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태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태비는 생몰년이 알려지지 않은 인물로, 오대 십국 시대 후진의 황제 석중귀의 어머니이다. 다이베이 출신으로, 석중귀의 아버지 석경유가 일찍 사망한 후 석경당에게 입양되어 길러졌다. 석경당이 후진을 건국한 후 안태비는 귀비로 존경받았으며, 후진 멸망 후 요나라로 유배되어 건주로 이동하던 중 사망했다. 그녀는 화장되어 재가 되었으며, 유언에 따라 한나라 땅으로 돌아가지는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대 십국 시대의 황후 - 화예부인
    화예부인은 오대십국시대 후촉 황제 맹창의 황후로, 빼어난 재능과 미모, 시와 글짓기 능력으로 '화예부인'이라 불렸으며, 후촉 멸망 후 북송으로 압송되어 송 태조의 후궁이 되었으나 망국의 한을 품고 저항한 인물로, 후세에는 목부용의 화신으로 숭배받는다.
안태비
인물 정보
안태비 이씨의 초상화
안태비 이씨의 초상화
기본 정보
휘호경순헌목(敬順獻穆)
본관전주 이씨
출생1444년 음력 9월 2일
사망1505년 음력 2월 5일 (61세)
묘소순릉(順陵)
부모아버지: 이인손
배우자성종
작위 및 품계
작위안순숙의(安順淑儀) → 안태비(安泰妃)
품계종1품 비

2. 생애

2. 1. 초기 생애 및 가계

안태비의 출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녀의 가문에 대해서는 현대 신주, 산시성의 북쪽 지역을 의미하는 다이베이(代北) 출신이라는 것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녀의 남편인 스징루/石敬儒중국어는 진의 왕자 이존욱의 기병 장교였다. 안태비는 914년에 그들의 유일한 자녀인 석중귀를 낳았다. 스징루/石敬儒중국어는 일찍 사망했고, 석중귀는 그의 남동생인 석경당에게 입양되어 길러졌다.

  • 부친: 안씨(安氏, 불명)
  • 모친: 불명
  • 부군: 송왕 석경유
  • 아들: 출제 석중귀

2. 2. 후진 시대

936년, 당시 후당의 장군이었던 석경당은 후당의 마지막 황제 이종가에게 반기를 들고 후진을 건국했다. 그는 후당의 북쪽 경쟁국인 거란 제국요 태종의 도움을 받아 후당을 멸망시키고 그 영토를 차지했다.[3] 938년, 그는 석중귀를 정왕으로 책봉했다.[4]

942년, 석경당이 사망했다. 그는 죽기 전에 자신의 유일한 생존 아들 석중예(石重睿)가 왕위를 계승하기를 원했고, 석중예를 재상 풍도에게 맡겼지만, 풍도는 황실 경비대 장군 경연광과 상의한 후, 국가에는 더 나이가 많은 황제가 필요하다고 믿어 당시 제왕이었던 석중귀를 석경당의 후계자로 지지했다. 석중귀는 석경당의 아내 이황후를 황태후로 존경했고, 자신의 어머니는 즉시 존경하지 않았다. 943년에 그는 안씨 부인을 귀비로 존경했다. 석중귀는 안씨 귀비와 이황후 모두를 정성껏 모셨고, 자주 그들의 식사를 챙겼다고 한다. 그녀가 거란 황제 (이 시점에서 국호가 요로 변경됨)에 대한 복종을 거부하는 것을 포함하여, 그의 통치에 어떤 영향력을 행사했는지는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다.[5]

2. 3. 후진 멸망 이후

946년 겨울, 태종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후진 장군 두 위를 격파하고 항복을 받아낸 후, 당시 후진의 수도 개봉부로 진격했다. 석중귀는 항복했고, 후진은 멸망했다.[6] 태종은 그와 그의 가족을 황량한 요나라 영토로 유배 보낼 준비를 했다.[7] 안태비는 당시 늙고 눈이 멀었다고 전해지지만,[1] 그와 함께 유배되었고, 이태후, 그의 아내 혜성황후, 석중예, 그리고 석중귀의 양아들(석경당의 친손자) 석연서와 석연보도 함께 했다. (태종은 이태후에게 유배되지 않도록 제안했지만, 그녀는 석중귀의 운명을 함께하기로 선택했고, 안태비에게는 그러한 제안이 없었다고 한다.)[7]

949년, 요나라는 태종의 조카 요 세종이 통치하고 있었고, 석씨 가문은 요양(遼陽, 현대 랴오양, 랴오닝성)에 정착했지만, 명백히 어떤 한족과도 격리되어 있었다. 이태후는 직접 요 세종을 만나 한족 도시 근처로 재정착하고 농업을 위한 토지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기로 결정했다. 요 세종은 이에 동의했고, 그들을 건주(建州, 현대 차오양, 랴오닝성)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그들이 건주로 이동하는 동안 안태비가 사망했다. 그녀는 죽어가면서 "내 뼈를 태워 재를 남쪽으로 뿌려주세요. 내 영혼이 한나라 땅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이라고 유언했다.[8] 그러나 그녀의 유언은 완전히 지켜지지 않았다. 그녀의 시신은 불태워졌지만 (땔감이 부족하여 수레를 해체하여 연료로 사용해야 했다), 그녀의 재나 숯이 건주로 옮겨졌다. 이태후가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고 그녀의 시신도 불태워진 후, 함께 매장되었다.[1]

3. 둘러보기

{{둘러보기 상자|중첩

|groupstyle = text-align:center; width:2em; background:#E9D66B;

|묶음1 = 친부

|내용1 =


|묶음2 = 태비

|내용2 =
}}

참조

[1] 서적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https://zh.wikisourc[...]
[2] 서적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https://zh.wikisourc[...]
[3]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4]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5]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6]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7]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8]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