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드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드로스는 4세기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였다. 그는 아리우스주의 논쟁, 멜레티우스파 문제, 부활절 날짜 논쟁 등 주요 과제에 직면했다. 아리우스주의 논쟁에서 삼위일체 교리를 옹호하며 아리우스를 파문했고, 니케아 공의회에 참석하여 아리우스주의를 최종적으로 규탄하는 데 기여했다. 알렉산드로스는 공의회 후 알렉산드리아로 돌아와 328년경 사망했으며, 부제였던 아타나시우스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그는 몇몇 저술을 남겼으며,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 동방 정교회, 가톨릭교회에서 성인으로 존경받는다.

2. 생애

알렉산드로스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비교적 적다. 그는 사제 시절 갈레리우스 황제와 막시미누스 다이아 황제에 의한 기독교 박해를 경험했다.

2. 1.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선출

알렉산드로스는 알렉산드리아의 아킬라스가 사망하면서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가 되었다. 아킬라스의 짧은 재임 기간은 그의 전임자인 알렉산드리아의 베드로가 아리우스를 교회 공동체로 다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명령을 어겼기 때문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3. 주요 과제 및 업적

알렉산드로스는 총대주교로 재임하면서 세 가지 주요 과제에 직면했다.

첫째는 부활절 날짜를 정하는 문제였다. 알렉산드로스는 니케아 공의회에서 부활절 날짜를 독자적으로 결정하고, 이를 로마와 다른 기독교 지역에 알리는 권한을 부여받았다.[3]

둘째는 리코폴리스의 멜레티우스를 따르는 멜레티우스파 문제였다. 멜레티우스는 알렉산드로스를 비방하고, 아리우스와 연합 전선을 구축하기도 했다. 이 문제는 니케아 공의회에서 멜레티우스가 교회로 돌아오는 것을 허용하면서 일단락되었다.[3]

셋째는 아리우스주의와의 논쟁이었다. 알렉산드로스는 아리우스의 주장을 반박하고 여러 차례 공의회를 소집하여 아리우스파를 규탄했다.[3] 이 문제는 325년 니케아 공의회를 통해 아리우스가 파문되면서 일단락되었다.

3. 1. 멜레티우스파 문제

알렉산드로스의 두 번째 주요 관심사는 리코폴리스의 멜레티우스 문제였다. 멜레티우스는 이전에 아킬라스를 비방했던 것처럼 알렉산드로스를 계속 비방했다. 그는 심지어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의 궁정에 공식적인 고소를 제기했지만, 특별한 주의를 받지는 못했다.[3]

더 중요한 것은 멜레티우스가 아리우스와 일종의 공동 전선을 구축한 것처럼 보였다는 점이다. 멜레티우스는 상관의 동의 없이 스스로 주교들을 서임하기도 했다. 이 논쟁은 니케아 공의회까지 계속되었고, 알렉산드로스는 멜레티우스가 교회로 돌아오도록 허용하여 멜레티우스와 아리우스의 동맹을 효과적으로 종식시켰다.[3]

3. 2. 아리우스주의 논쟁

알렉산드로스가 재임 중 직면한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는 아리우스주의였다. 그는 아리우스의 주장을 반박하고, 여러 차례 공의회를 소집하여 아리우스파를 규탄했다.[3]

3. 2. 1. 아리우스와의 갈등

알렉산드로스가 직면한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는 아리우스와의 갈등이었다. 알렉산드로스의 전임자인 아킬라스는 아리우스가 교회로 돌아오는 것을 허락했을 뿐만 아니라 알렉산드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교회를 맡겨 아리우스가 알렉산드리아 기독교 공동체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했다.[3]

두 사람의 갈등은 알렉산드로스가 설교에서 삼위일체의 일치를 선포하면서 시작되었다. 아리우스는 알렉산드로스의 주장이 이미 배척된 사벨리우스주의라고 비난했다. 논쟁은 빠르게 확대되었고, 아리우스는 자신의 주장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얻어 세력을 확장했다. 그는 여러 집사들과 최소한 한 명의 사제를 확보했고, 그들은 스스로 사제들을 서임하기 시작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사제들과 집사들의 모임을 소집했지만, 확고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고 아리우스의 신념 확산을 막는 데도 실패했다.[3]

320년, 알렉산드로스는 알렉산드리아와 인근 마레오티스 지역의 공의회를 소집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이 공의회에서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를 포함한 36명의 사제와 44명의 집사는 아리우스파를 규탄하는 문서에 서명했다. 그러나 아리우스는 마레오티스와 리비아 등 다른 지역에서 자신의 신념을 전파하며 세쿤두스 주교와 토마스를 설득하여 자신의 편에 합류시켰다. 아리우스가 교회 지도자들을 분열시키는 데 성공하면서, 공식적인 분열 가능성이 현실화되었다.[3]

321년, 알렉산드로스는 100명 이상의 참가자들이 모인 전국 교회의 총회를 소집했다. 이 총회에서 아리우스는 아들이 아버지와 공존할 수 없으며, 심지어 아들은 아버지와 본질적으로 유사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총회 참석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아리우스는 자신의 주장을 철회할 때까지 파문당했다.[3]

아리우스는 팔레스타인으로 가서 여러 주교들의 지지를 얻었다. 특히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는 비잔티움 황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아리우스의 사상을 널리 퍼뜨리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상황은 콘스탄티누스 1세 황제가 직접 나서서 교회 일치 회복과 분쟁 종식을 촉구하는 편지를 보내게 만들었다.[3]

알렉산드리아의 아리우스 추종자들은 폭력에 가담하기 시작했고, 알렉산드로스는 모든 기독교 주교들에게 회람 서신을 보내 아리우스파의 역사와 문제점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전달했다. 또한, 그는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가 비티니아 교회의 지방 공의회를 소집하여 아리우스를 시리아 교회의 친교에 받아들인 사실을 알렸다. 티루스의 파울리누스, 카이사리아의 에우세비우스, 스키토폴리스의 파트로필루스 등도 아리우스를 지지했으며, 그의 추종자들이 예배에 모일 수 있도록 허용했다.[3]

이 무렵 아리우스는 자신의 저서 "탈리아"를 썼고, 이는 그의 주장에 대한 더 많은 지지를 얻는 데 기여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자신의 집사인 아타나시우스의 조언에 따라 신앙 고백서를 작성하여 모든 주교들에게 보내 자신의 입장을 지지하도록 요청했다. 그는 약 250개의 서명을 받았으며, 콘스탄티노플의 알렉산드로스와 교황 실베스테르 1세, 예루살렘의 마카리우스 등과도 서신을 주고받았다.[3]

아리우스파 논쟁은 교회와 제국의 평화와 일치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알렉산드로스와 아리우스에게 분쟁을 끝낼 것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다. 이 편지는 코르도바의 호시우스 주교를 통해 전달되었다.[3]

콘스탄티누스의 메시지를 받은 후, 알렉산드로스는 교구의 또 다른 총회를 요청했다. 이 총회는 이전에 알렉산드로스가 유포했던 신앙 고백에 동의하고, "공본질"이라는 신학 용어 사용에 동의했다. 또한 아리우스의 파문과 멜레티우스 추종자들에 대한 규탄을 재확인했다. 아리우스는 알렉산드로스의 처사에 대해 황제에게 공식적으로 항의했고, 콘스탄티누스는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아리우스가 자신의 주장을 변론하도록 했다.[3]

3. 2. 2. 공의회 소집 및 아리우스 파문

알렉산드로스는 아리우스와의 갈등이 심화되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차례 회의를 소집했다. 320년에는 알렉산드리아와 인근 마레오티스 지방의 공의회를 소집하여 아리우스파를 규탄하는 문서에 서명하도록 했다.[3] 이 공의회에는 아타나시우스를 포함한 36명의 사제와 44명의 집사가 참여했다.[3]

그러나 아리우스는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고, 오히려 리비아 등 다른 지역으로 자신의 신념을 전파하여 세쿤두스와 토마스 등의 지지를 얻었다.[3] 이에 321년, 알렉산드로스는 100명이 넘는 참가자들이 모인 전국 교회 총회를 소집했다.[3] 이 총회에서 아리우스는 "아들은 아버지와 본질적으로 유사하지 않다"라는 주장을 펼쳤고, 이는 참석자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3] 결국 총회는 아리우스를 파문하기로 결정했다.[3]

파문 이후 아리우스는 팔레스타인으로 떠났지만,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를 비롯한 여러 주교들의 지지를 받으며 세력을 확장했다.[3] 에우세비우스는 비잔티움 황실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아리우스의 사상을 널리 퍼뜨리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3]

3. 2. 3. 신앙 고백서 작성 및 서신 교환

알렉산드로스는 자신의 입장을 옹호하는 신앙 고백서를 작성하여 기독교의 모든 주교들에게 보내 지지를 요청하고 서명을 받았다. 그는 자신의 교구에서 약 100개, 아시아에서 42개, 팜필리아에서 37개, 리키아에서 32개, 카파도키아에서 15개 등 총 250여 개의 서명을 받았다.[3]

또한 콘스탄티노플의 알렉산드로스와 개별 서신을 주고받으며 아리우스파의 폭력과 여성의 영향에 대한 아리우스의 견해를 비판했다. 그는 실베스테르 1세, 예루살렘의 마카리우스, 가자의 아스클레피우스, 아스켈론의 롱기누스, 요안니나의 마카리우스, 티루스의 제노 등과도 아리우스파 문제에 대해 서신을 교환했다.[3]

3. 3. 니케아 공의회 (325년)

아리우스와의 논쟁이 격화되자,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25년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했다.[3] 황제는 알렉산드로스와 아리우스에게 분쟁을 끝낼 것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냈지만, 논쟁은 쉽게 해결되지 않아 결국 콘스탄티누스는 아리우스가 자신의 주장을 변론할 수 있도록 니케아에서 교회 공의회를 열도록 했다.[3]

알렉산드로스는 공의회에 참석하여 아리우스주의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3. 1. 공의회 준비 및 역할

알렉산드로스는 헤라클레이아의 포타몬, 테베의 파프누티우스, 그리고 그의 부제 아타나시우스를 포함한 일행과 함께 니케아 공의회에 참석했다.[3] 그는 회의 주재를 코르도바의 호시우스에게 넘겼지만, 아리우스주의에 대한 주요 고발자 역할을 수행했다.[3]

3. 3. 2. 공의회 결과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아리우스의 파문을 확인하고, 멜레티우스가 주교 직함은 유지하되 주교 권한은 행사할 수 없도록 결정했다.[3] 멜레티우스가 임명한 사람들도 직함은 유지할 수 있었지만, 알렉산드로스가 서임한 주교 중 한 명이 사망해야만 주교로 승격될 수 있었다.[3] 또한 공의회는 알렉산드로스에게 부활절 시기를 스스로 결정하고, 로마와 나머지 기독교 세계에 그 결정을 알릴 권한을 부여했다.[3] 이집트 교회가 성직자 독신에 관한 전통을 유지하도록 허용한다는 결정도 내려졌는데, 이는 테베의 파프누티우스의 조언에 따른 것으로, 파프누티우스는 성직 서임 후 결혼하는 사제들을 허용하도록 알렉산드로스에게 권고했다.[3]

4. 사망 및 유산

알렉산드로스는 니케아 공의회에서 알렉산드리아로 돌아온 지 5개월 후인 328년 4월 17일 (Baramudah영어 22일)에 사망했다.[3] 그는 죽어가면서 자신의 부제였던 아타나시우스를 후계자로 지명했다고 전해진다.[3]

5. 저술

알렉산드로스의 저술은 일부만 전해진다. 아리우스 논쟁에 관해 쓴 편지 모음집 중 두 편이 남아있다. 또한 시리아어 번역본으로 전해지는 '영혼과 육체에 관하여'라는 설교가 있는데, 콥트어 번역본은 이 설교를 아타나시우스에게 귀속한다.[3]

'알렉산드리아의 베드로 찬사'는 다섯 개의 사본(codices)으로 전해지며, 현존하는 단편들과 교황들의 역사에 있는 번역본을 바탕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이 책은 성서적 암시, 전승, 그리고 베드로의 순교에 대한 묘사를 담고 있으며, 복잡한 문학적 구조, 능숙한 신학, 그리고 일반적인 문학적 스타일을 바탕으로 당시 문학 스타일의 가장 좋은 예 중 하나로 여겨진다.[3]

6. 평가 및 시성

알렉산드로스는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 동방 정교회, 가톨릭교회에서 성인으로 존경받는다. 로마 가톨릭 교회는 알렉산드로스를 "백성과 성직자들에게 가장 높은 존경을 받는 사람, 위대하고 관대하며, 웅변적이고, 공정하며, 하나님과 인간을 사랑하고, 가난한 자들에게 헌신적이며, 모든 사람에게 친절하고 자애로운, 해가 하늘에 있는 동안에는 금식을 깬 적이 없는 엄격한 사람"으로 묘사한다.[4]

참조

[1] 웹사이트 Saint Alexander of Alexandria http://saints.sqpn.c[...] 2010-02-23
[2] 백과사전 Alexander of Alexandria https://web.archive.[...] Little, Brown and Company
[3] 서적 The Coptic Encyclopedia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4] 가톨릭 백과사전 St. Alexander (of Alexandria)
[5] 웹사이트 Святитель Александр, Патриарх Александрийский http://www.holytrini[...]
[6] 웹사이트 Alexander of Alexandria - OrthodoxWiki http://orthodoxwiki.[...]
[7]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St. Alexander (of Alexandria) http://www.newadvent[...]
[8] 웹사이트 Александр, епископ александрийский // Энциклопед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Брокгауза и Эфрона. http://mystudies.nar[...]
[9] 웹사이트 Ορθόδοξος Συναξαριστής :: Άγιος Αλέξανδρος Πατριάρχης Αλεξανδρείας http://www.saint.gr/[...]
[10] 문서 당시에는 아직 총주교(파트리아르케이스, 파트리아르히스, 파트리아르프)라는 칭호는 없었지만, 역대 알렉산드리아 총주교에는 포함된다.
[11] 웹사이트 Athanasius of Alexandria - OrthodoxWiki http://orthodoxwiki.[...]
[12] 백과사전 Alexander of Alexandria https://web.archive.[...] Little, Brown and Comp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