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1997년 처음 개최된 대한민국의 축제로, 매년 다른 주제로 진행된다. 안동 지역의 전통 민속 공연과 놀이를 선보이는 안동민속축제와 함께 개최되며, 놋다리밟기, 차전놀이, 덧뵈기 등의 민속 공연이 주요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한국 탈춤, 해외 민속 공연, 마당극 및 인형극, 경연 대회, 부대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전통문화 계승, 지역 경제 활성화, 국제 문화 교류, 시민 참여를 통해 사회문화적 의의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동시의 문화 - 안동찜닭
안동찜닭은 닭고기, 채소, 당면을 간장 양념에 졸여 만든 한국 요리로, 안동 구시장 닭골목에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유명해졌으며 다양한 변형 메뉴로 발전하고 있다. - 안동시의 문화 - 건진국수
밀가루와 콩가루로 만든 면을 삶아 찬물에 헹궈 먹는 건진국수는 고려 말에서 조선 시대에 등장하여 안동 지역에서 즐겨 먹던 국수 요리이지만, 현재는 전문으로 하는 곳을 찾기 힘들다. - 안동시 - 식혜
식혜는 엿기름의 아밀라아제 효소로 밥의 전분을 분해하여 단맛을 내는 한국 전통 음료이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고 소화를 돕는 효능이 있으며, 단술 또는 감주라고도 불린다. - 안동시 - 안동시립도서관
안동시립도서관은 1965년 개관하여 시민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 서비스와 자료 열람 공간을 제공하는 경상북도 안동시에 위치한 도서관이다. - 경상북도의 축제 - 포항국제불빛축제
포항국제불빛축제는 포항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대규모 불꽃놀이 축제로, 화려한 불꽃쇼와 다양한 문화 행사, 시민 참여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지역 사회 화합과 발전에 기여하지만 교통, 환경, 안전 문제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고 정확한 정보는 포항시청 또는 축제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해야 한다. - 경상북도의 축제 - 문경약돌한우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행사명 |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 |
영어명 | Andong Maskdance Festival |
기간 | 매년 9월 마지막부터 10일간 |
관람시간 | 10:00 ~ 21:00 |
장소 | 안동시 시가지, 강변 탈춤공원, 하회마을 등 |
주최 | 안동시 |
주관 | 안동 축제 관광재단 |
후원 기관 |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재청 경상북도 |
웹사이트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
![]() |
2. 축제 역사
1997년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이 시작되면서, 1971년부터 안동 지역의 민속 공연과 놀이를 선보이던 안동민속축제도 함께 개최되고 있다.
2. 1.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시작과 발전 (1997년 ~ 현재)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1997년 처음 개최된 이후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축제는 매년 다른 주제로 개최되었으며, 2009년에는 2009년 인플루엔자 범유행으로 인해 행정안전부의 행사 취소 권고로 축제가 취소되기도 했다.[2]
각 연도별 축제 주제 및 기간은 다음과 같다.
개최 연도 | 축제명 | 기간 | 주제 |
---|---|---|---|
1997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97 | 1997년 10월 1일 ~ 10월 5일 | |
1998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98 | 1998년 9월 25일 ~ 9월 29일 | 초랭이의 신명 |
1999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99 | 1999년 10월 1일 ~ 10월 10일 | 이매의 웃음 |
2000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0 | 2000년 9월 29일 ~ 10월 8일 | 새 천년 새 신명 |
2001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1 | 2001년 10월 5일 ~ 10월 14일 | 선비의 풍류 |
2002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2 | 2002년 9월 26일 ~ 10월 5일 | 부네의 미소 |
2003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3 | 2003년 9월 26일 ~ 10월 5일 | 솟구치는 힘, 살아나는 흥 |
2004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4 | 2004년 10월 1일 ~ 10월 10일 | 각시의 꿈 |
2005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5 | 2005년 9월 30일 ~ 10월 9일 | 할미의 억척 |
2006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6 | 2006년 9월 29일 ~ 10월 8일 | 양반의 멋과 흥 |
2007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7 | 2007년 9월 28일 ~ 10월 7일 | 신명나는 탈춤, 살맛나는 세상 |
2008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8 | 2008년 9월 26일 ~ 10월 5일 | 탈을 쓴 당신, 삶이 새롭다! |
2009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9 | 하나의 세계 신명의 탈춤 | |
2010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0 | 2010년 9월 24일 ~ 10월 3일 | 신명의 탈춤 천년의 꿈 |
2011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1 | 2011년 9월 30일 ~ 10월 9일 | 축제, 왕이 되는 마법 |
2012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2 | 2012년 9월 28일 ~ 10월 7일 | 귀여운 악(樂)마들의 난장 |
2013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3 | 2013년 9월 27일 ~ 10월 6일 | 꿈꾸는 세상, 영웅의 탄생 |
2014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4 | 2014년 9월 26일 ~ 10월 5일 | 두근두근 사자(Jumping! Pumping! Lion) |
2. 1. 1. 연도별 축제 주제 및 주요 내용
개최 연도 | 축제명 | 기간 | 주제 | 비고 |
---|---|---|---|---|
1997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97 | 1997년 10월 1일 ~ 10월 5일 | ||
1998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98 | 1998년 9월 25일 ~ 9월 29일 | 초랭이의 신명 | |
1999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99 | 1999년 10월 1일 ~ 10월 10일 | 이매의 웃음 | |
2000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0 | 2000년 9월 29일 ~ 10월 8일 | 새 천년 새 신명 | |
2001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1 | 2001년 10월 5일 ~ 10월 14일 | 선비의 풍류 | |
2002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2 | 2002년 9월 26일 ~ 10월 5일 | 부네의 미소 | |
2003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3 | 2003년 9월 26일 ~ 10월 5일 | 솟구치는 힘, 살아나는 흥 | |
2004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4 | 2004년 10월 1일 ~ 10월 10일 | 각시의 꿈 | |
2005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5 | 2005년 9월 30일 ~ 10월 9일 | 할미의 억척 | |
2006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6 | 2006년 9월 29일 ~ 10월 8일 | 양반의 멋과 흥 | |
2007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7 | 2007년 9월 28일 ~ 10월 7일 | 신명나는 탈춤, 살맛나는 세상 | |
2008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8 | 2008년 9월 26일 ~ 10월 5일 | 탈을 쓴 당신, 삶이 새롭다! | |
2009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9 | 2009년 9월 25일 ~ 10월 3일 | 하나의 세계 신명의 탈춤 | 2009년 인플루엔자 범유행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행사 취소 권고로 인하여 전격적으로 취소되었다.[2] |
2010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0 | 2010년 9월 24일 ~ 10월 3일 | 신명의 탈춤 천년의 꿈 | |
2011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1 | 2011년 9월 30일 ~ 10월 9일 | 축제, 왕이 되는 마법 | |
2012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2 | 2012년 9월 28일 ~ 10월 7일 | 귀여운 악(樂)마들의 난장 | |
2013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3 | 2013년 9월 27일 ~ 10월 6일 | 꿈꾸는 세상, 영웅의 탄생 | |
2014년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4 | 2014년 9월 26일 ~ 10월 5일 | 두근두근 사자(Jumping! Pumping! Lion) |
2. 1. 2. 2009년 축제 취소 사건
2009년 인플루엔자 범유행으로 인해 행정안전부가 행사 취소를 권고함에 따라, 2009년 9월 25일부터 10월 3일까지 '하나의 세계 신명의 탈춤'이라는 주제로 열릴 예정이었던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9는 전격 취소되었다.[2]2. 2. 안동민속축제 (1971년 ~ 현재)
안동민속축제는 1971년부터 안동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민속 공연과 민속 놀이를 상연하던 축제이다. 1997년부터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기간에 함께 개최된다.2. 2. 1. 주요 민속 공연 및 놀이
안동민속축제는 1971년부터 개최된 안동의 축제로 안동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민속 공연과 민속 놀이를 상연하던 축제이다. 1997년부터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기간에 함께 개최된다.주요 민속 공연 및 놀이 |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서는 공연 프로그램, 경연 대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공연 프로그램으로는 한국 탈춤, 해외 민속 공연, 마당극 및 인형극 등이 있으며, 경연 대회로는 창작 탈&퍼포먼스 경연대회, World Maskdance 경연대회, 천연염색패션쇼 등이 있다.
3. 주요 프로그램
3. 1. 공연 프로그램
다음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8에서 개최된 공연물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3. 1. 1. 한국 탈춤
국가무형문화재 | 명칭 | 비고 |
---|---|---|
국가무형문화재 제73호 | 가산오광대 | |
국가무형문화재 제34호 | 강령탈춤 | |
국가무형문화재 제13호 | 강릉관노가면극 | |
국가무형문화재 제7호 | 고성오광대 | |
김해오광대 | ||
국가무형문화재 제18호 | 동래야류 | |
동해안탈굿 | ||
국가무형문화재 제17호 | 봉산탈춤 | |
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 | 북청사자놀음 | |
국가무형문화재 제49호 | 송파산대놀이 | |
국가무형문화재 제43호 | 수영야류 | |
국가무형문화재 제2호 | 양주별산대놀이 | |
국가무형문화재 제40호 | 예천청단놀음 | |
국가무형문화재 제61호 | 은율탈춤 | |
국가무형문화재 제6호 | 진주오광대 | |
국가무형문화재 제6호 | 통영오광대 | |
퇴계원산대놀이 | ||
국가무형문화재 제69호 | 하회별신굿탈놀이 |
3. 1. 2. 해외 민속 공연
- 가마쿠라|가마쿠라일본어 공연단
- * 가마쿠라카구라|鎌倉神楽일본어
- * 멘카케행렬
- ROVESNIKI|로베스니키ru
- * Russian Song
- * The Volka River
- * Egor the Curly-Headed
- 브리야티야 ALTAN BULAG|알탄 불락bua
- * Selbireske
- * Kytalyltar kydallarygar
- * Tyuhyulge
- 싱가라자|싱가라자id 탈춤공연단 : 단막극
- 산동성|산둥성중국어 웨이팡시 예술단 : 경극
- 단사이|단사이th 주립대 예술단 : 태국 전통무용
- 마스카라|마스카라영어 탈춤 퍼레이드
3. 1. 3. 마당극 및 인형극
- 굿모닝 허도령
- 밥이 지일이여
창작 및 전래동화를 바탕으로 한 인형극이 상연된다.
3. 2. 경연 대회
- 창작 탈&퍼포먼스 경연대회
- World Maskdance 경연대회
- 천연염색패션쇼
4. 축제의 사회문화적 의의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축제의 사회문화적 의의' 섹션을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참조
[1]
뉴스
안동 국제 탈춤 페스티벌 3년 연속 대한민국 대표축제 선정
https://news.naver.c[...]
[2]
뉴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신종플루로 취소
https://news.naver.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