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콜라이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1세는 1796년에 태어나 1855년에 사망한 러시아 제국의 황제이다. 그는 파벨 1세의 아들이자 알렉산드르 1세의 뒤를 이어 1825년부터 1855년까지 통치했다. 니콜라이 1세는 군사 교육을 받았으며, "유럽에서 가장 잘생긴 남자"라는 평을 들을 정도로 수려한 외모를 가졌다. 그는 즉위 후 데카브리스트의 난을 진압하고, 비밀경찰을 설립하여 반체제 인사를 탄압하는 등 전제 정치를 강화했다. 대외적으로는 '유럽의 헌병' 역할을 자처하며 자유주의 혁명 운동을 탄압했고, 크림 전쟁에서 패배하며 러시아의 군사적, 정치적 약점을 드러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크림 전쟁 관련자 - 알렉산드르 2세
    알렉산드르 2세는 1855년부터 1881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하며 크림 전쟁 이후 대대적인 개혁을 추진, 1861년 농노 해방령으로 '해방자 차르'라는 칭호를 얻었지만 혁명가들의 반발과 암살 시도 끝에 암살당한 황제이다.
  • 파벨 1세 - 알렉산드르 1세
    알렉산드르 1세는 1801년 러시아 제국 황제로 즉위하여 초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나폴레옹 전쟁 승리와 빈 체제 형성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보수적 정책으로 전환하며 자유주의와 반동 사이에서 복잡한 통치를 보였다.
  • 파벨 1세 - 콘스탄틴 파블로비치 대공
    러시아 제국의 대공 콘스탄틴 파블로비치는 파벨 1세의 아들이자 예카테리나 2세의 총애를 받으며 성장,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했으나 폴란드 입헌왕국의 부왕으로서 강압적인 통치를 펼치고 제위 계승 포기로 니콜라이 1세 즉위에 영향을 미쳤으며, 암살 시도와 봉기 발발 후 콜레라로 사망하여 러시아와 폴란드에서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 전러시아의 황제 - 표트르 1세
    표트르 1세는 로마노프 왕조의 차르이자 러시아 제국의 초대 황제로, 서구화 정책과 부국강병책을 통해 러시아를 근대화하고 강대국으로 만들었으며, 대북방 전쟁 승리 후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건설했으나, 급진적인 개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전러시아의 황제 - 알렉산드르 1세
    알렉산드르 1세는 1801년 러시아 제국 황제로 즉위하여 초기 자유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나폴레옹 전쟁 승리와 빈 체제 형성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보수적 정책으로 전환하며 자유주의와 반동 사이에서 복잡한 통치를 보였다.
니콜라이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게오르크 폰 보트만, 1855년 작 니콜라이 1세 초상화
게오르크 폰 보트만, 1855년 작 초상화
이름니콜라이 1세 파블로비치 로마노프
러시아어 이름Никола́й Па́влович Рома́нов
로마자 표기Nikolay I Pavlovich Romanov
출생1796년 7월 6일
출생 장소가치나 궁전, 가치나, 러시아 제국
사망1855년 3월 2일
사망 장소겨울 궁전,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매장 장소상트페테르부르크 페트로파블롭스크 대성당
종교러시아 정교회
통치
칭호러시아 황제
재위 기간1825년 12월 1일 – 1855년 3월 2일
대관식1826년 9월 3일
선임자알렉산드르 1세
후임자알렉산드르 2세
칭호 (폴란드)폴란드 국왕
재위 기간 (폴란드)1825년 12월 1일 – 1855년 3월 2일
대관식 (폴란드)1829년 5월 24일
선임자 (폴란드)알렉산드르 1세
후임자 (폴란드)알렉산드르 2세
가문
왕가로마노프-홀슈타인-고토르프
아버지파벨 1세
어머니마리아 표도로브나 (뷔르템베르크의 소피 도로테아)
배우자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 (프로이센의 샬롯) (1817년 7월 13일 결혼)
자녀알렉산드르 2세
마리아 니콜라예브나
올가 니콜라예브나
알렉산드라 니콜라예브나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서명

2. 생애

니콜라이 1세는 1796년 파벨 1세와 마리아 표도로브나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형인 알렉산드르 1세보다 19살 아래였다. 체격이 건장하고 외모가 수려하여 귀족적인 위엄을 뿜어냈으며, ‘유럽에서 가장 잘생긴 사람’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다녔다. 그는 병사들의 복장이나 군대 훈련 등에 큰 관심을 가졌고, 즉위 후 군인 제복을 정비하며 단추 수까지 지정하는 세심함을 보였다.

성 이사악 광장의 니콜라이 1세 기마상


즉위 당시 러시아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의 전쟁과 내란 등으로 사회가 불안했다. 즉위식 때 데카브리스트의 난이 일어나 군주제가 무너질 수 있다는 두려움에 휩싸였고, 이후 '유럽의 헌병'으로 불릴 정도로 혁명 운동 탄압에 적극적이었다.

그는 국가의 모든 기능을 직접 통제하려 했으며, 황제 직속 사설 집행부를 통해 권력을 집중시켰다. 황제원 제3부는 거대한 비밀경찰기구로, 반정부 조직, 종교적 이단, 외국인, 농민 동향, 문서 등을 감시했다. 니콜라이 1세는 제3부 보고서를 꼼꼼히 검토하며 사소한 문제까지 직접 지시했다.

반정부 사상 유포를 막기 위해 검열 제도를 강화했고, 러시아 문학도 감시 대상이 되어 작가들이 개작을 강요받거나 유형, 구금을 당했다. 1828년 제정된 규칙에 따라 중등교육은 귀족과 관리 자녀로 제한되었고, 초등학교는 설립되지 않아 농민 자녀는 문맹 상태를 벗어나지 못했다. 대학교육도 관료 체제 요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대외 정책에서 니콜라이 1세는 ‘유럽의 헌병’으로서 유럽 혁명 운동을 진압하고 그 여파가 러시아에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1830년 프랑스에서 7월 혁명이, 폴란드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1831년 15만 대군을 바르샤바에 보내 진압하고 폴란드를 러시아의 일부로 편입시켰다. 1832년 런던 회의그리스 왕국이 성립되었고, 1833년 프로이센 왕국, 오스트리아 제국과 동맹을 맺었다.

1848년 프랑스 2월 혁명 발생 후 프랑스와 외교를 단절하고 40만 대군을 국경에 집결시켰으나, 유럽 각국의 냉담한 반응에 철수했다. 1849년 헝가리 혁명 때는 오스트리아 지원 요청에 따라 군대를 보내 혁명을 진압했다.

국내에서는 억압 강도를 더욱 높여 경찰 통치가 독단적으로 변했고, 개혁 시도나 이견 표시는 금지되었다. 대학교 입학 자격과 교과 과정도 개악되었으며, 우바로프 문교부 장관조차 자유주의적 사고를 가졌다는 이유로 해임됐다.

이러한 강경책은 군부 의존으로 이어졌고, 프로이센 왕국 공주와의 결혼으로 프로이센 군국주의 영향을 받았다. 치세 말기에는 장군들로 구성된 특사에 의존하며 행정 공백으로 인한 부패와 혼란이 커졌다.

1853년 오스만 제국의 공격으로 크림 전쟁이 발발, 러시아는 선전포고를 했으나 영국, 프랑스가 오스만 제국 편에 섰고,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는 외교적 압력을 가했다. 1854년 크림반도에 상륙한 동맹군이 세바스토폴 해군 기지를 점령하면서 러시아는 패배, 군사적·정치적 타격을 입었다.

니콜라이 1세는 1855년 3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과 즉위 과정

니콜라이 파블로비치 대공의 초상화 (1808년경)


니콜라이는 러시아 황위 계승자인 파벨 대공과 마리아 표도로브나 황후의 아홉 번째 자녀로 가치나 궁전에서 태어났다. 니콜라이에게는 여섯 명의 누이와 훗날 러시아 황제가 된 알렉산드르 1세와 콘스탄틴 대공 두 명의 형이 있었다.

니콜라이가 태어난 지 5개월 후, 그의 할머니인 예카테리나 2세가 사망하고 파벨 대공은 러시아 황제가 되었다. 1800년, 니콜라이는 네 살에 성 요한 기사단의 제복을 착용할 자격을 얻었다.[103][104] 니콜라이는 훌륭한 청년으로 성장했고, 리아사노프스키는 그에 대해 "유럽에서 가장 잘생긴 동시에 여성적인 사교를 좋아하는 매력적인 인물이었으며, 종종 남자들과 최고의 시간을 보냈다"고 말했다.[105]

프란츠 크뤼거의 ''1817년 포츠담 열병식''. 프러시아 공주 샬럿과의 결혼을 위해 베를린을 방문한 것을 기념하는 그림


1817년 7월 13일, 니콜라이는 프러시아 공주 샬럿(1798–1860)과 결혼했고, 그녀는 정교회로 개종하면서 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샬럿의 부모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와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의 루이제였다. 니콜라이와 샬럿은 모두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증손자였기 때문에 3촌간이었다.

두 명의 형을 둔 니콜라이가 황제가 될 것이라고는 처음에는 생각되지 않았다. 그러나 알렉산드르와 콘스탄틴 모두 적장자를 낳지 못했기 때문에 니콜라이가 황제가 될 가능성이 없지는 않았다. 적어도 그의 자녀들이 계승자가 될 가능성이 주목받게 되었다.

1825년, 그의 형 알렉산드르 1세의 급사와 차남 콘스탄틴의 황위 계승권 포기로 니콜라이는 "니콜라이 1세"로서 황제에 즉위했다. 니콜라이 1세는 형 알렉산드르 1세보다 20살 가량 어렸고, 알렉산드르는 할머니 예카테리나 2세의 영향을 받아 자유주의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는 예카테리나 2세가 죽은 해에 태어났기 때문에 아버지 파벨 1세의 영향을 받아 엄격한 성격을 이어받았다.

니콜라이 1세는 알렉산드르 1세 재위 시절부터 전제적인 행동으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즉위 시에 데카브리스트의 난(자유주의를 지지하는 젊은 장교들에 의한 쿠데타 미수)이 일어났다. 니콜라이 1세는 이 반란을 즉시 진압했다.

2. 2. 국내 정책

니콜라이 1세는 매우 보수적인 통치자였다. 그는 즉위식 날 발생한 데카브리스트의 난으로 인해 군주제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두려움을 느꼈다.[7] 이 사건은 그를 더욱 강경하게 만들었고, '유럽의 헌병'이라 불릴 정도로 혁명 운동을 탄압했다.[8][9]

그는 국가의 모든 기능을 자신이 직접 통제하려 했으며, 황제 직속의 사설 집행부를 통해 모든 일을 처리했다. 특히 황제원 제3부는 황제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으며 거대한 비밀경찰기구로 성장했다.[10] 제3부는 반정부 조직, 종교적 이단, 외국인, 농민, 출판물 등을 감시하며 니콜라이 1세의 통치를 뒷받침했다.[10]

니콜라이 1세는 정교, 자치, 민족성이라는 공식 이념을 내세웠다.[13] 이는 러시아 정교회 신앙, 황제의 전제정치, 그리고 러시아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것이었다.[13] 그는 이 이념에 따라 언론과 출판을 검열하고, 자유주의 사상을 가진 지식인들을 감시하고 탄압했다.[15] 푸시킨레르몬토프와 같은 작가들은 작품을 개작하거나 유형을 당하기도 했다.[15] 교육 역시 통제되었으며, 중등교육은 귀족과 관리의 자녀들에게만 허용되었고, 대학교육은 관료 양성에 초점이 맞춰졌다.

폴란드핀란드 등 속령의 자치권은 축소되었다.[109] 1830년 폴란드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니콜라이 1세는 군대를 보내 이를 진압하고 폴란드의 자치권을 박탈했다.[109] 핀란드11월 봉기 진압에 핀란드 군인들이 협력했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자치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109]

니콜라이 1세는 농노제 폐지를 고려하기도 했지만, 귀족들의 반발을 우려하여 실행에 옮기지는 못했다. 대신, 국유지 농민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114][115][116]

유대인에 대한 차별 정책도 시행되었다. 1843년에는 유대인 카할이 폐지되었다.[109] 유대인들은 강제 징집되었고, 러시아화를 강요받았다.[118] 탈무드는 열람이 금지되었고, 이디시어히브리어 서적은 검열을 받았다.[120]

2. 3. 대외 정책

니콜라이 1세는 신성 동맹의 이념에 따라 유럽의 기존 질서를 유지하는 데 힘썼다. 스스로를 '유럽의 헌병'이라 칭하며, 유럽 각국의 혁명 운동을 진압하고 그 여파가 러시아에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43]

1830년 프랑스에서 7월 혁명이 발생하고, 그 영향으로 폴란드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1831년 15만 대군을 바르샤바에 보내 무력으로 진압했다.[53] 이후 폴란드에 인정되었던 자유와 자치권을 박탈하고 러시아의 일부로 편입시켰다. 폴란드 의회는 니콜라이 1세의 헌법적 권리 축소에 반발하여 그를 폴란드 왕에서 폐위시켰으나, 니콜라이 1세는 러시아군을 파병하여 반란을 진압하고 폴란드 헌법을 사실상 폐지했다. 폴란드는 비스툴라 지역이라는 주로 강등되었으며, 폴란드 가톨릭 교회 탄압을 시작으로 폴란드 문화 탄압 정책이 시행되었다.[53] 1840년대에는 6만 4천 명의 폴란드 귀족이 평민으로 강등되었다.[54]

1832년 5월에는 영국윌리엄 4세, 프랑스루이 필리프 1세, 그리고 러시아가 런던 회의를 열어 그리스에 안정적인 정부를 수립하고자 했다. 이 회의를 통해 바이에른 왕자 오톤을 왕으로 하는 그리스 왕국이 성립되었다. 1833년에는 프로이센 왕국, 오스트리아 제국과 동맹을 맺고 유럽 수호를 다짐했다.

1848년 프랑스에서 2월 혁명이 일어나자, 니콜라이 1세는 프랑스와 외교 관계를 단절하고 40만 대군을 서부 국경에 집결시켰다. 그러나 유럽 각국의 냉담한 반응에 군대를 철수시켰다. 1849년 헝가리에서 혁명이 일어나자 오스트리아의 지원 요청에 따라 군대를 파견하여 혁명을 진압하고 합스부르크 가를 위기에서 구했다.[55][56]

니콜라이 1세는 오스만 제국페르시아에 대해 다소 공격적인 정책을 펼쳤다. 1826년부터 1828년까지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1826-1828)을 벌여 캅카스 지역에 남아 있던 페르시아의 마지막 영토를 러시아에 할양하게 했다.[62] 러시아는 정복을 통해 오늘날 조지아, 다게스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을 포함한 북캅카스남캅카스의 모든 이란 영토를 점령했다.[62] 튀르크멘차이 조약은 이란에 거주하는 러시아인에게 치외법권을 부여했으며,[63] 이란을 군사적 계산에서 제외시켰다.[64]

에리반 함락 (1827년 러시아-페르시아 전쟁 중 이반 파스케비치 지휘하의 러시아군이 에리반 요새를 점령하는 모습)


나세르 알-딘 미르자 (후일 가 됨) 이란 왕세자와 러시아 황제 니콜라스 1세가 에리반 아르메니아 오블라스트에서 1838년에 만난 것을 기념하는 거울 케이스의 내부 패널. 중앙의 장면은 황제의 무릎에 앉아 있는 7세의 왕세자와 수행원들을 보여준다. 1854년 테헤란의 모하마드 에스마일 에스파하니가 제작.


1828-1829년 전쟁에서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에 승리했지만, 유럽에서 러시아의 힘을 크게 증가시키지는 못했다. 발칸 반도에서는 러시아의 영향력이 제한적인 소규모 그리스 왕국만이 독립을 쟁취했다. 1833년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과 운키아르 스켈레시 조약을 체결했으나, 유럽 강대국들은 이 조약에 러시아가 보스포루스 해협다르다넬스 해협을 통해 군함을 통과시킬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비밀 조항이 있다고 오해했다. 이러한 오해는 1841년 런던 해협 조약으로 이어졌고, 이 조약은 해협에 대한 오스만의 통제를 확인하고 러시아를 포함한 어떤 강대국도 군함을 통과하는 것을 금지했다.

1853년 10월, 오스만 제국다뉴브강 유역에 주둔 중이던 러시아 군대를 공격하면서 크림 전쟁이 발발했다.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했고, 1854년 영국과 프랑스가 오스만 제국과 동맹을 맺었다. 프로이센오스트리아는 외교적 압력을 가해왔다. 주변국들은 자유주의민족주의 운동을 방해하는 러시아를 부담스러워했고, 러시아는 유럽과 맞서 싸우는 상황이 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동맹국들은 바다를 장악하고 러시아 해안에서 소규모 공격을 감행했으며, 1854년 9월 크림반도에 상륙했다. 동맹국들은 70,000명의 전사자를 내는 큰 희생을 치르면서 크림반도의 세바스토폴 해군기지를 점령했다. 그 결과 러시아는 패배했고, 군사적, 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65]

1827년 10월 나바리노 해전은 오스만 제국 시대 그리스의 종식을 의미하는 사건이었다.

3. 크림 전쟁과 죽음

1853년 10월, 오스만 제국다뉴브강 유역에 주둔 중이던 러시아 군대를 공격함으로써 크림 전쟁이 발발하였다.[71]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에 선전포고를 하였고, 영국과 프랑스가 오스만 제국과 손을 잡았다.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는 외교적 압력을 가해 왔다. 주변국의 입장에서는 자유주의민족주의 운동을 사사건건 방해하는 러시아가 부담스러웠기 때문에, 러시아는 졸지에 유럽과 맞서 싸우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오스만 제국의 동맹국들은 바다를 장악하고 러시아 해안에서 소규모 공격을 감행하였고, 1854년 9월 크림반도에 상륙했다. 동맹국들은 70,000명의 전사자를 내는 큰 희생을 치르면서 크림반도의 세바스토폴 해군기지를 점령하였다. 그 결과 러시아는 패배하였고 군사적·정치적으로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71]

임종을 맞이하는 니콜라이 1세(1855년)


니콜라이 1세는 크림 전쟁 중이던 1855년 3월 2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겨울궁전에서 58세의 나이로 승하하였다. 감기에 걸렸지만 치료를 거부했고, 결국 폐렴으로 사망했다.[71] 일설에는 치료를 거부함으로써 자살을 시도했다는 소문도 있었다.[151] 그는 성 베드로와 바울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30년간 재위했으며, 아들 알렉산드르 2세가 그의 뒤를 이었다.

4. 평가와 유산

니콜라이 1세는 강력한 전제정치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안정을 추구했지만, 시대착오적인 정책으로 제국의 발전을 저해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러시아는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정체되었으며, 이는 크림 전쟁의 패배로 이어졌다.[75] 그러나 그의 시대는 러시아 문학의 황금기로, 푸시킨, 고골, 투르게네프 등 위대한 작가들이 활동했다.[26] 니콜라이 1세의 보수적이고 억압적인 통치는 이후 러시아 혁명의 씨앗을 뿌렸다는 평가도 있다.

그의 통치에 대한 주요 비판은 다음과 같다:


  • 가혹한 통치: 레프 톨스토이는 니콜라이 황제의 군 기강에 대한 열정을 언급하며 '니콜라이 팔킨(Николай Палкин, 막대기 니콜라이)'이라는 별명을 붙였다.[74]
  • 재정 문제: 러시아 재정의 참담한 상태, 열악하게 장비된 군대, 부족한 교통 시스템, 그리고 뇌물, 부패, 비효율성으로 특징지어지는 관료주의 등 많은 실패를 지적했다.[75]
  • 지나친 검열: 검열은 어디에나 존재했으며, 역사가 휴 세턴-왓슨(Hugh Seton-Watson)은 "지배의 끝까지 지적인 분위기는 억압적인 상태로 남아 있었다"라고 적었다.[76]


그러나 니콜라이 1세의 전기 작가인 니콜라스 V. 리아사노프스키는 그가 강한 의무감, 결단력, 끈기, 강철 같은 의지를 가진 인물이었다고 평가한다. 그는 군대 생활에 익숙했고 스스로를 군인으로 여겼으며, 외모는 잘생겼지만 성격은 매우 예민하고 공격적이었다.[152] 그는 공적인 인물로서 차르 제도를 의인화한 듯한 인물이었으며, 지극히 위엄 있고, 단호하며 강력하고, 돌처럼 단단하고, 냉혹하며 무자비한 인간의 모습이었다.[152]

1845년에는 노령의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와 회담을 가졌는데, 이는 러시아 원수로서는 역사상 최초의 일이었다.

5. 가족 관계

Алекса́ндра Фёдоровна|알렉산드라 표도로브나ru 황후(프로이센의 샤를로테)와의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자녀를 두었다.[101]

이름출생사망비고
알렉산드르 2세1818년 4월 29일1881년 3월 13일1841년 헤세의 마리 공주와 결혼, 자녀 있음
마리아 니콜라예브나 여대공1819년 8월 18일1876년 2월 21일1839년 막시밀리안 드 보아르네, 3대 뢰히텐베르크 공과 결혼, 자녀 있음
올가 니콜라예브나 여대공1822년 9월 11일1892년 10월 30일1846년 뷔르템베르크의 카를 왕과 결혼, 자녀 없음
알렉산드라 니콜라예브나 여대공1825년 6월 24일1844년 8월 10일1844년 헤세-카셀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왕자와 결혼, 유아기에 사망한 자녀 있음
콘스탄틴 니콜라예비치 대공1827년 9월 21일1892년 1월 25일1848년 작센-알텐부르크의 알렉산드라 공주와 결혼, 자녀 있음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1831년 8월 8일1891년 4월 25일1856년 올덴부르크의 알렉산드라 페트로브나 여대공과 결혼, 자녀 있음
미하일 니콜라예비치 대공1832년 10월 25일1909년 12월 18일1857년 바덴의 체칠리에 공주와 결혼, 자녀 있음


참조

[1] 서적 The Romanovs Harper & Ross
[2] 서적 Nicholas I and Official Nationality in Russia, 1825–1855
[3] 서적 Strategy and Power in Russia 1600–1914
[4] 논문 The grand master of the order of Malta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1855-04-21
[5] 웹사이트 An Official Statement from the Chancellery of the Head of the Russian Imperial House, H.I.H. the Grand Duchess Maria of Russia, on the activities of organizations which falsely refer to themselves as the "Order of Malta" http://www.imperialh[...]
[6] 서적 Nicholas I and Official Nationality in Russia, 1825–1855
[7] 서적 The Romanovs The Dial Press
[8] 서적 The Shadow of the Winter Palace Viking Press
[9] 서적 The Romanovs
[10] 서적
[11] 서적 Lifgardets 3 Finska Skarpskyttebataljon 1812–1905 ett minnesblad Söderström & Co
[12] 서적 Railwaymen and Revolution: Russia
[13] 서적 A History of Russia
[14] 서적 The Romanovs
[15] 서적 The Romanovs
[16] 간행물 The true story of the nuns of Minsk
[17] 서적 Russia under the Old Regime
[18] 서적 Rural Russia under the Old Régime: A History of the Landlord-Peasant World
[19] 서적 Russia: People and Empire
[20] 논문 The Last King of Poland: Nicholas I's Warsaw Coronation and Russian-Polish Historical Memory https://muse.jhu.edu[...] 2021-03-01
[21] 서적 The Russian Empire: 1801–1917
[22] 논문 Reaction Reconsidered: Education and the State in Russia, 1825–1848
[23] 서적 Masculinity, Autocracy and the Russian University, 1804–1863
[24] 논문 Masculinity, the Body, and Coming of Age in the Nineteenth-Century Russian Cadet Corps http://muse.jhu.edu/[...]
[25] 논문 Nicholas I and the Academy of Fine Arts
[26] 서적 Natasha's Dance: A Cultural History of Russia
[27] 서적 Humboldt: The Life and Times of Alexander von Humboldt
[28] 서적 History of the Jews in 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History of Jews in 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History of Jews in 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History of Jews in 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32] 논문 The Army of Nicholas I: Its Role and Character
[33] 서적 Strategy and Power in Russia 1600–1914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98-10-01
[34] 서적 St. Petersburg and Moscow: Tsarist and Soviet Foreign Policy, 1814–1974
[35] 서적 Strategy and Power in Russia 1600–1914
[36] 논문 The Ministers of Nicholas I: A Brief Inquiry into Their Backgrounds and Service Careers 1975-07
[37] 논문 The Ministers of Nicholas I: A Brief Inquiry into Their Backgrounds and Service Careers 1975-07
[38] 논문 The Ministers of Nicholas I: A Brief Inquiry into Their Backgrounds and Service Careers 1975-07
[39] 논문 The Ministers of Nicholas I: A Brief Inquiry into Their Backgrounds and Service Careers 1975-07
[40] 논문 The Ministers of Nicholas I: A Brief Inquiry into Their Backgrounds and Service Careers 1975-07
[41] 논문 The Ministers of Nicholas I: A Brief Inquiry into Their Backgrounds and Service Careers 1975-07
[42] 서적 Why Nations Fail
[43] 서적 1997
[44] 논문 Defensive Realism and the Concert of Europe 2006-07
[45] 논문 Defensive Realism and the Concert of Europe 2006-07
[46] 논문 Defensive Realism and the Concert of Europe 2006-07
[47] 서적 Nicholas I and Official Nationality in Russia, 1825–18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9
[48] 서적 Nicholas I and Official Nationality in Russia, 1825–18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9
[49] 서적 Nicholas I and Official Nationality in Russia, 1825–18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9
[50] 서적 Nicholas I and Official Nationality in Russia, 1825–18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9
[51] 서적 Nicholas I and Official Nationality in Russia, 1825–18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9
[52] 서적 Nicholas I and Official Nationality in Russia, 1825–18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9
[53] 문서 An introduction to Russian history
[54] 서적 Companion to Russian Studies: Volume 1: An Introduction to Rus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0-07-07
[55] 논문 Russia and the European Revolutions of 1848 1973-01
[56] 서적 Nicholas I and the Russian Intervention in Hungary 1991
[57] 논문 Restraint or Self-Restraint of Russia: Nicholas I, the Treaty of Unkiar Skelessi, and the Vienna System, 1832–1841 2002-03
[58] 논문 Restraint or Self-Restraint of Russia: Nicholas I, the Treaty of Unkiar Skelessi, and the Vienna System, 1832–1841 2002-03
[59] 논문 Restraint or Self-Restraint of Russia: Nicholas I, the Treaty of Unkiar Skelessi, and the Vienna System, 1832–1841 2002-03
[60] 논문 Restraint or Self-Restraint of Russia: Nicholas I, the Treaty of Unkiar Skelessi, and the Vienna System, 1832–1841 2002-03
[61] 논문 Restraint or Self-Restraint of Russia: Nicholas I, the Treaty of Unkiar Skelessi, and the Vienna System, 1832–1841 2002-03
[62] 서적 Russia at War: From the Mongol Conquest to Afghanistan, Chechnya, and Beyond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12-02
[63] 서적 Encyclopædia Iranica, Volume 13 https://books.google[...] Routledge & Kegan Paul 2004
[64] 서적 Ottoman Wars, 1700–1870: An Empire Besieged Routledge 2014
[65] 서적 The Shadow of the Winter Palace
[66] 서적 The Shadow of the Winter Palace
[67] 서적 Alexander II: The Last Great Tsar
[68] 서적 The Crimean War: A History https://books.google[...] Henry Holt and Company 2011
[69] 뉴스 The Long History of Russian Whataboutism https://slate.com/ne[...] Slate 2014-03-21
[70] 서적 The Romanovs
[71] 서적 Russia: from Tsars to Commissars Oxford University Press
[72] 서적 Rulers of Russia Golden Lion Press
[73] 서적 The Shadow of the Winter Palace: the Drift To Revolution 1825–1917 https://archive.org/[...] Penguin
[74] 웹사이트 Николай Палкин https://ru.wikisourc[...]
[75] 서적 St. Petersburg and Moscow: Tsarist and Soviet Foreign Policy, 1814–1974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76] 서적 The Russian Empire: 1801–1917 https://archive.org/[...]
[77] 서적 The Marquis de Custine and his Russia in 1839 Princeton University Press
[78] 학술지 The 'Ruler Legend': Tsar Nicholas I and the Route of the St. Petersburg-Moscow Railway, 1842–1843
[79] 서적 Almanach de la cour: pour l'année ... 1817 https://books.google[...] l'Académie Imp. des Sciences
[80] 서적 Der Elephanten-Orden und seine Ritter: eine historische Abhandlung über die ersten Spuren dieses Ordens und dessen fernere Entwicklung bis zu seiner gegenwärtigen Gestalt, und nächstdem ein Material zur Personalhistorie, nach den Quellen des Königlichen Geheimen-Staatsarchivs und des Königlichen Ordenskapitelsarchivs zu Kopenhagen https://archive.org/[...] Gedruckt in der Berlingschen Officin
[81] 서적 Liste der Ritter des Königlich Preußischen Hohen Ordens vom Schwarzen Adler https://www.digitale[...]
[82] 서적 Kungliga Serafimerorden: 1748–1998
[83] 서적 Guía de forasteros en Madrid para el año de 1835 http://hemerotecadig[...] En la Imprenta Nacional
[84]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1852 https://books.google[...] Landesamt
[85] 학술지 Liste chronologique des chevaliers de l'ordre du Saint-Esprit depuis son origine jusqu'à son extinction (1578–1830) https://gallica.bnf.[...] 1863-00-00
[86] 서적 Notizia storica del nobilissimo ordine supremo della santissima Annunziata. Sunto degli statuti, catalogo dei cavalieri https://books.google[...] Eredi Botta
[87] 웹사이트 Militaire Willems-Orde: Romanov, Nicolaas I Pavlovitsj https://www.defensie[...] 1826-05-11
[88]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s://web.archive.[...] 2010-12-22
[89] 서적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https://web.archive.[...] 2020-06-07
[90] 서적 Königlich-Württembergisches Hof- und Staats-Handbuch: 1854 https://books.google[...] Guttenberg
[91]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92]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https://digital.blb-[...]
[93]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Hessen: für das Jahr ... 1854 https://books.google[...] 2020-03-12
[94]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54 https://books.google[...] Heinrich
[95] 서적 Staats- und Adreß-Handbuch für die Herzogthümer Anhalt-Dessau und Anhalt-Köthen: 1851 https://books.google[...] Katz
[96]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Oldenburg: für ... 1854 https://books.google[...] Schulze
[97]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für das Königreich Hannover https://books.google[...] Berenberg
[98] 서적 Kurfürstlich Hessisches Hof- und Staatshandbuch: 1853 https://books.google[...] Waisenhaus
[99] 서적 Adreß-Handbuch des Herzogthums Sachsen-Coburg und Gotha https://zs.thulb.uni[...] Meusel 2020-03-12
[100] 학술지 Troca de Decorações entre os Reis de Portugal e os Imperadores da Rússia https://www.academia[...] 2020-03-19
[101] 서적
[102] 서적 Atlas of Southeast Europe: Geopolitics and History. Volume Two: 1699-1815 https://books.google[...]
[103] 학술지 The grand master of the order of Malta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1855-04-21
[104] 웹사이트 An Official Statement from the Chancellery of the Head of the Russian Imperial House, H.I.H. the Grand Duchess Maria of Russia, on the activities of organizations which falsely refer to themselves as the "Order of Malta" https://web.archive.[...] 2020-10-15
[105] 서적 Nicholas I and Official Nationality in Russia, 1825–1855
[106] 서적 The Shadow of the Winter Palace Viking Press
[107] 서적 The Romanovs
[108] 서적 ロシア史 山川出版社 2002-08-20
[109] 서적 Lifgardets 3 Finska Skarpskyttebataljon 1812–1905 ett minnesblad Söderström & Co
[110] 서적 Railwaymen and Revolution: Russia
[111] 서적 A History of Russia
[112] 서적 The Romanovs
[113] 간행물 The true story of the nuns of Minsk
[114] 서적 Russia under the Old Regime
[115] 서적 Rural Russia under the Old Régime: A History of the Landlord-Peasant World
[116] 서적 Russia: People and Empire
[117] 서적 History of the Jews in 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18] 서적 History of Jews in 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19] 서적 History of Jews in 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20] 서적 History of Jews in 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21] 학술지 The Army of Nicholas I: Its Role and Character
[122] 서적 Strategy and Power in Russia 1600–1914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98-10-01
[123] 서적 St. Petersburg and Moscow: Tsarist and Soviet Foreign Policy, 1814–1974
[124] 서적 Strategy and Power in Russia 1600–1914
[125] 학술지 The Ministers of Nicholas I: A Brief Inquiry into Their Backgrounds and Service Careers 1975-07
[126] 학술지 The Ministers of Nicholas I: A Brief Inquiry into Their Backgrounds and Service Careers 1975-07
[127] 학술지 The Ministers of Nicholas I: A Brief Inquiry into Their Backgrounds and Service Careers 1975-07
[128] 학술지 The Ministers of Nicholas I: A Brief Inquiry into Their Backgrounds and Service Careers 1975-07
[129] 학술지 The Ministers of Nicholas I: A Brief Inquiry into Their Backgrounds and Service Careers 1975-07
[130] 학술지 The Ministers of Nicholas I: A Brief Inquiry into Their Backgrounds and Service Careers 1975-07
[131] 학술지 Defensive Realism and the Concert of Europe 2006-07
[132] 학술지 Defensive Realism and the Concert of Europe 2006-07
[133] 서적 Nicholas I and Official Nationality in Russia, 1825–18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4] 서적 Nicholas I and Official Nationality in Russia, 1825–18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5] 서적 Nicholas I and Official Nationality in Russia, 1825–185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6] 서적 ロシア史2 山川出版社 1994
[137] 학술지 Restraint or Self-Restraint of Russia: Nicholas I, the Treaty of Unkiar Skelessi, and the Vienna System, 1832–1841 2002-03
[138] 학술지 Restraint or Self-Restraint of Russia: Nicholas I, the Treaty of Unkiar Skelessi, and the Vienna System, 1832–1841 2002-03
[139] 학술지 Restraint or Self-Restraint of Russia: Nicholas I, the Treaty of Unkiar Skelessi, and the Vienna System, 1832–1841 2002-03
[140] 웹사이트 トルコマンチャーイ条約 https://kotobank.jp/[...]
[141] 서적 Russia at War: From the Mongol Conquest to Afghanistan, Chechnya, and Beyond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12-02
[142] 서적 Encyclopædia Iranica, Volume 13 https://books.google[...] Routledge & Kegan Paul 2004
[143] 서적 Ottoman Wars, 1700–1870: An Empire Besieged Routledge 2014
[144] 서적 名画で読み解く ロマノフ家12の物語 光文社 2014
[145] 서적 The Shadow of the Winter Palace
[146] 서적 The Shadow of the Winter Palace
[147] 서적 Alexander II: The Last Great Tsar
[148] 서적 The Shadow of the Winter Palace
[149] 서적 The Shadow of the Winter Palace
[150] 서적 The Romanovs
[151] 서적 Rulers of Russia Golden Lion Press 2012
[152] 서적 Nicholas I and Official Nationality in Russia, 1825–1855 195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