터 러시아 북서부 |
A. n. bactrianala | 블라이스, 1847 | 이라크 및 아제르바이잔에서 파키스탄 및 북서 인도까지 |
A. n. glauxla | (사비니, 1809) | 북아프리카 해안에서 이스라엘 서남부까지 |
A. n. impastala | 뱅스 & 피터스, 1928 | 중국 중서부 |
A. n. indigenala | 브렘, 1855 | 루마니아에서 그리스를 거쳐 우크라이나와 터키를 지나 러시아 남부까지 |
A. n. lilithla | 하르테르트, 1913 | 키프로스, 터키 남부에서 이라크 및 시나이(이집트)까지 |
A. n. ludlowila | 베이커, 1926 | 히말라야 |
A. n. orientalisla | 세베르초프, 1873 | 카자흐스탄 북동부와 중국 북서부 |
A. n. plumipesla | 스윈호, 1870 | 몽골, 시베리아 남중부 및 중국 북동부 |
A. n. saharaela | (클라인슈미트, 1909) | 모로코에서 이집트 서부 및 아라비아 중부까지 |
A. n. somaliensisla | 라이헤노, 1905 | 에티오피아 동부 및 소말리아 |
A. n. spilogastrala | 호글린, 1863 | 수단 동부, 에리트레아 및 에티오피아 북동부 |
A. n. vidaliila | 브렘, 1857 | 서유럽 |
금눈쇠올빼미는 머리 윗부분이 평평하고 통통하며 둥근 몸매와 짧은 꼬리를 가진 작은 올빼미이다. 얼굴 원반은 눈 위쪽이 납작하여 찡그린 듯한 표정을 짓는다. 깃털은 회갈색 바탕에 흰색 반점, 줄무늬, 가로줄 무늬가 있다. 몸 아랫부분은 연한 색이며 더 어두운 색의 줄무늬가 있다.[12] 일반적으로 몸길이는 22cm 정도이며,[9] 구체적으로는 23cm에서 27.5cm 사이이다. 암수 모두 날개 길이는 56cm이며, 몸무게는 약 180g이다.[9]
금눈쇠올빼미는 곤충, 지렁이, 양서류, 작은 포유류 등 작은 동물을 주로 먹고 산다.[12][10] 기본적으로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활동하는 주행성 특징을 보이기도 하며[16], 농촌, 공원, 사막 등 비교적 트인 땅에서 주로 서식하는 텃새이다.[16] 보통 나무나 바위의 구멍, 오래된 건물, 강둑 등에 둥지를 튼다.[16] 평균 수명은 약 3년 정도로 추정되는데[9], 이는 혹독한 겨울이나 로드킬 등 생존 위협 요인이 많기 때문이며[10], 야생에서 최대 16년까지 살기도 한다.[10]
몇몇 주요 아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A. n. noctuala''
:: 기본 아종으로 가장 넓은 지역에 서식한다. 머리 부분은 흰 반점이 있는 갈색이며, 몸은 갈색 줄무늬가 있는 흰색이다. 몸에 비해 머리와 발이 크고, 눈은 이름처럼 노란색(금색)이다. 눈썹처럼 보이는 흰색 무늬가 특징적이다. 딱따구리나 직박구리처럼 파도 모양으로 비행한다. 어린 새끼는 무늬가 뚜렷하지 않고 머리 부분의 흰 반점이 적다.
: ''A. n. lilithla''
:: 중동에 서식하며 옅은 회갈색을 띤다. '시리아 작은부엉이'(Syrian Little Owl)라고도 불린다.
: ''A. n. desertaela''
:: 북아프리카에 서식하며 옅은 색을 띤다.
: ''A. n. indigenala''
:: 유럽 남동부와 아나톨리아 반도에 서식한다.
: ''A. n. bactrianala''
:: 중앙아시아에 서식한다.
3. 형태
가장 널리 분포하는 아종인 ''A. n. noctua''는 등이 흰색 반점이 있는 갈색이고, 배는 갈색 줄무늬가 있는 흰색이다. 머리가 크고 다리가 길며, 노란색 눈과 흰색 눈썹을 가지고 있어 엄격해 보이는 인상을 준다. 어린 새는 깃털 색이 더 흐릿하고, 성체에게 있는 흰색 머리 반점이 없다. 딱따구리처럼 물결 모양으로 오르내리며 통통 튀듯이 난다.[12] 털갈이는 7월에 시작하여 11월까지 계속되며, 수컷이 암컷보다 먼저 시작한다.
울음소리는 날카롭게 칭얼거리는 듯한 '끼유, 끼유' 소리이다. 드물게 다양한 휘파람 소리나 트릴(떨리는 소리) 소리를 내기도 한다. 번식기에는 다른 울음소리를 내며, 암수 한 쌍이 함께 울기도 한다. 둥지 근처에서는 다양한 짖는 소리나 재잘거리는 소리를 낸다.[12]
4. 분포 및 서식지
금눈쇠올빼미는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 전역에 널리 분포한다. 유라시아에서의 분포 범위는 이베리아 반도와 덴마크에서 동쪽으로 중국, 남쪽으로 히말라야 산맥까지 뻗어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모리타니에서 이집트, 홍해, 아라비아 반도까지 서식한다. 원래 영국에는 없었지만, 19세기에 도입되어[10] 잉글랜드 대부분과 웨일스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1906년 지역 적응 협회에 의해 뉴질랜드 오타고에 도입되었고, 조금 늦게 캔터베리에도 도입되어 현재 사우스 섬 동부와 북부에 널리 분포한다.[11] 뉴질랜드 야생 동물 보호법 1953의 부칙 2에 따라 부분적으로 보호를 받고 있지만, 대부분의 도입된 새들은 명시적으로 보호를 받지 않거나 사냥 조류로 지정되어 있다.
이 종은 정착성 조류로, 다양한 서식지에서 개방된 시골 지역에서 발견된다. 여기에는 울타리와 나무가 있는 농지, 과수원, 삼림 가장자리, 공원 및 정원뿐만 아니라 스텝과 돌이 많은 반사막이 포함된다. 또한 사구와 같은 나무가 없는 지역과 폐허, 채석장 및 암석 노두 근처에도 서식한다. 때때로 마을과 교외로도 들어간다. 영국에서는 주로 저지대 조류이며, 일반적으로 500m 이하에서 발견된다.[12] 유럽 대륙과 아시아에서는 훨씬 더 높은 고도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티베트에서는 3600m에서 한 개체가 기록되었다.[16]
5. 생태
5. 1. 행동
작은올빼미는 주로 높은 곳에 앉아 있다가 눈에 띄는 작은 생물을 덮쳐 사냥한다. 먹이로는 곤충, 지렁이, 양서류, 파충류, 작은 조류, 작은 포유류 등이 있다. 때로는 땅에서 먹이를 쫓아가기도 하며, 먹고 남은 음식은 구멍이나 다른 은신처에 비축해 둔다.[10] 새가 토해내는 소화되지 않은 물질인 펠릿 연구에 따르면, 식단에서 포유류가 20~50%, 곤충이 24~49%를 차지한다. 포유류 먹이로는 쥐, 밭쥐, 뒤쥐, 두더지, 토끼 등이 확인되었고, 조류는 주로 번식기에 잡히는데, 둥지를 막 떠난 어린 새끼나 사냥감 새끼가 포함된다. 곤충 먹이로는 파리, 집게벌레, 딱정벌레, 나비, 벌 등이 있다. 식물성 물질도 최대 5% 정도 발견되는데, 이는 우연히 섭취했을 가능성이 있다.[12]
작은올빼미는 영역을 지키는 동물이며, 수컷은 보통 평생 같은 영역에 머무른다. 영역의 경계는 변동될 수 있으며, 특히 봄의 구애 기간 동안 가장 넓어진다. 실제 먹이를 찾아 사냥하는 행동권의 크기는 서식지 유형과 계절에 따라 다르다. 다양한 서식지를 포함하는 행동권을 가진 개체는 단조로운 농지에서 번식하는 개체보다 훨씬 작은 행동권( 2ha 미만)을 가진다 (농지 개체는 12ha 이상). 행동권이 넓을수록 비행 활동이 증가하고, 먹이를 찾는 여정이 길어지며, 둥지를 방문하는 횟수는 줄어든다.[13] 다른 수컷이 영역을 침범하면, 영역 주인은 접근하여 영역 울음소리를 낸다. 침입자가 그래도 물러서지 않으면 발톱으로 직접 공격을 시도한다. 후퇴할 때 침입자는 종종 땅으로 내려와 낮은 높이로 날아 달아난다.[14] 작은올빼미는 낯선 수컷에 대해 이웃 영역의 알려진 수컷보다 더 적극적으로 영역을 방어하며, 목소리로 친숙한 개체를 구별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15]
기본적으로 야행성이지만, 부분적으로 주행성이어서 낮 동안에도 대담하게 눈에 띄는 곳에 앉아 있는 모습이 자주 관찰된다.[16] 농촌, 공원, 사막 등 트인 땅에서 주로 서식하는 텃새이다. 사람이 많은 지역에 사는 개체들은 인간에게 익숙해져서 사람들이 주변에 있어도 숨지 않고 그대로 머무르기도 한다. 작은올빼미의 수명은 약 16년에 달할 수 있지만[10], 많은 개체가 성체가 되기 전에 죽는다. 혹독한 겨울이나 도로에서 로드킬 당하는 경우[10] 등으로 인해 평균 수명은 약 3년 정도로 추정된다.[9]
번식기에는 보통 나무나 바위 구멍에 둥지를 틀고 3~5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암컷만 28~29일 동안 품으며, 새끼는 부화 후 약 26일이 지나면 둥지를 떠난다.
5. 2. 번식
금눈쇠올빼미는 늦봄 번식기가 다가오면 밤에 더 활발하게 운다. 둥지는 서식지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 만드는데, 나무 구멍, 절벽 틈새, 채석장, 벽, 오래된 건물, 강둑, 토끼 굴 등이 이용되며[16], 보통 나무나 바위의 구멍을 둥지로 삼는다.
한 번에 3~5개의 알을 낳으며, 때로는 2개에서 8개까지 낳기도 한다.[16] 알은 둥근 타원형이며 흰색이고 광택이 없으며, 크기는 약 35.5mm x 29.5mm이다.[12] 포란은 주로 암컷이 담당하며[12], 첫 번째 알을 낳은 직후부터 시작하기도 한다. 암컷이 알을 품는 동안 수컷은 먹이를 구해 온다.[12]
알은 28일 또는 29일 후에 부화한다.[12] 부화 초기에는 암컷이 새끼를 돌보며 수컷이 가져온 먹이를 새끼에게 먹인다. 새끼가 좀 더 자라면 암수 모두 사냥에 나서 먹이를 공급한다.[12] 새끼는 부화한 지 약 7주가 되면 둥지를 떠나며(이소), 둥지를 떠난 후 1~2주가 지나면 날 수 있게 된다.[10] 새끼가 둥지에서 얼마나 많은 에너지를 비축했는지는 둥지를 떠난 후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며, 영양 상태가 좋은 새끼일수록 생존 가능성이 훨씬 높다.[17]
보통 1년에 한 번 번식하지만, 먹이가 풍부한 해에는 두 번 번식하기도 한다.[10] 둥지를 떠난 어린 새는 멀리 이동하지 않으며, 20km 이상 흩어지는 경우는 드물다.[18] 금눈쇠올빼미 부부는 종종 일 년 내내 함께 지내며, 한쪽이 죽을 때까지 관계를 유지하기도 한다.[18]
6. 보전 상태
금눈쇠올빼미(Athene noctuala)는 매우 넓은 서식 범위를 가지고 있다. 유럽에는 56만에서 130만 쌍의 번식 개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전 세계 서식 범위의 25%에서 49%에 해당한다. 따라서 전 세계 개체 수는 500만에서 1500만 마리 사이일 수 있다. 개체 수는 안정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이러한 이유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새의 보전 상태를 관심 필요 없음으로 평가하였다.[1]
7. 인간과의 관계
올빼미는 구석기 시대부터 다양한 예술 작품에 등장했지만, 특정 종보다는 일반적인 형태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금눈쇠올빼미는 고대 그리스 여신 아테나(그리스 신화 속 여신의 이름에서 유래한 학명 속명 Athene|아테네la)와 로마 여신 미네르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지혜와 지식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올리브 가지를 든 금눈쇠올빼미는 기원전 500년경 그리스 테트라드라크마 동전에 등장했으며, 이 도안은 현대 그리스 1유로 동전에도 사용되었다. 또한, 기원전 5세기 청동 조각상에는 아테나가 금눈쇠올빼미를 손에 들고 있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한편, 금눈쇠올빼미의 울음소리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암살을 예고하는 불길한 징조로 여겨지기도 했다.[19][20]
1843년, 영국 박물학자 찰스 워터턴이 이탈리아에서 가져온 금눈쇠올빼미 몇 마리를 요크셔 월턴 홀 영지에 방사했지만 정착에는 실패했다. 이후 릴포드 경이 노샘프턴셔 릴포드 홀 영지에, 에드먼드 미드-왈도가 켄트주 에덴브리지 근처 스톤월 공원에 성공적으로 도입했다. 이 지역에서 개체수가 늘어나 1900년경에는 흔하게 볼 수 있게 되었다.[21] 하지만 금눈쇠올빼미는 사냥용 새의 새끼를 잡아먹는다는 오해를 받아 부정적인 평판을 얻었고, 사냥꾼들의 제거 대상이 되기도 했다. 이에 1935년 영국 조류 신탁은 박물학자 앨리스 히버트-웨어 주도로 금눈쇠올빼미의 식단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금눈쇠올빼미는 주로 곤충, 기타 무척추동물, 작은 포유류를 먹으며 사냥용 새에게는 거의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2][23]
19세기부터 금눈쇠올빼미를 장식용으로 사육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길들여 날개를 자른 금눈쇠올빼미를 집과 정원의 설치류 및 곤충을 잡는 데 이용하기도 했다.[24]
더 흔한 용도는 소위 '코티지 사냥'이었다. 이는 많은 새들이 낮에 올빼미를 발견하면 군집 방어 행동을 보이는 점을 이용한 사냥법이다. 특히 수리부엉이를 이용한 사냥은 기원전 350년부터 20세기까지 이탈리아에서,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독일에서 행해졌다.[25] 이탈리아에서는 주로 종달새를 잡는 데 이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주요 거래 장소는 피사 근처의 작은 도시 크레스피나였다. 이곳에서는 전통적으로 9월 29일에 둥지에서 꺼낸 새끼 금눈쇠올빼미를 사람이 키워 판매했다.[25] 이 거래는 1990년대 이후 공식적으로 금지되었지만, 오랜 문화적 전통 때문에 여전히 예외가 허용되고 있다. 따라서 크레스피나 근처에는 사냥꾼들이 운영하는 금눈쇠올빼미 사육 센터가 아직 존재한다.[26][27]
1992년에는 네덜란드 100길더 지폐에 야프 드럽스테인이 디자인한 금눈쇠올빼미 그림이 숨은 그림(워터마크)으로 사용되었다.[28]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지만, 올빼미로서는 드물게 낮에도 활동하는 습성 때문에 낮 시간에 애완동물에게 시간을 할애하기 어려운 사람에게는 사육이 까다로울 수 있다. 또한 움직임이 민첩하여 사육 중에 우리나 사육장에서 꺼낼 때 도망가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참조
[1]
간행물
"''Athene noctua''"
2022-02-14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서적
Annus Historico-Naturalis
https://www.biodiver[...]
Sumtib. C.G. Hilscheri
[4]
논문
Ueber Classification, insonderheit der europäischen Vogel
https://www.biodiver[...]
[5]
웹사이트
Owl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01
[6]
서적
A List of the Genera of Birds : with their Synonyma and an Indication of the Typical Species of Each Genus
https://www.biodiver[...]
R. and J.E. Taylor
[7]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9]
웹사이트
Little Owl (''Athene noctua'')
http://blx1.bto.org/[...]
British Trust for Ornithology
2013-01-16
[10]
웹사이트
Little Owl: ''Athene noctua''
http://www.owlpages.[...]
2013-08-09
[11]
웹사이트
Little owl / Ruru nohinohi
https://nzbirdsonlin[...]
2022
[12]
서적
Handbook of British Birds, Volume 2: Warblers to Owls
H. F. and G. Witherby
[13]
논문
Time and travelling costs during chick-rearing in relation to habitat quality in Little Owls ''Athene noctua''
[14]
논문
Seasonal variation of territory size with the little owl (''Athene noctua'')
[15]
논문
Neighbour–stranger discrimination in the little owl, ''Athene noctua''
[16]
서적
Fauna of British India. Birds
https://archive.org/[...]
Taylor and Francis, London
[17]
논문
Post-fledging survival of Little Owls ''Athene noctua'' in relation to nestling food supply
[18]
논문
Little owl: ''Athene noctua''
http://www.hbw.com/s[...]
Lynx Edicions, Barcelona
2015-10-16
[19]
서적
The Little Owl: Conservation, Ecology and Behavior of ''Athene noctua''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0]
서적
Fabulous Creatures, Mythical Monsters, and Animal Power Symbols: A Handbook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1]
논문
The spread of the Little Owl from the chief centres of its introduction
https://www.biodiver[...]
1908
[22]
논문
Report of the Little Owl food inquiry 1936-37
1937
[23]
서적
Birds Britannica
Chatto and Windus
[24]
서적
The Little Owl: Conservation, Ecology and Behavior of ''Athene noctua''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5]
서적
The Little Owl: Conservation, Ecology and Behavior of ''Athene noctua''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6]
서적
The Little Owl: Conservation, Ecology and Behavior of ''Athene noctua''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7]
서적
Der Steinkauz von Crespina
2005
[28]
웹사이트
Overzicht in te wisselen biljetten
http://www.dnb.nl/be[...]
De Nederlandsche Bank
2016-02-09
[29]
간행물
Athene noctu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