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148년은 다양한 국가에서 각기 다른 연호와 기년을 사용했으며, 고려는 의종 2년, 일본은 규안 4년에 해당했다. 주요 정치 상황으로 잉글랜드의 마틸다 여제가 노르망디로 돌아갔고, 유럽에서는 알모하드 군의 에보라 점령, 십자군의 다마스쿠스 포위 실패, 엘비라 데 토로의 레온 여왕 즉위 등이 있었다. 군사적으로는 제2차 십자군이 다마스쿠스 공격에 실패하고, 시칠리아 왕국이 마흐디야를 점령했으며, 바르셀로나 백작 라몬 베렝게르 4세가 토르토사를 점령했다. 사회, 문화, 기술 분야에서는 빈겐의 힐데가르트가 루페르츠베르크에 수도원을 세웠고, 시칠리아의 루게로 2세가 팔레르모에서 이탈리아 비단 산업을 시작했다. 1148년에는 헝가리의 벨라 3세, 안티오키아의 보에몬드 3세, 멜랑의 이자벨 등이 태어났고, 성 사바의 안셀름, 코난 3세, 성 말라키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48년 - 다마스쿠스 공방전
1148년 제2차 십자군 전쟁 당시 십자군이 다마스쿠스를 포위 공격했으나 내부 분열과 무슬림의 저항으로 실패하며 다마스쿠스와 십자군의 관계가 악화되고, 이후 다마스쿠스는 누르 앗딘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 1148년 | |
|---|---|
| 1148년 | |
| 기원 | 12세기 |
| 간지 | 무진년(戊辰年), 기사년(己巳年) |
| 발생 | |
| 사건 | 제2차 십자군의 실패. 다마스쿠스 공성전 발생. |
| 탄생 | 아마우리 2세 뤼지냥, 키프로스 왕국의 왕. 벨라 3세, 헝가리의 왕. 호넨, 일본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 |
| 사망 | 콩카의 질베르, 프랑스 순례자, 수도승. 테오발트, 제12대 캔터베리 대주교. 알폰소 1세, 툴루즈 백작. 아부 바크르 이븐 알아라비, 안달루시아의 이슬람 학자, 법학자, 판사, 여행가, 작가. |
| 12세기 | |
| 연도별 | 1140년대 1149년 |
2. 연호 및 기년
2. 1. 동아시아
2. 1. 1. 남송
소흥 18년2. 1. 2. 금
皇統|황통중국어 8년2. 1. 3. 서하
人慶|인경중국어 5년2. 1. 4. 고려
의종 2년[1]2. 1. 5. 일본
규안久安일본어 4년 (규안 3년 음력 12월 7일 - 규안 4년 음력 11월 19일)황기 1808년
2. 1. 6. 리 왕조
大定|다이딘vi 9년2. 2. 기타
- 간지: 무진
- 일본
- 큐안 4년 (큐안 3년 음력 12월 7일 - 큐안 4년 음력 11월 19일)
- 황기: 1808년
- 중국
- 남송: 소흥 18년
- 금: 황통 8년
- 서하: 인경 5년
- 조선
- 베트남
- 리 왕조: 대정 9년
2. 2. 1. 대리국
永貞|영정중국어 원년2. 2. 2. 단군기원
3481년[1]2. 2. 3. 불멸기원
1690년 - 1691년2. 2. 4. 이슬람력
سنة|싸나ar 543년 - 544년2. 2. 5. 유대력
4908년 - 4909년3. 정치적 상황
마틸다 여제는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가톨릭 교회와의 갈등으로 노르망디 공국으로 돌아갔다. 로버트 글로스터 백작의 지원이 끊기면서, 잉글랜드 왕위를 위한 그녀의 투쟁은 막을 내렸다.
3. 1. 유럽
마틸다 여제는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가톨릭 교회와의 갈등으로 노르망디 공국으로 돌아갔다. 로버트 글로스터 백작의 지원이 끊기면서, 잉글랜드 왕위를 위한 그녀의 투쟁은 막을 내렸다.3. 1. 1. 잉글랜드
마틸다 여제는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가톨릭 교회와 겪은 어려움 때문에 노르망디 공국으로 돌아갔다. 로버트 글로스터 백작의 지원이 끊기자, 잉글랜드 왕위를 위한 그녀의 싸움은 끝났다.4. 군사적 충돌 및 사건
1148년에는 다음과 같은 군사적 충돌 및 사건들이 있었다.
제2차 십자군은 다마스쿠스를 공격했으나 실패로 끝났다. 시칠리아 왕국은 마흐디야를 점령하여 지르 왕조를 멸망시켰다.
4. 1. 제2차 십자군 원정
1148년 제2차 십자군은 다마스쿠스를 포위했으나 실패했다.1월 1일 프랑스 국왕 루이 7세가 이끄는 프랑스 십자군은 멘데레스 강 근처에서 터키의 매복 공격을 격퇴했다. 3일 후 라오디케이아에 도착했고, 프라이징의 오토가 이끄는 독일 분견대가 매복 공격을 받은 지점을 통과했다. 십자군은 카드무스 산을 넘으면서 심한 피해를 입었고, 1월 20일 아달리아에 도착했다.[1]
3월 프랑스 십자군은 아달리아에 남겨졌다. 수송 수단 부족으로 루이 7세는 병력을 분산, 기사와 정예 부대는 생 시메옹으로 가고, 순례자와 비전투 요원들은 해안 도로를 따라 이동했다. 투르크군에게 끊임없이 괴롭힘을 당해 많은 프랑스인과 독일인이 살해당했고, 절반도 안 되는 수가 늦봄에 안티오크에 도착했다.[3]
3월 7일 독일 국왕 콘라트 3세는 부상에서 회복, 콘스탄티노폴리스를 떠나 황제 마누엘 1세에게 지원받은 자금으로 순례자를 모집해 병력을 보충했다. 콘라트와 십자군은 비잔틴 함대와 팔레스타인으로 항해했으나, 함대는 폭풍에 흩어져 여러 항구에 상륙했다.[4]
3월 19일 루이 7세와 여왕 엘레오노르는 레몽과 그의 가신들에 의해 생 시메옹에서 환영받았다. 레몽은 프랑스 십자군을 안티오크로 호위했고, 루이에게 알레포 공격 원정을 제안했지만, 루이는 예루살렘 순례를 마치기로 했다.[5]
4월, 툴루즈의 알퐁소가 이끄는 남부 프랑스 십자군이 아크레에 해상으로 도착했다. 알퐁소는 카이사레아에서 사망했고, 레몽 2세가 독살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프로방스 군대 대부분은 고향으로 돌아갔고, 북유럽 해군 십자군(잉글랜드와 독일) 일부가 아크레에 도착했다.[6]
4월~5월, 루이 7세와 프랑스 십자군은 안티오크에 머물렀지만, 엘레오노르와 레몽 사이에 근친상간 의혹이 돌았다. 루이는 5월 말 군대를 이끌고 예루살렘을 떠났다. 콘라트 3세는 여왕 멜리센데와 발두인 3세에게 예루살렘에서 환영받았다.[7]
9월 8일 콘라트 3세는 아크레에서 테살로니키로 항해하여 로제르 2세에 대항, 마누엘 1세와 동맹을 맺었다. 방문 중 오스트리아 공작 헨리 2세는 마누엘의 조카 테오도라 콤네네와 결혼했다.[14]
4. 1. 1. 다마스쿠스 공방전 (1148년)
제2차 십자군은 다마스쿠스를 포위했으나 실패했다.[12] 6월 24일 아크레 공의회에서 독일 왕 콘라트 3세, 프랑스 왕 루이 7세, 여왕 멜리센데와 다른 많은 귀족은 에데사 대신 다마스쿠스를 제2차 십자군의 주요 목표로 결정했다.[9]7월, 발두인 3세가 이끄는 십자군은 루이 7세와 콘라트 3세의 십자군 군대와 합류했다(모두 약 5만 명). 이들은 티베리아스에서 요르단 계곡을 따라 행진하여 자르기드 영토로 넘어갔다.[10] 다마스쿠스의 셀주크 통치자는 전쟁을 준비하고 도시의 요새를 강화했으며, 자이프 앗딘에게 긴급하게 군사 지원을 요청했다. 우누르는 십자군이 건너야 할 지역의 수원지를 파괴하라고 명령했다.[8]
7월 24일, 자이프 앗딘이 이끄는 자르기드군이 홈스에 도착했다. 무인 알딘 우누르는 십자군 지도자들에게 다마스쿠스 포위를 풀라는 최후 통첩을 보냈고, 게릴라 공격은 십자군의 사기를 저하시켰다.[11]
7월 28일, 십자군은 단 4일 만에 다마스쿠스 포위에서 철수해야 했다. 먼저 콘라트 3세가, 그다음 십자군 군대의 나머지가 예루살렘으로 후퇴하기로 결정했다.[12] 9월, 프랑스 십자군은 다마스쿠스 지방을 습격하여 포위 실패에 대한 보복을 했고, 무인 알딘 우누르는 그의 군대를 하우란으로 데려가 수확과 다마스쿠스 운송을 보호했다.[13]
4. 1. 2. 카드무스 산 전투
루이 7세가 이끄는 프랑스 십자군은 1월 8일 카드무스 산 전투에서 셀주크 투르크에게 패배했다.[2] 제프리 드 랑콩이 이끄는 선봉대는 잠시 멈추라는 명령을 무시하고 너무 멀리 전진하여 주력 부대와 연락이 끊겼다. 프랑스군은 보호받지 못한 채 보급 행렬(길이 প্রায় 10km)과 함께 투르크의 공격을 받았다. 루이는 어둠을 틈타 싸움에서 탈출할 수 있었다.[2]4. 2. 유럽
1148년 유럽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건이 있었다.- 바르셀로나 백작 라몬 베렝게르 4세가 이끄는 다국적 군대가 토르토사를 포위하여 함락시켰다. (7개월 소요)[17]
- 사이프 알딘 수리 휘하의 구르드군이 가즈나 왕조의 술탄 바흐람 샤흐를 격파하고 수도 가즈니를 점령했다. 바흐람 샤흐는 인도로 도망쳤다.[19]
4. 2. 1. 토르토사 포위전 (1148)
바르셀로나 백작 라몬 베렝게르 4세가 이끄는 다국적 군대가 토르토사를 포위하여 7개월 만에 함락시켰다.[17]4. 2. 2. 가즈니 전투 (1148년)
사이프 알딘 수리 휘하의 구르드군은 가즈나 왕조의 술탄 바흐람 샤흐를 격파하고 수도 가즈니를 점령했다. 바흐람 샤흐는 인도로 도망가야 했다.[19]4. 3. 북아프리카
시칠리아 왕국이 마흐디야를 점령하면서 지르 왕조가 멸망하였다.[20]4. 3. 1. 마흐디야 점령
시칠리아 왕국의 안티오키아의 조지는 로저 2세의 이름으로 6월 22일 튀니지의 마흐디아를 점령하고, 7월 1일에는 수스, 7월 12일에는 스팍스를 점령하였다.[20] 이로써 시칠리아 왕국이 북아프리카의 마흐디야를 점령하면서 지르 왕조가 멸망하였다.5. 사회, 문화 및 기술

- 안나 콤네네가 아버지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 황제의 전기 『알렉시아스』를 저술했다.
- 빈겐의 힐데가르트가 빙엔 암 라인 인근 라인강 유역의 루페르츠베르크에 새로운 수도원을 세웠다.
- 시칠리아의 루제로 2세가 팔레르모에서 이탈리아 비단 산업을 시작했으며, 그리스에서 많은 비단 직공들을 데려왔다.
5. 1. 문학
안나 콤네네는 아버지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 황제의 전기를 담은 『알렉시아스』를 저술했다.5. 2. 종교
빈겐의 힐데가르트가 빙엔 암 라인 인근 라인강 유역의 루페르츠베르크에 새로운 수도원을 세웠다.5. 3. 기술
시칠리아의 루제로 2세가 팔레르모에서 이탈리아 비단 산업을 시작했으며, 그리스에서 많은 비단 직공들을 데려왔다.6. 탄생
- 오에노 히로모토 -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가 (+ 1225년)
- 추 창춘 (장춘진인) - 금나라, 원나라의 전진교 도사 (+ 1227년)
- 장 드 브리엔 - 예루살렘 왕국 예루살렘 국왕, 라틴 제국의 제6대 황제 (+ 1237년)
- 후지와라노 가네마사 -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 1200년)
- 후지와라노 사다요시 -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 1209년)
- 후지와라노 다카후사 -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가인 (+ 1209년)
- 러슬로 3세 - 헝가리 왕국 아르파드 왕조의 국왕 (+ 1196년)
- 류칸 -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정토종 승려 (+ 1228년)
6. 1. 왕족 및 귀족
- 벨라 3세, 헝가리 및 크로아티아의 국왕 (1196년 사망)
- 보에몬드 3세 ("어린이"), 안티오키아 공 (1201년 사망)
- 멜랑의 이자벨, 프랑스 귀족 여성 (1220년 사망)
- 안티오키아의 필리파, 안티오키아 공주 (1178년 사망)
- 포르투갈의 우라카, 레온의 왕비 (1211년 사망)
- 장 드 브리엔, 예루살렘 왕국 예루살렘 국왕, 라틴 제국의 제6대 황제 (1237년 사망)
- 러슬로 3세, 헝가리 왕국 아르파드 왕조의 국왕 (1196년 사망)
- 오에노 히로모토,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가 (1225년 사망)
- 후지와라노 가네마사,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1200년 사망)
- 후지와라노 사다요시,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1209년 사망)
- 후지와라노 다카후사,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가인 (1209년 사망)
6. 2. 종교인
6. 3. 기타
7. 사망
- 1월 27일 (음력 1월 5일) - 후지와라 아키요리, 헤이안 시대의 공경 (* 1094년)
- 7월 9일 (음력 6월 22일) - 산조 킨유키, 헤이안 시대의 공경 (* 1105년)
- 11월 22일 (음력 10월 10일) - 후지와라 미치모토, 헤이안 시대의 귀족 (* 1090년)
- 4월 - 아메데오 3세 디 사보이아, 사보이아 백작, 모리엔 백작, 아오스타 백작 (* 1095년?)
- 아추, 금나라의 황족 (* 출생년도 미상)
- 아리 소르길손, 아이슬란드의 역사가, 주교 (* 1067년)
7. 1. 종교인
- 1월 3일 – 성 사바의 안셀름, 잉글랜드 주교
- 1월 24일 – 아셀린 (또는 안셀름), 잉글랜드 주교[1]
- 4월 16일 – 로버트 드 베튠, 헤리퍼드 교구 주교[2]
- 4월 16일 – 로저 드 클린턴, 리치필드 교구 주교[3]
- 9월 30일 – 마그누스 에이나르손, 아이슬란드 주교[4]
- 11월 2일 – 성 말라키, 아일랜드 대주교이자 성인 (1094년 출생)[5]
- 아부 바크르 이븐 알-아라비, 안달루시아 학자 (1076년 출생)[6]
- 오스티아의 알베릭, 프랑스 추기경 주교 (1080년 출생)[7]
- 로잔의 헨리, 프랑스 수도사이자 설교자[8]
- 베르망두아의 시몬, 프랑스 주교 (1093년 출생)[9]
- 생-티에리의 윌리엄, 프랑스 수도원장이자 작가[10]
- 아리 토르길손, 아이슬란드 연대기 저술가 (1067년 출생)[11]
7. 2. 귀족 및 통치자
- 1월 6일
- * 길버트 드 클레어, 초대 펨브로크 백작 (1100년 출생)
- * 윌리엄 드 바렌, 제3대 서리 백작 (1119년 출생)
- 8월 21일 – 윌리엄 2세, 네베르 백국 백작 (1089년 출생)
- 9월 17일 – 코난 3세, 브르타뉴 공국 공작 (1095년 출생)
- 알폰소 조르당, 툴루즈 백국 백작 (1103년 출생)
- 아마데우스 3세, 사보이와 모리엔 백작
- 알본의 마우트, 사보이 백작 부인 (1112년 출생)
- 레지날드 3세 (또는 ''르노''), 부르고뉴 백국 백작
- 로저 3세, 아풀리아와 칼라브리아 백국 공작 (1118년 출생)
- 베르망두아의 시몬, 프랑스 주교 (1093년 출생)
- 4월 - 아메데오 3세 디 사보이아, 사보이아 백작, 모리엔 백작, 아오스타 백작 (* 1095년?)
- 아추, 금나라의 황족 (* 출생년도 미상)
7. 3. 학자 및 작가
- 아부 바크르 이븐 알-아라비, 안달루시아 학자 (1076년 출생)
- 아리 토르길손, 아이슬란드 연대기 저술가 (1067년 출생)[1]
- 생티에리의 윌리엄, 프랑스 수도원장이자 작가[2]
- 예몽덕, 중국 재상이자 시인 (1077년 출생)[3]
7. 4. 기타
- 구덴스베르크의 헤드비히 (1098년 출생)
- 오출 (출생년도 미상)
- 예몽덕 (1077년 출생)
- 후지와라 아키요리 (1094년 출생)
- 산조 킨유키 (1105년 출생)
- 후지와라 미치모토 (1090년 출생)
- 아추 (출생년도 미상)
참조
[1]
서적
The Second Crusade 1148: Disaster outside Damascus
[2]
서적
The Second Crusade 1148: Disaster outside Damascus
[3]
서적
The Second Crusade 1148: Disaster outside Damascus
[4]
서적
The Second Crusade 1148: Disaster outside Damascus
[5]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6]
서적
The Second Crusade 1148: Disaster outside Damascus
[7]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8]
서적
The Second Crusade 1148: Disaster outside Damascus
[9]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10]
서적
The Second Crusade 1148: Disaster outside Damascus
[11]
서적
The Second Crusade 1148: Disaster outside Damascus
[12]
서적
The First Hundred Year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3]
서적
The Second Crusade 1148: Disaster outside Damascus
[14]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 The Kingdom of Jerusalem
[15]
서적
The Second Crusade 1148: Disaster outside Damascus
[16]
서적
La mer et les musulmans d'Occident au Moyen Ag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7]
논문
Norman crusaders and the Catalan reconquest: Robert Burdet and the Principality of Tarragona 1129–55
[18]
서적
The Empress Matilda: Queen Consort, Queen Mother and Lady of the English
Basil Blackwell
[19]
서적
Dictionary of Battles and Sieges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
서적
The Norman kingdom of Africa and the Norman expeditions to Majorca and the Muslim Mediterranean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21]
서적
La mer et les musulmans d'Occident au Moyen Ag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