헨리 핼릿 데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헨리 핼릿 데일(Henry Hallett Dale, 1875–1968)은 영국의 생리학자, 약리학자이다. 아세틸콜린의 신경 전달 물질로서의 역할을 밝혀내 1936년 오토 뢰비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데일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생리학을 연구했으며, 국립 의학 연구소 책임자, 왕립 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시냅스 신호 전달 방식에 대한 연구와 신경 전달 물질에 따른 뉴런 분류 체계를 제시했으며, 이를 '데일의 원리'라고 명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영제국 훈장 대십자 기사 - 머빈 킹
머빈 킹 남작은 영국의 경제학자이자 영국 중앙은행 총재(2003년~2013년)를 역임한 인물로, 케임브리지 대학교와 버밍엄 대학교 교수, 하버드 대학교와 MIT 방문 교수를 지냈으며, 2007-2008년 금융위기 당시 영국 중앙은행의 위기 대응 및 정부 정책 개입에 대한 논란이 있고, 2013년 종신 귀족 작위를 받았으며, 저서로는 『연금술의 종말』 등이 있다. - 대영제국 훈장 대십자 기사 - 찰스 스콧 셰링턴
찰스 스콧 셰링턴은 영국의 생리학자이자 신경생리학자로, 신경계의 통합 작용과 시냅스 개념을 연구하여 중추신경계 이해에 기여했으며, 193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 잉글랜드의 신경과학자 - 올리버 색스
올리버 색스는 신경학 환자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뇌와 신경 질환에 대한 저서를 집필하며 대중에게 알려졌고, 2007년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2015년 암으로 사망하기 전까지 뇌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 잉글랜드의 신경과학자 - 스티븐 로즈
스티븐 로즈는 영국의 생물학자, 신경과학자, 사회 운동가이자 작가이며, 뇌 연구에 기여하고 사회생물학 등을 비판하며 과학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 참여 활동을 펼쳤다. - 잉글랜드의 생물학자 - 찰스 다윈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제시하여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영국의 자연과학자이다. - 잉글랜드의 생물학자 - 제임스 러브록
제임스 러브록은 가이아 가설을 제창하고 여러 과학 기기를 개발한 영국의 독립 과학자이자 발명가, 저술가로서, 환경 문제에 대한 독특한 견해로 주목받았다.
헨리 핼릿 데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헨리 할렛 데일 |
출생일 | 1875년 6월 9일 |
출생지 | 잉글랜드 런던 이즐링턴 |
사망일 | 1968년 7월 23일 |
사망지 |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 주 케임브리지 |
국적 | 영국 |
학력 | |
교육 기관 | 톨링턴 학교 더 레이스 스쿨 |
모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바솔로뮤 병원 |
박사 지도교수 | 해당사항 없음 |
박사 과정 학생 | 해당사항 없음 |
경력 | |
직업 | 약리학자 생리학자 |
근무 기관 | 해당사항 없음 |
업적 | |
주요 업적 | 아세틸콜린 발견 데일의 원리 |
수상 | |
수상 내역 | 왕립 학회 회원 (1914년) 로열 메달 (1924년) 에든버러 대학교 치료학 캐머런 상 (1926년) 기사 작위 (193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1936년) 코플리 메달 (1937년) 대영 제국 훈장 (1943년) 메리트 훈장 (1944년) 던디 자유 시민상 (1947년) 앨버트 메달 (왕립 예술 협회) (1956년) |
기타 | |
웹사이트 | 헨리 할렛 데일 |
2. 생애
헨리 핼릿 데일은 1875년 6월 9일 잉글랜드 런던에서 태어났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레이즈 스쿨에서 공부했으며, 1894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생리학자 존 랭글리의 지도를 받았다. 190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파울 에를리히에게 배우기도 했다. 1904년 사촌 엘렌 해리엇 할렛과 결혼하여 1남 2녀를 두었으며, 딸 앨리슨 새라 데일은 알렉산더 R. 토드와 결혼했다. 1909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서 오토 뢰비를 만났다.
1914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고,[21] 같은 해 영국 국립 의학 연구소 책임자가 되었다. 1932년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22] 1944년 공로 훈장,[23] 1948년 대영 제국 훈장을 받았다.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왕립 학회 회장을 역임했다.[21]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정부 과학 자문관을 역임했으며, 1968년 7월 23일 케임브리지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헨리 핼릿 데일은 런던 이즐링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찰스 제임스 데일은 스태퍼드셔 출신의 도자기 제조업자였고, 어머니 프랜시스 앤 핼릿은 사우스 데번 출신의 가구 제조업자의 딸이었다.[2][9] 헨리는 7남매 중 셋째였으며, 동생 벤자민 데일은 뛰어난 작곡가이자 왕립 음악원 원장이었다. 헨리는 톨링턴 파크 칼리지와 더 레이스 스쿨에서 교육받았으며, 1894년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하여 생리학자 존 랭글리의 지도를 받았다.[10] 1903년에는 몇 달 동안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파울 에를리히의 지도하에 공부하기도 했다. 1909년 케임브리지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1][3]2. 2. 연구 경력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서 근무하면서 오토 뢰비를 만나 친구가 되었다.[12] 1914년 런던의 국립 의학 연구소 생화학 및 약리학 부서의 이사가 되었다. 1942년 로열 연구소의 풀러리안 화학 교수가 되었다.[12]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내각의 과학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했다.데일과 그의 동료들은 1914년 아세틸콜린을 가능한 신경 전달 물질로 처음 확인했지만, 뢰비는 신경계에서의 그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두 사람은 193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1940년대 데일은 시냅스에서의 신호 전달 방식에 대한 과학적 논쟁에 휘말렸다. 데일 등은 시냅스에서의 신호 전달이 화학적이라고 믿었지만, 존 캐루 에클스 등은 시냅스가 전기적이라고 믿었다. 나중에 대부분의 시냅스 신호 전달은 화학적이지만, 전기적인 시냅스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데일은 또한 신경 전달 물질의 종류에 따라 뉴런을 구별하는 데 사용되는 방식을 만들었다. 따라서, 노르에피네프린 (미국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으로 알려짐)을 방출하는 뉴런은 노르아드레날린성 뉴런이라고 하고, GABA를 방출하는 뉴런은 GABA성 뉴런이라고 하는 등,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한다. 이것을 ''데일의 원리''라고 한다 (때로는 잘못하여 ''데일의 법칙''이라고도 함). 이 원리의 한 가지 해석은 각 뉴런이 단 하나의 유형의 신경 전달 물질만을 방출한다는 것이다. 데일의 원리에 대한 이러한 특정 해석은 많은 뉴런이 아세틸콜린이나 생체 아민과 같은 고전적인 신경 전달 물질 외에도 신경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을 방출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틀린 것으로 드러났다. 동일한 뉴런에 의해 수많은 신경 전달 물질이 방출될 수 있다는 이러한 발견을 "공존 원리"라고 한다. 이 현상은 스웨덴의 신경 해부학자이자 신경 약리학자인 토마스 호크펠트에 의해 가장 대중화되었으며, 그는 "공존 원리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1938년부터 1960년까지 데일은 웰컴 트러스트의 의장을 역임했다.[13]
2. 3. 개인사
1904년, 데일은 사촌 엘렌 해리엇 핼릿과 결혼하여 아들 하나와 딸 둘을 두었다. 딸 앨리슨 새라 데일은 노벨상을 수상한 알렉산더 R. 토드와 결혼했다. 데일 부부는 1919년부터 1942년까지 마운트 버논 하우스에서 거주했다.[21]3. 주요 연구 업적
1914년 데일 등은 신경전달물질로서 아세틸콜린을 동정하였고, 오토 뢰비는 신경계에서 아세틸콜린의 중요성을 지적했다.[12] 데일은 신경전달물질의 종류에 따라 뉴런을 분류하는 체계를 처음 만들었다.
3. 1. 아세틸콜린의 발견과 신경 전달 기전 연구
1914년 데일은 아세틸콜린을 신경 전달 물질로 처음 확인했으며, 오토 뢰비는 신경계에서 아세틸콜린의 중요성을 밝혀냈다.[12] 데일과 뢰비는 이 공로를 인정받아 193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940년대에 데일은 시냅스에서의 신호 전달 방식에 대한 과학적 논쟁에 참여했다. 데일은 동료 과학자들과 함께 시냅스에서의 신호 전달이 화학적이라고 주장한 반면, 존 캐루 에클스 등은 시냅스가 전기적이라고 믿었다. 이후 연구를 통해 대부분의 시냅스 신호 전달은 화학적이지만, 일부 전기적인 시냅스도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데일은 또한 신경 전달 물질의 종류에 따라 뉴런을 분류하는 방식을 고안했다. 예를 들어, 노르에피네프린(미국에서는 노르아드레날린으로 알려짐)을 방출하는 뉴런은 노르아드레날린성 뉴런, GABA를 방출하는 뉴런은 GABA성 뉴런으로 분류하는 방식이다. 이를 ''데일의 원리''(때로는 ''데일의 법칙''이라고도 함)라고 한다. 데일의 원리는 각 뉴런이 단 하나의 유형의 신경 전달 물질만을 방출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이후 많은 뉴런이 아세틸콜린이나 생체 아민과 같은 고전적인 신경 전달 물질 외에도 신경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을 함께 방출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 원리는 수정되었다. 동일한 뉴런에서 여러 종류의 신경 전달 물질이 방출될 수 있다는 발견은 "공존 원리"라고 불린다. 이 현상은 "공존 원리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스웨덴의 신경 해부학자이자 신경 약리학자인 토마스 호크펠트에 의해 널리 알려졌다.
3. 2. 시냅스 신호 전달 논쟁
1940년대 헨리 핼릿 데일은 시냅스에서의 신호 전달 방식에 대한 과학적 논쟁에 참여했다. 데일은 시냅스 신호 전달이 화학적이라고 주장한 반면, 존 캐루 에클스 등은 전기적이라고 주장했다. 후에 대부분의 시냅스 신호 전달은 화학적이지만, 전기적인 시냅스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12]3. 3. 데일의 원리
데일은 신경 전달 물질의 종류에 따라 뉴런을 구별하는 방식을 만들었다. 예를 들어, 노르에피네프린(미국에서는 노르아드레날린으로 알려짐)을 방출하는 뉴런은 노르아드레날린성 뉴런이라고 하고, GABA를 방출하는 뉴런은 GABA성 뉴런이라고 하는 식이다. 이러한 방식을 ''데일의 원리''(때로는 잘못하여 ''데일의 법칙''이라고도 함)라고 한다.[12] 이 원리는 각 뉴런이 단 하나의 유형의 신경 전달 물질만을 방출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많은 뉴런이 아세틸콜린이나 생체 아민과 같은 고전적인 신경 전달 물질 외에도 신경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을 방출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데일의 원리는 수정되었다.[12] 이처럼 동일한 뉴런에서 여러 신경 전달 물질이 방출될 수 있다는 발견을 "공존 원리"라고 한다. 이 현상은 스웨덴의 신경 해부학자이자 신경 약리학자인 토마스 호크펠트에 의해 가장 널리 알려졌으며, 그는 "공존 원리의 아버지"로 여겨진다.[12]4. 제2차 세계 대전과 전후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는 내각의 과학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했다.[12]
5. 수상 및 서훈
연도 | 수상 및 서훈 |
---|---|
1919년 | 대영 제국 훈장 3등급(CBE)[24] |
1924년 | 로열 메달 |
1926년 | 에든버러 대학교 치료학 분야 캐머런 상 |
1932년 | 기사작위(Knight Bachelor) 서임[25] |
1936년 | 노벨 생리학·의학상 |
1937년 | 코플리 메달 |
1943년 | 대영 제국 훈장 1등급(GBE, 작위급 훈장)[26] |
1944년 | 메리트 훈장(Order of Merit, OM)[27] |
1954년 | 밴팅 메달 |
1956년 | 앨버트 메달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미국 철학회,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
참조
[1]
서적
Medical education at St. Bartholomew's hospital, 1123–1995
http://orca.cf.ac.uk[...]
Boydell & Brewer
2016-03-20
[2]
간행물
Henry Hallett Dale. 1875–1968
[3]
학위논문
The early scientific career of Sir Henry Dale FRS (1875–1968)
http://discovery.ucl[...]
University of London
1990
[4]
간행물
Obituary notice: Henry Hallett Dale
[5]
간행물
Obituary. Sir Henry Hallett Dale, O.M., F.R.S
[6]
문서
Dale, Henry Hallett
[7]
문서
Henry Dale's Nobel Prize winning 'discovery'.
[8]
웹사이트
Neurons and synapses. The history of its discovery. IV. Chemical transmission
http://www.cerebrome[...]
[9]
웹사이트
Dale, Sir Henry Hallett (1875–1968)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7-08
[10]
문서
[11]
Nobelprize
2020-05-01
[12]
웹사이트
Fullerian Professorships
http://www.johnmadja[...]
[13]
웹사이트
Biography of Henry Hallett Dale (1875–1968)
http://rigb.org/our-[...]
Royal Institution
[14]
웹사이트
Henry Hallett Dale
https://www.amacad.o[...]
2023-05-12
[15]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5-12
[16]
웹사이트
Henry Dale
http://www.nasonline[...]
2023-05-12
[17]
웹사이트
Sir Henry Dale Fellowships
https://wellcome.ac.[...]
Wellcome Trust
[18]
웹사이트
Medals | Society for Endocrinology
http://www.endocrino[...]
[19]
서적
The London Encyclopaedia
https://books.google[...]
Macmillan Publishers
[20]
웹사이트
DALE, Sir Henry (1875–1968)
https://www.english-[...]
English Heritage
2020-07-04
[21]
문서
Dale; Sir; Henry Hallett (1875 - 1968); Knight Physician
2012-03-26
[22]
LondonGazette
2012-03-26
[23]
LondonGazette
2012-03-26
[24]
저널
https://www.thegazet[...]
2016-10-09
[25]
저널
https://www.thegazet[...]
2016-10-09
[26]
저널
https://www.thegazet[...]
2016-10-09
[27]
저널
https://www.thegazet[...]
2016-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