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레라미치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레라미치는 프랑크족 출신인 굴리엘모 1세 데 몬페라토를 시조로 하는 가문이다. 9세기 말 이탈리아에 정착하여 변경백 작위를 받았으며, 이후 몬페라토 후작으로 불리며 십자군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11세기 말 몬페라토와 델 바스토 가문으로 분리되었고, 델 바스토 가문은 살루초 후국 등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알레라미치 가문은 비잔틴 황실과의 혼인을 통해 테살로니카 왕국을 세우는 등 유럽 왕가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으며, 몬페라토 후작령은 14세기에 팔레올로고스 가문에게 넘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레라미치가 - 미켈레 안토니오 디 살루초 후작
  • 알레라미치가 - 보두앵 5세 (예루살렘)
    보두앵 5세는 나병으로 쇠약해진 삼촌 보두앵 4세의 뒤를 이어 예루살렘 왕국의 왕으로 즉위하여 짧은 통치 기간 동안 왕국 내부의 권력 다툼과 외부의 위협에 직면했으며, 갑작스러운 죽음은 왕위 계승 분쟁을 심화시키고 예루살렘 함락의 원인이 되었다.
알레라미치가
기본 정보
알레라미치 가문의 문장
알레라미치 가문의 문장
국가이탈리아
활동 기간9세기 후반 ~ 13세기
창시자알레라모
민족랑고바르드족
주요 영지몬페라토 후국
살루초 후국
체바 후국
델 카레토 후국
사보나 후국
보스코 마렝고 영지
인치사 영지
쿠네오 영지
비보나 영지
가계
조상비데킨트
작센 공작
주요 인물
주요 인물알레라모
몬페라토 변경백
살루초 변경백
델 카레토 후작
조반니 2세
테오도로 1세
빌헬름 9세
보니파시오 1세
콘라트 1세
보니파치오
몬페라토의 이레네
바이에른의 유타
분가
분가델 카레토 가문
살루초 가문
세바 가문
기타 정보
다른 이름알레라미치 가문

2. 역사

알레라미치 가문은 중세 시대 이탈리아와 유럽 정치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여러 분파로 나뉘어 발전했다. 다음은 알레라미치 가문의 주요 분파와 그 역사를 정리한 표이다.

알레라미치 가문의 분파와 역사
분파성립 시기주요 지역특징소멸 시기
몬페라토991년몬페라토십자군 참여, 예루살렘 왕국테살로니카 왕국 통치, 비잔티움 제국 황실과 혼인1306년
델 바스토991년피에몬테 남부, 리구리아살루초, 체바, 피날레 등 여러 소규모 후작령으로 분리-
살루초1135년살루초델 바스토 가문의 주요 분파1548년
피날레1135년피날레델 카레토 가문 통치1602년
체바, 부스카, 클라베사나 등12세기 중반피에몬테, 리구리아대부분 제노바 공화국에 흡수12~14세기



14세기에 몬페라토 후작령은 알레라미치 가문의 마지막 인물인 이레네 황후의 아들인 테오도로 1세 팔레올로고스에게 넘어갔다.[2]

2. 1. 기원

가문의 시조는 프랑크족인 굴리엘모 1세 데 몬페라토로, 888년 또는 889년에 스폴레토의 귀도 3세를 도와 이탈리아에 왔다. 그의 아들 알레라모는 최초로 변경백 작위를 받았다.[2]

알레라모는 933년에 이탈리아의 휴로부터 중부 리구리아에 첫 봉토를 받았으며, 이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는 그와 그의 후손들에게 신성 로마 제국의 변경백이라는 세습 칭호를 부여했다.[2]

알레라미치 가문은 북부 이탈리아 왕국의 4개 황실 변경백령 중 하나를 형성하여 중세 시대에 가장 강력한 왕조 중 하나가 되었다. 이들은 살리카 전통에 따라 원래 영토를 여러 후작령으로 나누었고, 알레라모의 두 아들, 즉 안셀모의 후손인 사보나 후작 가문("델 바스토")과 오토의 후손인 몬페라토 후작의 두 주요 계열로 나뉘었다.[2]

2. 2. 몬페라토 후작령

알레라미치 가문은 10세기에 이탈리아로 이주한 서프랑크 귀족 가문으로 여겨진다. 베렌가리오 2세(알레라모의 장인)는 961년 알레라모를 변경백으로 임명했으며, 이후 왕국이 분열되면서 지배권은 변경백에게 넘어갔다. 1040년에 처음 "Marcio"라는 이름이 사용되었고, 몬페라토 후작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알레라미치 가문의 몬페라토 분가는 십자군에서 큰 영향을 주었다. 굴리엘모 및 코라도 형제는 예루살렘 왕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각자의 자녀인 보두앵 5세 및 마리는 예루살렘 왕위에 올랐다. 굴리엘모 및 코라도의 동생 보니파치오 1세는 제4차 십자군의 지도자였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및 라틴 제국과 테살로니키 왕국의 성립을 주도했다.

몬페라토계는 1305년 조반니 1세의 죽음으로 단절되었지만, 후국은 여계를 통해 팔레올로고스 가문으로 계승되어 230년간 통치되었다.

2. 3. 십자군과 국제적 관계

12세기부터 알레라미치 가는 피에몬테에서 상당한 가문 중 하나로 성장했으며, 카페 왕조와 호엔슈타우펜 가와 접촉하기도 했다.[2] 가문 출신들은 자주 십자군에 참여했으며, 예루살렘의 왕과 여왕이 되었다.[2] 또한 콤네노스 왕조, 앙겔로스 왕조, 팔라이올로고스 왕조 등의 비잔티움 황실과도 혼인 관계를 맺었고, 제4차 십자군의 결과로 테살로니카 왕국을 세우기도 했다.[2]

코라도 델 몬페라토 변경백은 북부 이탈리아 출신 귀족으로, 제3차 십자군에서 중요한 참여자 중 한 명이었다.[2] 그는 1190년 11월 24일 혼인을 통해 사실상의 예루살렘의 왕이었지만 그가 죽기 며칠 전인 1192년에서야 공식적으로 왕으로 선출되었다.[2] 그는 또한 1191년부터 몬페라토 후작이기도 했다.[2]

몬페라토 분가들은 십자군에 참여하여 두드러진 영향력과 권력을 얻어 결혼과 상속을 통해 12세기에 예루살렘의 왕과 여왕이 되었다.[2] 왕족으로 인정받은 알레라미치 가문은 콤네노스 가문, 앙겔로스 가문, 팔레올로고스 가문 등 세 개의 비잔틴 황실 왕조와 결혼했다.[2] 제4차 십자군의 결과로, 알레라미치는 라틴 테살로니카 왕국을 세웠고, 이는 이후 테살로니카 제국으로 대체되었다.[2] 이 기간 동안 몬페라토 가문의 두 여성(아그네스 황후와 이레네 황후)이 동로마 제국의 "황후 배우자"라는 칭호를 받았다.[2]

알레라미치 가문의 악명은 십자군에서 높아졌다.[2] 구리에르모 및 코라도 형제는 예루살렘 왕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각자의 자녀인 보두앵 5세 및 마리는 예루살렘 왕위에 올랐다.[2] 구리에르모 및 코라도의 동생 보니파시오 1세는 제4차 십자군의 지도자였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및 라틴 제국과 테살로니키 왕국의 성립을 주도했다.[2]

2. 4. 델 바스토 가문과 살루초 후작령

11세기 말, 알레라미치 가는 몬페라토를 통치한 가문과 피에몬테 남부 및 리구리아 지역을 다스린 델 바스토 가문으로 분리되었다.[2] 12세기 중반 델 바스토 가문은 살루초, 체바, 피날레, 부스카, 클라베사나 등 소규모 후작들이 다스리는 여러 분파로 다시 나뉘었다.[2] 델 카레토(Del Carretto) 가문은 피에몬테와 시칠리아, 심지어 프랑스에서도 여러 분파를 가졌다.[2]

알레라미치 가문은 살리카 전통에 따라 영토를 여러 후작령으로 나누었고, 알레라모의 두 아들의 후손 가문으로 분리되었다. 장남 안셀모의 후손인 사보나 후작 또는 "델 바스토" 가문과 막내 아들 오토의 후손인 몬페라토 후작의 두 주요 계열로 나뉘었다.[2]

몬페라토 분가가 멸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알레라미치 가문은 사보나 후작령의 여러 하위 분가들을 통해 중세를 살아남았다. 여기에는 살루초 후작령 (1135년부터 1548년까지), 피날레 (1135년부터 1602년까지 알레라미치 "델 카레토" 가문이 통치), 체바, 부스카, 클라베사나, 로레토, 보스코, 벨포르테, 우세치오, 파레토, 바라체, 폰조네 등이 있으며, 이들의 영토는 대부분 12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제노바 공화국에 흡수되었다.[2] 오직 피날레 후작령과 살루초 후작령만이 16세기까지 원래 알레라미치 영토의 일부를 계속 통치했다.[2]

알레라모는 961년 이탈리아 왕 베렌가리오 2세 (알레라모의 장인)에 의해 새로 설치된 변경백 중 한 명이었으며, 이후 왕국의 분열로 지배권은 변경백에게 넘어갔다. 1040년에 처음 "Marcio"라는 이름이 사용되었고, 몬페라토 후작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영지의 서쪽 분할과 토리노 변경백의 딸과의 결혼으로 인해, 델 바스토 가문이 살루초 후국을 성립시켰고, 후국의 이름은 1142년에 처음 나타난다.

살루초계 알레라미치가는 1548년에 단절되었지만, 그 몇 년 전에 후국을 잃었다.

3. 분가

알레라미치 가문은 살리카 전통에 따라 원래 영토를 여러 후작령으로 나누었고, 알레라모의 두 아들의 후손들로 크게 두 개의 주요 계열로 나뉘었다.[2] 장남 안셀모의 후손은 사보나 후작 또는 "델 바스토" 가문이 되었고, 막내 아들 오토의 후손은 몬페라토 후작이 되었다.[2]

몬페라토 분가는 십자군에 참여하여 큰 영향력과 권력을 얻었고, 결혼과 상속을 통해 12세기에는 예루살렘의 왕과 여왕이 되기도 하였다.[2] 이들은 콤네노스 가문, 앙겔로스 가문, 팔레올로고스 가문 등 세 개의 비잔틴 황실 왕조와 결혼했다.[2] 제4차 십자군 결과로 테살로니카 왕국을 세웠고, 이후 테살로니카 제국으로 대체되었다.[2] 몬페라토 가문의 두 여성(아그네스 황후와 이레네 황후)은 동로마 제국의 "황후 배우자" 칭호를 받았다.[2] 14세기에 몬페라토 후작령은 이레네 황후의 아들인 테오도로 1세 팔레올로고스에게 넘어갔다.[2]

몬페라토 분가가 멸절되었음에도, 알레라미치 가문은 사보나 후작령의 여러 하위 분가들을 통해 중세 시대에도 살아남았다.[2] 여기에는 살루초 후작령(1135년부터 1548년까지), 피날레(1135년부터 1602년까지 알레라미치 "델 카레토" 가문 통치), 체바, 부스카, 클라베사나, 로레토, 보스코, 벨포르테, 우세치오, 파레토, 바라체, 폰조네 등이 있으며, 이들 영토 대부분은 12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제노바 공화국에 흡수되었다.[2] 피날레 후작령과 살루초 후작령만이 16세기까지 원래 알레라미치 영토의 일부를 계속 통치했다.[2]

알레라미치 가문의 분가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알레라미치 가문의 분가
가문분가 시점최종 시점비고
몬페라토 후작991년1306년팔레올로고스 왕조에 상속
사보나 후작 (델 바스토)991년-여러 분가로 나뉨
살루초 후작1125년1548년프랑스 왕국에 병합
피날레 후작 (델 카레토)1125년1566년스페인 왕국에 병합
체바 후작1125년1313년사보이아 가문에 병합
클라베사나 후작1125년1385년사보이아 가문, 피날레 후작, 제노바 공화국에 분할
부스카 후작 (란차)1125년1281년
인치사 후작1125년1548년곤차기 가문에 상속
로케타 후작1084년1203년
오치미아노 후작991년1275년
주카렐로 후작 (델 카레토)1412년1631년제노바 공화국에 병합


4. 가계도

알레라미치 가문은 빌레무스를 시조로 하며, 그의 아들 알레라모는 933년 이탈리아의 휴 왕으로부터 리구리아에 첫 봉토를 받았다. 이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오토 1세에 의해 변경백 작위를 받았다.

알레라미치 가문은 살리카 전통에 따라 영토를 여러 후작령으로 나누었고, 알레라모의 두 아들 안셀모와 오토를 통해 두 주요 계열로 나뉘었다.


  • '''델 바스토 가문''': 안셀모의 후손으로 사보나 후작 가문이라고도 불린다.
  • '''몬페라토 후작 가문''': 오토의 후손이다.


이들은 피에몬테와 리구리아 만의 동쪽 측면에 중요한 부분을 통제하고 카페 왕조, 호엔슈타우펜 등 유럽의 지배 가문들과 강력한 동맹을 맺었다. [2]

통치자출생재위통치 지역배우자사망비고
구리에르모 1세c.900?924–933리구리아 후국불명
자녀 1명
933
32–33세?
프랑크 백작이자 이 가문의 가장 오래된 구성원.
알레라모
c.920?
구리에르모 1세의 아들
933–991리구리아 후국아델라이드
자녀 3명

이탈리아의 게르베르가
c.960
자녀 없음
991
70–71세?
938년에 봉토를 수여받았다.[3]
구리에르모 2세c.940?
알레라모와 아델라이드의 첫째 아들
c.960–961리구리아 후국미혼961
20–21세?
아버지와 함께 통치했다.
안셀모 1세c.940?
알레라모와 아델라이드의 둘째 아들
991–998서부 리구리아 후국밀라노의 기젤라
자녀 4명
998
57–58세?
알레라모의 어린 자녀들로, 최소 983년부터 아버지와 공동 통치했다. 알레라모 사망 후 형제들은 상속을 분할했다.
오도네 1세c.940?
알레라모와 아델라이드의 셋째 아들
991동부 리구리아 후국피아첸차의 ?
자녀 4명
991
50–51세?
안셀모 2세c.960?
안셀모 1세와 밀라노의 기젤라의 둘째 아들
998–c.1025서부 리구리아 후국밀라노의 아델라
자녀 3명
c.1025
64–65세?
오도네c.990?
안셀모 2세와 밀라노의 아델라의 첫째 아들
c.1025–1060서부 리구리아 후국토리노의 베르타
1036
자녀 6명
c.1060
69–70세?
보니파치오1055
사보나
오도네와 토리노의 베르타의 셋째 아들
c.1060–1125서부 리구리아 후국인치사의 ?[6][7]
자녀 7명

베르망두아의 아녜스
(1085–c.1130)
자녀 6명
1125
69–70세?
사망 후, 그의 거대한 상속 재산은 아들들 사이 분할되었다.
만프레도 1세
c.1110?
사보나
보니파치오의 첫째 아들
1125–1175살루초 후국아르보레아의 엘레오노라
자녀 6명
1175
살루초
64–65세?
보니파치오의 자녀들은 상속을 분할했다. 우고는 자녀가 없었고 조카(안셀모 3세의 아들)가 계승했다.
안셀모 3세c.1110?
보니파치오의 둘째 아들
1125–1178체바 후국불명
자녀 2명
c.1178
67–68세?
우고c.1110?
보니파치오의 셋째 아들
1125–1170클라베사나 후국미혼c.1170
59–60세?
구리에르모 1세c.1110?
보니파치오의 다섯째 아들
1125–1140부스카 후국불명
자녀 2명
c.1140
29–30세?
만프레도 2세c.1140
살루초
만프레도 1세와 아르보레아의 엘레오노라의 첫째 아들
1175 – 1215년 2월살루초 후국몬페라토의 아델라이드
1182
자녀 4명
1215년 2월
살루초
74–75세?
구리에르모 1세c.1140?
안셀모 3세의 첫째 아들
1178–1205체바 후국? 벤토
자녀 5명
c.1205
64–65세?
안셀모 3세의 자녀들은 상속을 분할했다. 구리에르모는 아버지의 체바 영지를 상속받았고, 보니파치오는 삼촌 우고의 클라베사나 후국을 상속받았다.
보니파치오 1세c.1140?
안셀모 3세의 둘째 아들
1170–1221클라베사나 후국불명
자녀 3명
1221
80–81세?
구리에르모 2세c.1160?
구리에르모 1세의 첫째 아들
1205–1230체바 후국살루초의 마리아
자녀 1명
c.1230
69–70세?
살루초의 만프레도 2세의 사위이자 살루초의 토마소 1세의 장인이다.
만프레도 1세c.1130?
구리에르모 1세의 첫째 아들
1140–1187부스카 후국불명
자녀 1명
1187
56–57세?
형제들은 후국을 공동으로 소유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후국을 공동으로 또는 동시에 통치한 두 개의 분파를 설립했다.
베렌가리오c.1140?
구리에르모 1세의 둘째 아들
1140–1211/14부스카 후국에밀리아
자녀 4명
1211/14
71–74세?
만프레도 2세c.1150?
만프레도 1세의 첫째 아들
1211/14–1215부스카 후국비앙카 말레타
자녀 8명
1215
64–65세?


4. 1. 몬페라토 후작 가계도

알레라미치 가문은 중세 시대 북부 이탈리아 왕국의 강력한 왕조 중 하나였다. 알레라모의 두 아들, 안셀모와 오토를 통해 가문은 두 주요 계열로 나뉘었다.

  • '''델 바스토 가문''': 안셀모의 후손으로 사보나 후작 가문이라고도 불린다.
  • '''몬페라토 후작 가문''': 오토의 후손이다.


몬페라토 분가는 십자군에 참여하여 예루살렘 왕과 여왕이 되기도 하였으며, 동로마 제국의 황실과도 혼인 관계를 맺었다. 특히, 제4차 십자군 이후 테살로니키 왕국을 세우기도 했다. 14세기에 몬페라토 후작령은 팔레올로고스 가문으로 넘어갔다.

몬페라토 분가가 멸절된 후에도, 알레라미치 가문은 사보나 후작령의 여러 하위 분가들을 통해 살루초 후작령, 피날레 등 여러 지역을 통치하며 중세 시대 동안 명맥을 이어나갔다.[2]

통치자출생재위통치 지역배우자사망비고
구리에르모 1세c.900?924–933리구리아 후국불명
자녀 1명
933
32–33세?
프랑크 백작이자 이 가문의 가장 오래된 구성원.
알레라모c.920?
구리에르모 1세의 아들
933–991리구리아 후국아델라이드
자녀 3명

이탈리아의 게르베르가
c.960
자녀 없음
991
70–71세?
938년에 봉토를 수여받았다.[3]
구리에르모 2세c.940?
알레라모와 아델라이드의 첫째 아들
c.960–961리구리아 후국미혼961
20–21세?
아버지와 함께 통치했다.
오도네 1세c.940?
알레라모와 아델라이드의 셋째 아들
991동부 리구리아 후국피아첸차의 ?
자녀 4명
991
50–51세?
구리에르모 3세c.970?
오도네 1세의 첫째 아들
991–c.1040동부 리구리아 후국와자
c.1030[4]
자녀 4명
c.1040
69–70세?
오도네 2세1015
구리에르모 3세와 와자의 첫째 아들
c.1040 – 1084년 11월 20일동부 리구리아 후국사보이의 콘스탄차
자녀 2명
1084년 11월 20일
50–51세?
구리에르모 3세의 자녀들, 공동 통치.
엔리코c.1015
구리에르모 3세와 와자의 둘째 아들
c.1040–1045동부 리구리아 후국미혼1045
29–30세
구리에르모 4세c.1030
오도네 2세와 사보이의 콘스탄차의 첫째 아들
1084년 11월 20일 – 1100동부 리구리아 후국아풀리아의 엠마
자녀 1명

아글레도의 오타
자녀 2명
1100
69–70세?
라이네리오1075
구리에르모 4세와 아글레도의 오타의 둘째 아들
1100–1137몬페라토 후국부르고뉴의 기젤라
1105
자녀 5명
1137
61–62세
구리에르모 4세의 자녀들, 상속 분할. 라이네리오는 최초로 "몬페라토 후작" 칭호 사용.
엔리코 발보c.1060
구리에르모 4세와 아글레도의 오타의 둘째 아들
1100–1127로케타 후국불명
자녀 1명
c.1127
32–33세?
베르나르도c.1080?
엔리코의 아들
1127–1135로케타 후국불명
자녀 1명
c.1135[9]
54–55세?
도미첼라c.1120?
베르나르도의 딸
1135–1203로케타 후국인치사의 알베르토 1세
자녀 6명
1203[10]
인치사 스카파치노
82–83세?
로케타는 인치사에 합병
구리에르모 5세 장남1110
라이네리오와 부르고뉴의 기젤라의 첫째 아들
1137–1191몬페라토 후국오스트리아의 유디스
1133[11] 자녀 9명
1191
티레, 레바논50–51세?
코라도
1140
몬페라토
구리에르모 5세와 오스트리아의 유디스의 둘째 아들
1191 – 1192년 4월 28일몬페라토 후국불명
자녀 없음

안젤리나의 테오도라
(d.c.1195)

1187
(1187년 5/6월 이혼)자녀 없음

예루살렘의 이사벨라 1세 여왕
1190년 11월 24일
자녀 1명
1192년 4월 28일
티레, 레바논
51–52세
부인의 권리로 예루살렘 왕.
보니파치오 1세
1140
몬페라토
구리에르모 5세와 오스트리아의 유디스의 둘째 아들
1192년 4월 28일 – 1207년 9월 4일몬페라토 후국보스코의 엘레나
(1145–1204)
c.1170
자녀 3명

샤티용의 잔[20]
자녀 없음

헝가리의 마가렛
1204년 5월
콘스탄티노플
자녀 1명
1207년 9월 4일
티레, 레바논
50–51세?
테살로니키 왕국 주장.
구리에르모 6세1173
몬페라토
보니파치오 1세와 보스코의 엘레나의 첫째 아들
1207년 9월 4일 – 1225년 9월 17일몬페라토 후국호엔슈타우펜의 소피아
(d.1187/88)
1187
자녀 없음

클라베사나의 베르타
1202년 8월 9일
자녀 3명
1225년 9월 17일
알미로스
51–52세


4. 2. 란차 가문 가계도

오토네
서 리구리아 후작
베르타
(오데리코 만프레디 2세 딸)
보니파초 델 바스토만프레도
만프레도 1세 란치아
살루초 후작
보니파초
인치자 후작
구리에르모
델 바스토 후작
우고안셀모오토네 로베리오엔리코
사보나 후작
엔리코
파테르노 영주
부테라 백작
플란드리나
(루제리오 1세 딸)
아델라이데
1=루제리오 1세
2=보두앵 1세
델 바스토 가문
(살루초 후작)
만프레도 1세
부스카 후작
라우레티 백작
벨렌가리오
부스카 후작
=이미리아
보니파초
클라베사나 후작
구리에르모
카바 후작
루제리오시모네
폴리카스트로 백작
루제리오 2세
시칠리아 왕
만프레도 2세구리에르모오토네라이몬도만프레도(서자)
루제리오 스클라부스
콘스탄차
시칠리아 여왕
하인리히 6세
신성 로마 황제
만프레도 3세갈바노
1268년 콘라딘과 함께 체포되어 단두형(로마?)에 처해짐
=마르게리타(가리티에리 데 오클라 딸)

=에첼린

=아리아노 백작 보니파초
페데리코
스퀼라체 백작
비안카
(애첩)
프리드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
시칠리아 왕
만프레도이솔다
=호엔부르크 변경백베르톨드
롬브라다조르다노 데 아리아노
산 세베리노 백작
1266년부터 포로
아우로라만프레디
시칠리아 왕
콘스탄체(안나)
니케아 제국 요한네스 3세
콘라트 4세
신성 로마 황제
시칠리아 왕
페데리코콘스탄치아
아퀴노 (아체라 백작 토마소 1세의 아들)와 약혼
베아트리체
=우고리노 데 센노 데 우발디니
갈레오트
1268년에 아버지와 함께 단두형에 처해짐
쿠비토자(아체라 백작 토마소 1세의 딸)와 약혼
베아트리체
=콘라드 폰 안티오키아(프리드리히 2세 서자 프리드리히의 아들)

헬레나 왕비의 유폐 중인 친구
콘라딘
시칠리아 왕
예루살렘 왕
(서자)
토디스카
페데리코엔리코갈바노


참조

[1] 간행물 Aleramici http://www.treccani.[...] Treccani 1929
[2] 웹사이트 Giornale Linguistico. Società Ligure di Storia Patria. http://www.rmoa.unin[...]
[3] 서적 Monumenta Aquensia Turin 1790
[4] 서적 Monumenta Aquensia
[5] 문서 D H II 305 1014
[6] 문서 Alice of Savoy
[7] 서적 Glossarium mediae et infimae latinitatis Graz 1954
[8] 문서 Cluny 1127
[9] 서적 Monumenta Aquensia 1126
[10] 문서 marquisate
[11] 문서 28 March
[12] 문서 Casale Monferrato 1147
[13] 문서 Enrico's children 1203
[14] 논문 La donazione dei marchesi di Occimiano ad Alessandria nel 1198 http://www.cittafutu[...] 1969–70
[15] 문서 Vergano & Gardino 1969-70
[16] 문서 1202
[17] 문서 1231
[18] 서적 Monumenta Aquensia 1198
[19] 문서 Vergano & Gardino 1202
[20] 서적 Lignages d'Outremer Paris 2003
[21] 문서 1269
[22] 문서 Casale Monferrato 1269
[23] 서적 Memorie storiche della città e marchesato di Ceva https://books.google[...] 1858
[24] 문서 1994
[25] 문서 1839
[26] 문서 Giovanni of Saluzzo
[27] 문서 Emmanuele and Aleramo del Carretto
[28] 간행물 Aleramici http://www.treccani.[...] Treccani 19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