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더 R. 토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더 R. 토드는 영국의 생화학자로, 뉴클레오티드 연구를 통해 아데노신 삼인산과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의 합성에 성공하고, 시아노코발라민(비타민 B12)의 구조를 밝히는 등 유기 화학 분야에 기여했다. 그는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맨체스터 대학교 연구소 소장, 케임브리지 대학교 유기 화학 교수를 역임했다. 1942년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으며, 1975년부터 1980년까지 회장을 역임했다. 195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고, 1954년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1962년에는 남작 작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생화학자 - 리처드 헨더슨
    리처드 헨더슨은 막 단백질 구조 연구를 통해 단일 입자 전자 현미경 연구에 기여하고 GPCR 표적 약물 개발을 위한 회사를 설립했으며, MRC 분자 생물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고 201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스코틀랜드의 생화학자 - 존 제임스 리카드 매클라우드
    존 제임스 리카드 매클라우드는 1923년 프레더릭 벤팅과 함께 인슐린 발견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스코틀랜드 출신의 생리학자이다.
  • 스코틀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윌리엄 램지
    윌리엄 램지는 스코틀랜드의 화학자로, 레일리 경과의 협력을 통해 아르곤을 발견하고 네온, 크립톤, 크세논 등 여러 비활성 기체를 발견하여 190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지만 바닷물에서 금을 추출하는 사기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다.
  • 스코틀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제임스 멀리스
    스코틀랜드 출신 경제학자 제임스 멀리스는 정보 비대칭 하에서의 인센티브 이론 연구로 1996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최적 소득세 이론과 다이아몬드-미를리스 효율성 정리 등의 업적을 남기고 경제 정책 자문으로도 활동했다.
  • 스코틀랜드의 생물학자 - 알렉산더 플레밍
    알렉산더 플레밍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세균학자이자 생리학자로, 리소자임과 최초의 항생제인 페니실린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소독약의 한계를 인지하고 면역 체계의 중요성을 강조, 현대 의학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 스코틀랜드의 생물학자 - 존 보이드 오어
    존 보이드 오어는 스코틀랜드의 교육자, 의사, 생물학자, 정치인, 기업가로서, 동물 영양학 연구로 로웻 연구소를 설립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식량 배급 수립에 기여했으며, 유엔 식량농업기구 초대 사무총장으로서 세계 식량 문제 해결에 헌신하여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알렉산더 R. 토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알렉산더 토드 노벨
알렉산더 토드
본명알렉산더 로베르투스 토드
출생1907년 10월 2일
출생지영국 글래스고
사망1997년 1월 10일
사망지영국 케임브리지셔주
국적영국
분야화학
생화학
학력
모교글래스고 대학교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박사 지도 교수로버트 로빈슨
경력
직장에든버러 대학교
런던 대학교
맨체스터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츠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스트래스클라이드 대학교
허트퍼드셔 대학교
수상
수상로열 메달(1955년)
노벨 화학상(1957년)
코플리 메달(1970년)

2. 생애

알렉산더 R. 토드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칼리지의 유기화학 교수이자 특별 연구원이었다. 1949년 아데노신 삼인산과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합성에 성공했으며, 1955년 시아노코발라민(비타민 B12) 구조를 해명했다. 이후 티아민, 토코페롤, 안토시아닌의 구조와 합성에 관한 연구, 대마에 포함된 알칼로이드 연구를 진행했다.

1952년부터 1964년까지 영국 화학 정책 자문 위원회 위원, 1963년부터 1978년까지 크라이스트 칼리지 학장을 역임했다. 1954년 기사 작위를 받아 "경(Sir)" 칭호를 받았으며, 1962년 일대 귀족 작위인 "케임브리지셔 트럼핑턴의 토드 남작" 작위를 받았다.[2] 1975년 공로 훈장을 수여받았고, 영국 추밀원 평의원이었다. 1997년 케임브리지 교외 오킹턴(Oakington)에서 89세로 사망했다.

아내 앨리슨 사라의 아버지는 노벨상 수상자인 헨리 핼릿 데일이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글래스고 근교의 캐스카트(Cathcart)에서 태어나 1928년 글래스고 대학교를 졸업하고 학위를 취득했다. 1931년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담즙산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33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 오리엘 칼리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런던의 리스터 예방 의학 연구소와 런던 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1938년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연구소 소장을 맡아 뉴클레오티드 연구를 시작했다.

2. 2. 연구 경력

글래스고 근교의 캐스카트(Cathcart)에서 태어나 1928년 글래스고 대학교를 졸업하고 학위를 취득했다. 1931년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담즙산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 오리엘 칼리지에서 수학했으며, 1933년에 다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런던의 리스터 예방 의학 연구소와 런던 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1938년,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연구소 소장을 맡아 뉴클레오티드 연구를 시작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칼리지의 유기 화학 교수이자 특별 연구원이었다. 1949년아데노신 삼인산과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의 합성에 성공했으며, 1955년에 시아노코발라민 (비타민 B12)의 구조를 해명했고, 이후에는 티아민, 토코페롤안토시아닌의 구조와 합성에 관한 연구에 착수했다. 또한, 대마에 포함된 알칼로이드 연구를 진행했다.

1942년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으며, 1975년부터 1980년까지 회장을 역임했다[1]

2. 3. 과학 정책 및 리더십

1942년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으며, 1975년부터 1980년까지 왕립 학회 회장을 역임했다.[1]

1952년부터 1964년까지 영국 화학 정책 자문 위원회 위원을 역임했으며, 1963년부터 1978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칼리지의 학장을 맡았다. 1954년 기사 작위를 받아 "경(Sir)" 칭호를 받았으며, 1962년에는 일대 귀족 작위인 "케임브리지셔 트럼핑턴의 토드 남작" 작위를 받았다.[2] 1975년 공로 훈장을 수여받았다.

2. 4. 개인사

글래스고 근교의 캐스카트(Cathcart)에서 태어나 1928년 글래스고 대학교를 졸업하고 학위를 취득했다. 1931년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담즙산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33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 오리엘 칼리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후 런던의 리스터 예방 의학 연구소와 런던 대학교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1938년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연구소 소장을 맡아 뉴클레오티드 연구를 시작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라이스트 칼리지의 유기 화학 교수이자 특별 연구원이었다. 1949년 아데노신 삼인산과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의 합성에 성공했으며, 1955년 시아노코발라민(비타민 B12)의 구조를 해명했다. 이후 티아민, 토코페롤안토시아닌의 구조와 합성에 관한 연구에 착수했고, 대마에 포함된 알칼로이드 연구도 진행했다.

1942년 왕립 학회 회원이 되었으며, 1975년부터 1980년까지 회장을 역임했다.[1]

1952년부터 1964년까지 영국 화학 정책 자문 위원회 위원이었으며, 1963년부터 1978년까지 크라이스트 칼리지의 학장직을 맡았다. 1954년 기사 작위를 받아 "경(Sir)" 칭호를 받았으며, 1962년에는 일대 귀족 작위인 "케임브리지셔 트럼핑턴의 토드 남작" 작위를 받았다.[2] 1975년 공로 훈장을 수여받았고, 영국 추밀원의 평의원이었다. 1997년 케임브리지 교외의 오킹턴(Oakington)에서 향년 89세로 사망했다.

아내 앨리슨 사라의 아버지는 토드와 마찬가지로 노벨상 수상자인 헨리 핼릿 데일이다.

3. 수상 경력

연도수상
1948년라부아지에 메달
1949년데비 메달
1954년베이커리언 메달
1955년로열 메달
1957년노벨 화학상
1962년파울 콜러 골드 메달
1970년코플리 메달
1978년로모노소프 황금 메달


참조

[1] 간행물 Todd; Alexander Robertus (1907 - 1997); Baron Todd of Trumpington 2011-12-14
[2] 뉴스 1962-03-27
[3] 저널 Alexander Robertus Todd, O.M., Baron Todd of Trumpington. 2 October 1907 – 10 January 1997: Elected F.R.S. 194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