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리아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드리아누스는 76년 1월 24일에 태어났으며, 117년부터 138년까지 로마 황제로 재위했다. 그는 스페인 이탈리카 출신으로, 군사적 경험을 쌓은 후 트라야누스 황제의 후계자로 지명되었다. 황제 즉위 후 제국 방어를 위해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건설하고, 제국 순찰을 통해 행정 및 군사 제도를 정비하는 등 제국 통합과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또한, 로마법을 성문화하려는 시도를 했으며, 판테온 재건과 같은 건축 사업을 추진했다. 하지만, 유대인들의 할례 금지로 바르 코크바의 반란을 겪었으며, 원로원과의 관계는 원만하지 않았다. 그는 문화, 건축,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지만, 독단적인 면모와 안티누스에 대한 과도한 애정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8년 사망 - 루키우스 아일리우스 카이사르
루키우스 아일리우스 카이사르는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후계자로 입양되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안토니누스 피우스가 후계자가 되면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루키우스 베루스의 공동 황제 시대에 영향을 미친 로마 제국의 원로원 의원이다. - 138년 사망 - 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조부)
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는 올리브유 생산으로 부를 축적한 히스파니아 바이티카 속주 출신의 로마 원로원 의원이자 세 차례 집정관을 지낸 인물로, 하드리아누스 황제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로마 수도 지사를 역임했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외조부이기도 하다. - 고대 로마의 레가투스 - 트라야누스
트라야누스는 로마 황제로서 다키아 정복과 파르티아 원정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원로원과 협력하여 '최고의 황제'로 칭송받았으며, 대규모 건축 사업과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로마 제국의 발전과 사회 시스템 개선에 기여했다. - 고대 로마의 레가투스 - 아비디우스 카시우스
아비디우스 카시우스는 2세기 로마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파르티아 전쟁에서의 공훈과 시리아 총독 역임 후 175년 반란을 일으켰으나 암살당했다.
하드리아누스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하드리아누스 |
로마자 표기 | Publius Aelius Hadrianus |
다른 이름 |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트라이아누스 하드리아누스 |
로마자 표기 | Publius Aelius Trajanus Hadrianus |
출생일 | 76년 1월 24일 |
출생지 | 이탈리카, 히스파니아 바이티카, 로마 제국 (현재의 산티폰세, 스페인) |
사망일 | 138년 7월 10일 (향년 62세) |
사망지 | 바이아이, 이탈리아, 로마 제국 |
매장지 | 푸테올리 도미티아 정원 하드리아누스의 영묘 |
배우자 | 비비아 사비나 |
자녀 | 루키우스 아일리우스 카이사르(양자) 안토니누스 피우스(양자) |
왕조 | 네르바-안토니누스 왕조 |
아버지 |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하드리아누스 아페르 트라야누스 (양부) |
어머니 | 도미티아 파울리나 |
종교 | 헬레니즘 종교 |
통치 | |
직책 | 로마 황제 |
재위 기간 | 117년 8월 11일 – 138년 7월 10일 |
선임자 | 트라야누스 |
후임자 | 안토니누스 피우스 |
제위명 |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트라이아누스 하드리아누스 아우구스투스 |
로마자 표기법 | |
로마자 표기 | Publius Aelius Traianus Hadrianus |
일본어 | |
일본어 표기 | ハドリアヌス |
한국어 | |
한국어 표기 | 하드리아누스 |
2. 생애
하드리아누스는 76년 1월 24일 히스파니아 바에티카의 이탈리카(현재 산티폰체, 세비야 근교)에서 태어났다.[4][5][6] 그의 가문인 엘리아 가문은 이탈리아 아트리 출신이었다. 아버지 푸블리우스 엘리우스 하드리아누스 아페르는 원로원 의원이었고, 어머니 도미티아 파울리나는 카디스의 명문가 출신이었다.[7] 누나 엘리아 도미티아 파울리나와 젖먹이 게르마나가 있었다.[8]
하드리아누스의 부모는 그가 10살 때인 86년에 사망했고, 그와 누이는 트라야누스와 푸블리우스 아킬리우스 아티아누스의 후견을 받았다.[7] 하드리아누스는 사냥을 즐겼으며, 14세에 로마에서 교육을 받았다.[11] 그리스 문학과 문화에 대한 열정으로 "그라에쿨루스"(“그리스 소년”)라는 별명을 얻었다.[12]
하드리아누스는 예술과 건축에 관심이 많았고, 제국 전역의 도시들을 재건하거나 새로운 공공건물을 제공했다.[246] 판테온을 재건하고, 하드리아누스의 별장을 건설했다.[246]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하드리아누스는 자신의 건축적 재능을 높이 평가했으며,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루스의 지적을 받고 그를 처형했다고 한다.[247][248]
하드리아누스는 어린 시절부터 사냥을 즐겼으며, 여러 사냥 기념물을 남겼다.[249][250] 헬레니즘에 영향을 받아 수염을 길렀으며, 이는 이후 황제들의 유행이 되었다.[251][253][254] 로마 철학에 관심을 가졌고, 에픽테토스의 강의에 참석하기도 했다.[255] 점성술과 점복에도 관심이 많았으며,[258] 라틴어와 그리스어로 시를 썼다.[259][260]
2. 1. 어린 시절과 초기 경력
하드리아누스는 76년 1월 24일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트라야누스의 사촌이자 원로원 의원이었던 푸블리우스 아일리우스 하드리아누스 아페르(영어)로, (스페인) 히스파니아의 속주 바에티카에 있는 이탈리카 출신이었다. 어머니는 카디스 출신의 도미티아 파울리나(영어)였다.[7]하드리아누스는 10세 때 아버지가 사망하자, 트라야누스와 히스파니아 출신 동향이자 기사였던 푸블리우스 아킬리우스 아티아누스(영어)의 후견을 받으며 성장했다.[7] 그는 그리스 문화에 큰 관심을 보여, 주변 사람들에게 "그라에쿨루스(작은 그리스인)"라고 불렸다.
18세부터 공직 생활을 시작한 하드리아누스는 중앙유럽과 발칸반도에서 군 복무를 수행했으며, 97년 11월 네르바에게 사실상 후계자로 지명되었다. 그는 자신이 소속된 군단의 사절로 네르바에게 축하 인사를 전했다. 99년 트라야누스와 함께 로마로 돌아와 로마 황제 (원수) 지위에 올랐다. 이 무렵 트라야누스의 아내 폼페이아 플로티나의 권유로 트라야누스의 조카 비비아 사비나와 결혼하였다.
101년 쿠아이스트르(재무관)가 되어 원로원 의원 자격을 얻은 하드리아누스는 트라야누스의 연설문 작성자로 활동했다. 다키아 전쟁에 참전한 후 판노니아 속주 총독, 보충 집정관, 아테나이의 알콘(집정관) 등의 직책을 역임했다. 117년에는 트라야누스의 참모로서 파르티아 원정에 참전한 후 시리아 속주 총독에 취임했다.
2. 2. 황제 즉위와 권력 강화
117년 8월, 키리키아(Κιλικία)의 작은 마을 셀리누스(Selinus)에서 트라야누스 황제가 병사하자, 유언으로 하드리아누스를 양자로 삼고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했다는 소식이 원로원(元老院, Senatus)과 당시 시리아(Syria) 총독으로 안티오키아(Antiochia)에 있던 하드리아누스에게 전해졌다.[46] 하드리아누스는 자신의 부하 군단(軍団, Legio)의 지지 아래 로마 황제(Imperator) 취임을 선포했다.[51]그러나 트라야누스의 유언의 신빙성은 고대부터 의심받아 왔으며, 역사가 카시우스 디오는 유언이 친위대장관이었던 아티아누스(Attianus)와 하드리아누스에게 호의적인 플로티나(Protina)에 의해 위조된 것이라고 주장했다.[49] 트라야누스가 생전에 하드리아누스를 후계자로 정했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으며, 유언의 진위 여부에 대해서는 후세에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지만, 진상이 밝혀졌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다. 당시부터 하드리아누스의 황제 취임의 정당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드리아누스가 황제에 취임한 직후, 다음과 같은 유력한 4명의 원로원 의원들이 처형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름 | 직위 및 경력 |
---|---|
가이우스 아위디우스 니그리누스 | 110년의 집정관. |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팔마 | 아라비아 원정에서 활약한 두 차례의 집정관 출신. |
루키우스 푸블리우스 켈수스 | 두 차례의 집정관 출신. |
루키우스 퀴에투스 | 파르티아 원정에서 활약한 117년의 보충 집정관. |
4명의 처형은 하드리아누스보다 먼저 로마로 귀환한 아티아누스의 손으로 이루어졌지만, 하드리아누스 자신의 명령이었다는 설도 존재하며, 죄명은 하드리아누스 암살 음모였다고 한다.[55] 그러나 카시우스 디오는 그것을 구실로 하드리아누스가 라이벌이 될 수 있는 인물을 제거했을 가능성도 시사하고 있다.
118년 7월에 로마로 귀환한 하드리아누스는 앞으로 원로원 의원을 처형하지 않겠다는 맹세를 하는 한편, 민중에게 하사금(donativum|도나티붐la)을 지급하며 지지를 확립하는 데 힘썼다.[52]
2. 3. 제국 순찰과 통치 정책
하드리아누스는 제국 통합과 안정을 위해 공세적 확장 정책에서 수세적 방어 정책으로 전환했다. 유프라테스강 동쪽의 메소포타미아, 아시리아, 아르메니아 속주를 포기하고 동방 국경을 안정시켰다.[186] 제국 방어를 위해 브리타니아의 하드리아누스 방벽을 비롯, 각지에 방벽(리메스)을 구축했다.[82]
전경에는 마일캐슬이 있다.
두 차례에 걸친 장기간의 순찰 여행을 통해 제국 각지를 시찰하고, 행정 및 군사 제도를 정비했다. 121년경부터 시작된 첫 번째 순찰 여행에서는 갈리아, 게르마니아, 브리타니아, 히스파니아, 시리아, 아나톨리아, 다키아, 그리스, 시칠리아 섬 등을 방문했다. 128년에 시작된 두 번째 순찰 여행에서는 아프리카, 그리스, 아나톨리아, 이집트, 팔레스타인 등을 방문했다. 이러한 순찰을 통해 속주의 실정을 파악하고, 해이해졌던 현지 장병들의 규율을 바로잡는 등 속주의 군사력과 행정의 정비 및 개선에 적극적으로 임했다.

관료 제도를 확립하고 행정 제도를 정비하여 제국의 기초를 마련하고 후세의 모범이 되었다. 법 제도 정비를 위해 살비우스 율리아누스에게 명하여 『영구고시록』을 편찬하게 했다. 『영구고시록』은 법무관이 내리던 기존의 고시들을 집대성한 것으로, 6세기까지 사용되었다.
130년에는 제1차 유대-로마 전쟁 때 파괴된 예루살렘을 로마식 도시 '아일리아 카피톨리나'로 재건하려 했고, 132년에는 유대인들의 할례를 금지했다.
하드리아누스는 로마와 속주 전역에서 건축 사업을 진척시켰으며, 비너스와 로마의 신전처럼 직접 설계를 지시한 건물도 있었다. 특히 유명한 것은 마르쿠스 비프사니우스 아그리파가 건설했으나 이후 훼손된 판테온(만신전)의 재건으로, 이는 현재까지 전해지는 가장 뛰어난 고대 건축물로 여겨진다.
여러 지역에서 도시 개발을 추진하여 하드리아노폴리스(현재의 에디르네)를 비롯해 하드리아누스의 이름을 딴 도시가 8개나 건설되었다. 또한, 기원전 86년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에 의해 파괴된 이후 쇠퇴했던 아테네의 재건에도 힘을 쏟아 많은 공공 건축물을 기증하고, 600년 이상 미완성이었던 제우스 올림피우스 신전을 완공하여 페리클레스 시대 이후의 번영을 아테네에 가져왔다.
2. 4. 바르 코크바의 난

로마 유대 지역에서 하드리아누스는 66년에서 73년까지 일어났던 제1차 유대-로마 전쟁 이후 여전히 폐허였던 예루살렘을 방문했다.[141] 그는 로마 식민지로 예루살렘을 재건할 계획을 세웠을 가능성이 있으며, 베스파시아누스가 카이사레아 마리티마에서 했던 것처럼 다양한 명예와 재정적 특권을 부여하려 했을 것이다.[141] 비로마인들은 로마 종교 의식에 참여할 의무는 없었지만 로마 제국의 질서를 지지해야 했는데, 이는 66년과 132년의 반란 모두에서 일부 유대인들이 로마 군대에서 복무했던 카이사레아에서 확인된다.[141] 하드리아누스가 유대 성전을 전통적인 로마 시민 종교 황제 숭배에 동화시키려 했다는 추측도 있다.[142][143] 이웃 사마리아인들은 이미 그들의 종교 의식을 헬레니즘적인 것과 통합했고,[144] 엄격한 유대교의 일신교는 제국의 회유와 요구에 더 강하게 저항했다.[145]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 따르면, 이 반란은 하드리아누스가 할례(''브리스 밀라'')를 폐지한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146] 헬레니스트였던 그는 그것을 훼손으로 간주했다.[147] 그러나 학자 피터 셰퍼는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가 출처로서 문제가 많고, 관련 구절에서 저자의 "어리석음"이 드러나며, 당시 로마의 "생식기 훼손"에 대한 법률이 주인에 의한 노예의 거세라는 일반적인 문제를 다루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주장에 대한 증거가 없다고 주장한다.[148][149][150] 다른 요인들도 반란 발발에 기여했을 수 있는데, 문화적으로 무감각한 로마 행정의 가혹함, 토지 없는 빈민과 토지 부여 특권을 가진 새로 온 로마 식민지 주민 간의 긴장, 그리고 예레미야의 예언, 즉 성전이 파괴된 지 70년 후에 재건될 것이라는 예언에 근거한 강력한 메시아 사상의 밑바탕(이는 첫 번째 성전이 바빌론 유배 이후 재건되었던 것과 같다) 등이 있었다.[151]
시몬 바르 코흐바(Simon bar Kokhba)가 이끄는 대규모 반헬레니즘, 반로마 유대인 봉기가 일어났다.[152] 기존 증거가 단편적이어서 봉기 시작 날짜를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아마도 132년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시작되었을 것이다.[153]
로마 총독 티네이우스(티니우스) 루푸스는 저항을 진압하기 위해 군대를 요청했고, 바르 코흐바는 그의 대열에 합류하기를 거부한 유대인들을 처벌했다.[152] 유스티누스와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이는 주로 바르 코흐바의 메시아적 주장에 반대한 기독교 개종자들과 관련이 있었다.[154]
로마군은 조직적이고 맹렬한 봉기에 압도당했다.[145] 하드리아누스는 그의 장군 섹스투스 율리우스 세베루스를 로마의 브리타니아에서 불러들이고 다뉴브 강에서 온 병력까지 동원했다. 로마군의 손실은 컸으며, 한 개 군단 또는 그에 상응하는 약 4,000명의 병력이 전사했다.[155] 하드리아누스가 로마 원로원에 보낸 전쟁 보고서에는 "당신과 당신의 자녀들이 건강하다면 잘 된 것입니다. 저와 군단은 건강합니다."라는 관례적인 인사말이 생략되었다.[156]
135년에 반란은 진압되었다.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157] 예루살렘 남서쪽 10km에 있는 요새 도시 베이타르는 3년 반 동안의 포위 공격 끝에 함락되었다.[158]
로마의 유대 지방 전쟁으로 약 58만 명의 유대인이 사망하고 요새화된 도시 50개와 마을 985개가 파괴되었다.[157] 인구의 어느 정도가 노예로 끌려갔는지는 알 수 없으며, 유대인에 대한 처벌의 규모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158]
하드리아누스는 유대 지방을 시리아 팔레스티나로 개명하고, 예루살렘을 자신의 이름과 주피터 카피톨리누스를 따서 아이리아 카피톨리나로 개명하고 그리스식으로 도시를 재건했다. 에피파니우스에 따르면, 하드리아누스는 폰투스의 시노페 출신 아퀼라를 그의 처가 친척이었기 때문에 "도시 건설 감독관"으로 임명했다고 한다.[159] 하드리아누스는 주요 포럼을 현재 (더 작은) 무리스탄이 있는 주요 카르도와 데쿠마누스 막시무스의 교차점에 두었다고 한다. 유대인 반란 진압 후, 하드리아누스는 사마리아인들에게 그리짐 산에 제우스 힙시스토스("최고의 제우스") 사원을 제공했다.[160] [161] 반란의 유혈 진압은 로마 제국의 질서로부터 유대인의 정치적 독립을 종식시켰다.[162]
비문에 따르면 하드리아누스는 133년 반란군에 맞서 군대를 이끌고 전장에 나섰다.[163]
2. 5. 원로원과의 관계
하드리아누스의 정책은 로마 원로원의 반발을 샀다. 특히 트라야누스의 확장 정책을 포기하고 온건 노선을 택한 것에 대해 비판이 있었다. 하드리아누스는 방위에 필요한 병력과 유지비 등의 부담이 늘어나 제국이 버티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메소포타미아와 아시리아, 아르메니아에서 철수했지만, 원로원에는 영토 확장에 공헌한 자들도 있었기 때문이다. 원로원의 반발에 하드리아누스의 지지자들은 반대파 거물 네 명을 숙청하는 강경책으로 대처했다.[18]하드리아누스 즉위 직후, 다음과 같은 유력한 원로원 의원 4명이 처형되었다.
이름 | 직책 및 경력 |
---|---|
가이우스 아위디우스 니그리누스 | 110년 집정관 |
아울루스 코르넬리우스 팔마 | 아라비아 원정에서 활약, 두 차례 집정관 역임 |
루키우스 푸블리우스 켈수스 | 두 차례 집정관 역임 |
루키우스 퀴에투스 | 파르티아 원정에서 활약, 117년 보충 집정관 |
이들의 처형은 하드리아누스보다 먼저 로마로 귀환한 아티아누스의 주도로 이루어졌지만, 하드리아누스의 명령이었다는 설도 있다. 죄명은 하드리아누스 암살 음모였지만, 카시우스 디오는 하드리아누스가 라이벌을 제거하기 위한 구실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처형 사건은 원로원에 큰 충격을 주었고, 118년 로마로 귀환한 하드리아누스는 원로원 의원을 처형하지 않겠다는 맹세를 하고, 민중에게 하사금을 지급하여 지지를 확보하는 등 수습에 나섰지만, 원로원과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치세 말기 후계자 선정 과정에서도 원로원과의 갈등이 있었다. 황제의 의형제 율리우스 우르수스 세르비아누스와 그의 손자 페다니우스 푸스쿠스는 하드리아누스의 후계자 선정에 반발하여 자살했다.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세르비아누스는 죽기 전 "하드리아누스에게 죽음을 바라도 얻을 수 없는 고통을 내려달라"고 빌었다고 한다. 하드리아누스는 135년 병을 얻어 여러 차례 자살 충동에 휩싸였다고 한다.
136년 하드리아누스는 케이오니우스 콤모두스를 양자로 삼았으나, 그는 138년 사망했다. 이후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를 양자로 삼고, 그의 양자로 안니우스 베루스와 루키우스 베루스를 지명했다. 이러한 일련의 후계자 선정은 원로원의 의견을 묻지 않고 독단적으로 이루어져 원로원의 불신을 더욱 강화시켰다.
하드리아누스 사후, 원로원은 신격화에 반대했으나,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설득으로 신격화가 이루어졌다.
2. 6. 말년과 죽음
하드리아누스는 만년에 건강이 악화되어 여러 차례 자살을 시도했지만, 주변의 만류로 실패했다.[177] 그는 죽음을 앞두고 "사랑하는 방황하는 작은 정령, 몸에 머무르던 손님, 동포라고 불러야 할 존재, 그대는 떠나가는구나. 굳어져 안색도 나빠 아무것도 걸치지 않고, 평소의 농담조차 하지 않고."라는 시를 남겼다고 한다.136년, 하드리아누스는 루키우스 케이오니우스 코모두스를 양자로 삼아 루키우스 아엘리우스 카이사르라는 이름을 내렸다. 그러나 엘리우스는 건강이 좋지 않았고, 138년 1월 1일에 사망했다.[172]
하드리아누스는 그 다음으로 티투스 아우렐리우스 풀부스 보이오니우스 아리우스 안토니누스(미래의 황제 안토니누스 피우스)를 양자로 삼았다. 그는 안토니누스에게 루키우스 케이오니우스 코모두스(사망한 엘리우스 카이사르의 아들)와 마르쿠스 안니우스 베루스(훗날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를 모두 입양하도록 요구하여 왕조의 안정을 꾀했다.[173]
하드리아누스의 마지막 몇 년은 갈등과 불행으로 얼룩졌다. 엘리우스 카이사르의 입양은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없었고, 특히 그의 처남 루키우스 율리우스 우르수스 세르비아누스와 세르비아누스의 손자 그나이우스 페다니우스 푸스쿠스 살리나토르는 불만을 품었다. 137년, 푸스쿠스는 할아버지가 연루된 쿠데타를 시도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하드리아누스는 그들을 모두 처형하도록 명령했다.[175] 세르비아누스는 처형 전에 하드리아누스가 "죽음을 갈망하지만 죽을 수 없을 것"이라고 기도했다고 한다.[176]
138년 7월 10일, 하드리아누스는 바이아이에 있는 자신의 별장에서 6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78] 디오 카시우스와 ''로마 황제 전기''에는 그의 건강 악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으며, 일부 현대 학자들은 후대의 묘사에서 볼 수 있는 귀 주름을 관상동맥 질환의 징후로 해석한다.[179] 그는 바이아이 근처 푸테올리에 있는, 한때 키케로가 소유했던 영지에 매장되었다. 곧 그의 유해는 로마로 옮겨져 거의 완공된 능묘 근처 도미티아 정원에 안치되었다.[180]
후계자 안토니누스 피우스에 의해 로마에 있는 하드리아누스 영묘(현재의 산탄젤로 성)가 139년에 완공되자, 그의 시신은 화장되었다. 그의 유골은 그의 아내 비비아 사비나와 138년에 사망한 그의 첫 번째 양자 루키우스 엘리우스 카이사르의 유골과 함께 그곳에 안치되었다.[180]
3. 문화적 업적과 개인적 관심사
하드리아누스는 예술, 건축, 공공사업에 지속적이고 열정적인 관심을 가졌다. 제국 복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제국 전역의 많은 도시를 건설, 재건 또는 개축하고, 사원, 경기장 및 기타 공공 건물을 제공했다. 트라키아 로마 속주에서는 주도인 필리포폴리스(현재의 플로브디프(Plovdiv))의 경기장과 오데온에 대한 대규모 개발 사업[243]을 진행했고, 오레스티아스 도시를 재건 및 확장하여 하드리아노폴리스(현재의 에디르네(Edirne))로 개명했다.[244] 로마 카르타고(Roman Carthage)를 포함한 다른 여러 도시들도 '하드리아노폴리스'로 명명되거나 개명되었다.[245]
카시우스 디오(Cassius Dio)의 역사에 나오는 일화는 하드리아누스가 자신의 건축 취향과 재능을 높게 평가했고, 그것이 거절당하는 것을 개인적인 모욕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드리아누스는 어린 시절부터 열정적인 사냥꾼이었다.[249] 그는 아시아 북서부에서 자신이 사냥한 암곰을 기념하기 위해 도시를 건설하고 헌정했다.[250] 이집트에서는 그와 그의 연인 안티노우스(Antinous)가 사자를 사냥하기도 했다. 로마에서는 하드리아누스가 사냥하는 여러 단계를 보여주는 여덟 개의 부조가 사냥감을 기념하는 기념물로 시작된 건물을 장식하고 있다.[250]
하드리아누스는 헬레니즘(philhellenism)에 심취하여 이전의 네로(Nero)처럼 로마 제국의 위엄에 어울리는 수염을 길렀다. 프루사의 디오(Dio of Prusa)는 수염을 기르는 것을 헬레니즘 정신과 동일시했다.[251]
그는 경쟁 철학자 에픽테토스(Epictetus)와 파보리누스(Favorinus)와 그들의 저술에 익숙했고, 로마 철학(Roman philosophy)에 관심을 가졌다. 황제가 되기 전 그리스에 처음 머물렀을 때, 니코폴리스(Nicopolis)에서 에픽테토스의 강의에 참석했다.[255] 플로티나가 죽기 직전, 하드리아누스는 그녀의 소원대로 아테네의 에피쿠로스 학파 지도자 자리를 로마인이 아닌 사람에게 개방했다.[256]
하드리아누스가 평민의 호민관으로 있던 시절, 징조와 전조가 그의 미래 황제의 지위를 알렸다고 한다.[257] ''로마 황제 전기(Historia Augusta)''에 따르면, 점성술(astrology)과 점복(divination)에 큰 관심을 가졌고, 숙련된 점성가였던 그의 큰아버지에게서 제국에 대한 그의 미래 즉위를 들었다.[258]
하드리아누스는 라틴어와 그리스어로 시를 썼다. 소수의 생존 사례 중 하나는 그가 임종 직전에 지었다고 알려진 라틴어 시이다(아래 참조). 그의 그리스어 작품 중 일부는 ''팔라틴 문집(Palatine Anthology)''에 실렸다.[259][260] 그는 또한 자서전을 썼는데, ''로마 황제 전기(Historia Augusta)''에 따르면 하드리아누스의 해방 노예인 트랄레스의 플레곤(Phlegon of Tralles)의 이름으로 출판되었다. 그것은 길이가 길거나 폭로적인 작품이 아니었고, 여러 가지 소문을 없애거나 하드리아누스의 가장 논란이 되는 행동들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되었다.[261] 이 자서전은 안토니누스 피우스(Antoninus Pius)에게 보낸 일련의 공개 편지 형식을 취했을 가능성이 있다.[262]
3. 1. 건축 사업
하드리아누스는 로마와 속주 전역에서 활발한 건축 사업을 벌였다.[246] 아그리파가 건설하고 80년에 화재로 파괴된 판테온을 재건하여 현재까지 전해지는 돔 형태로 완성했다.[246] 티부르(티볼리)에 하드리아누스의 별장(Hadrian's Villa)을 건설하여 알렉산드리아 정원을 재현했다.[246] 또한, 거대한 비너스와 로마 신전(Temple of Venus and Roma)을 직접 설계하기도 했다.[247][248]기원전 86년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에 의해 파괴된 아테네 재건에 힘써, 많은 공공 건축물을 기증하고 600년 이상 미완성이었던 제우스 올림피우스 신전을 완공했다. 아테네 주민들은 그의 공적에 대한 보답으로 하드리아누스의 개선문을 건립했다.
>이 도시는 아테네, 테세우스의 자랑이다.
>
>이 도시는 하드리아누스의 자랑이다. 테세우스와 다를 바 없다.
>
> — 하드리아누스의 개선문에 새겨진 비문
트라키아 로마 속주에서는 주도인 필리포폴리스(현재의 플로브디프(Plovdiv))의 경기장과 오데온을 건설하고,[243] 오레스티아스 도시를 재건 및 확장하여 하드리아노폴리스(현재의 에디르네(Edirne))로 개명했다.[244] 로마 카르타고(Roman Carthage)를 포함한 다른 여러 도시들도 '하드리아노폴리스'로 명명되거나 개명되었다.[245]
3. 2. 그리스 문화 애호
하드리아누스는 어린 시절부터 그리스 문화에 깊이 심취하여 '그라에쿨루스(작은 그리스인)'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2] 이는 일종의 가벼운 조롱으로 의도된 것이었다. 그는 그리스 문학과 문화에 대한 열정을 보였다.[12]124년 가을, 하드리아누스는 그리스에 도착하여 엘레우시스 신비 의식에 참여했다.[100] 그는 이전에 시민권과 아르콘 직위를 부여받았던[101] 아테네에 특별한 애정을 보였다. 아테네인들의 요청에 따라 아테네의 헌법을 개정했는데, 그중에는 하드리아누스의 이름을 딴 새로운 프율레(족속)를 추가하는 것도 포함되었다.[102]
하드리아누스는 올리브 오일 생산자들과 생산 할당량을 부과한 아테네 민회 및 원로원 사이의 지역 분쟁에는 개입하지 않았다.[103] 그러나 아테네의 곡물 공급에 대한 제국 보조금을 지급했다.[104] 그는 시민 중에 김나시아르크 또는 아고노테테스로서 이들을 후원할 만큼 부유하거나 의욕적인 사람이 없을 경우 아테네의 공공 게임, 축제 및 경연 대회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한 두 개의 재단을 설립했다.[105]
125년 3월, 하드리아누스는 아테네 의상을 입고 아테네의 축제인 디오니시아를 주재했다. 5세기 이상 건설 중이던 올림피아 제우스 신전 건설에 자신의 명령하에 있는 방대한 자원을 투입하여 공사가 완료되도록 했다.[107]

하드리아누스는 헬레니즘(philhellenism)에 심취하여 이전의 네로(Nero)처럼 로마 제국의 위엄에 어울리는 수염을 길렀다. 프루사의 디오(Dio of Prusa)는 수염을 기르는 것을 헬레니즘 정신과 동일시했다.[251] 그는 라틴어와 그리스어로 시를 썼으며, 그의 그리스어 작품 중 일부는 ''팔라틴 문집(Palatine Anthology)''에 실렸다.[259][260]
3. 3. 개인적 관계
하드리아누스는 비티니아 출신의 미소년 안티누스를 총애했다.[96] 130년 안티누스가 나일 강에서 익사하자, 하드리아누스는 그를 신격화하고 안티노폴리스라는 도시를 건설했다.[229] 안티누스 숭배는 그리스어 사용 지역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서방에서도 지지를 받았다.[232]하드리아누스는 트라야누스의 조카딸인 비비아 사비나와 결혼했지만, 두 사람의 관계는 원만하지 못했다.[29] 하드리아누스는 트라야누스의 총애를 받는 소년들을 이용하여 트라야누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고, 이 때문에 불화가 생기기도 했다.[35][36]

4. 평가
하드리아누스는 문화, 안보, 인재 등용 등 다양한 정책에서 큰 성과를 거두어 로마 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황제로 평가받는다. 특히, 제국 순찰을 통한 국경 방어 강화와 내치 안정은 그의 주요 업적으로 꼽힌다. 카시우스 디오는 『로마사』에서 하드리아누스의 통치가 칭찬할 만했지만, 치세 초기와 말기에 독단적이고 불합리하게 목숨을 빼앗은 일로 많은 로마 시민들에게 미움을 받았다고 기록했다.[269][270]
그의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속주 메소포타미아와 아르메니아 포기, 동부 변경 안정화, 방벽(리메스) 건설을 통한 제국 주변 지역 방어[92]
- 로마 제국 전체의 통합과 평준화
- 두 차례에 걸친 장기간의 순찰 여행[74]
- 관료 제도의 확립과 행정 제도의 정비[281]
- 법 제도 개혁: 『영구고시록』 편찬[93]
하드리아누스는 제국의 통일을 위해 평화가 필수적임을 인식하고, 군사적 요충지에 방벽을 구축하여 제국을 방비했다. 대표적인 예로 브리타니아 북부에 건설된 「하드리아누스 방벽」이 있다. 또한, 황제 스스로 군기를 바로잡고 군사 훈련을 직접 지시했으며, 현지 병사 채용으로 군비를 절약했다.[94]
파르티아 문제를 수습한 후, 하드리아누스는 제국 내 여러 문제 해결에 주력했다. 속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탈리아와의 일체화에 노력했으며, 두 차례의 장기간 순찰 여행을 통해 제국 방비를 재정비하고 제국 행정을 조사했다. 그는 공공 공사도 함께 진행하여 제국 각지, 특히 길리시아화된 지역의 발전에 기여했다.[121]
하드리아누스는 군사면에서도 우수하여 군대 규율을 개정하고 군 내부를 개혁했다. 용병술에 뛰어난 그는 로마군을 연전연승으로 이끌었으며, 전투 상황에서 앞장서 지휘하여 군대의 사기를 높였다. 법 제도 정비에도 힘써 『영구고시록』을 편찬하게 했다. 이는 훗날 유스티니아누스 1세 시대에 『로마법 대전』 편찬의 토대가 되었다.
그러나 하드리아누스는 원로원과 갈등을 겪었고, 유대인을 탄압했으며, 동성애 성향 등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치세 초기 원로원 의원 네 명의 처형, 후계자 선정 과정에서의 유혈 사태, 바르 코크바의 난 진압 과정에서의 잔혹함 등은 그의 어두운 면모를 보여준다.[271] 그의 사후, 원로원은 하드리아누스를 신격화하는 것에 반대했지만, 후계자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노력으로 신격화가 이루어졌다.
문화적으로 하드리아누스는 티볼리에 빌라 하드리아누스를 건설하고, 판테온 재건에 착수하는 등 건축 사업에 힘썼다. 베누스와 로마 신전 등 각지에 많은 건축물을 남겼다. 비티니아 출신의 미청년 안티누스를 총애했던 그는 안티누스가 나일강에서 사고사한 후 그를 신격화하고 신전을 세우는 등 각별한 애정을 보였다.[127] 만년에는 건강 문제로 여러 차례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으며, 138년 바이아이의 별장에서 62세로 서거하였다.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하드리아누스를 이상적인 군주이자 다섯 현인 황제 중 한 명으로 여겼고, 프리드리히 실러는 "제국의 첫 번째 봉사자"라고 칭송했다. 에드워드 기번은 그의 "방대하고 활동적인 천재성"과 "공평함과 온건함"을 칭찬하며, 하드리아누스 시대를 "인류 역사상 가장 행복한 시대"의 일부로 간주했다.[277] 하지만 로널드 사임은 하드리아누스를 독재자로 평가하며, 타키투스의 『연대기』가 하드리아누스 치세 동안 쓰여졌고 그를 증오하는 현대사의 작품이라고 주장했다.[279]
참조
[1]
문서
Salmon
[2]
간행물
Hadrian: The Restless Emperor by Anthony R. Birley
[3]
웹사이트
"The City of Hadrian and not of Theseus": a cultural history of Hadrian's Arch
https://www.academia[...]
2022-01-01 #날짜 정보가 년도만 있음. 임의로 1월 1일로 설정
[4]
서적
Lives of the Caesars
Wiley-Blackwell
2008
[5]
간행물
Itálica, sedes natalis de Adriano. 31 textos históricos y argumentos para una secular polémica
https://www.academia[...]
[6]
서적
Horoscopes and Public Spheres: Essays on the History of Astrology
Walter de Gruyter
[7]
서적
Beloved And God
[8]
문서
CIL VI 10909
http://www.edr-edr.i[...]
[9]
서적
Roman Papers IV
Oxford
[10]
간행물
La dinastía Ulpio-Aelia (96–192 d.C.): ni tan Buenos, ni tan Adoptivos ni tan Antoninos
[11]
서적
Restless Emperor
[12]
서적
Restless Emperor
[13]
서적
Restless Emperor
[14]
서적
Nerva and the Roman Succession Crisis of AD 96–99
Routledge
[15]
서적
The Emperor Hadrian
British Museum Press
[16]
서적
Kommentar zur Vita Hadriani der Historia Augusta
Habelt
[17]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 XI
Cambridge U. P.
[18]
서적
Restless Emperor
[19]
서적
Lives of the Caesars
[20]
서적
Historia Augusta
[21]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 XI
[22]
서적
Chapter XI: "holding back the Sarmatians"
[23]
문서
The inscription in footnote 1
[24]
서적
Epigraphic Evidence: Ancient History From Inscriptions
Routledge
[25]
웹사이트
Hadrian
http://www.roman-emp[...]
[26]
서적
Hadrian the Restless Emperor
[27]
서적
Restless Emperor
[28]
서적
Kaiser Traian. Eine Epoche der Weltgeschichte
Regensburg
[29]
서적
The Classical Origins of Modern Homophobia
Mcfarland
[30]
간행물
Plotina, Sabina y Las Dos Faustinas: La Función de Las Augustas en La Politica Imperial
http://campus.usal.e[...]
2017-01-11
[31]
서적
Historiae Augustae Colloquium Bambergense
Edipuglia
[32]
문서
Marasco
[33]
간행물
A Man Among Gods: Evaluating the Significance of Hadrian's Acts of Deification
http://www3.nd.edu/~[...]
2017-04-15
[34]
서적
Augustae. Machtbewusste Frauen am römischen Kaiserhof?: Herrschaftsstrukturen und Herrschaftspraxis II. Akten der Tagung in Zürich 18–20. 9. 2008
Akademie Verlag
[35]
서적
Hadrian: Empire and Conflict
Harvard University Press
[36]
서적
Early Christian Families in Context: An Interdisciplinary Dialogue
Wm. B. Eerdmans Publishing
[37]
서적
Hadrian: The Restless Emperor
[38]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39]
서적
Ancient Rome: a Military and Political History
Cambridge U. Press
2007
[40]
문서
Fündling
[41]
서적
Political Autobiographies and Memoirs in Antiquity: A Brill Companion
Brill
2011
[42]
간행물
Life of Hadrian
[43]
서적
The World of Roman Costum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94
[44]
문서
Fündling
[45]
문서
Fündling, Strobel
[46]
서적
The Passionate Intellect: Essays on the Transformation of Classical Traditions : Presented to Professor I.G. Kidd
Transaction Books
1995
[47]
서적
Hadrian, the restless emperor
London / New York
1997
[48]
서적
Restless Emperor
[49]
논문
Die Rechtsfrage bei der Adoption Hadrians
1914-09
[50]
논문
The early coinage of Hadrian and the deified Trajan at Rome and Alexandria, Les intrigues de Plotine et la succession de Trajan. À propos d'un aureus au nom d'Hadrien César, Hadrian’s First and Second Imperial Portrait Types of 117–118 AD
2008, 2009, 2021
[51]
간행물
Life of Hadrian
[52]
서적
The Son of God in the Roman World: Divine Sonship in Its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Oxford U. Press
2011
[53]
서적
[54]
논문
L'éloge de Caius Avidius Nigrinus chez Tacite et le " complot " des consulaires
http://www.persee.fr[...]
2015-06-10
[55]
서적
[56]
서적
Un parti hispanique à Rome?: ascension des élites hispaniques et pouvoir politique d'Auguste à Hadrien, 27 av. J.-C.-138 ap. J.-C
Casa de Velázquez
2005
[57]
서적
Hadrian: Empire and Conflict
[58]
서적
Consilium Principis: Imperial Councils and Counsellors from Augustus to Diocleti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5
[59]
서적
[60]
서적
Rome et son Empire
Hachette
2003
[61]
서적
Le pouvoir impérial dans les provinces syriennes: Représentations et célébrations d'Auguste à Constantin
Brill
2011
[62]
논문
L'hérédité dynastique chez les Antonins
1949
[63]
논문
L'éloge de Caius Avidius Nigrinus
[64]
서적
Hadrian and the triumph of Rome
Random House
2009
[65]
서적
Restless Emperor
[66]
서적
[67]
서적
Personal Patronage Under the Early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68]
서적
Crime and Punishment in Ancient Rome
Routledge
2002
[69]
논문
The Legislation of Hadrian
1926-06
[70]
서적
Restless Emperor
[71]
서적
Policing the Roman Empire: Soldiers, Administration, and Public Order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72]
서적
Intelligence Activities in Ancient Rome: Trust in the Gods But Verify
Routledge
2004
[73]
뉴스
How Victorian restorers faked the clothes that seemed to show Hadrian's softer side
http://arts.guardian[...]
2008-06-09
[74]
서적
Le Pain et le Cirque
Seuil
1976
[75]
서적
Pannonia and Upper Moesia (Routledge Revivals): A History of the Middle Danube Provinces of the Roman Empire
Routledge
2014
[76]
서적
"Humanitas": Romans and non-Roma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77]
서적
[78]
서적
Striking New Images: Roman Imperial Coinage and the New Testament World
A & C Black
1996
[79]
서적
Being Greek Under Rome: Cultural Identity, the Second Sophistic and the Development of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80]
서적
Restless Emperor
[81]
서적
[82]
간행물
Scriptores Historiae Augustae
[83]
서적
Hadrian's Wall: Archaeology and history at the limit of Rome's empire
Crowood Press
2017
[84]
서적
Le haut-Empire romain en Occident d'Auguste aux Sévères
Seuil
1998
[85]
간행물
Hadrian's Wall: Some Problems
1972
[86]
웹사이트
Britannia on British Coins
http://www.24carat.c[...]
Chard
2006-06-25
[87]
서적
Restless Emperor
[88]
서적
The Roman Empire at Bay, AD 180–39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89]
서적
Ancient Libraries
Cambridge U. Press
2013
[90]
서적
Hadrian and the triumph of Rome
[91]
서적
Temples and Towns in Roman Iberia: The Social and Architectural Dynamics of Sanctuary Designs from the Third Century B.C. to the Third Century A.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9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The Jews Under Roman Rule from Pompey to Diocletian : a Study in Political Relations
Brill
2001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Hadrian: Empire and Conflict
[99]
서적
Restless Emperor
[100]
웹사이트
Romans at Besa : New Light on an Athenian Deme in the Imperial Period
https://www.cambridg[...]
2024
[101]
서적
The Province of Achaea in the 2nd century CE: The Past Present
Routledge
2022
[102]
서적
Restless Emperor
[103]
간행물
Hadrian and the Athenian Oil Law
2008
[104]
서적
Roman Imperialism and Civic Patronage: Form, Meaning and Ideology in Monumental Fountain Complexes
Cambridge U. Press
2011
[105]
웹사이트
Review of Graindor (Paul). Athènes sous Hadrien
http://www.persee.fr[...]
2015-06-20
[106]
서적
Greek Sport and Social Status
University of Texas Press
2009
[107]
서적
Restless Emperor
[108]
서적
The Nature and Function of Water, Baths, Bathing, and Hygiene from Antiquity Through the Renaissance
Brill
2009
[109]
서적
Truly Beyond Wonders: Aelius Aristides and the Cult of Asklepios
OUP
2010
[110]
서적
Restless Emperor
[111]
서적
The Roman Empire at Bay, AD 180–395
Routledge
2014
[112]
서적
[113]
서적
Pausanias' Greece: Ancient Artists and Roman Rulers
Cambridge U. Press
2004
[114]
웹사이트
Hadrian and Greek Senators
http://uni-koeln.de/[...]
2015-07-23
[115]
서적
[116]
서적
Restless Emperor
[117]
서적
Rome the Law-Giver
Routledge
2013
[118]
서적
Imperial Ideology and Provincial Loyalty in the Roman Empi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119]
서적
[120]
서적
Restless Emperor
[121]
서적
Restless Emperor
[122]
서적
[123]
PhD
Tourism in Graeco-Roman Egypt
Princeton
1989
[124]
서적
Restless Emperor
[125]
서적
[126]
서적
Hadrian: Empire and Conflict
[127]
문서
Historia Augusta
0395
[128]
서적
[129]
간행물
El fracaso del primer proyecto panhelénico de Adriano
https://www.persee.f[...]
1999
[130]
서적
[131]
서적
Hellenism in Byzantium: The Transformations of Greek Identity and the Reception of the Classical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32]
서적
Plutarco y el arte de la Atenas hegemónica
Universidad de Oviedo
2008
[133]
서적
Greece and the Augustan Cultural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34]
서적
Syrian Identity in the Greco-Roman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35]
서적
La construcción ideológica de la ciudadanía: identidades culturales y sociedad en el mundo griego antiguo
https://books.google[...]
Editorial Complutense
2006
[136]
서적
Sociology: Inquiries into the Construction of Social Forms
https://books.google[...]
Brill
2009
[137]
서적
Syrian Identity in the Greco-Roma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38]
서적
Roman Palmyra: Identity, Community, and State Formation, The Roman Empire: Augustus to Hadria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1988
[139]
서적
Le pouvoir impérial dans les provinces syriennes: Représentations et célébrations d'Auguste à Constantin (31 av. J.-C.-337 ap. J.-C.)
https://books.google[...]
Brill
2011
[140]
서적
Christian Responses to Roman Art and Architecture: The Second-Century Church Amid the Spaces of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41]
서적
The Bar Kokhba Revolt and Hadrian's religious policy
De Gruyter
[142]
서적
[143]
서적
Hadrian and the Christians
[144]
서적
Some notes about the Samaritans and the Rabbinic Class at Crossroads
De Gruyter
[145]
서적
Der Bar Kokhba-Aufstand
Tübingen
[146]
서적
Judeophobia: Attitudes Toward the Jews in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02-01
[147]
서적
Ancient Rome a Military and Political History
[148]
서적
The Bar Kokhba War Reconsidered: New Perspectives on the Second Jewish Revolt Against Rome
Mohr Siebeck
[149]
서적
The History of the Jews in the Greco-Roman World: The Jews of Palestine from Alexander the Great to the Arab Conquest
Routledge
[150]
문서
Hadrian
https://penelope.uch[...]
[151]
서적
From the Maccabees to the Mishnah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52]
문서
Hadrian
http://www.tertullia[...]
Random House
[153]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Volume 4, The Late Roman-Rabbinic Peri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4]
서적
Rabbi Akiva, Bar Kokhba Revolt, and the Ten Tribes of Israel
iUniverse
[155]
웹사이트
https://www.livius.o[...]
[156]
서적
Roman History
[157]
서적
Dio's Roman History
https://archive.org/[...]
Loeb Classical Library
[158]
서적
Was 70 CE a Watershed in Jewish History?: On Jews and Judaism before and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Second Temple
Brill
[159]
간행물
Hadrian's Journey to the East and the Rebuilding of Jerusalem
2012-03-25
[160]
서적
Zeus
Routledge
[161]
서적
Religious Networks in the Roman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2]
서적
Who's Who in the Age of Jesus
Penguin
[163]
문서
Journeys of Hadrian
[164]
간행물
Journeys Of Hadrian
http://www.uni-koeln[...]
2017-01-20
[165]
문서
Life of Hadrian
[166]
문서
Life of Hadrian
[167]
서적
Augustae. Machtbewusste Frauen am römischen Kaiserhof?: Herrschaftsstrukturen und Herrschaftspraxis II. Akten der Tagung in Zürich 18–20. 9. 2008
Akademie Verlag
[168]
서적
Emperors and Ancestors: Roman Rulers and the Constraints of Tradition
Oxford U. Press
[169]
간행물
Passion et politique chez les Césars (review of Jérôme Carcopino, Passion et politique chez les Césars)
http://www.persee.fr[...]
2015-06-12
[170]
서적
From Tiberius to the Antonines : A History of the Roman Empire AD 14–192
Routledge
[171]
서적
Pannonia and Upper Moesia (Routledge Revivals): A History of the Middle Danube Provinces of the Roman Empire
Routledge
[172]
서적
[173]
서적
Tacitus
[174]
서적
Marcus Aurelius: A Life
Da Capo
[175]
서적
[176]
웹사이트
Dio
https://penelope.uch[...]
[177]
서적
[178]
서적
[179]
논문
The Emperor Hadrian (fl. AD 117–138) and Medicine
http://journals.sage[...]
2009-12-22
[180]
서적
[181]
웹사이트
Dio
https://penelope.uch[...]
[182]
서적
A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183]
서적
Gott und Gestirn als Präsenzformen des toten Kaisers: Apotheose und Katasterismos in der politischen Kommunikation der römischen Kaiserzeit und ihre Anknüpfungspunkte im Hellenismus
V&R unipress GmbH
2011
[184]
서적
Imperial Ideology and Provincial Loyalty in the Roman Empi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185]
서적
Le Haut Empire Romain en Occident, d'Auguste aux Sévères
Seuil
1998
[186]
서적
Some Minor Roman Historians
Brill
1972
[187]
서적
The Imperial Roman Army
Routledge
2013
[188]
서적
From Tiberius to the Antonines (Routledge Revivals): A History of the Roman Empire AD 14–192
Routledge
2014
[189]
서적
Restless Emperor
[190]
서적
The Hadrianic School: A Chapter in the History of Greek Art
CUP Archive
1934
[191]
서적
Trajan-Optimus Priceps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192]
서적
Empire and Conflict
[193]
논문
Did Hadrian Ever Meet a Parthian King?
https://www.academia[...]
2017
[194]
서적
Exploratio: Military & Political Intelligence in the Roman World from the Second Punic War to the Battle of Adrianople
Routledge
2002
[195]
서적
[196]
서적
Rome, the Greek World, and the East: Volume 2: Government, Society, and Culture in the Roman Empire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05
[197]
서적
[198]
서적
[199]
서적
Restless Emperor
[200]
서적
The Grand Strategy of the Roman Empire: From the First Century A.D. to the Thir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9
[201]
서적
[202]
서적
The History of Central Asia: The Age of the Steppe Warriors– Google Knih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2-12-11
[203]
서적
Fronto: Selected Letters
AC & Black
2014
[204]
서적
The Roman Paratext: Frame, Texts, Read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05]
서적
Ancient Rome: From Romulus and Remus to the Visigoth Invasion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0
[206]
서적
Roman Law: Mechanisms of Development
Walter de Gruyter
1978
[207]
서적
[208]
서적
Life of Alexander Severus
CUP Archive
[209]
서적
Encyclopedic Dictionary of Roman Law, Volume 43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68
[210]
서적
[211]
간행물
Legal Privilege in the R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1968-12
[212]
문서
Westermann
[213]
서적
Les Réalités de l'esclavage d'après Le Digeste
Presses Univ. Franche-Comté
1981
[214]
서적
Spectacles of Death in Ancient Rome
Routledge
2012
[215]
서적
Digest (Roman law)
Routledge
2007
[216]
서적
Roman Imperial Identities in the Early Christian Era
Routledge
2009
[217]
서적
Policing the Roman Empire: Soldiers, Administration, and Public Order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18]
서적
Digest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19]
문서
Judeophobia
[220]
문서
[221]
문서
Restless Emperor
[222]
서적
Emperor Worship and Roman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23]
서적
Coinage and Identity in the Roman Provinc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24]
문서
[225]
서적
Pausanias' Greece: Ancient Artists and Roman Rulers
Cambridge U. Press
2004
[226]
간행물
Hadrien et l'Asklépieion de Pergame
http://www.persee.fr[...]
1976
[227]
웹사이트
A Contribution To The Archaeology of The Western Desert: IV – The Great Serapeum Of Alexandria
https://web.archive.[...]
Manchester
1956
[228]
간행물
The Goddess Roma
de Gruyter
1991
[229]
문서
Historia Augusta
[230]
서적
Bread and Circuses: Euergetism and Municipal Patronage in Roman Italy
Routledge
2003
[23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gypt, Volume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32]
서적
Imperial Rome and Christian Triumph
Oxford U.P.
1998
[233]
문서
[234]
서적
Power and eroticism in Imperial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35]
서적
Roman Homosexuality : Ideologies of Masculinity in Classical Antiqu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236]
문서
[237]
문서
Imperial Rome
[238]
웹사이트
Antinoos, The New God: Origen on Miracle and Belief in Third Century Egypt
https://www.academia[...]
[239]
서적
Power and Eroticism in Imperial Ro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240]
문서
Restless Emperor
[241]
간행물
Hadrian, Eleusis, and the beginnings of Christian apologetics
De Gruyter
2010
[242]
서적
The Case for Christianity: St. Justin Martyr's Arguments for Religious Liberty and Judicial Justice
Rowman & Littlefield
2010
[243]
웹사이트
The Ancient Stadium of Philippopolis – Preservation, Rehabilitation and Urban Renewal
https://ancient-stad[...]
Regional Administration Plovdiv
2011-2023
[244]
웹사이트
Edirne | Turke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3-07
[245]
문서
Restless Emperor
[246]
문서
It was lost in large part to despoliation by the Cardinal d'Este
[247]
서적
Architectural Heritage Revisited: A Holistic Engagement of its Tangible and Intangible Constituents
Ashgate
2014
[248]
웹사이트
Cassius Dio – Epitome of Book69
https://penelope.uch[...]
[249]
문서
Historia Augusta, Hadrian
https://penelope.uch[...]
[250]
서적
The Classical World: An Epic History from Homer to Hadrian
Basic Books
2006
[251]
서적
Restless Emperor
[252]
문서
Historia Augusta
https://penelope.uch[...]
[253]
뉴스
Byzantine first & last times
http://www.byzantium[...]
Byzantium.xronikon.com
2012-11-07
[254]
웹사이트
Barba – NumisWiki, The Collaborative Numismatics Project
http://www.forumanci[...]
Forumancientcoins.com
2012-11-07
[255]
서적
The Classical World: An Epic History from Homer to Hadrian
Basic Books
2006
[256]
서적
Restless Emperor
[257]
서적
Antike Autobiographien: Werke, Epochen, Gattungen
Böhlau
2005
[258]
서적
Measuring Heaven: Pythagoras and His Influence on Thought and Art in Antiquity and the Middle Ages
Cornell University Press
2007
[259]
서적
Hadrianus
CSIC
2010
[260]
웹아카이브
Direct links to Hadrian's poems in the A.P. with W.R. Paton's translation at the Internet Archive
https://archive.org/[...]
[261]
서적
The Fragments of the Roman Historian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62]
서적
Hadrian: Empire and Conflict
[263]
문서
Historia Augusta, Hadrian, Dio
https://penelope.uch[...]
[264]
웹사이트
Forty-three translations of Hadrian's "Animula, vagula, blandula ..."
http://coldewey.cc/p[...]
[265]
웹사이트
Animula, Vagula, Blandula
http://www.tandfonli[...]
1950
[266]
학술지
Animula vagula blandula: Adriano debitore di Plutarco
1997
[267]
문서
Historia Augusta
[268]
서적
Critical Companion to T. S. Eliot: A Literary Reference to His Life and Work
https://books.google[...]
2007
[269]
웹아카이브
Epitome de Caesaribus
http://www.roman-emp[...]
2018-03-24
[270]
문서
[271]
문서
[272]
웹사이트
Eloquence rules: the ambiguous image of Hadrian in Fronto's correspondence
http://arts.st-andre[...]
2015-02-20
[273]
학술지
The Contest of Homer and Hesiod and the ambitions of Hadrian
https://open.bu.edu/[...]
2010
[274]
서적
A History of the Roman World from 30 B.C. to A.D. 138
Routledge
2004
[275]
서적
L'Empire Gréco-Romain
[276]
서적
Restless Emperor
[277]
서적
L'Empire Gréco-Romain
[278]
서적
A Companion to Tacitus
John Wiley & Sons
2012
[279]
학술지
R. Syme, Tacitus
http://www.persee.fr[...]
1959
[280]
서적
Hadrian. Eine Deutungsgeschichte
Habelt
2004
[281]
논문
L'oecuménisme d'un empereur souvent méconnu : [review of] M.A. Levi, ''Adriano, un ventennio di cambiamento''
http://www.persee.fr[...]
2017-01-19
[282]
서적
The Classical World: An Epic History from Homer to Hadrian
Basic Books
[283]
서적
Roman Imperial Coinage (RIC), Volume II, Part 3: From AD 117 to AD 138 – Hadrian
London
[284]
논문
Hadrian’s First and Second Imperial Portrait Types of 117–118 AD
[285]
서적
Writing Imperial Politics: The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Brill
[286]
논문
Lucian, Fronto, and the absence of contemporary historiography under the Antonines
[287]
서적
Hadrian and the Cities of the Roman Empi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8]
서적
Restless Emperor
[289]
서적
Pausanias' Greece: Ancient Artists and Roman Rul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0]
서적
[291]
서적
L'Empire Gréco-Romain
Seuil
[292]
서적
Emperors and Historiography: Collected Essays on the Literature of the Roman Empire
Brill
[293]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XI: the High Empire, 70–192 A.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4]
서적
Hadrian: The Restless Emperor
Routledge
[295]
서적
Antiquity Now: The Classical World in the Contemporary American Imagi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6]
서적
Between Rome and Babylon: Studies in Jewish Leadership and Society
Mohr Siebeck
[297]
서적
Hadrian: the Restless Emperor
[298]
웹사이트
Hadrian Roman emperor
https://www.britanni[...]
[299]
서적
ローマ史
[300]
서적
ヒストリア・アウグスタ
[301]
서적
ローマ史
[302]
서적
ローマ史
[303]
서적
ヒストリア・アウグスタ
[304]
서적
ヒストリア・アウグスタ
[305]
서적
ローマ史
[306]
서적
ローマ史
[307]
서적
ヒストリア・アウグスタ
[308]
서적
ローマ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