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인손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1417년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했다.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후 형조좌랑, 대사헌 등을 역임했으며,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킨 후 호조판서에 승진하고 세조 즉위 후 원종공신 2등에 봉해졌다. 이후 우의정을 거쳐 치사했으며, 시호는 충희이다. 묘소는 경기도 여주시에 있으며, 2012년 여주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1417년(태종 17)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했다. 1429년(세종 11) 명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1453년 계유정난에 참여하여 세조가 즉위하는데 공을 세워 원종공신 2등에 책봉되었다. 1459년(세조 5) 우의정에 오른 뒤 은퇴하였다.
이인손 묘는 경기도 여주시 세종대왕면 신지리 새미실마을의 북쪽으로 뻗어 내린 북성산의 나지막한 줄기에 있다. 원래 묘소는 왕대리(세종대왕릉)에 있었는데, 영릉이 옮겨오면서 지금의 자리로 이장하였다. 2012년 7월 11일 여주시의 향토유적 제18호로 지정되었다.
2. 생애
2. 1. 관직 생활
1417년(태종 17)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검열에 등용되고, 이어 사헌부 감찰을 지냈다. 1429년(세종 11) 천추사의 서장관으로 명에 다녀온 후 형조좌랑과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1454년(단종 2)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정권을 잡게 되자 호조판서에 승진되었고, 이듬해 세조 즉위와 함께 원종공신 2등에 봉해졌다. 이후 판중추부사와 우찬성을 거쳐 1459년(세조 5) 우의정에 오른 뒤 곧 치사(致仕)하였다. 시호는 충희(忠僖)이다.
2. 2. 세조 즉위와 공신 책봉
1454년(단종 2) 수양대군(세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정권을 잡게 되자 호조판서에 승진되었고, 이듬해 세조의 즉위와 함께 원종공신 2등에 봉해졌다. 이후 판중추부사, 우찬성을 거쳐 1459년(세조 5) 우의정에 오른 뒤 곧 치사(致仕)하였다. 시호는 충희(忠僖)이다.
2. 3. 은퇴와 사망
1459년(세조 5) 우의정에 오른 뒤 치사하였다. 시호는 충희(忠僖)이다.
3. 가계
관계 이름 출생-사망 조부 둔촌(遁村) 이집 ? 부 형조참의 이지직(李之直) ? 아들 영의정 이극배 1422~1495 아들 형조판서 이극감 1427~1465 아들 좌찬성 이극돈 1435~1503 아들 좌의정 이극균 1437~1504
4. 묘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