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티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투스는 플라비우스 왕조의 로마 황제(79–81)였다. 베스파시아누스와 도미틸라의 장남으로, 브리타니아와 게르마니아에서 복무하며 군사적 경험을 쌓았다. 아버지와 함께 유대 전쟁을 진압하고 예루살렘을 점령했으며, 71년 로마로 돌아와 개선식을 거행했다. 황제가 된 후, 베수비오 화산 폭발과 로마 대화재와 같은 재난에 대처하며 구호 활동을 펼쳤다. 콜로세움 건설을 마무리하고 개장했으며, 81년에 열병으로 사망했다. 티투스는 동시대인들에게 '좋은 황제'로 평가받았으나, 유대인들에게는 예루살렘 파괴의 주범으로 기억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투스 - 콜로세움
    콜로세움은 플라비우스 원형 경기장이라고도 불리는 고대 로마의 원형 경기장으로, 검투사 경기와 야수 사냥을 위해 플라비우스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네로 황제의 동상인 콜로서스 근처에 위치하여 현재는 로마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가 되었다.
  • 39년 출생 - 루카누스
    루카누스는 로마 시대의 시인으로, 네로 황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갈등으로 인해 자살했으며, 서사시 《파르살리아》를 남겼다.
  • 81년 사망 - 포욱 (후한)
    포욱은 후한 시대의 관료로 사도와 태위를 지냈으며 태위 재직 중 70여 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티투스
기본 정보
흉상
뉘 칼스버그 글립토테크 소장 흉상
로마자 표기Titus Flavius Vespasianus
전체 이름티투스 카이사르 베스파시아누스 (69–79)
휘호임페라토르 티투스 카이사르 베스파시아누스 아우구스투스
출생 이름티투스 플라비우스 베스파시아누스
출생일39년 12월 30일
출생지로마, 이탈리아
사망일81년 9월 13일
사망지로마, 이탈리아
매장지로마
통치
직책로마 황제
재위 기간79년 6월 24일 – 81년 9월 13일
이전 통치자베스파시아누스
다음 통치자도미티아누스
가족
왕조플라비우스
아버지베스파시아누스
어머니도미틸라
배우자아레키나 테르툴라 (62년경; 그녀의 죽음)
마르키아 푸르닐라 (63–65년경; 이혼)
베레니케 (첩, 79년경, 결별)
자녀율리아 플라비아 (아레키나와의 사이에서)
플라비아 (푸르닐라와의 사이에서)

2. 경력

티투스는 로마 황궁에서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아들 브리타니쿠스와 함께 교육받으며 어린 시절을 보냈고, 일찍부터 군사 및 언어적 재능을 보였다.[6][7] 기원후 61년부터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를 따라 브리타니아게르마니아 등지에서 군단병기병으로 복무하며 군 경력을 시작했다. 로마로 돌아온 후 잠시 결혼 생활을 했으나 정치적인 이유로 이혼했다.

기원후 66년, 유대 속주에서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이 발발하자, 티투스는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 휘하에서 군단을 지휘하며 참전했다.[101] 그는 갈릴리 지역 평정 과정에서 군사적 능력을 발휘하며 명성을 얻었다.[13][20] 4황제의 해 동안 아버지의 황제 즉위를 지원했으며,[26] 이후 유대 반란 진압의 총책임을 맡아 70년 예루살렘을 함락시키고 제2성전을 파괴하는 등 전쟁을 마무리 지었다.[37] 이 과정에서 유대 왕족인 베레니케와 연인 관계가 되기도 했다.[23]

71년, 로마로 개선하여 아버지와 함께 성대한 개선식을 치렀으며,[99] 이후 황실 근위대장, 공동 집정관, 공동 감찰관 등 요직을 두루 거치며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의 유력한 후계자로 자리매김했다.[99]

79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황제로 즉위했다.[56] 초기에는 근위대장 시절의 행적과 베레니케와의 관계로 인해 네로와 같은 폭군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으나,[58][100] 베레니케를 로마에서 떠나보내고 관대한 정책을 펴며 민심을 얻기 위해 노력했다.[53][58][59] 그의 짧은 치세 동안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로 인한 폼페이헤르쿨라네움의 파괴,[64][65] 80년 로마 대화재[66] 등 큰 재난이 연이어 발생했으나, 티투스는 적극적인 구호 활동과 복구 지원으로 이에 대처했다.[59][66] 또한 아버지 때 시작된 콜로세움 건설을 80년에 완공하고[72] 성대한 개장 기념 축제를 열었으며, 티투스 목욕탕을 건설하여 시민들에게 기증했다.[74]

81년 9월 13일 즉위한 지 불과 2년 3개월 만에 리에티 근교 별장에서 열병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동생 도미티아누스가 황제가 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청년 시절

기원후 39년 12월 30일경 로마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는 훗날 황제가 되는 베스파시아누스(Titus Flavius Vespasianus)이며, 어머니는 도미틸라(Domitilla the Elder)이다. 그는 이들의 장남으로, 여동생 도미틸라(Domitilla the Younger, 기원후 45년 출생)와 남동생 도미티아누스(Titus Flavius Domitianus, 기원후 51년 출생)가 있었다.[1]

티투스가 속한 플라비우스 가문은 기원전 1세기 내전 이후 몰락한 로마의 옛 귀족 계층을 대신하여 1세기 초 부상한 새로운 이탈리아 귀족 가문 중 하나였다.[2] 이 가문은 비교적 짧은 기간인 4대 만에 크게 성장했는데, 이는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시대 황제들 덕분에 부와 지위를 얻었기 때문이다. 티투스의 증조부인 티투스 플라비우스 페트로는 카이사르 내전 당시 폼페이 휘하에서 백부장으로 복무했으나, 기원전 48년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도망쳐 불명예스럽게 군 생활을 마감했다.[3] 그럼에도 페트로는 부유한 테르툴라와 결혼하여 가문의 지위를 높였고, 그의 재산은 아들인 티투스의 할아버지 티투스 플라비우스 사비누스 1세가 사회적으로 성장하는 기반이 되었다.[4] 사비누스 1세는 아시아 속주에서 세금징수관으로, 헬베티아에서 은행가로 일하며 부를 쌓았고, 기사 계급 지위를 얻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명망 있는 파트리키 가문인 베스파시아 가문의 베스파시아 폴라와 결혼하여, 아들들인 티투스 플라비우스 사비누스 2세와 베스파시아누스원로원 계급으로 진출하는 길을 열었다.[4] 티투스의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는 정치 경력으로 퀘스토르, 아이딜레, 프라이토르를 거쳐 기원후 51년에는 집정관에 올랐다. 또한 기원후 43년 로마의 브리타니아 정복에 참여하여 군 지휘관으로서 일찍이 명성을 얻었다.[5]

티투스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적지만,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그는 황궁에서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아들인 브리타니쿠스와 함께 교육받으며 자랐다고 한다.[6] 티투스는 브리타니쿠스와 매우 친밀한 사이였는데, 기원후 55년 네로 황제에 의해 브리타니쿠스가 독살당했을 때, 티투스는 바로 옆에 있다가 그 독을 조금 맛보았고 그로 인해 오랫동안 병을 앓았다고 전해진다.[6] 티투스는 이 사건을 평생 잊지 않았으며, 훗날 황제가 된 후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친구 브리타니쿠스를 기리기 위해 그의 동상을 세웠다고 한다. 티투스는 어릴 때부터 군사 기술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그리스어라틴어에 모두 능통하여 시인이자 웅변가로서의 자질도 갖추었다.[7]

기원후 61년부터 기원후 63년까지 군단병기병으로 복무하며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를 따라 브리타니아게르마니아 등지에서 군 경력을 쌓았다. 기원후 64년 로마로 돌아온 티투스는 아레키나 테르툴라와 결혼했으나, 그녀가 곧 세상을 떠나 사별했다. 이듬해인 기원후 65년에는 마르키아 푸르닐라와 재혼했다. 마르키아의 가문은 당시 황제였던 네로에게 반대하는 세력에 속해 있었다. 같은 해 원로원 의원 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가 주도한 네로 암살 음모 사건(피소 음모)이 발각되면서, 티투스는 정치적인 이유로 아내 마르키아와 이혼해야 했다. 이후 티투스는 다시 결혼하지 않았다.

2. 2. 유대 전쟁 진압

66년, 유대 속주의 유대인들이 로마 제국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켰다. 시리아 총독 케스티우스 갈루스는 벳호론 전투에서 패배하고 예루살렘에서 철수해야 했다.[15] 친로마파 왕 아그리파 2세와 그의 누이 베르니케는 갈릴리로 피신했다가 로마에 항복했다.[16]

네로 황제는 반란 진압을 위해 베스파시아누스를 사령관으로 임명했고, 베스파시아누스는 제5군단과 제10군단을 이끌고 즉시 팔레스타인으로 파견되었다.[16] 67년, 당시 퀘스토르(재무관)였던 티투스도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를 따라 팔레스타인으로 가서 제15군단을 이끌고 프톨레마이스에서 합류했으며,[17] 아버지 휘하에서 보병 군단[101]을 지휘하며 군 경력을 쌓았다. 약 6만 명의 로마 정규군은 갈릴리 지역을 제압하며 예루살렘으로 진격할 준비를 했다.[17]

이 전쟁의 과정은 로마-유대 역사가 요세푸스의 저서 ''유대전쟁''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요세푸스는 67년 로마군이 갈릴리를 침공했을 때 요다파에서 지휘관으로 복무했다. 47일간의 격렬한 포위 공격 끝에 요다파는 함락되었고 약 4만 명이 사망했다.[18] 여러 차례의 집단 자살 끝에 살아남은 요세푸스는 베스파시아누스에게 항복하여 포로가 되었고, 이후 로마군에게 유대 반란군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19] 68년까지 유대 북부와 해안 지역은 로마군에게 정복되었으며, 특히 타리케아이와 가말라에서의 결정적인 승리를 통해 티투스는 유능한 장군으로서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13][20]

68년, 로마에서 네로자살로 생을 마감하고 히스파니아 총독 갈바가 황제로 추대되면서 유대 전쟁은 잠시 중단되었다.[21] 베스파시아누스는 티투스에게 갈바의 즉위를 축하하기 위해 로마로 가도록 명령했다.[22] 그러나 티투스는 로마로 가던 중 갈바가 살해되고 뒤이어 즉위한 오토마저 베드리아쿰 전투에서 비텔리우스에게 패배하고 자살했으며,[24] 비텔리우스가 황제가 되는 등 로마의 정세가 극도로 혼란스러운 '4황제의 해' 상황임을 알게 되었다. 티투스는 어느 한쪽의 인질이 될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 스스로의 판단으로 로마행을 포기하고 다시 유대로 돌아와 아버지와 합류하여 반란 진압에 전념했다.[23] 이 혼란기에 티투스는 시리아 속주 총독 무키아누스와 함께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를 황제로 지지했다.[26]

69년 7월 1일, 아이깁투스와 유대 주둔 군단들은 베스파시아누스를 황제로 선포했다.[25] 베스파시아누스는 이를 수락하고, 무키아누스가 비텔리우스 타도를 위해 로마로 진군하는 동안,[27][28] 자신은 알렉산드리아로 가서 로마의 곡물 공급을 통제했다. 유대 반란 진압의 최종 임무는 티투스에게 맡겨졌다.[27][28] 69년 말, 비텔리우스 군대는 패배했고 12월 21일 로마 원로원은 베스파시아누스를 공식 황제로 인정하며 '4황제의 해'는 막을 내렸다.[29]

''황제 티투스에 의한 예루살렘 정복'', 니콜라 푸생(1638년) 작품. 제2성전의 파괴와 약탈을 묘사함


한편, 예루살렘의 유대 저항 세력은 내분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시카리파는 메나헴 벤 유다가 이끌었으나 오래가지 못했고, 열심당은 엘레아자르 벤 시몬이 이끌었으나 결국 갈릴리 출신 지도자 구쉬 할라브의 요한에게 주도권을 빼앗겼다. 또 다른 북부 반란 지도자 시몬 바르 기오라는 이두메아인들을 규합하여 세력을 형성했다.[30]

70년, 티투스는 예루살렘 포위를 시작했다. 로마군은 이전에 케스티우스 갈루스 휘하에서 패배했던 제12군단을 포함하여 서쪽에 3개 군단(제5, 제12, 제15군단), 동쪽 올리브 산에 1개 군단(제10군단)을 배치했다. 이집트 총독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알렉산데르가 티투스의 부사령관으로 합류했다.[31] 티투스는 유월절 순례자들이 도시에 들어오는 것을 허용한 뒤 도시를 봉쇄하여 식량과 물 공급을 차단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유대인들의 기습 공격은 로마군을 계속 괴롭혔고, 한 번은 티투스 자신도 포로로 잡힐 뻔했다.[32]

요세푸스를 통한 항복 협상이 실패하자 로마군은 총공격을 재개하여 제1, 제2 방벽을 빠르게 돌파했다.[33] 저항 의지를 꺾기 위해 티투스는 성벽 주변에 유대인 탈영병들을 십자가형에 처하도록 명령했다.[34] 기근과 로마군의 압박으로 약해진 제3 방벽이 돌파되자 격렬한 시가전이 벌어졌고,[35] 로마군은 마침내 안토니아 요새를 점령하고 제2성전으로 진격했다.[36]

티투스 개선문: 남쪽 내부 패널, 부조의 클로즈업. 예루살렘 함락에서 얻은 전리품을 보여준다.


성문이 돌파된 후 로마군은 예루살렘 상층 및 하층 도시에 불을 질렀고, 결국 제2성전은 완전히 파괴되었다. 티투스는 예루살렘이라는 이름 자체를 기억하지 못하게 하려는 듯 남은 도시의 완전한 파괴를 명령했다고 전해진다.[37] 성전이 파괴되자 티투스의 병사들은 그를 승리의 함성으로 ''임페라토르''라고 칭송했다.[38]

예루살렘 함락으로 수많은 주민이 학살당하거나 뿔뿔이 흩어졌다. 요세푸스는 포위 공격 중에 110만 명이 사망했으며 대부분 유대인이었다고 주장하지만,[39] 당시 유대 지역 전체 인구와 전쟁 후에도 상당수 유대인이 잔존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현대 학자들은 이 수치가 과장된 것으로 본다.[40] 시몬 바르 기오라와 기스칼라의 요한을 포함한 9만 7천여 명이 포로로 잡혀 노예가 되었고,[39] 많은 유대인들이 지중해 연안과 파르티아(페르시아), 바빌로니아(이라크), 아라비아, 유프라테스 강 너머 아디아베네(쿠르디스탄) 등지로 흩어지는 유대인 디아스포라가 가속화되었다.[42] 티투스는 자신의 승리가 아니라 유대인들의 신이 그의 백성에게 분노를 드러낸 결과라며 승리의 화환 받기를 거부했다고 한다.[41]

티투스 개선문: 북쪽 내부 패널, 승리자로서의 티투스 부조


예루살렘 함락 후에도 마사다 요새 등지에서 저항이 계속되었으나, 73년 마사다 함락을 끝으로 유대 전쟁은 완전히 진압되었다. 이 전쟁 기간 동안 티투스는 유대 왕족인 베레니케와 사랑에 빠지기도 했다. 71년, 티투스는 로마로 개선하여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와 함께 개선식을 거행했다. 이 개선식의 모습은 로마 포럼 동쪽 끝에 세워진 티투스 개선문의 부조에 생생하게 남아 있다. 개선문은 그의 승리를 기념하여 81년에 완공되었다. 로마로 돌아온 티투스는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의 신임을 받으며 황실 근위대장을 맡았고,[99] 아버지와 공동으로 호민관 권한을 부여받았으며, 73년에는 아버지와 함께 감찰관을 지내고 여러 차례 공동 집정관이 되는 등[99] 아버지의 오른팔로서 정치적 입지를 다졌다.

2. 3. 황제 즉위와 치세

79년 6월 23일[54] 또는 24일[55]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가 사망하자,[56] 티투스는 별다른 소란 없이 즉시 황제로 즉위했다.[56] 그는 친아버지를 계승한 최초의 로마 황제였다. 그러나 황제 즉위 당시 로마 시민들은 그가 근위대장 시절 보여준 폭력적인 모습[49]과 유대 공주 베레니케와의 관계[23] 때문에 그가 네로와 같은 폭군이 될 것을 우려했다.[58][100]

시민들의 우려를 인식한 티투스는 베레니케를 로마에서 떠나보내는 등[53][58] 대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검투사 시합을 자주 개최하고[59] 선제 베스파시아누스를 풍자하는 연극을 묵인하는 등 관대한 모습을 보여 시민들에게 인기를 얻었다. 원로원과의 관계도 개선하여, 반역죄(폐상죄) 혐의로 기소하는 관행을 중단시켰다.[59] 이는 아우구스투스 이래 로마 정치를 공포로 몰아넣었던 밀고자(delatores)들의 활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티투스는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모욕적인 발언을 처벌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며,[61] '최고대제사로서 손을 피로 물들이지 않겠다'는 약속을 지켰다.[62] 이로 인해 그의 치세 동안 처형된 원로원 의원은 없었다.[61] 수에토니우스에 따르면, 티투스는 하루 동안 선행을 베풀지 못한 날에는 "Amici, diem perdidi|아미키, 디엠 페르디디la" (친구들이여, 나는 오늘 하루를 잃었구나)라고 탄식했다고 한다.[59]

그러나 티투스의 짧은 치세는 여러 재난으로 얼룩졌다. 즉위 불과 두 달 만인 79년 8월 24일,[63] 베수비오 화산이 폭발하여 폼페이, 헤르쿨라네움, 스타비아이 등 나폴리 만 주변 도시들이 화산재에 묻혀 파괴되고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했다.[64][65] 티투스는 신속하게 구호 책임자를 임명하고 황실 재정을 투입하여 피해 지역 복구를 지원했으며,[59] 직접 현장을 방문하기도 했다.[66]

이듬해인 80년에는 로마에서 3일 밤낮으로 지속된 대화재가 발생하여 판테온, 주피터 신전 등 중요한 공공 건물들이 소실되었다.[66] 티투스는 이번에도 사재를 털어 도시 재건에 힘썼다.[66] 화재 이후 전염병이 돌기도 했으나, 구체적인 질병이나 피해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다.[59]

폴리클레이토스의 ''도리포로스''를 본뜬 티투스의 조각상, 서기 79~81년, 바티칸 박물관.


이러한 재난 속에서도 티투스는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가 시작한 콜로세움(플라비우스 원형 경기장) 건설을 80년에 완공했다.[72] 콜로세움은 로마 시민들에게 오락을 제공하는 동시에, 유대 전쟁에서의 승리를 기념하는 건축물이기도 했다.[73] 개장을 기념하여 100일간 축제가 열렸는데, 검투사 경기, 모의 해전(나우마키아), 야생 동물 사냥 등 매우 정교하고 화려한 행사가 펼쳐졌다.[74] 또한 콜로세움 인근 네로의 도무스 아우레아 부지에 대중목욕탕인 티투스 목욕탕을 건설하여 기증했다.[74]

티투스는 황제 숭배를 다시 활성화했으며, 아버지를 신격화하고 그를 기리기 위한 베스파시아누스와 티투스 신전 건설을 시작했다(동생 도미티아누스가 완공).[76][77] 한편, 동생 도미티아누스가 자신에게 반역을 꾀한다는 사실을 알았음에도 처벌하거나 추방하지 않았다고 전해진다.[62][71]

재해 구호와 국정 운영에 힘쓰던 티투스는 81년 9월 13일, 즉위한 지 불과 2년 3개월 만에 리에티 근교의 별장에서 열병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수에토니우스는 그의 사인을 말라리아 또는 동생 도미티아누스에 의한 독살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의 뒤를 이어 동생 도미티아누스가 황제가 되었다.

3. 평가

2년이라는 짧은 통치 기간 동안 티투스는 여러 자연재해 대책 마련 등으로 바쁜 정무를 수행하며 동시대인들에게 '좋은 황제'라는 평판을 얻었다. 특히 '포악한 황제'로 평가받는 동생 도미티아누스와 대조되어 후세에는 오현제 시대에 가장 이상적인 황제상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로마 황제 중 폭군으로 평가받는 인물들도 초기에는 선정을 베푼 경우가 있었기에, 티투스 역시 더 오래 통치했다면 같은 길을 걸었을지 모른다는 시각도 존재했다. "시기만 짧으면 누구든 좋은 황제가 될 수 있다"는 비아냥이 로마인들 사이에 돌았다는 기록도 있다.[56]

수에토니우스는 『12황제전』에서 티투스를 잘생기고 교양 있으며 온화한 성격의 소유자로, '가장 사랑스러운 사람'이라고 묘사했다.[93] 그는 티투스의 군사적 업적과 황제로서의 관용을 강조하며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티투스는 아버지와 같은 성을 가졌고 인류의 기쁨이자 사랑받는 존재였습니다; 그는 타고난 능력, 기술, 혹은 행운으로 모든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었고, 황제였던 동안에도, 결코 쉬운 일이 아닌, 그러한 일을 해냈습니다.[93]


카시우스 디오는 티투스 사후 100년 이상 지난 후 저술한 『로마사』에서 수에토니우스와 비슷한 긍정적 평가를 내리면서도 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티투스의 좋은 평판이 짧은 통치 기간 덕분일 수 있으며, 악행을 저지를 기회가 없었기 때문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의 만족스러운 기록은 그가 즉위 후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살았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는 그렇게 함으로써 악행을 저지를 기회를 얻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는 이후로 단 2년 2개월 20일을 더 살았습니다 – 그 당시 이미 살았던 39년 5개월 25일 외에 말입니다. 이 점에서 그는 아우구스투스의 긴 통치 기간과 맞먹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아우구스투스는 더 짧은 시간 동안 살았다면 사랑받지 못했을 것이고, 티투스도 더 오래 살았다면 사랑받지 못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입니다. 아우구스투스는 처음에는 전쟁과 당파 싸움으로 인해 다소 가혹하게 보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의 친절한 행위로 인해 훌륭한 명성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반면에 티투스는 온화하게 통치했고 그의 영광의 절정에서 죽었지만, 만약 그가 오랫동안 살았다면, 그의 현재 명성이 행운 덕분인지 공적 덕분인지 보여졌을 것입니다.[56]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 황제를 대신해 유대 항쟁을 진압하고 예루살렘예루살렘 성전을 파괴한 장본인이라는 비판도 받는다.[103] 이 때문에 유대인들의 기록 속에는 "악한 티투스"로 불리며 사악한 압제자이자 성전 파괴자로 기억된다. 바빌로니아 탈무드에는 티투스가 성전 파괴 당시 토라 두루마리 위에서 매춘부와 성관계를 가졌다는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96]

하지만 티투스가 개인적으로 유대인을 특별히 싫어했다는 증거는 찾기 어렵다. 그는 신약성서 사도행전에도 등장하는 유대 왕 아그리파 2세의 누이동생 베레니카를 사랑했지만, 과거 마르쿠스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의 관계를 기억하던 로마 시민들의 반대로 인해 관계를 이어가지 못했다. 또한 안티오키아의 그리스계 주민들이 도시를 방문한 티투스에게 유대인 추방을 요청했을 때 이를 허락하지 않았고, 로마 내 유대인의 권리가 새겨진 청동판을 철거해달라는 요청도 거절했다고 전해진다.

고대 역사가들의 기록에서 티투스는 가장 모범적인 황제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동시대인들의 기록은 매우 호의적이다. 그러나 일부 기록의 중립성에 대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유대전쟁을 저술한 요세푸스는 플라비우스 왕조의 후원을 받았다. 그는 71년 티투스의 수행원으로 로마에 와서 로마 시민권을 얻고, 후원자들의 이름(노멘 플라비우스와 프라이노멘 티투스)을 받았으며, 연금을 받으며 궁전에서 살았다.[89] 요세푸스는 플라비우스 왕조의 후원 아래 모든 저술 활동을 했으며, 『유대전쟁』에서는 반란 지도자들에게 편향된 시각을 보이며 전쟁의 원인을 유대인에게 돌리는 등[90] 그의 역사가로서의 신뢰성은 의문시되기도 한다.[91]

또 다른 동시대 역사가인 타키투스는 80년 또는 81년에 공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플라비우스 왕조가 자신의 승진에 기여했음을 인정했다.[92] 그의 저서 『역사』는 트라야누스 황제 치세에 출판되었으나, 티투스와 도미티아누스 통치 시기를 다룬 부분은 소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베수비오 화산 폭발 당시 사망한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자연사』를 티투스에게 헌정했다.[94][95]

유대 전쟁과 티투스의 삶, 특히 베레니케와의 관계는 후대의 작가와 예술가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다. 티투스 개선문의 부조는 예루살렘 파괴 묘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개선문에 새겨진 메노라는 제2성전 약탈의 상징으로 자주 사용되었다.

4. 연표

연도주요 사건
61년-63년게르마니아브리타니아에서 군단 사령관으로 복무.
67년-70년제15군단 아폴리나리스 사령관으로서 유대 전쟁에 참전. 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가 로마로 귀환함에 따라 전쟁 최고 지휘권을 이어받음.
70년 9월예루살렘 함락.
71년 6월로마로 개선.
79년 6월 24일아버지 베스파시아누스의 뒤를 이어 로마 황제로 즉위.
79년 8월 24일베수비오 산 폭발로 폼페이헤르쿨라네움 매몰.
80년로마 대화재 발생.
80년 6월콜로세움 봉헌식 거행.
81년 9월 13일사비누스 언덕으로 향하던 중 42세의 나이로 사망.


5. 가계도

티투스의 할아버지는 티투스 플라비우스 사비누스 1세이며, 할머니는 베스파시아 폴라이다. 그의 아버지는 플라비우스 왕조를 세운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재위 69년-79년)이고, 어머니는 도미틸라 대제이다.

베스파시아누스에게는 형 티투스 플라비우스 사비누스 2세(47년 집정관)와 누이 베스파시아가 있었다. 티투스에게는 여동생 도미틸라 소제와 남동생 도미티아누스 황제(재위 81년-96년)가 있었다.

티투스는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아레키나 테르툴라였으며 자녀는 없었다. 두 번째 부인은 마르키아 푸르닐라로, 그녀와의 사이에서 딸 율리아 플라비아를 낳았다.

티투스의 남동생 도미티아누스는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의 딸인 도미티아 롱기나와 결혼하여 아들 플라비우스 카이사르를 낳았으나 요절했다. 티투스의 여동생 도미틸라 소제는 퀸투스 페틸리우스 케리알리스와 결혼했다.

티투스의 삼촌인 사비누스 2세에게는 아들 티투스 플라비우스 사비누스 3세(69년 집정관)가 있었다. 사비누스 3세는 다시 티투스 플라비우스 사비누스 4세(82년 집정관)와 티투스 플라비우스 클레멘스(집정관) 두 아들을 두었다. 클레멘스는 자신의 사촌이자 티투스의 조카딸인 플라비아 도미틸라(도미틸라 소제의 딸)와 결혼했다.

참조

[1] 서적 Suetonius: The Flavian Emperors: A Historical Commentary https://penelope.uch[...] Bristol Classical Press
[2] 서적 unnamed
[3] 서적 unnamed
[4] 서적 unnamed
[5] 서적 unnamed
[6]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7]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8]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9] 서적 Annals s:The Annals (Tacitu[...]
[10] 간행물 Some Flavian Connections https://penelope.uch[...]
[11] 서적 unnamed
[12] 웹사이트 The Life of Apollonius of Tyana https://www.livius.o[...]
[13]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14] 서적 unnamed
[15]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16]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17] 서적 The War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18]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19]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20]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21]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22] 서적 Histories s:The Histories (Tac[...]
[23] 서적 Histories s:The Histories (Tac[...]
[24] 서적 Histories s:The Histories (Tac[...]
[25]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26] 서적 Histories s:The Histories (Tac[...]
[27]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28] 서적 Histories s:The Histories (Tac[...]
[29] 서적 Histories s:The Histories (Tac[...]
[30]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31]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32]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33]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34]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35]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36]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37] 서적 The Fragments of Tacitus' Histories http://www.thelatinl[...] 1977-07-01
[38]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39]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40] 백과사전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life in the land of Israel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서적 The Life of Apollonius of Tyana https://www.livius.o[...]
[42] PACEJ
[43]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44]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45]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46]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47]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48]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49]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50]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51] 서적 Histories s:The Histories (Tac[...]
[52] 서적 Encyclopaedia Judaica Macmillan Reference US
[53]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54] 서적 Lives of the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55]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56]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57] 웹사이트 Titus https://pharaoh.se/r[...] 2018-03-13
[58]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59]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60] 서적 Annals s:The Annals (Tacitu[...]
[61]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62]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63]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64]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65] 웹사이트 Pompeii http://www.eyewitnes[...] 2009-03-10
[66]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67] 서적 Agricola s:Agricola#22
[68]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69] 서적 Histories s:The Histories (Tac[...]
[70] 논문 Nero and the East
[71]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72] 서적 Understanding Architecture: Its Elements, History and Meaning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73] 서적 Rome: An Oxford Archaeological Guid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74]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75] 문서 Coins bearing the inscription ''Divus Vespasianus'' were not issued until 80 or 81 by Titus.
[76] 서적 The Emperor Titus St. Martin's P
[77]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78]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79]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80]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81] 서적 The Life of Apollonius of Tyana https://www.livius.o[...] 2016-03-03
[82] 웹사이트 Tractate Gittin 56b https://www.sefaria.[...]
[83] 서적 Medicine in the Bible and Talmud https://books.google[...] KTAV Publishing House
[84] 문서 s:Page:Legends of Ol[...]
[85] 웹사이트 Tituss Death Chabad https://www.chabad.o[...]
[86] TV Urban Legends: Season 3 Episode 1 FilmRise 1995-06-26
[87] 웹사이트 Titus's Death https://www.chabad.o[...] Chabad.org 2018-11-08
[88] 문서 Babylonian Talmud Gittin 56b–57a. Soncino edition
[89] 서적 The Life of Flavius Josephus s:The Life of Flaviu[...]
[90] 서적 The Wars of the Jews s:The War of the Jew[...]
[91] 서적 The Jewish War Penguin
[92] 서적 Histories s:The Histories (Tac[...]
[93] 서적 The Lives of Twelve Caesars https://penelope.uch[...]
[94] 웹사이트 The Destruction of Pompeii, 79 AD http://www.eyewitnes[...]
[95] 서적 Natural Histories http://penelope.uchi[...]
[96] 문서 Babylonian Talmud (Gittin 56b)
[97] 서적
[98] 논문 Lawrence Alma-Tadema and the Modern City of Ancient Rome 2002-03
[99] 서적 로마 황제전
[100] 서적 로마 황제전
[101] 문서 레기온은 그리스어로 '군대'를 뜻하는 말이다.
[102] 문서 열정, 열심을 뜻하는 젤로스에서 유래한 유대교 민족주의 정치세력을 뜻한다.
[103] 문서 유대인들에게는 '티투스 아치'라고 불리는 로마의 유적물 밑을 지나가는 것이 일종의 금기처럼 되어 있다고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