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타베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타베그는 '조상' 또는 '아버지'를 뜻하는 '아타'와 '영주'를 뜻하는 '베그'의 합성어로, 12세기부터 근동의 셀주크 왕조에서 어린 왕자의 후견인에게 주어진 칭호이다. 아타베그는 왕자의 소유지 관리, 행정을 대행하며 강력한 권력을 행사했고, 셀주크 왕조의 쇠퇴 이후에는 독립적인 세력으로 성장하여 각지에서 정권을 수립했다. 맘루크 왕조와 조지아 왕국에서도 아타베그 칭호가 사용되었으며, 특히 맘루크 왕조에서는 군 최고사령관을 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다, 1354년 이후 '대 아미르' 칭호를 띠고 단독 국정 책임자를 의미하게 되었다.
아타베그는 튀르크어 단어[4] '아타(ata)' (아버지[1])와 '베그(beg)' 또는 '베이(bey)' (영주, 지도자, 왕자[5])의 합성어이다. 이 칭호는 12세기부터 근동의 셀주크 왕조 통치 기간 동안 흔히 사용되었다.[10] 아타베그는 어린 왕자의 후견인에게 주어졌으며, 군주 직속의 맘루크에서 선출되는 경우가 많았다.[10]
셀주크 왕조 시대에 아타베그는 어린 왕자들의 후견인이자 섭정 역할을 맡았다. 대개 군사령관 출신의 맘루크들이 임명되었으나, 니잠 알 물크와 같이 이란계 관료가 임명되기도 했다.[10] 11세기 말, 셀주크 왕조의 지배력이 약화되면서 아타베그는 점차 강력한 권력을 가지게 되었고, 권력과 영지를 세습하게 되었다.[10] 아제르바이잔의 일데니즈 왕조는 이라크 셀주크 왕조 술탄의 아타베그로서 실권을 장악하기도 했다.
[1]
서적
Seljūks
EB1911
2. 어원 및 의미
'베그'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일부 자료에서는 바그다드가 'bag/beg'와 'dad', 즉 "영주"를 의미하는 것과 같이 이란어 기원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게르하르트 되르퍼에 따르면, '베그'라는 단어는 튀르크어 기원일 가능성이 있으며, 이 단어의 기원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6]
최초로 아타베크 칭호를 수여받은 사람은 이란계 정치인 니잠 알물크였으나, 바르키야루크 이후 왕자들의 아타베크는 투르크계 군인에서 선출되었다.[10]
3. 역사
맘루크 왕조에서 아타베그는 군대 최고 사령관에게 주어지는 칭호로도 사용되었다.[10] 1354년 이후, 아타베그는 대 아미르 칭호를 띠고 단독 국정 책임자가 되었지만, 최고위 아타베그를 노리는 아미르들이나 술탄과의 권력 투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조지아 왕국에서 아타베그(ათაბაგი|아타바기ka)는 1212년 타마르 여왕이 므카르그르젤리 가문을 위해 만든 최고위 궁정 직함 중 하나였다.[9] 조지아의 아타베그는 재상이자 왕위 계승자의 최고 가정교사였다.
3. 1. 셀주크 왕조와 아타베그
셀주크 왕조 시대에 아타베그는 어린 왕자의 후견인이자 섭정 역할을 맡았다. 대개 군사령관 출신의 맘루크들이 임명되었으나, 니잠 알 물크와 같이 이란계 관료가 임명되기도 했다.[10] 아타베그는 왕자의 소유지 관리, 운영, 행정을 대행했으며, 군주 사후에는 왕자의 생모와 결혼하여 권력을 유지하기도 했다.[10]
11세기 말, 셀주크 왕조의 지배력이 약화되면서 아타베그는 점차 강력한 권력을 가지게 되었고, 권력과 영지를 세습하게 되었다.[10] 아제르바이잔의 일데니즈 왕조는 이라크 셀주크 왕조 술탄의 아타베그로서 실권을 장악했다. 일데니즈 왕조의 쿠틀루그 이난치는 호라즘 제국에 원군을 요청하여 술탄 투그릴 3세의 반발을 억눌렀다.[10] 1194년, 투그릴 3세가 알라 앗딘 테키시에게 패배하면서 서부 이란의 셀주크 왕조는 멸망했다.[10]
시리아의 장기 왕조와 부리 왕조는 처음에는 셀주크 왕조 왕자의 후견인이었으나, 왕자들이 죽거나 떠난 후에는 독립적인 정권이 되었다. 야즈드 아타베크 왕조는 일 칸국 시대까지 존속한 지방 정권이었다.[11] 파르스의 살구르 왕조,[10] 로레스탄의 하자라스프 왕조와[12] 호르시드 왕조[12]는 아타베그 칭호를 사용했지만, 정식으로 셀주크 왕조 왕자의 후견인을 맡은 적은 없었다.
3. 2. 맘루크 왕조와 아타베그
맘루크 왕조에서 아타베그는 후견인 외에도 군대 최고 사령관에게 주어지는 칭호로도 사용되었다.[10] 맘루크 왕조의 아타베그는 원래 유력 아미르가 임시로 맡는 직책이었으며, 나스르 무함마드 치세부터 이집트 총독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바뀌었다고 여겨진다. 나스르는 전제적인 체제를 구축하여 국가를 운영했지만, 그의 사후 국정을 재건하기 위해 아미르 등에 의한 합의제(어전 회의)가 도입되었고, 1350년에 어전 회의의 의장이 아타베그에 취임하게 되었다. 1354년 이후, 아타베그는 대 아미르 칭호를 띠고 단독 국정 책임자가 되어 아타베그를 정점으로 하는 무관 서열이 성립했지만('아타베그 체제'), 최고위 아타베그를 노리는 아미르들 사이에서, 혹은 술탄과 사실상의 지배자인 아타베그 사이에서 권력 투쟁이 발생했다. 1378년에 아타베그에 취임한 바르쿠크가 1382년에 스스로 술탄에 즉위하면서 아타베그 체제는 종결되었다.
3. 3. 조지아 왕국의 아타베그
조지아 왕국에서 아타베그(ათაბაგი|아타바기ka)는 1212년 타마르 여왕이 므카르그르젤리 가문을 위해 만든 최고위 궁정 직함 중 하나였다.[9] 조지아의 아타베그는 재상이자 왕위 계승자의 최고 가정교사였다. 아타베그 직은 종종 아미르스파살라르 (총사령관) 직과 결합되었다.[9] 1334년 이 칭호는 자켈리 가문에게 세습되었고, 이들은 삼츠헤 공국을 통치했다. 따라서 이 국가는 삼츠헤-사아타바고로 불리게 되었으며, 후자의 요소는 "아타베그의"를 의미한다.[9]
4. 주요 아타베그 정권
정권 중심 지역 계통 존속 기간 비고 아흐마딜리 왕조 마라가 튀르크계 ? - ? 다우드의 아타베크를 맡았던 아크순쿨이 건국[7] 일데니즈 왕조 아제르바이잔 킵차크계 1136년 - 1225년 이라크의 셀주크 왕조의 술탄인 아르슬란 샤와 투그릴 3세의 아타베그로서 실권을 장악[7] 살구르 왕조 파르스 오구즈 투르크계 1148년 - 1287년 처음에는 셀주크 왕조에 조공을 바치고, 셀주크 왕조 멸망 후에 완전히 독립했지만, 왕조 내에서 셀주크 왕조와의 관계는 중요시됨[7] 하자라스프 왕조 루리스탄 이란계 1155년경 - 1424년 [7] 야즈드의 아타베그 정권 야즈드 이란계 12세기 - 1300년 아르슬란 샤로부터 야즈드의 지방 정권인 카쿠이 왕조의 공주 아타베크로 임명된 장군을 조상으로 하는 지방 정권[11] 장기 왕조 모술, 알레포 투르크계 1127년 - 1250년 처음에는 셀주크 제국령 모술의 총독이었으나, 이후 알레포를 점령하여 시리아 북부와 그 부근의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자신의 왕조를 세움[7] 부리 왕조 다마스쿠스 투르크계 1104년 - 1154년 Khorshidi dynasty영어 로레스탄의 소 로르 ? 12세기 후반 - 1597년/1598년
참조
[2]
간행물
Atabak
http://www.iranicaon[...]
Encyclopedia Iranica
2007-02-01
[3]
웹사이트
The Turco-Mongol Invasions, Reactions of the Armenian Lords, Mongol Control Techniques
http://rbedrosian.co[...]
2007-09-27
[4]
웹사이트
atabeg.
http://www.merriam-w[...]
2008-03-25
[5]
웹사이트
bey.
http://www.bartleby.[...]
2008-03-25
[6]
간행물
BEG
http://www.iranicaon[...]
Encyclopædia Iranica
2015-01-14
[7]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of Islam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8]
웹사이트
Lorestān region, Iran
https://www.britanni[...]
2020-12-10
[9]
서적
Studies in Christian Caucasian History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967
[10]
웹사이트
ATĀBAK
https://www.iranicao[...]
2024-01-01
[11]
웹사이트
ATĀBAKĀN-E YAZD
https://www.iranicao[...]
2024-01-01
[12]
웹사이트
HAZĀRASPIDS
https://iranicaonlin[...]
202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