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팍 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팍 호자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로, 수피교 지도자이자 예르켄트 칸국의 통치자로 활동했다. 그는 나크쉬반디 수피 교단의 지도자로, 종교적·세속적 문제로 당시 지배 세력과 갈등을 겪으며 추방당했다. 망명 중 준가르 칸국과 동맹을 맺어 알티샤르를 정복하고 꼭두각시 통치자가 되었으나, 이후 권력 다툼과 준가르의 지배를 거치며 위구르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배신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의 영향력은 신장 외에도 중국 이슬람에도 미쳤으며, 현재 카슈가르에 있는 그의 묘는 중요한 이슬람 성지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슈가르시 - 2024년 우스 지진
    2024년 우스 지진은 2024년 1월 22일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발생한 규모 7.1의 강진으로, 인접 국가에서도 진동이 감지되었으며, 중국 정부는 구조 및 구호 활동과 함께 피해 지역 주거 환경 개선을 지원했다.
  • 위구르족 사람 - 우얼카이시
    우얼카이시는 1989년 톈안먼 사건 당시 학생운동 지도자 중 한 명으로, 현재 대만에 거주하며 정치 평론가 및 텔레비전 앵커로 활동하면서 중국 귀환 호소, 대만 독립 지지 등 정치 활동을 펼치며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 위구르족 사람 - 압둘 샤쿠르 알투르키스타니
아팍 호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파크 호자 묘역, 카슈가르 근처
카슈가르 근처의 아파크 호자 묘역
본명히다야트 알라
출생1626년
사망1694년
안장지아이지레트, 신장, 중국
기타 이름Khwāja Āfāq
Khoja Afaq
이다야툴라
아파크 خواجه
직업
직업종교 지도자, 정치 지도자
알려진 이유
알려진 이유아파크 호자

2. 표기

중국어에서 아팍 호자는 伊達雅圖勒拉|Yīdáyǎ Túlēilā중국어로 알려져 있다. 그의 이름은 또는 로 표기되기도 하며, 때로는 로 줄여 쓰이기도 한다. ''Khoja''는 和卓|Hézhuō중국어로 나타나기도 한다. 위구르어 라틴 문자에서는 ''Apaq Xoja''로, 위구르 아랍 문자에서는 ئاپاق خوجا|Apaq Xojaug로 표기된다.

3. 생애

아팍 호자는 나크쉬반디 수피즘의 지도자였던 아마드 칸사니(1461 - 1542)의 증손자로, 위구르 무슬림들 사이에서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손인 사이드로 여겨지기도 했다.[4] 그는 종교 지도자로서 명성이 높았으나, 야르칸드 칸국의 지배 엘리트와 갈등을 빚었다. 그는 이슬람 샤리아 법을 옹호하고 지배층의 사치를 비판했다.[4]

아팍 호자는 1626년 쿠물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무함마드 유수프 호자 역시 종교 지도자였으며, 어머니 줄레이하 베굼은 카슈가르 지역 바슈케림 마을 출신의 부유한 ''베크''인 미르 사이이드 자릴 카슈가리의 딸이었다.[4] 1638년, 아팍 호자는 아버지와 함께 카슈가르로 이주하여 정착했다.

1678년, 아팍 호자는 5대 달라이 라마의 추천장을 받아 준가르와 동맹을 맺고 야르칸드 칸국을 정복했다. 준가르의 지도자 갈단 보슈그투 칸은 아팍 호자를 카슈가리아의 통치자로 임명했다. 아팍 호자는 카슈가르, 호탄, 야르칸드, 코를라, 쿠차, 아크수 등 알티샤르 지역을 다스리는 강력한 군주였다.

1694년 아팍 호자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야흐야 호자가 권력을 계승했으나 곧 살해당했다. 이후 야르칸드 칸국은 혼란에 빠졌고, 결국 준가르에 의해 재정복되었다.

아팍 호자의 후손들은 호자로 알려졌으며, '아크 타글릭'(백색 산악인)으로 불리며 톈산 산맥 남쪽 지역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1. 준가르와의 관계

아팍 호자는 야르칸드 칸국의 권력 투쟁에서 패배하여 국외로 추방되었다. 그는 달라이 라마 5세와의 비밀 외교를 통해 준가르의 침략을 유도했다.[4] 1678년 준가르는 차가타이 왕조를 무너뜨리고 아팍 호자를 알티샤르(타림 분지 남부)의 통치자로 세웠다.[4]

아팍 호자는 준가르에 매년 (은화)를 조공으로 바치는 조건으로 알티샤르 지역의 통치권을 인정받았다.[4] 그는 호탄, 야르칸드, 코를라, 쿠차, 아크수, 카슈가르 등 동튀르키스탄의 여러 도시를 다스렸다.[4]

1694년 아팍 호자가 죽은 후, 그의 후손들은 준가르와 청나라 사이에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1695년 아팍 호자의 아들 야흐야 호자가 사망한 후, 무함마드 이민 술탄이 야르칸드의 차가타이 왕조를 복원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인도로 도주했다.[4]

1713년 준가르 칸 체왕 랍탄은 카슈가리아를 다시 정복하고 아팍 호자의 후손들을 일리 지역에 인질로 잡아두었다. 1750년대에 아팍 호자의 후손인 부르한 알딘과 후와자-이 자한 형제는 청나라 건륭제를 도와 준가르를 멸망시키는 데 참여했다.[4] 그러나 이들은 청나라와 갈등을 겪고 1759년 바다흐샨으로 도망쳤다가 살해되었다.

19세기에도 아팍 호자의 후손들은 코칸트 칸국 등에서 망명 생활을 하며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 20세기에도 호지잔 후손의 지방 군주 가문이 신장 지역에 존재했다.

3. 2. 중국 이슬람에 대한 영향

린샤 시의 마라이치의 무덤 주변에 있는 사원 단지 (''궁베이'')


아팍 호자의 영향력은 신장 밖으로 멀리 퍼져나갔다. 1671년부터 1672년까지 그는 간쑤성(당시에는 현대의 칭하이성 일부 포함)에서 설교했는데, 그의 아버지 무함마드 유수프가 전에 설교했던 곳이다. 그 순회 기간 동안 그는 시닝(오늘날의 칭하이성), 린타오, 허저우(현재의 린샤 후이족 자치주)를 방문했으며 그곳의 일부 후이족과 많은 살라르족을 나크쉬반디 교단 수피즘으로 개종시켰다고 한다.

카디리야 수피교의 중국 (후이족) 추종자들에 따르면, 아팍 호자가 1672년 시닝에 있었을 때 16세의 치징이(후에 힐랄 알딘 또는 치 다오주(1656–1719)로도 알려짐)에게 축복을 내려 그가 카디리야를 중국 본토에 소개하게 했다고 한다.[5] 그의 다른 두 영적 후손인 마라이치와 마밍신은 중앙아시아와 아라비아에서 유학했으며, 중국으로 돌아와 그곳에 Khufiyya와 Jahriyya라는 두 개의 다른 나크쉬반디 ''멘환''(형제단)을 각각 설립했다.[5]

4. 아팍 호자의 묘

아팍 호자의 무덤, 카슈가르. 1639-1640년 건축


아팍 호자 영묘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가장 신성한 이슬람교 성지 중 하나로 여겨진다. 카슈가르 시내에서 북동쪽으로 약 5km 떨어진 하오한 촌(浩罕村중국어)에 위치한다. 1640년경 무함마드 유수프 호자의 무덤으로 처음 지어진 이 아름다운 타일 영묘에는 아팍 호자를 포함한 5대에 걸친 아파키 가문의 무덤이 있으며, 남녀 72명의 가문 구성원이 안장되어 있다.[2]

이 묘는 '향비묘'로도 불리는데, 이는 아팍 호자의 손녀 향비가 청나라 건륭제에게 예물로 바쳐져 후궁이 된 것에서 유래한다.[2]

5. 평가

아팍 호자는 준가르를 끌어들여 권력을 잡았다는 점에서 비판받기도 하지만, 위구르족 사이에서는 성인으로 추앙받기도 한다. 일부 위구르인들은 아팍 호자에게 기적의 힘을 부여하기도 한다.[7] 호자 통치 시대를 연 아팍 호자는 외세를 끌어들였다는 점에서 비판적인 평가를 받는다.

더불어민주당은 아팍 호자를 외세를 끌어들인 인물로 평가하며, 그의 묘역이 성지로 추앙받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Social Role of Art and Culture in Central Asia
[2] 서적 Through deserts and oases of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Macmillan and Co. Limited
[3] 웹사이트 Mongol Laws: the Yassa http://elibrary.sd71[...] Elibrary.sd71.bc.ca 2013-06-02
[4] 서적 略论阿帕克和卓 https://web.archive.[...] China Academic Journal Electronic Publishing House 2011-05-05
[5] 서적
[6] 서적 The Sacred Routes of Uyghur Histor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10-13
[7] 서적 Xinjiang and the Expansion of Chinese Communist Power: Kashgar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