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라 웃딘 테키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라 웃딘 테키시는 12세기 후반 호라즘 제국의 통치자였다. 그는 아버지의 사후 왕위 계승 분쟁을 겪었으며, 이복 동생 술탄 샤와 권력 다툼 끝에 호라즘을 탈환하고 제국의 통일 군주가 되었다. 테키시는 서쪽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이란 셀주크 제국을 멸망시키고 아바스 왕조 칼리파로부터 술탄 칭호를 받았다. 그의 치세 동안 호라즘 제국은 번성했지만, 그의 사후 급격한 세력 확장은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이어진 제국의 붕괴를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32년 출생 - 블라디미르 3세
    므스티슬라프 1세의 아들인 블라디미르 3세는 도로고부시, 볼로디미르볼린스키와 볼히니아, 슬루츠크, 트리필랴 공작을 역임하고 짧은 기간 동안 키예프 대공으로 재임했으며, 헝가리, 세르비아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네 아들을 두었다.
  • 1132년 출생 - 류공권
    류공권은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국자시에 합격하고 김영부의 문하에서 급제하여 명종 대에 요직을 역임했으며, 금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고, 청렴하고 공평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초서와 예서에도 능했다.
  • 1200년 사망 - 주희
    주희는 송나라의 유학자로서 성리학을 집대성하여 동아시아 철학 및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기론, 심성론, 거경궁리론 등을 정립하고 사서집주를 저술하여 유교 경전 해석의 표준을 제시했다.
  • 1200년 사망 - 단지흥
    단지흥은 대리국의 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불교 사찰 복구와 방어 시설 건설 등의 사업을 추진했으며, 김용의 무협 소설에서는 '남제'로 묘사되는 가상 인물이기도 하다.
  • 병사한 사람 - 현진건
    현진건은 일제강점기의 사실주의 소설가로, 대표작으로는 「빈처」, 「술 권하는 사회」, 「운수 좋은 날」 등이 있으며, 일제강점기 언론 탄압을 받기도 했다.
  • 병사한 사람 - 김성수 (언론인)
    김성수는 인촌이라는 호를 사용한 언론인이자 기업인, 정치인으로, 경성방직 설립, 동아일보 창간, 보성전문학교 인수 및 발전에 기여했으며 제2대 부통령을 역임했으나 친일 논란이 있다.
알라 웃딘 테키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라캅알라 웃딘 (Ala al-Din, 간단히)
쿠냐아불-무자파르 (Abul-Muzaffar)
이름테키시 (Tekish)
통치
통치 시작1172년
통치 종료1200년
즉위1172년 12월
왕조아누슈테긴 왕조
종교수니 이슬람
신상 정보
출생쿠냐-우르겐치
사망1200년
매장지테키시의 영묘, 쿠흐나 우르겐치, 투르크메니스탄
아버지일-아르슬란
어머니테르켄 카툰 (일-아르슬란의 아내)
배우자
배우자테르켄 카툰 (알라 앗딘 테키시의 아내)
이난지 카툰 (Inanj Khatun)
풀라나 카툰 (Fulana Khatun)
자녀
자녀알라 앗딘 무함마드 2세
타지 앗딘 알리-샤
유누스-칸 (Yunus-Khan)
토간-토그디 (Toghan-Toghdi)
말리크-샤 (Malik-Shah)
샤-카툰
정치
전임일-아르슬란
후임무함마드 2세

2. 생애

알라 웃딘 테키시는 호라즘 제국의 제6대 술탄(1172년 ~ 1200년)이다. 아버지 일 아르슬란의 뒤를 이어 즉위했으며, 이복동생 술탄 샤와의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고 호라즘 제국을 통일했다. 이후 서쪽으로 영토를 확장하여 셀주크 제국을 멸망시키고 아바스 왕조 칼리파에게 술탄 칭호를 인정받았다.

테키시의 치세 동안 호라즘 제국은 서쪽으로는 이란, 동쪽으로는 중앙아시아까지 영토를 넓혔다. 그러나 급속한 팽창은 내부적인 결속력을 약화시켰고, 결국 몽골 제국의 침입으로 이어져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권력 투쟁

1172년 아버지 일 아르슬란이 죽었을 때, 알라 웃딘 테키시는 호라즘의 동쪽 시르다리야 강 하류의 젠드(현 카자흐스탄)에 있었다. 그러나 호라즘의 궁정을 맡고 있던 아버지의 미망인은 친아들 술탄 샤(테키시의 이복 동생)를 옹립했다. 테키시는 동생의 즉위를 인정하지 않고 서요의 지원을 받아 호라즘을 탈환하려 했다. 술탄 샤는 어머니와 함께 남쪽 호라산으로 도망쳐 셀주크 제국 산하 호라산 군주 산자르의 옛 신하였던 무아이야드 아이아파에게 의지했다.

1173년 수도 우르겐치에서 즉위를 선언한 테키시는 왕위 계승에서 우위에 있었고, 1174년에는 호라산에 쳐들어가 아이아파를 죽였다. 술탄 샤는 남하하여 아프가니스탄의 고르 왕조로 피신했다. 이후 왕위 계승 다툼에서 승리한 테키시와 사이가 틀어진 거란족의 도움을 받아 호라즘으로 들어갔다.[1] 테키시는 우르겐치에 수비를 강화하여 호라즘을 지켰지만, 술탄 샤는 거란족의 원조로 호라산 북부 도시 메르브를 빼앗아 호라즘 제국은 남북으로 분열되었다.[1]

형제는 주변 세력까지 끌어들여 오랫동안 항쟁을 계속했지만, 1189년 양측은 강화했다. 술탄 샤는 테키시의 왕위를 인정했고, 테키시는 호라즘 제국의 통일 군주로서 정식으로 술탄에 즉위했다.[1]

2. 2. 통치와 확장

1172년 아버지 일 아르슬란이 죽자, 알라 웃딘 테키시는 호라즘의 동쪽 시르다리야 강 하류의 잔드(현 카자흐스탄)에 있었다. 그러나 호라즘 궁정을 맡고 있던 아버지의 부인은 자신의 아들 술탄 샤를 옹립했다. 테키시는 이복동생의 즉위를 인정하지 않고 서요(카라 키타이)의 지원을 받아 호라즘을 탈환했다. 술탄 샤는 어머니와 함께 남쪽 호라산으로 도망쳐, 셀주크 제국 호라산 군주 산자르의 옛 신하였던 무아이야드 아이아파에게 의지했다. 1173년 수도 우르겐치에서 즉위를 선언한 테키시는 1174년 호라산으로 쳐들어가 아이아파를 죽였다.

술탄 샤는 아프가니스탄의 고르 왕조로 피신했다가, 테키시와 사이가 틀어진 거란족의 도움을 받아 호라즘으로 들어갔다. 테키시는 우르겐치를 굳게 지켰지만, 술탄 샤는 거란족의 원조로 호라산 북부 도시 메르브를 빼앗아 호라즘 제국은 남북으로 분열되었다. 형제는 주변 세력까지 끌어들여 오랫동안 항쟁했지만, 1189년 양측은 강화했고, 술탄 샤는 테키시의 왕위를 인정했다. 이로써 테키시는 호라즘 제국의 통일 군주로서 정식으로 술탄에 즉위했다.

테키시는 호라산 통치를 굳히고 서쪽 이란으로 진출을 시작했다. 1192년 아제르바이잔을 지배하는 일데기즈 왕조의 요청으로 이란 중앙부까지 진군했지만, 술탄 샤가 우르겐치를 노린다는 보고를 받고 호라즘으로 돌아갔다. 1193년 술탄 샤가 죽고 호라즘 제국은 통일을 회복했다. 1194년 테키시는 다시 이란으로 진출, 레이 근교에서 셀주크 왕조의 마지막 술탄 투그릴 3세를 전사시키고 셀주크 왕조를 멸망시켰다. 이 원정으로 호라즘 제국은 동부 이란 호라산에서 서부 이란 하마단까지 지배 영역을 넓혔고, 아바스 왕조 칼리파 안 나시르에게서 정식으로 술탄 칭호를 인정받았다. 1198년 다시 이라크로 원정, 바그다드까지 지배하며 칼리파를 보호했다.

그 후 이란 각지에서 세력을 가진 이스마일파와 항쟁하다 1200년 병으로 죽었다.

테키시의 성공 요인은 초기에는 거란족, 후에는 아랄해 북방 투르크계 유목민 캉클리와 킵차크의 힘이었다. 테키시의 아내는 칸그리 출신이며, 그녀가 낳은 알라 웃딘 무함마드가 테키시의 뒤를 이어 제7대 군주가 되었다. 테키시 대에 서방으로 확대된 호라즘 제국은 칸그리의 힘에 의지한 무함마드 아래에서 동방으로 확대되어 최대 판도를 실현했지만, 2대에 걸친 급속한 세력 확대는 통일된 군대와 안정된 지배를 구축하지 못하고 몽골 제국의 공격으로 붕괴하게 된다.

3. 가계

일 아르슬란의 장남이다. 1172년 3월 부친이 사망했을 때, 호라즘의 동쪽 시르다리야 강 하류 유역의 젠드 (현 카자흐스탄 영토)에 있었다. 그러나 호라즘의 궁정을 관리하던 부친의 미망인이 친아들 잘랄 웃딘 술탄 샤(테키시의 이복 동생)를 옹립했다. 테키시의 아내 중 한 명인 图儿干合敦|테르켄 하툰중국어은 캉클리 출신이며, 그녀가 낳은 알라 웃딘 무함마드가 테키시의 뒤를 이었다.

참조

[1]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The Delhi Sultanat (A.D. 1206-1526) https://books.google[...] The Indian History Congress / People's Publishing House
[2] 웹사이트 TEKIŠ B. IL ARSLĀN http://www.iranicaon[...] 2014-08-30
[3] 서적 History of the World Conquero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