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쿠아 마르키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쿠아 마르키아는 기원전 144년 법무관 퀸투스 마르키우스 렉스에 의해 건설된 로마의 수도교이다. 아니오 계곡에서 수원지를 확보하여 비아 티부르티나를 따라 로마로 물을 공급했으며, 코린토스 전투와 제3차 포에니 전쟁의 전리품을 건설 재원으로 사용했다. 아그리파, 아우구스투스 등 여러 황제에 의해 보수 및 확장되었으며, 네로 황제 시대에는 수도 공급량 부족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폰테 산 피에트로, 폰테 루포 등 여러 다리를 거쳐 로마 시내로 물을 공급했으며, 주요 급수 시설로는 카라칼라 욕장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세기 완공된 건축물 - 콤 옴보 신전
    콤 옴보 신전은 이집트 콤 옴보에 있는, 악어 신 소베크와 매의 신 하로에리스를 함께 모시는 이중 구조의 신전으로,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에 건축이 시작되어 로마 시대까지 증축되었으며, 고대 이집트 의학 수준을 보여주는 의학 도구 부조와 악어 미라 박물관이 인근에 위치한다.
  • 기원전 2세기 완공된 건축물 - 아탈로스의 스토아
    아탈로스의 스토아는 기원전 150년경 페르가몬의 아탈로스 2세가 아테네에 기증하여 건립된 건물로, 헬레니즘 시대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현재는 고대 아고라 유물을 전시하는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로마의 고대 용수로 - 아쿠아 알시에티나
  • 로마의 고대 용수로 - 아니오 노부스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대에 건설된 아니오 노부스는 아쿠아 클라우디아와 함께 로마 시민들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도교로, 아니에네 강 상류를 수원지로 하여 로마로 유입되는 수도교 중 수위가 가장 높았으나 수질은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쿠아 마르키아
일반 정보
이름마르키아 수도
위치로마
건축 양식석조 및 콘크리트 건축
건설 정보
의뢰인로마 공화정
착공기원전 144년
완공기원전 140년
시공사로마 공화정
기술 정보
높이수원지: 해발 318m, 로마: 59m
길이91km (61.7105 로마 마일)
물의 양187,600m3/일 (4,690퀴나리아)
비용
비용180,000,000 세스테르티우스
관련 인물
건축가퀸투스 마르키우스 렉스
참고 자료
참고 자료Papers of the British School at Rome (Deane R. Blackman, 1978)
지중해학회 (河出書房新社, 1990)

2. 역사

아쿠아 마르키아는 기원전 144년 법무관 퀸투스 마르키우스 렉스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7] 이 수도교는 비아 티부르티나를 따라 로마로 이어지며,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의 포르타 티부르티나를 통해 도시로 들어갔다. 아쿠아 마르키아 건설에는 기원전 146년 코린토스 전투와 제3차 포에니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이 주요 재원으로 사용되었다.[17] 이는 로마가 정복 전쟁을 통해 얻은 자원을 공공 인프라 건설에 투자한 사례이다.

아쿠아 마르키아의 수원지는 아니오 계곡에서 91km 이상 떨어진 현재의 아르솔리와 아고스타 근처에 있었다. 이 위치는 로마시 동쪽 언덕에 있었으며, 아니오 베투스, 아니오 노부스, 아쿠아 클라우디아 등 다른 수도교의 수원지로도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카피톨리노 언덕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에 대해 시빌라 신탁집 (:en:Sibylline Books)의 구절을 근거로 한 종교적인 논쟁이 있었으나,[18] 원로원은 이를 승인했다.

기원전 33년 아그리파에 의해 처음으로 수리되었고,[4] 이후 아우구스투스는 아쿠아 아우구스타를 연결하여 수도 공급량을 두 배로 늘렸다.[6] 아우구스투스의 복원은 비아 티부르티나를 가로지르는 아치에 새겨진 비문을 통해 기념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일부 시민들이 수도를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면서 네로 황제 시대에는 도시 내 수도 공급량이 부족해지기도 했다. 이후 티투스, 하드리아누스 등 여러 황제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보수 및 확장되었다. 프론티누스에 따르면, 여러 차례 확장 공사 후 수량은 하루 187,600m³에 달했으며, 이는 고대 로마 수도 중 두 번째로 많은 양이었다.[7][8]

2세기 초에는 감찰관 카토가 불법적인 파이프 제거와 개인에게의 공급을 중단하는 법률을 통과시켰다.[2][3]

2. 1. 한국의 관점

3. 경로

아쿠아 마르키아의 고대 수원지는 현대의 아르솔리와 마라노 에쿠오 사이의 아니오 계곡에 있는 두 샘에서 형성된 작은 호수 근처였다. 로마 동쪽의 언덕에 위치한 이 일반적인 지역은 아니오 베투스, 아니오 노부스, 아쿠아 클라우디아를 포함한 다른 수로에도 사용되었다.

경로는 처음 80km 동안 주로 지하로 이어졌으며, 그 후 로마에 물을 분배하기 위해 좋은 수두 (압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형 기념 아치 위에 나타났다. 수로의 초기 구간은 아니오 강 우안을 따라 이어졌으며, 비코바로 직전에 다리를 건너 아쿠아 아니오 베투스의 경로와 합류했다(더 낮은 고도에서). 티볼리를 향해 계속 갔고, 티부르티니 산을 우회한 후, 현재의 제리코미오 자치구 이후 갈리카노 지역과 라치오의 비아 프레네스티나를 다수 가시적인 다리와 지하 구간을 번갈아 가며 건넜다. 카파넬레 지역을 지나 비아 라티나의 7마일 지점에서 로마로 곧장 향했고, 이곳에는 ''리마리아'' 풀(침전조)이 있었다. 여기서 약 9km의 아치 구간은 비아 라티나를 따라 이어졌으며, 다른 수로가 만나는 포르타 마조레 근처의 ''ad spem veterem'' 지역의 로마에 도달했다.

여기에서 미래의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을 따라가다가 비아 티부르티나를 아치 위로 건너갔으며, 나중에 포르타 티부르티나로 바뀌었다. 경로는 오늘날 테르미니 역이 있는 비미날레 문을 지나 현재 비아 XX 세템브레 근처에 분배를 위한 주요 ''카스텔룸 아쿠아''가 있던 콜리나 문 근처에서 끝났다. 그 후 네트워크의 주요 지선(도시의 2/3를 덮음)은 퀴리날레와 카피톨에 도달했고, 티부르티나 문에서 시작하는 보조 지선(리부스 에르쿨라네우스)은 카일리안과 아벤티노에 공급했다.

마르키아 수도의 수원지에서부터의 경로(적색선)


마르키아 수도의 로마 시내에서의 경로(적색선)


|섬네일|폰테 산 피에트로]]

|섬네일|폰테 루포]]

|섬네일|폰테 델라 불리카]]

|섬네일|터널 델라 불리카]]

3. 1. 주요 다리

폰테 산 피에트로는 몰라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로, 폭 16m의 거대한 중앙 아치와 콘크리트 보강 구조가 특징이다.[9] 원래 이 지역의 다공성 석회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북서쪽 면에는 더 작은 아치가, 남동쪽 면에는 세 개의 작은 아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티투스 또는 하드리아누스 황제 시대에 콘크리트로 보강되었다.[9]

폰테 루포는 깊은 아니에네 계곡을 건너기 위해 건설된 높이 30m 이상, 길이 80m 이상의 다리이다.[9] 로마 수도교의 가장 유명한 다리 중 하나로 여겨지며,[10] 기원전 144년에 아쿠아 마르키아의 일부로 건설되었다. 다리 상단에는 양쪽을 연결하는 도로가 있었다.

폰테 카이폴리는 원래 기원전 144년에 단일 아치로 건설되었으나, 이후 높이 13m의 이중 벽돌 아치로 변경되었다. 여러 차례 복원된 흔적이 남아있다.

폰테 델라 불리카는 단일 둥근 아치 형태의 다리로,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경간은 5.8m, 높이는 5.5m, 폭은 3.3m, 길이는 10.6m이다. 근처에 유지 보수 작업자를 위한 로마 시대의 방이 있다.

4. 급수 시설

섹스투스 율리우스 프론티누스에 따르면, 아쿠아 마르키아의 물은 주로 음용수로 사용되었으며, 그 중 약 49.3%는 사저에, 23.2%는 공공 용수장에 공급되었다.[16] 카라칼라 욕장(도중에 분기된 아쿠아 안토니니아나를 경유하여 급수), 디오클레티아누스 욕장 등 대규모 공공 시설에도 물을 공급했다.

5. 사진



참조

[1] 논문 The Volume of Water Delivered by the Four Great Aqueducts of Rome
[2] 문서 Frontinus, De aquaeductu 7
[3] 문서 Livy 39 44
[4] 문서 Frontinus, De aquaeductu 9
[5] 문서 Frontinus, 125
[6] 문서 Frontinus, De aquaeductu urbis Romae, 1,12
[7] 서적 Frontinus. De aquaeductu urbis Romae. Edited with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by R. H. Rodgers http://www.uvm.edu/~[...]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8] 논문 Travertine-based estimates of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ancient Rome's Anio Novus aqueduct 2015
[9] 웹사이트 The Aqueducts of Ancient Rome https://archive.org/[...] 1935
[10] 문서 A map of Rome's surroundings with comments and a historical-topographical analysis of ancient Rome. 1827
[11] 서적 古代ローマの水道橋 河出書房新社
[12] 서적 The Ancient Roman Cit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Frontinus, Aqueducts, I-7 https://penelope.uch[...]
[14] 웹사이트 Frontinus, Aqueducts, I-19 https://penelope.uch[...]
[15] 웹사이트 Frontinus, Aqueducts, I-67 https://penelope.uch[...]
[16] 웹사이트 Roman aqueducts : Aqua Marcia http://www.romanaque[...]
[17] 서적 The Ancient Roman City (고대 로마의 도시)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8] 문서 Stambaugh, p. 3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