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진성이씨 종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동 진성이씨 종택은 경상북도 안동시에 위치한 조선시대 가옥으로, 2017년 국가민속문화재 제291호로 지정되었다. 진성이씨(송안군)의 대종가로, 14세기 이자수가 터를 잡았으며 7세 이훈에 의해 대대적으로 중수되었다. 본채, 별당, 사당, 행랑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랑채와 안채의 공간 구분, 사당의 독립적 영역 구분 등 17세기 이후 나타나는 배치 유형의 특징을 보인다. 별당 앞마당의 뚝향나무(천연기념물 제314호)는 종택의 역사를 보여주며, 가옥중수택일기 등 관련 자료를 통해 건립 과정과 가문의례를 엿볼 수 있다. 한 가문의 역사와 향촌사회의 변화상을 보여주는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국가민속문화유산 - 안동 하회마을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 류씨 집성촌으로, 15세기 조선 시대에 형성되어 씨족 마을 형태를 유지하며, 류성룡 형제가 태어난 곳으로 2010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하회탈춤 등 다양한 민속 예술과 조선 시대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 경상북도의 국가민속문화유산 - 경주 양동마을
경주 양동마을은 조선 시대 양반 문화를 잘 보존한 한국의 대표적인 씨족마을로, 손씨와 이씨 두 가문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건축 유산을 보유하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진보 이씨 - 이황
이황은 16세기 조선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발전시키고 영남학파를 형성했으며,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등의 저서를 남기고 사단칠정 논쟁을 벌였으며, 만년에 도산서당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다 문묘에 종사되었다. - 진보 이씨 - 이육사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인 이육사는 의열단 활동, 투옥, 루쉰과의 교류, 저항시 창작 등의 활동을 펼치다 순국하여 사후 시집이 출간되었고 한국 문학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안동시의 건축물 - 안동교도소
안동교도소는 1922년 대구감옥 안동분감으로 시작하여 안동형무소를 거쳐 1961년 안동교도소로 개칭되었으며, 1985년 현재 위치로 이전한 일제강점기부터 이어져 온 교정시설이다. - 안동시의 건축물 - 안동버스터미널
안동버스터미널은 경상북도 안동시 송하동에 위치한 버스 터미널로, 운흥동에서 송현동으로 이전 후 안동역이 터미널 앞으로 이전했으며 현재 고속버스와 시외버스가 운행되고, 터미널 외부에서 안동 시내버스가 기점 또는 종점으로 운행된다.
안동 진성이씨 종택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명칭 | 안동 진성이씨 종택 |
영문 명칭 | Head House of Jinseong Yi Clan in Andong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태리금산로 242-5 (주하리) |
지정 정보 | |
유형 | 국가민속문화재 |
지정 번호 | 291 |
지정일 | 2017년 6월 29일 |
면적 | 2,329.73m2 <2필지> |
수량 | 일곽(건물 6동) |
소유자 | 이세준 |
문화재청 ID | 24,00720000,37 |
기타 정보 | |
시대 | 알 수 없음 |
참고 | 알 수 없음 |
전승지 | 알 수 없음 |
전승자 | 알 수 없음 |
설명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2. 문화재 지정
1987년 12월 29일 경상북도의 민속문화재 제72호 '''안동 주하동 경류정 종택'''으로 지정되었고, 2017년 4월 27일 국가민속문화재 '''안동 진성이씨 온혜파 종택'''으로 지정 예고[1]를 거쳐 2017년 6월 29일 대한민국의 국가민속문화재 제291호 '''안동 진성이씨 종택'''으로 지정되었다.[2][3]
2. 1. 국가민속문화재 지정 사유
「안동 진성이씨 종택」은 진성이씨(송안군)의 ‘대종가’로 고려말 문신 송안군 이자수(李子脩)가 14세기 종택의 현 위치인 두루마을 터를 잡아 노년을 보냈다고 전해지며, 7세 이훈(李壎,1467~1538)에 의해 대대적으로 이건 중수되었다.[2]종택은 본채, 별당, 사당, 행랑채, 방앗간채, 내삼문으로 구성되며, 종택의 맨 앞쪽에 행랑채가 사랑 공간의 전방 조망에 장애가 되지 않게 우측으로 빗겨 배치되어 있고 그 뒤쪽에 양측 날개채를 둔 완전口자형 본채가 자리 잡고 있다. 본채의 좌측에는 별당(경류정)이, 우측에는 방앗간채가 있고, 본채 뒤편 좌측 높은 곳에 내삼문 및 사당이 위치하고 있다.[2]
성리학적 생활 규범에 따라 사랑채와 안채의 공간 영역 구분, 사당의 독립적 영역 구분 등 명확환 공간 구분은 17세기 이후 나타나는 배치 유형의 특징을 나타내며, 별당 앞마당에 있는 수령 약 600년의 뚝향나무(천연기념물 제314호)는 종택의 역사를 잘 보여준다.[2]
봉선록과 진성이씨세전유록 등의 문서에서 종택 건립과 관련된 여러 사실이 기술되어 있고, 특히 1929년 중수 과정을 기록한 “가옥중수택일기(家屋重修擇日記)”에 따르면 상량에 대한 전체 일정을 모든 가족들의 생년월일시를 참조하여 잡았다. 이 자료를 통하여 집을 건립하는 사람들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그 외에도 혼례, 상례, 제례문화를 볼 수 있는 많은 자료들이 전승되고 있다.[2]
안동 진성이씨 종택은 한 가문의 역사적인 변천, 향촌사회의 변화상을 규명해 볼 수 있는 역사문화적인 자료가 전승되는 공간으로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다.[2]
3. 구조
3. 1. 배치
3. 2. 건축적 특징
4. 관련 자료
5. 같이 보기
참조
[1]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국가민속문화재) 지정 예고(안동 진성이씨 종택, 봉화 선성김씨 빈동재사)
문화재청장
2017-04-27
[2]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 지정 (국가민속문화재 291호 안동 진성이씨 종택, 국가민속문화재 292호 봉화 선성김씨 빈동재사)
http://gwanbo.mois.g[...]
문화재청장
2017-06-29
[3]
간행물
도지정문화재 지정해제 고시
경상북도지사
2017-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