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칸트 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칸트 칸국은 1709년 우즈베크 민족의 밍 부족 출신 샤흐룩이 부하라 칸국으로부터 독립하여 페르가나 계곡 동부에 건국한 국가이다. 18세기 말 청나라의 보호령이 되기도 했으며, 19세기 초 우마르 칸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하여 투르키스탄을 정복하고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그러나 1842년 부하라 아미르국의 침략, 칸위 계승 분쟁, 러시아의 남하 정책 등으로 인해 쇠퇴하였고, 1876년 러시아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 부하라 토후국
    1785년 망기트 가문이 통치하며 건국된 부하라 토후국은 '아미르 알무미닌' 칭호를 사용했으나, 1868년 러시아 제국에 패배하여 보호령이 되었고, 1920년 볼셰비키 혁명으로 멸망했다.
  • 중앙아시아의 옛 나라 - 몽골 제국
    몽골 제국은 1206년 칭기즈 칸에 의해 건국되어 유라시아 대륙을 정복하고 동서 교류를 촉진했으나, 몽케 칸 사후 분열되어 쇠퇴하여 멸망한 역사상 가장 큰 영토를 차지했던 제국이다.
  • 중앙아시아의 옛 나라 - 아프가니스탄 왕국
    아프가니스탄 왕국은 1926년 아프가니스탄 토후국을 개편하여 성립되었으며, 아마눌라 칸의 개혁 시도와 무함마드 자히르 샤의 통치 기간을 거쳐 1973년 쿠데타로 멸망했다.
  • 아시아 - 브루나이
    브루나이는 보르네오 섬에 위치한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슬람 술탄국으로 독립하여 석유와 천연가스 생산을 기반으로 높은 국민 소득을 유지하며, 국왕이 강력한 권한을 행사하는 입헌 군주국이다.
  • 아시아 - 중앙아시아
    중앙아시아는 유라시아 대륙 중심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하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 실크로드의 중심지로서의 역사, 그리고 지정학적 경쟁이 치열한 지역이다.
코칸트 칸국
지도
코칸트 칸국 지도
1830년 코칸트 칸국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코칸트 칸국
로마자 표기Khānnishīn-i-Khoqand
차가타이 표기خوقند خانليغى
차가타이 로마자 표기Khoqand Khaanlighi
통용 명칭코칸트
국가 형태칸국
정부 형태군주제
수도코칸트
건국1709년
멸망1876년
주요 언어페르시아어 (공식, 궁정)
차가타이어
종교수니파 이슬람교
현재 국가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
정치
군주 칭호
초대 칸샤흐루흐 칸
초대 칸 재위 기간1709년–1722년
마지막 칸나스루딘 칸
마지막 칸 재위 기간1876년
역사
이전 국가부하라 칸국
이전 국가키르기스 카간국
계승 국가페르가나 주
기타
공용어페르시아어, 우즈베크어, 타지크어

2. 역사

1709년 우즈벡 민족의 밍 부족 출신 샤이바니드 에미르 샤흐룩이 부하라 칸국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하면서 페르가나 계곡 동부에 코칸트 칸국이 건국되었다. 이후 1876년 러시아 제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약 170여 년간 존속하며 중앙아시아의 주요 국가 중 하나로 성장했다.

18세기 말, 나르부타 베이 시대에 코칸트 칸국은 페르가나 지역 통일에 성공했다. 19세기 초, 우마르 칸과 마달리 칸의 통치 기간 동안 코칸트 칸국은 최대 영토 규모에 달하며 전성기를 맞이했다.[5] 이 시기 코칸트 칸국은 청나라러시아 제국과 통상 관계를 맺으며 경제적으로도 번영했다.

그러나 19세기 중반, 부하라 아미르국의 침략과 내분, 그리고 러시아 제국의 남진 정책으로 인해 코칸트 칸국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1842년에는 부하라의 공격으로 마달리 칸이 살해되고, 칸국은 부하라의 지배하에 놓이기도 했다.[6] 이후 칸위 계승을 둘러싼 분쟁이 격화되면서 국내 정치는 더욱 혼란스러워졌다.

1860년대부터 러시아 제국은 본격적으로 코칸트 칸국을 침략하기 시작했다. 1865년에는 타슈켄트가 함락되었고,[7] 1868년에는 코칸트 칸국이 러시아의 보호국으로 전락했다. 1875년에는 반러시아 봉기가 발생했으나, 러시아는 이를 진압하고 1876년 코칸트 칸국을 완전히 멸망시켰다.[9] 코칸트 칸국의 영토는 러시아 투르키스탄의 페르가나 주에 편입되었다.

2. 1. 건국과 초기 발전

Oʻzbeklaruz 민족의 밍 부족 출신인 샤이바니드 에미르 샤흐룩이 1709년 부하라 칸국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하면서 페르가나 계곡 동부에 코칸트 칸국을 건국했다. 그는 코칸트라는 작은 마을에 성채를 쌓고 수도로 삼았다. 그의 아들 압둘 카림 베이와 손자 나르부타 베이는 성채를 확장하였으나, 1774년부터 1798년까지 청나라의 보호령이 되어 조공을 바쳐야 했다.[3]

나르부타 베이의 아들 알림은 잔혹하지만 효율적인 통치자였다. 그는 팜미르 고원 지대의 갈차 용병들을 고용하여 페르가나 계곡 서부, 후잔트타슈켄트를 포함한 지역을 정복하였다. 그는 1811년 그의 형제 우마르에게 암살당했다.

16세기 이후 페르가나 지역에는 중앙아시아로 진출한 우즈베크계 여러 부족들이 유입되었고, 우즈베크계 부하라 칸국이 지배자로 군림하고 있었다. 그러나 17세기 말 무렵에는 부하라 칸국이 마웨라안나흐르의 일부만을 지배할 수 있을 정도로 약화되었고, 페르가나 지역에서는 이슬람 신비주의 교단인 나크시반디야 교단 출신의 호자(지도자)들이 도시의 자치를 담당하게 되었다. 하지만 18세기 전반에는 페르가나 지역에 토착한 우즈베크 부족 중 하나인 밍그 부족의 비(부족장)[13]가 세력을 키워 호자의 권력을 타도하고 페르가나 지역에 독립 정권을 수립하였다. 그들은 1740년에 수도를 코칸트로 정했는데, 코칸트 칸국의 건국은 이 무렵으로 여겨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칸국의 세력은 초기에는 매우 약했고, 톈산 산맥 북쪽 기슭에 근거지를 둔 오이라트준가르 칸국의 침략을 여러 번 받아 크게 위협받았다. 더욱이 18세기 중반에 청나라가 준가르를 정벌하여 준가르가 지배하던 동투르키스탄을 병합하자, 코칸트 영토에 인접한 타림 분지 동쪽 가장자리의 카슈가르 지역에서 강대한 청나라의 세력과 직접 접촉하게 되었고, 청나라의 지배를 피해 오이라트 귀족들과 타림 분지 각지를 지배해 온 호자들이 페르가나로 유입되어 청나라와의 잠재적인 적대 관계에 들어가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코칸트의 군주 에르데니는 청나라의 위협에 대해 남쪽의 두라니 왕조(아프가니스탄)에 지원을 요청했으나 이루어지지 않자, 청나라에 조공 사절을 보내 우호를 다졌다. 청나라와의 조공 관계 수립은 그 대가로 청나라 지배하의 신장(동투르키스탄)과의 통상권을 코칸트에 주었고, 그것은 코칸트의 경제적 번영을 가져오게 되었다.

또한 코칸트에 대한 직접적인 군사적 압력이 줄어든 것은 코칸트 정권의 지배 확대를 가능하게 했다. 코칸트의 군주들은 과거 준가르에서도 군의 주력으로 활약했던 키르기스인 용병과 포병을 받아들여 군사력을 증강했고, 18세기 말 나르부타 비 시대까지 페르가나 지역의 통일을 성공적으로 이루었다.

2. 2. 전성기

1810년 우마르가 즉위하면서 코칸트 칸국은 최전성기를 맞았다.[14] 카자흐 거주 지역의 주요 도시 투르키스탄을 정복하여 주변 카자흐족과 키르기스족에게 종주권을 인정받았고, 세력권은 북쪽으로는 발하시 호, 서쪽으로는 시르다리야 강 유역까지 이르렀다.

청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고, 러시아와도 통상 관계를 맺어 동서 교역의 통상로를 확대하면서 칸국에 큰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었다. 특히 청나라와 긴밀한 관계를 맺어 코칸트 상인들은 신장에서 동서 교역에 독점적인 지위를 얻었다. 코칸트는 중앙아시아 최대 교역국이 되어 금은 장신구, 무기, 생활용품을 중앙아시아 유목민들에게 공급하고, , 비단, 도자기 등 중국 제품을 부하라 등 서쪽으로 중계했다. 칸국의 경제 성장과 함께 중심 지역인 페르가나 지역은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변방의 지위를 벗어나 군사, 종교, 상업 시설과 수로 등 사회 기반 시설 정비가 진행되어 번영을 누렸다.

무함마드 알리 칸(마달리 칸)은 1822년 12세 나이로 즉위하였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코칸트 칸국은 최대 영토 규모에 달했다.[5] 코칸트 칸국은 자항기르 호자와 같은 카슈가르의 호자들을 거주시키기도 했다.

2. 3. 청과의 관계

1709년 우즈벡 민족의 밍 부족 출신 샤이바니드 에미르 샤흐룩이 부하라 칸국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하면서 페르가나 계곡 동부에 코칸트 칸국이 건국되었다. 그는 코칸트라는 작은 마을에 성채를 쌓고 수도로 삼았다. 그의 아들 압둘 카림 베이와 손자 나르부타 베이는 성채를 확장하였으나, 1774년부터 1798년까지 청나라보호령이 되어 조공을 바쳐야 했다.[3]

나르부타 베이의 아들 알림은 팜미르 고원 지대의 갈차 용병들을 고용하여 페르가나 계곡 서부, 후잔트타슈켄트를 포함한 지역을 정복하였다.

18세기 중반, 청나라가 준가르를 정벌하여 동투르키스탄을 병합하자, 코칸트 영토에 인접한 카슈가르 지역에서 강대한 청나라의 세력과 직접 접촉하게 되었고, 청나라의 지배를 피해 온 오이라트 귀족들과 호자들이 페르가나로 유입되어 청나라와의 잠재적인 적대 관계에 들어가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코칸트의 군주 에르데니는 청나라의 위협에 대해 남쪽의 두라니 왕조 (아프가니스탄)에 지원을 요청했으나 이루어지지 않자, 청나라에 조공 사절을 보내 우호를 다졌다. 청나라와의 조공 관계 수립은 그 대가로 청나라 지배하의 신장(동투르키스탄)과의 통상권을 코칸트에 주었고, 이는 코칸트의 경제적 번영을 가져왔다.

코칸트는 청나라와의 조공 관계 외에도 러시아와도 통상 관계를 맺어 동서 교역의 통상로를 확대하여 큰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 특히 청나라와는 긴밀한 관계를 맺어 코칸트 상인들은 신장에서 동서 교역에 독점적인 지위를 얻었다. 코칸트는 중앙아시아 최대의 교역국이 되어 금은 장신구, 무기, 생활용품을 중앙아시아 유목민들에게 공급하고, , 비단, 도자기 등의 중국 제품을 부하라 등 서쪽으로 중계했다.

19세기 초, 신강 지역을 유지하기 위해 막대한 부담을 떠안고 있던 청나라는 코칸트의 진출과 강대화를 경계하여 신강 지역에서의 코칸트 상인 활동을 규제하려 했다. 전성기를 맞이한 코칸트 칸국은 청의 코칸트 상인 탄압에 대한 반발로 청이 지배하는 카슈가르에 대한 야심을 다시 드러내고, 청의 정복 이전에 카슈가르를 지배했던 호자 일족의 후예를 이용하여 이 지역에 개입하려 했다.

1826년, 우마르 칸의 아들 무함마드 알리는 카슈가르 호자 가문의 불하르누딘의 손자 지항기르 호자를 지원하여 카슈가르와 야르칸드에 직접 출병했다. 지항기르의 침입은 청나라에게 수십 년 만의 신강 지역 대규모 반란으로 발전했고, 청나라는 코칸트와 단교하고 간신히 이를 진압했다. 그러나 이 반란은 청나라에 큰 충격을 주었고, 코칸트와의 관계를 타협할 수밖에 없게 만들었다. 1830년, 청나라는 코칸트 칸국과 강화를 맺고, 코칸트 칸국이 악사칼이라 불리는 일종의 영사를 신강 각지의 오아시스 도시에 파견하는 특권을 인정했다. 악사칼은 신강 지역의 코칸트 상인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신강에 거주하는 코칸트 상인에게서 조세까지 거두어 신강 지역의 동서 교역 이윤을 코칸트 칸국이 독점할 수 있도록 했다.

지항기르의 침입 실패 후에도 코칸트 칸국의 카슈가르에 대한 잠재적인 야심은 사라지지 않았고, 여러 차례 호자 일족의 복권 운동을 지원하여 신강 지역에 대한 개입을 계속했다.

2. 4. 쇠퇴와 멸망

1842년, 나스룰라 칸이 이끄는 부하라 아미르국의 공격을 받아 마달리 칸과 그의 가족이 모두 살해당하면서 코칸트 칸국은 부하라의 지배하에 들어갔다.[6] 수도 코칸트는 부하라 군대에 점령되었고, 코칸트의 칸 자리에는 부하라가 세운 괴뢰가 앉았지만, 결국 부하라의 지배는 코칸트 칸 가문 출신인 셰르알리 칸에 의해 무너지고 단기간에 끝났다. 이후 칸국에서는 칸위를 둘러싼 다툼이 격화되어 국내 정치는 더욱 혼란스러워졌고, 카자흐와 키르기스를 비롯한 유목민들의 세력이 커지면서 칸국의 권위를 위협했다.

러시아 제국이 카자흐 초원으로 진출하여 세력을 남진시키면서, 우즈베크 3칸국 중 가장 북쪽에 위치한 코칸트 칸국에 대한 군사적 압력이 강화되었다. 코칸트 칸국은 오스만 제국영국과 우호 관계를 맺어 러시아에 대항하려 했지만, 약화된 코칸트 칸국은 더 이상 러시아의 남진 압력에 저항할 힘이 없었다. 1853년 바실리 페로프스키 장군이 이끄는 러시아군이 야쿠브 베크가 지키는 악메체트 요새(현 퀴즐오르다)를 점령했다.

1864년 러시아는 코칸트 칸국에 대한 침공을 시작하여 1865년 칸국 북부의 경제 도시 타슈켄트를 병합했다.[7] 1868년 3월, 코칸트 칸국은 러시아와 보호 조약을 체결하고 러시아의 속국으로 전락했다. 패전으로 인한 정변으로 코칸트의 군주가 된 후다야르 칸은 코칸트 시내에 러시아식을 도입한 새로운 칸의 궁전을 건설하는 등 칸국의 재건과 전제 강화를 시도했지만, 칸국의 붕괴를 막지는 못했다.

곧 부하라 칸국의 공격과 지배하에 있던 유목민 키르기스 출신 군인 아브두락만 아프토바치가 이끄는 반란이 발발하여 1875년 후다야르는 퇴위를 강요당했다. 아프토바치 일파는 나시르딘을 칸으로 추대했지만, 이는 전 칸으로부터 보호를 요청받았다는 것을 구실로 삼은 러시아군의 추가 침공을 초래했다. 러시아군은 이듬해인 1876년 2월 19일에 코칸트에 입성하여 코칸트 칸국을 멸망시키고 페르가나 분지 전역을 지배하에 두었다.

코칸트 칸국의 옛 영토는 완전히 식민지화되었고, 타슈켄트에는 러시아의 중앙아시아 지배 기지인 투르키스탄 총독부가 설치되었으며, 그 지배하에 코칸트 칸국의 옛 영토와 히바 칸국 및 부하라 아미르국으로부터 빼앗은 영토를 합쳐 실다리야 주와 페르가나 주가 설치되었다.[9]

3. 통치자

통치 기간통치자
1709년 - 1722년샤흐룩 베이(Shahrukh Bey)
1722년 - 1734년압둘 라힘 베이
1734년 - 1751년압둘 카림 베이(Abdul Karim Bey)
1751년 - 1752년이르다나 베이(Irdana Bey) (1차 통치)
1752년 - 1753년보보벡(Bobobek)
1753년 - 1769년이르다나 베이(Irdana Bey) (2차 통치)
1769년 - 1770년술레이만 베이
1770년 - 1799년나르부타 베이(Narbuta Bey)
1799년 - 1811년알림 칸
1811년 - 1822년무함마드 우마르 칸(Muhammad Umar Khan)
1822년 - 1842년무함마드 알리 칸
1842년 - 1844년시르 알리 칸
1844년무라드 베그 칸(Murad Beg Khan)
1844년 - 1852년무함마드 후다야르 칸(Muhammad Khudayar Khan) (1차 통치)
1852년밍바시 무술몬쿨(Mingbashi Musulmonqul) (후다야르 칸 섭정)
1852년 - 1858년무함마드 후다야르 칸(Muhammad Khudayar Khan) (2차 통치)
1858년 - 1862년무함마드 말리야 베그 칸(Muhammad Mallya Beg Khan)
1862년샤흐 무라드 칸(Shah Murad Khan)
1862년 - 1863년무함마드 후다야르 칸(Muhammad Khudayar Khan) (3차 통치)
1863년 - 1865년무함마드 술탄 칸(Muhammad Sultan Khan)
1865년알림쿨(Alimqul) (술탄 칸 섭정)
1865년빌 바흐치 칸(Bil Bahchi Khan)
1865년 - 1875년무함마드 후다야르 칸(Muhammad Khudayar Khan) (4차 통치)
1875년나스르딘 칸(Nasruddin Khan) (1차 통치)
1875년무함마드 풀라드 베그 칸(Muhammad Pulad Beg Khan)
1876년나스르딘 칸(Nasruddin Khan) (2차 통치)



4. 인구

1830년대, 코칸트 칸국에는 50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살았다. 그중 약 300만 명은 튀르크계와 이란계 뿌리를 가진 정착민이었고, 나머지 200만~250만 명은 400,000가구에 걸쳐 흩어져 살던 유목민 부족들이었다. 이들은 우즈베크족, 카자흐족, 키르기스족, 카라칼파크족, 칼미크족, 그리고 파르가니 킵차크인과 같은 다양한 투르크-몽골계 집단으로 구성되었다.[1]

참조

[1] 서적 Language Policy of the Soviet Un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3
[2] 서적 Golden
[3] 서적 Starr
[4] 백과사전 OʻzME
[5] 서적 Howorth
[6] 서적 Dubavitski
[7]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8] 서적 Zenkovsky
[9] 서적 Zenkovsky
[10] 서적 Bosworth
[11] 서적 Geiss
[12] 서적 The Rise and Fall of Khoqand, 1709 - 1876
[13] 서적 中央ユーラシア史 2000
[14] 서적 コーカンド・ハーン国 岩波書店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