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우스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우스주의는 3세기 말부터 4세기 초에 알렉산드리아의 아리우스의 가르침에서 시작된 기독교의 한 분파이다. 아리우스는 성부와 성자가 항상 함께 존재한 것이 아니라 성자는 성부가 창조한 피조물이라고 주장했다. 아리우스주의는 4세기 대부분 동안 교회 구성원, 로마 황제, 게르만족 군벌 등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아리우스주의는 니케아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었지만, 이후에도 여러 분파로 나뉘어 존속했다. 현대에는 유니테리언, 여호와의 증인 등 일부 종교 단체에서 아리우스주의와 유사한 교리를 주장하며,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는 삼위일체론을 부정하는 신학을 가르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교파주의 - 서방 기독교
서방 기독교는 로마 교회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교회의 대분열, 서방교회 대분열, 종교 개혁을 거치며 천주교와 개신교로 나뉘어 전 세계로 확산된 기독교 전통으로, 동방 기독교와 교리, 예식, 조직 구조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 기독교의 교파주의 - 은사 운동
은사 운동은 성령의 은사를 강조하며 다양한 교파에 영향을 미친 기독교 운동으로, 1900년대 초 시작되어 주류 교회로 확산되었으며 성령 세례, 영적 은사, 지속주의를 강조한다. - 기독교의 교파 - 교회
교회는 기독교 신자들의 공동체 또는 예배당을 의미하며, 어원은 신약성서에서 신자들의 모임이나 회중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 고대 그리스어 "에클레시아"에서 유래했고, 교파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신학적 해석을 가진다. - 기독교의 교파 - 대진사
대진사는 당나라 장안에 세워진 경교 사원으로, 당의 지원으로 번성했으나 회창의 폐불로 쇠퇴하고 원나라 시대에 잠시 부흥 후 명나라 시대 비석 발견 전까지 잊혀졌다. - 아리우스파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325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소집한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아리우스 논쟁 해결, 부활절 날짜 확정, 교회 규율 문제 논의를 위해 개최되었으며, 특히 니케아 신경 채택을 통해 삼위일체 교리 확립에 기여했다. - 아리우스파 -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는 4세기 카파도키아 출신의 기독교 신학자, 주교, 시인으로, 대 바실리오스, 니사의 그레고리오스와 함께 카파도키아 교부 중 한 명이며 삼위일체 교리 발전에 기여, 콘스탄티노폴리스 대주교를 역임했고, 동방 정교회에서 '신학자'로 존경받는다.
아리우스주의 | |
---|---|
개요 | |
![]() | |
유형 | 기독론적 교리 |
기원 | 기원후 4세기 초 |
창시자 | 아리우스 |
주요 인물 |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 콘스탄티우스 2세 울필라스 |
주요 텍스트 | 탈리아 |
반대자 |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드로스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오스 미라의 니콜라오스 |
분파 | 아노모에아주의 세미아리우스주의 아카키우스파 |
영향 받은 종교 | 게르만족의 일부 |
영향 준 종교 | 유니테리언주의 |
역사적 맥락 | |
발상지 | 알렉산드리아 |
주요 활동 지역 | 로마 제국, 특히 동방 |
중요한 사건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소멸 | 주로 5세기 이후 소규모 부흥 |
인정하지 않음 | 삼위일체 예수의 신성 (다소 제한적) |
신학적 특징 | |
핵심 믿음 | 예수 그리스도는 하느님에 의해 창조되었다고 주장 따라서 영원하지 않고, 하느님보다 열등하다고 주장 |
성경 해석 | 잠언 8:22-25 구절을 근거로 예수의 창조 주장 |
정치적 영향 | |
관련 통치자 | 콘스탄티우스 2세 (지지) 일부 게르만족 왕국 (일시적 수용) |
박해 | 니케아 공의회 이후 정통 기독교로부터 박해 받음 |
현대적 관점 | |
현대 기독교 | 대부분의 주류 기독교 교단에서 이단으로 간주 |
유사한 신념 | 일부 유니테리언주의 교파에서 유사한 신념 발견 |
관련 문서 | |
관련 주제 | 니케아 신경 기독론 삼위일체 |
2. 기원
아리우스주의는 3세기 말부터 4세기 초까지 알렉산드리아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장로 아리우스의 가르침에서 비롯되었다. 아리우스는 안티오키아 학파의 일원인 안티오키아의 성 루치아노의 제자로, 사모사타의 파울로스의 가르침을 배웠다.[148] 그는 성부와 성자가 항상 함께 존재한 것이 아니라, 성자는 성부가 시간이 시작되기 이전에 창조한 피조물이라고 가르쳤다.[148]
아리우스주의는 성자는 성부 하느님이 시간 시작 이전에 창조한 피조물이며, 따라서 성부와 항상 함께 존재하지 않았다고 가르쳤다.[148] 아리우스는 안티오키아의 성 루치아노의 제자였다.[148]
아리우스 이전에도 테르툴리아누스, 유스티누스 순교자, 오리겐 등 일부 초기 기독교인들은 아들이 영원히 생성되었다는 것을 부인하고, 아들을 시간 속에서 잉태된 존재로 여겼다.[6][7] 오리겐은 "두 번째 신"과 같은 용어를 사용했다는 이유로 아리우스주의 혐의를 받기도 했다.[8] 그러나 오리겐의 종속론은 아리우스주의와 동일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관점에 더 가깝다고 여겨진다.[9][10]
3. 주요 내용
테르툴리아누스와 유스티누스 순교자 등 일부 초기 기독교인들은 아들이 영원히 생성되었다는 것을 부인하고, 시간 속에서 잉태된 존재로 여겼다.[6][7] 오리겐은 "두 번째 신" 등의 용어 사용으로 아리우스주의 혐의를 받았고,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우스는 아들이 하느님의 피조물이라고 말한 것으로 인해 로마에서 비난받았다.[8] 그러나 오리겐의 종속론은 아리우스주의와 동일하지 않으며,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관점에 더 가깝다고 여겨진다.[9][10]
아리우스 논쟁은 3세기 말에 발생하여 4세기 대부분 동안 지속되었으며, 신자, 사제, 수도사, 주교, 황제, 로마 황실 구성원 등 대부분의 교회 구성원이 참여했다. 콘스탄티우스 2세와 발렌스는 아리우스주의자 또는 준 아리우스주의자였으며, 서로마 제국 멸망 전후의 고트족, 반달족, 롬바르드족 군벌들도 그러했다.[11]
아리우스의 저작은 적대자들이 논쟁 목적으로 발췌한 인용구로만 남아 있어, 그의 사상 형성 배경은 확실하지 않다. 아리우스주의는 로고스가 세상 창조 전에 하느님 아버지에 의해 잉태된 신적 존재이며, 그를 통해 다른 모든 것이 창조되었고, 하느님의 아들은 하느님 아버지에게 종속된다고 가르쳤다. 로고스는 지혜인 하느님의 내적 속성이며, 예수님은 하느님의 내적 로고스와의 유사성 때문에 로고스라고 불린다.[4]
"주님께서 그의 일의 시작에 나를 지으셨다"라는 잠언 구절이 아들의 창조에 사용되었다.[28][29] 따라서 아들은 하느님의 피조물 중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완벽한 존재였으며, 아버지의 허락과 권능으로만 "하느님"이라 불렸다.[30]
아리우스파 주교 두로스토룸의 옥센티우스의 편지[32]는 아리우스 선교사 울필라스의 믿음을 보여준다. 하느님 아버지는 항상 존재하며 유일한 참 하느님이고,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는 시간 시작 전에 잉태되었으며,[35] 성령은 빛을 비추고 거룩하게 하는 능력이라고 믿었다.[33]
아리우스가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에게 보낸 편지에는 아리우스파의 핵심 믿음이 명시되어 있다. 아들은 무에서 잉태된 것이 아니며, 어떤 방식으로든 무에서 잉태된 것의 일부가 아니고, 어떤 물질로부터도 생계를 얻지 못하며, 그의 뜻과 계획에 따라 시간 전과 시대 전에 하느님만큼 완전한 존재였다고 한다.
19세기 신학자들은 아리우스와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의 견해 차이가 매우 작았다고 보았다. 귀도 M. 베른트와 롤랜드 슈타이너처는 아리우스의 믿음이 많은 정통 성직자들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었다고 밝혔다.
아리우스주의 교리의 핵심인 예수 종속설은 아리우스 이전 호교 교부들도 가르쳤다.[105][106][107][108][109][110] 사모사타의 파울로스도 비슷한 사상을 가졌으며,[107] 아리우스의 교설은 안티오키아의 루키아노스에게서 계승되었다고 전해진다.[106][113][108]
3. 1. 아리우스파의 주장
아리우스는 안티오키아의 성 루치아노의 제자로, 성자는 성부가 시간이 시작되기 이전에 창조한 피조물이라고 가르쳤다.[148] 아리우스의 저작은 적대자들이 논쟁적 목적으로 발췌한 인용구로만 남아 있다.
아리우스의 기본적인 전제는 오직 하느님만이 그 존재에 있어서 독립적이라는 것이다. 아들은 의존적이므로 피조물이라고 불려야 한다.[27] 아리우스주의자들은 "하느님은 예수님을 자의로 낳으셨는가, 아니면 원치 않게 낳으셨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하여, 예수님이 하느님이 그를 원하기 때문에 존재한다는 사실에서 그의 존재에 의존적이라는 것을 주장했다.[4]
아리우스주의는 로고스가 세상 창조 전에 하느님 아버지에 의해 잉태된 신적 존재이며, 그를 통해 다른 모든 것이 창조되었고, 하느님의 아들은 하느님 아버지에게 종속된다고 가르쳤다.[45] 로고스는 지혜인 하느님의 내적 속성이며, 예수님은 하느님의 내적 로고스와의 유사성 때문에 로고스라고 불린다.[4]
잠언의 한 구절("주님께서 그의 일의 시작에 나를 지으셨다")이 아들의 창조에 사용되었다.[28][29] 따라서, 아들은 하느님의 피조물들 중에서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완벽한 존재였으며, 오직 아버지의 허락과 권능에 의해서만 "하느님"이라고 불렸다.[30]
아리우스파 주교 두로스토룸의 옥센티우스의 편지[32]는 아리우스 선교사 울필라스에 대한 아리우스의 믿음을 보여준다. 아리우스파 주교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에 의해 주교로 서품된 울필라스는 하느님 아버지는 항상 존재하며 유일한 참 하느님이시고,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는 시간이 시작되기 전에 잉태되었으며,[35] 성령은 하느님의 빛을 비추고 거룩하게 하는 능력이라고 믿었다.[33]
아리우스 (c. 250–336)가 아리우스파 니코메디아의 에우세비우스 (341년 사망)에게 보낸 편지에는 아리우스파의 핵심 믿음이 명시되어 있다. 아리우스는 아들이 무에서 잉태된 것이 아니며, 어떤 방식으로든 무에서 잉태된 것의 일부가 아니고, 어떤 물질로부터도 그의 생계를 얻지 못하며, 그의 뜻과 계획에 따라 시간 전과 시대 전에 하느님만큼 완전한 존재로 있었다고 말한다.
아리우스주의는 에우노미우스주의와 호모이안 아리우스주의를 포함한 여러 변종을 가지고 있었다. 호모이안 아리우스주의는 아카키우스와 에우독시우스와 관련이 있으며,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우시아'라는 단어 사용을 피하고, 서로 "유사"하다고 묘사했다.
아리우스주의 교리의 핵심인 예수 종속설은 아리우스가 처음 주장한 것이 아니라, 유스티노스나 오리게네스 등 호교 교부들도 가르쳤다.[105][106][107][108][109][110] 사모사타의 바울도 이와 비슷한 사상을 가졌으며,[107] 아리우스의 교설은 그의 스승이었던 신학자 안티오키아의 루키아노스에게서 계승되었다고 전해진다.[106][113][108]
아리우스파의 주장은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을 부정했다"거나[107], "예수 그리스도는 신적이지만, 그 신성은 신의 양자 됨에 따른 것[117]"이라고 요약될 수 있다.
아리우스는 그리스도의 선재성(마리아의 출산 이전부터, 또한 만물의 창조 이전부터, 그리스도가 자립적인 존재로 존재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아리우스 자신은 그리스도를 "로고스이신 신", "독생자이신 신"으로 언급하고 있다.[119][120]
아리우스와 아타나시우스 모두 신에 의한 "무로부터의 (만물의) 창조" 교리를 가지고 있었다. 이전의 초기 기독교도들은 신과 세계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중간 영역을 설정하여 신의 로고스와 동일시했지만, 아리우스 논쟁에서는 이러한 중간 영역은 인정되지 않게 되었다. 주교 알렉산드로스나 아타나시우스가 신의 로고스(그리스도)를 엄밀한 의미에서 신의 영역으로 귀속시킨 데 반해, 루키아노스와 아리우스는 로고스(그리스도)를 피조물의 영역으로 귀속시켰다.
이러한 생각에서, 그리스도를 "피조물에서 신으로의 양자"라고 생각하는 양자론적 종속설이 생겨났다. 아리우스주의는 그리스도의 피조성, 즉 "예수는 아버지이신 신으로부터 태어난 것이 아니라, 아버지에 의해 창조되었다"고 주장하며, 그리스도의 영원성을 부정한다.[122] 신의 피조물인 예수는, 신으로부터 직접 창조된 피조물이며, 다른 피조물은 그리스도를 통해 창조되었다고 이해된다.[123]
아리우스파와 니케아파(아타나시우스파)의 주장을 다음 표에서 비교한다.
아리우스파의 주장 | 니케아파(아타나시우스파)의 주장 |
구세주의 신성은 본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양자 됨에 의한 것이다.[117] | 「자」(성자, 로고스, 예수 그리스도)는 완전히 영원히 신이다.[117] |
「자」는 두 번째 신, 혹은 (「아버지」보다) 열등한 신이다.[107] | |
예수 안에서 육화된 로고스는 피조물이었다.[117] | |
로고스는 모든 피조물보다 먼저, 처음으로 무로부터 창조된 피조물이다. 이 로고스를 통해 신은 모든 피조 세계를 창조했지만, 그럼에도 로고스는 피조물이다.[107][117] | |
슬로건: 「성자가 존재하지 않던 때가 있었다」[117] | |
유일신 사상을 강조한다. 「아버지」의 위격과 「자」의 위격은 서로 그 본질을 달리한다(헤테로우시오스).[106][133] | 신은 하나의 본질(, 우시아[134], )과, 「성부」·「로고스」(λόγοςel)인 성자(예수 그리스도)·및 「성령(성신)[135]」의 세 위격(, 휘포스타시스[136], ) 안에서 영원히 존재한다.[137] |
3. 2. 아리우스주의의 문제점 (정통 교리 관점)
아리우스주의는 정통 교리, 특히 삼위일체 교리와의 관계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다신교적 요소: 아리우스의 교리는 다신교의 형태가 될 수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126][128] 아리우스는 성부만이 유일한 참 하느님이라고 주장하며 성자를 피조물로 보았는데, 이는 여러 신을 섬기는 다신교와 유사한 구조를 띨 수 있다는 것이다.
- 성경과의 모순: 성경은 하느님은 불변하다고 말하지만,[126][129] 아리우스의 주장대로 예수가 피조물이라면, 성부 하느님은 줄곧 아버지가 아니었을 것이라는 모순이 발생한다.[126][129] 성부는 예수를 낳은 후에야 비로소 "아버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아리우스의 주장은 정통 교회의 입장과 대립하게 되었다. 심지어 아리우스의 입장에 동정적이었던 에우세비우스조차도 예수가 "만들어진" 존재라는 아리우스 교리의 핵심 주장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반대했다.[130]
3. 3. 니케아파의 주장 (반론)
니케아파는 성부, 성자, 성령이 모두 영원하며, 동일한 본질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성자가 성부에게서 창조된 것이 아니라, 영원 전부터 성부와 함께 존재한다고 보았다. 즉, 성자는 성부와 동등하며, 삼위일체의 한 위격이라는 것이다.[117]니케아파(아타나시우스파)는 '자'(성자, 로고스, 예수 그리스도)는 완전히 영원한 신이라고 주장했다.[117] 신은 하나의 본질(우시아ουσίαel[134], substantiala)과, '성부', '로고스'(λόγοςel)인 성자(예수 그리스도)', 그리고 '성령'[135]의 세 위격(휘포스타시스υπόστασιςel[136], personala) 안에서 영원히 존재한다고 보았다.[137]
아리우스파와 니케아파(아타나시우스파)의 주장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아리우스파의 주장 | 니케아파(아타나시우스파)의 주장 |
---|---|
구세주의 신성은 본성에 의한 것이 아니라, 양자 됨에 의한 것이다.[117] | 「자」(성자, 로고스, 예수 그리스도)는 완전히 영원히 신이다.[117] |
「자」는 두 번째 신, 혹은 (「아버지」보다) 열등한 신이다.[107] | |
예수 안에서 육화된 로고스는 피조물이었다.[117] | |
로고스는 모든 피조물보다 먼저, 처음으로 무로부터 창조된 피조물이다. 이 로고스를 통해 신은 모든 피조 세계를 창조했지만, 그럼에도 로고스는 피조물이다.[107][117] | |
슬로건: 「성자가 존재하지 않던 때가 있었다」[117] | |
유일신 사상을 강조한다. 「아버지」의 위격과 「자」의 위격은 서로 그 본질을 달리한다(헤테로우시오스).[106][133] | 신은 하나의 본질(, 우시아[134], )과, 「성부」·「로고스」(λόγοςel)인 성자(예수 그리스도)·및 「성령(성신)[135]」의 세 위격(, 휘포스타시스[136], ) 안에서 영원히 존재한다.[137] |
4. 니케아 신경의 형성과 배격
325년 콘스탄티누스 1세가 소집한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아리우스주의를 이단으로 정죄했다.[40] 공의회는 니케아 신경을 채택하여 성부와 성자가 동일 본질(호모우시오스, ὁμοούσιοςgrc)임을 선언하고, 아리우스주의를 배격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아리우스주의를 따르는 이들에게 사형을 명령하는 칙령을 내렸다.[18] 그러나 콘스탄티누스는 이후 아리우스주의를 복권시키고 추방령을 취소했다.[151]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아리우스주의는 다시 한번 이단으로 정죄되었고, 아나테마(영구 파문)가 선고되었다.[155][152]
5. 아리우스주의 분파
아리우스주의는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357년경 아리우스파 동조자들은 각자의 주장 차이로 인해 세 파로 갈라졌다.[141]
분파 | 설명 | 주요 인물 |
---|---|---|
아노모이오스파 (비유사파) | 아버지와 아들이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주장하는 과격한 분파 | 아에티우스, 퀴지쿠스의 에우노미우스 |
호모이우시오스파 (유사본질파) | 성자는 성부와 본질 면에서 유사하다고 주장하는 분파 (반 아리우스파) | 앙키라의 바실 |
호모이오스파 (유사파) | 성부와 성자가 모든 면에서 유사하거나 단순히 유사하다고 주장하는 분파 (아카키우스파) |
호모이우시오스파의 일부는 성령이 피조물이라고 주장하는 프뉴마토마코이파라고도 불렸다.[141]
5. 1. 아노모이오스파 (비유사파)
아타나시우스는 생애 동안 다섯 번의 추방을 당했지만, 두 번째 추방에서 복귀한 후 세 번째 추방까지의 10년(346-356년)은 니케아파에게 평화로운 시기였다. 그러나 니케아파의 후원자 콘스탄스 1세가 찬탈자 마그넨티우스(재위: 350-353년)에게 살해당하고, 아리우스파 동조자 콘스탄티우스 2세(재위: 337-361년)가 마그넨티우스를 멸망시키고 천하를 통일하면서 모든 것이 역전되었다. 아리우스파의 지도자 무르사의 발렌스와 콘스탄티우스 황제가 결탁하여 니케아파의 지도자들을 잇따라 추방하고 아리우스주의가 부활했다. 그리고 아타나시우스의 세 번째 추방 이후인 357년경부터 아리우스파 동조자들은 각자의 주장 차이로 인해 세 파로 갈라졌다.[141]아노모이오스파는 "아버지와 아들은 본질적으로 비유사하다"고 주장하는, 아리우스가 시사한 방향으로 그 교설을 발전시킨 아리우스 이상의 과격한 아리우스주의자 집단이다. 창시자는 Aetius of Antioch|아에티우스영어 (-367년)이며, 그 제자 퀴지쿠스의 에우노미우스(재위: 360-364)가 대성자이다. 그 외에 무르사의 발렌스, 신기두눔의 우르사키우스,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 에우독시우스(재위: 360-370) 등이 있다.[141]
5. 2. 호모이우시오스파 (유사본질파)
성자는 성부와 본질 면에서 유사하다고 주장하는 분파로, 반(半) 아리우스파라고도 불린다. 아타나시우스, 푸아티에의 힐라리우스, 카파도키아 교부의 노력으로 이 파의 많은 수가 후에 니케아 정통파에 합류했다. 이 파에는 앙키라의 바실 (재위: 336-360), 예루살렘의 키릴로스 (재위: 348/9-386), 세바스테의 유스타티오스 (재위: 357-380), 키지쿠스의 엘레우시오스, 라오디케이아의 게오르기우스 등이 있다.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도 한때 호모이우시오스파에 기울었다[141]。이 파의 일부는 "성령은 피조물이다"라고 주장하는 성령 피조물설을 주장하며 프뉴마토마코이파라고 불렸으며, 후에 마케도니우스파라고도 불렸다[141]。 프뉴마토마코이는 "성령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5. 3. 호모이오스파 (유사파)
성부와 성자는 모든 면에서 유사하거나 단순히 유사하다고 주장하는 분파로, 아카키우스파라고도 불린다.[141] 이들은 본질(우시아)이라는 단어를 피하고 "아버지와 아들은 모든 면에서 유사하다" 또는 단순히 "아버지와 아들은 유사하다"라고 매우 막연하게 주장하여, 사상적으로는 비유사파에 가깝다.[141] 호모우시우스파(동질파: 니케아파)와 호모이우시우스파(유사 본질파)를 모두 배격한다.[141] 예루살렘의 키릴로스, 안퀴라의 바실레이오스, 세바스테의 에우스타티오스는 아카키오스에 의해 주교직에서 파면되었다.[141] 359년부터 360년에 걸쳐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를 끌어들여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지방 회의(360년)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신조(호모이온 신조)"를 확립하고 정치적으로 자파를 승리로 이끌었으나,[141] 율리아누스 황제 토벌에 나선 콘스탄티우스 황제가 361년에 병사하면서 호모이오스파의 정치적 기반은 무너져 갔다.[141]6. 역사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리우스주의는 로마 제국 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유지했다. 콘스탄티누스 2세와 발렌스와 같은 일부 로마 황제들은 아리우스주의 또는 반(半)아리우스주의를 지지했다.[148]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에는 고트족, 반달족, 랑고바르드족 등 게르만족 사이에서 널리 퍼졌다.[1] 이들은 아리우스파 기독교를 받아들여 자신들의 왕국을 세웠고, 로마인 다수 인구는 니케아 기독교를 믿었다.[62]
아리우스는 안디옥 학파의 일원인 안티오키아의 성 루치아노의 제자로, 사모사타의 파울로스의 가르침을 배웠다.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하여 기독교의 교리적 기초를 정의했으며, 이는 아리우스주의자들이 제기한 질문에 대한 반박으로 작용했다. 아리우스는 주교가 아니었기 때문에 공의회에 참석할 수 없었고, 니코메디아의 유세비우스가 그를 대변했다. [17]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 참석한 약 300명의 주교 중 두 명만이 아리우스주의를 정죄하는 니케아 신조에 서명하지 않았다.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아리우스주의 저술을 넘겨주기를 거부하는 자들에게 사형을 명령했다.[18]
콘스탄티누스 1세는 유세비우스 주교에게 337년에 세례를 받은 후[19][17] 335년에 제1차 티레 공의회를 소집하여, 아리우스를 재수용하는 것을 거부한 아타나시우스를 "살인, 불법 과세, 마법, 반역" 혐의로 재판했다.[38] 아타나시우스는 트리어로 추방되었고, 아리우스는 사실상 무죄가 되었다.[20]
아타나시우스는 아리우스와 콘스탄티누스가 사망한 후 346년에 알렉산드리아로 돌아왔다. 아리우스주의가 확산되었지만, 아타나시우스와 다른 니케아 기독교 교회 지도자들은 아리우스 신학에 대항하는 십자군을 결성했고, 아리우스는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다시 한 번 이단으로 파문되고 정죄되었다.[21][38]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논쟁을 종식시키지 못했는데, 동방 지방의 많은 주교들이 니케아 신조의 핵심 용어인 ''호모우시오스''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기 때문이다.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사망한 후, 공개적인 논쟁이 다시 시작되었다. 콘스탄티누스의 아들 콘스탄티우스 2세는 로마 제국 동부의 황제가 되어 아리우스파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니케아 신조를 뒤집으려 했다.[50]
콘스탄티우스는 자신의 권력을 사용하여 니케아 신조를 지지하는 주교들을 추방했는데, 특히 성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는 로마로 도망갔다.[51] 355년 콘스탄티우스는 단독 로마 황제가 되었고, 서부 지방으로 친 아리우스 정책을 확대하여 자신의 신조를 강요하기 위해 무력을 자주 사용했으며, 심지어 교황 리베리우스를 추방하고 대립 교황 펠릭스 2세를 임명했다.
357년 제3차 시르미움 공의회는 아리우스주의의 절정이었다. 제7차 아리우스 신앙고백(제2차 시르미움 신앙고백)은 ''호모우시오스''(동일 본질)와 ''호모이우시오스''(유사한 본질) 모두 비성경적이며, 성부가 성자보다 더 위대하다고 주장했다.
새로운 공식을 만들기 위한 논쟁이 치열해지면서 니케아 신조의 반대자들 사이에 세 개의 진영이 형성되었다.
- 첫 번째 그룹은 주로 니케아 용어를 반대하고 니케아의 ''호모우시오스'' 대신 ''호모이우시오스''(본질이 유사함)라는 용어를 선호했으며, 아리우스와 그의 가르침을 거부하고 삼위일체의 세 위격의 동등성과 영원성을 받아들였다. 이들은 반대자들에 의해 "반(半) 아리우스파"라고 불렸다.
- 두 번째 그룹은 아리우스의 이름을 언급하는 것을 피했지만, 대체로 아리우스의 가르침을 따랐으며, 성자를 아버지와 유사하다 (''아카키우스파''의 ''호모이오스'')고 묘사했다.
- 세 번째 그룹은 아리우스를 명시적으로 언급하며, 성자를 아버지와 같지 않다 (''아노모이아파''의 ''아노모이오스'')고 묘사했다.
콘스탄티우스는 첫 번째와 두 번째 파티 사이에서 지지하는 입장을 오락가락했으며, 세 번째 파티를 가혹하게 박해했다.
살라미스의 에피파니우스는 358년에 앙키라의 바실의 파티를 "반 아리우스주의"라고 명명했다.
이 그룹들 간의 논쟁은 343년 세르디카 공의회, 358년 제4차 시르미움 공의회, 359년의 이중 리미니 공의회와 셀레우키아 공의회 등 수많은 종교 회의를 낳았으며, 340년과 360년 사이에 14개 이상의 신조 공식이 발표되었다.[53]
361년 콘스탄티우스가 사망한 후, 그의 후계자 율리아누스는 모든 추방된 주교들의 귀환을 허용했다. 그러나 발렌스 황제는 콘스탄티우스의 정책을 부활시켜 "호모이안" 파티를 지지했으며, 주교들을 추방하고 종종 무력을 사용했다.
테오도시우스 1세의 공동 통치 시대에 이르러서야 아리우스주의는 동로마 제국의 지배 계급과 엘리트 사이에서 사실상 사라졌다. 발렌스는 378년 아드리아노플 전투에서 사망했고, 테오도시우스 1세가 그 뒤를 이었다. 그는 니케아 신조를 고수했다.[56]
테오도시우스가 콘스탄티노플에 도착한 이틀 뒤인 380년 11월 24일, 그는 아리우스 주교 콘스탄티노플의 데모필루스를 추방하고 그 도시의 교회를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우스에게 넘겨주었는데, 이 행위는 폭동을 유발했다.
381년, 제2차 에큐메니칼 공의회에서 주로 동방의 주교들이 모여 381년 니케아 신조를 받아들였으며,[59] 이것은 일반적으로 삼위일체에 대한 논쟁의 종식과 로마의, 비게르만 민족들 사이의 아리우스주의의 종식으로 간주된다.[60]

아리우스주의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번성할 당시, 고트족 출신으로 아리우스파 주교였던 울필라스가 선교사로 다뉴브 강 너머의 고트 부족에게 파견되었는데, 이는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가 정치적인 이유로 지원한 선교였다. 다뉴브 지방의 호모이안들은 고트족의 아리우스주의 개종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61]
울필라스가 고트어로 성경을 번역하고 고트족을 아리우스파로 개종시키는 데 성공한 것은 이후 사건들에 의해 더욱 강화되었다. 고트족의 개종은 반달족, 랑고바르드족, 수에비족, 부르군트족을 포함한 다른 게르만 부족들 사이로 아리우스주의가 널리 퍼지는 결과를 낳았다.[1]
4세기에는 아리우스파와 니케아파가 서유럽의 지배권을 놓고 다투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5세기에 붕괴된 서방 제국에 세워진 아리우스파 게르만 왕국들 사이에는 완전히 분리된 아리우스파 교회와 니케아파 교회가 병렬적인 계층 구조를 가지며 각기 다른 신자 집단을 섬기고 있었다. 게르만 엘리트들은 아리우스파였고, 로마인 다수 인구는 니케아파였다.[62]
니케아 공의회 이후 아리우스주의의 겉보기상 부활은 아리우스파 지지자들이 아리우스주의를 옹호하기 위한 발전이라기보다는 반 니케아 반응을 악용한 것에 더 가까웠다. 4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남은 세력마저 삼위일체론에 굴복했다. 서유럽에서 아리우스주의는 게르만 부족들에게 아리우스파 선교사였던 울필라스에 의해 전파되었으며, 고트족, 랑고바르드족과 반달족 사이에서 지배적이었다.[63] 8세기까지는 부족 통치자들이 점차 니케아 정통 신앙을 받아들이면서 부족의 주류 신앙에서 사라졌다. 이 추세는 496년 프랑크의 클로비스 1세, 587년 서고트족의 레카레드 1세, 653년 롬바르드족의 아리페르트 1세 때 시작되었다.[64][65]
프랑크족과 앵글로색슨족은 다른 게르만 민족들과 달리 게르만 이교 상태로 서로마 제국에 들어와 칼케돈 기독교로 개종했다.[66]
남은 부족들, 즉 반달족과 동고트족은 민족 전체가 개종하지 않았고, 영토적 결속도 유지하지 못했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의 군대에 군사적으로 패배한 후, 그 잔당들은 제국의 변방으로 흩어져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533~534년의 반달 전쟁으로 패배한 반달족은 흩어졌다.[67] 553년 몬스 락타리우스 전투에서 최종적으로 패배한 후, 동고트족은 북쪽으로 돌아가 오스트리아 남부에 (재)정착했다.
고트족과 반달족을 포함한 동남부 유럽과 중부 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아리우스주의를 받아들였고(서고트족은 376년 주교 울필라스를 통해 아리우스 기독교로 개종했다), 이로 인해 아리우스주의는 로마 제국의 여러 전쟁에서 종교적 요인이 되었다.[68]
서쪽에서는 조직적인 아리우스주의가 6세기와 7세기에 진압될 때까지 북아프리카, 히스파니아, 이탈리아 일부 지역에서 살아남았다. 서고트 스페인은 589년 제3차 톨레도 공의회에서 왕 레카레드 1세를 통해 니케아 기독교로 개종했다.[69] 그리모알드, 롬바르드족의 왕 (662–671)과 그의 어린 아들인 후계자 가리발드 (671)는 유럽의 마지막 아리우스파 왕이었다.[70][71]
7. 현대의 아리우스주의
현대에는 여호와의 증인, 유니테리언,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 등 일부 종교 단체들이 아리우스주의와 유사한 신학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신앙이 아리우스의 가르침에서 직접적으로 비롯된 것은 아니다.[78][79][80]
여호와의 증인은 성부 여호와를 유일한 참 하나님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첫 번째 창조물이자 다른 모든 것을 창조하는 중간 매개체로 믿는다. 또한 성령의 인격을 부인하며, 오직 예수(아들)를 중재자로서 하나님 아버지, 즉 여호와께만 예배하고 기도한다.[86][87] 이러한 교리상의 유사점 때문에 여호와의 증인은 종종 "현대의 아리우스파"라고 불리기도 하지만,[81][82] 여호와의 증인 스스로는 이러한 주장을 부인한다.[86]
Iglesia ni Cristo의 기독론은 아리우스주의와 유사하게 아버지 하나님만이 참 하나님이시며, 그리스도의 선재성을 부인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따라서 Iglesia ni Cristo의 기독론은 아리우스주의보다는 소시니안에 가깝다.[88]
그리스도형제단[89] 및 하나님의 교회 총회와 같은 다른 성경적 유니테리언주의자들 역시 기독론에서 아리우스주의보다는 일반적으로 소시니주의에 가깝다.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LDS 교회)는 비삼위일체론 신학을 가르치지만, 아리우스주의와는 여러 가지 주요 차이점이 있다.[90] 아리우스주의는 고전적 유신론의 일원론적 기독교 형태인 반면, 후기 성도 신학은 고전적 유신론 밖의 비삼위일체론적(그러나 일원론적이지 않은) 기독교 형태이다. 아리우스주의는 하나님은 영원하시고, 결코 인간이 아니셨으며, 인간으로 화신할 수 없다고 가르치는 반면, LDS 교회는 "하나님 자신은 승격된 인간으로, 완전하고, 즉위하시고, 지극히 높으신 분"이라고 가르친다.[91]
아리우스주의는 인간이 신이 될 수 없다고 부인하는 반면, LDS 교회는 인간이 승영을 통해 신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92] 아리우스주의는 아들이 창조되었다고 가르치는 반면, LDS 교회는 그가 천상의 어머니와 하늘 아버지의 문자적인 영의 자녀로 잉태되었다고 가르친다.[93] 그리스도의 무로부터의 창조는 아리우스주의의 근본적인 전제인 반면, LDS 교회는 어떠한 형태의 ''무로부터'' 창조를 부인한다.[94]
아리우스주의는 하나님이 무형의 존재라고 가르치는 반면, LDS 교회는 하나님이 유형의 육신을 가지고 있다고 가르친다. "아버지께서는 인간과 같이 살과 뼈로 된 육신을 가지고 계시며, 아들 또한 그러하시다. 그러나 성령은 살과 뼈로 된 육신이 없으나, 영의 인격을 가지고 계신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성령은 우리 안에 거할 수 없을 것이다."[95] 아리우스주의는 전통적으로 하나님은 아들에게조차 이해할 수 없다고 가르치는 반면, LDS 교회는 하나님이 이해할 수 없다는 교리를 거부한다.[96] 아리우스주의는 그리스도가 존재론적으로 아버지보다 열등하고 종속적이라고 가르치는 반면, LDS 교회는 그리스도가 아버지와 권능과 영광에 있어서 동등하다고 가르친다. 따라서 이 둘은 신중하게 구별해야 한다. 이들은 긍정하는 것보다 부인하는 점에서 더 유사하다.
LDS 교회는 아버지, 아들, 성령이 목적에 있어서 하나로 연합된 세 분리된 존재라고 가르친다. "아버지, 아들, 성령(또는 성신)은... 세 분리된 육신을 가지고 있지만 사랑, 목적, 의지에 있어서 완전한 하나"이며,[97] 예수의 고별 기도, 세례, 변형, 그리고 스테판의 순교에서 볼 수 있다.[98] 따라서, 교회의 첫 번째 신조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우리는 영원하신 아버지 하나님과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와 성신을 믿는다."[99]
후기 성도들은 이 셋이 집합적으로 "하나의 영원한 하나님"이라고 믿지만,[100] 세 분이 동일 본질이라는 니케아의 삼위일체 정의를 거부한다.[96] 어떤 면에서, 후기 성도 신학은 아리우스주의보다 사회적 삼위일체론과 더 유사하다.
유니테리언주의는 근대에 일어난 사상 조류이지만, 그리스도의 신성도 부정한다는 점[117]에서 아리우스파와 다르며, 죄를 선인 인간성에 있어서의 일과성의 불완전함으로 파악하는 경향이 있는 등, 삼위일체론의 부정에 그치지 않는 면을 가지고 있어,[117] 단순히 아리우스주의와 같다고 할 수 없다.
브리태니커 국제 대백과사전에 따르면, "여호와의 증인의 기독론은, 아버지 하나님의 일치와 우월성을 지지하기 때문에, 아리우스주의의 일 형태이다[142]"라고 한다.
참조
[1]
백과사전
ARIANISM
http://www.jewishenc[...]
Kopelman Foundation
2020-12-01
[2]
백과사전
Arianism
https://www.britanni[...]
2023-06-22
[3]
서적
The first seven ecumenical councils (325–787) p. 52: their history and theology
http://archive.org/d[...]
Collegeville, Minn. : Liturgical Press
1990
[4]
웹사이트
Newman Reader – Arians of the 4th Century – Chapter 1–5
https://www.newmanre[...]
2023-04-09
[5]
서적
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In Which the Words Are Deduced from their Originals; and Illustrated in Their Different Significations by Examples from the Best Writers
https://books.google[...]
Beeves and Turner
1828
[6]
웹사이트
R.E. Roberts, The Theology of Tertullian (1924), Chapter 7 (pp. 140–148)
https://www.tertulli[...]
2022-12-15
[7]
서적
The Eternal Generation of the Son: Maintaining Orthodoxy in Trinitarian Theology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2
[8]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Arianism
https://www.newadven[...]
2023-04-10
[9]
서적
God in Three Persons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4
[10]
서적
T&T Clark Handbook of the Early Church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1
[11]
웹사이트
'Liberius {{!}} pop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16
[12]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ope Liberius
https://www.newadven[...]
2023-04-16
[13]
서적
"Letters to M. Gondon, Author of 'Mouvement Religieux en Angleterre', 'Conversion de Cent Cinquante Ministres Anglicans', Etc. Etc. Etc: On the Destructive Character of the Church of Rome, Both in Religion and Polity"
https://books.google[...]
F. & J. Rivington
1847
[14]
서적
A Protestant text book of the Romish controversy
https://books.google[...]
1879
[15]
서적
The British and Foreign Evangelical Review and Quarterly Record of Christ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Johnstone & Hnuter
1875
[16]
웹사이트
The Story of the Church – Part 2, Topics 2 & 3
http://www.ritchies.[...]
[17]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ity Vol. 1
https://archive.org/[...]
Harper Collins
[18]
웹사이트
Emperor Constantine's Edict against the Arians
http://www.fourthcen[...]
fourthcentury.com
2010-01-23
[19]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Age of Constant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9-18
[20]
문서
'[[Socrates of Constantinople]], Church History, book 1, chapter 33. Anthony F. Beavers, Chronology of the Arian Controversy.'
[21]
웹사이트
First Council of Constantinople, Canon 1
http://www.ccel.org/[...]
ccel.org
[22]
웹사이트
'Arius {{!}} Biography, Beliefs, & Facts '
https://www.britanni[...]
2023-04-12
[23]
웹사이트
Arius and Neoplatonism
https://minervawisdo[...]
2023-04-12
[24]
웹사이트
The Early Unitarians: Arius and His Followers
https://people.wku.e[...]
2023-04-12
[25]
웹사이트
Plato: proto-trinitarian, or the Father of Arianism? – Trinities
https://trinities.or[...]
2023-04-12
[26]
간행물
A New Look at Arius' Philosophical Background
https://www.academia[...]
2013-01-01
[27]
웹사이트
'Arianism {{!}} Definition, History, & Controvers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4-09
[28]
성경
Proverbs
[29]
서적
Systematic theology: Roman Catholic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010-04-14
[30]
서적
The First Seven Ecumenical Councils (325–787)
https://archive.org/[...]
Liturgical Press
[31]
웹사이트
Newton's Arian beliefs
http://www-groups.dc[...]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University of St Andrews
[32]
웹사이트
Auxentius on Wulfila: Translation by Jim Marchand
http://faculty.georg[...]
[33]
성경
John
[34]
성경
John
[35]
성경
Proverbs
[35]
성경
Revelation
[35]
성경
Colossians
[36]
bibleverse
Luke 24:49
[37]
bibleverse
Acts 1:8
[38]
웹사이트
Athanasius, Five-time exile for fighting 'orthodoxy'
https://www.christia[...]
2008-08-08
[39]
서적
The Encyclopedia of Ancient History
2012-10-23
[40]
간행물
The Seven Ecumenical Councils
http://www.ccel.org/[...]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41]
웹사이트
Homoousios
https://episcopalchu[...]
2012-05-22
[42]
웹사이트
The Fathers of Nicea: Why Should I Care?
https://www.oca.org/[...]
2015-05-23
[43]
웹사이트
Athanasian Creed {{!}} Christian Reformed Church
https://www.crcna.or[...]
[44]
웹사이트
The Athanasian Creed by R.C. Sproul
https://www.ligonier[...]
[45]
서적
Pravoslavnoye Dogmaticheskoye Bogosloviye
Saint Herman of Alaska Brotherhood
[46]
bibleverse
Isaiah 46:9
[47]
bibleverse
John 17:3
[48]
웹사이트
Arius and the Nicene Creed {{!}} History of Christianity: Ancient
https://blogs.uorego[...]
[49]
웹사이트
3 things Christians should understand about the Nicene-Constantinopolitan creed
https://transformedb[...]
2014-01-16
[50]
웹사이트
How Arianism Almost Won
https://www.christia[...]
2008-07
[51]
웹사이트
Athanasius
https://www.christia[...]
2008-08-08
[52]
웹사이트
Second Creed of Sirmium or 'The Blasphemy of Sirmium'
http://www.fourthcen[...]
[53]
서적
The Complete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With Bible)
https://books.google[...]
e-artnow
2019-12-18
[54]
뉴스
The history of Christianity's greatest controversy
https://www.csmonito[...]
1999-09-09
[55]
웹사이트
On battling Arianism: then and now
https://legatus.org/[...]
[56]
웹사이트
Theodosius I
https://www.christia[...]
2008-08-08
[5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Later Roman Empire
https://penelope.uch[...]
University of Chicago
[58]
웹사이트
Sozomen's Church History VII.4
http://www.ccel.org/[...]
ccel.org
[59]
웹사이트
The Holy Creed Which the 150 Holy Fathers Set Forth, Which is Consonant with the Holy and Great Synod of Nice
http://www.ccel.org/[...]
ccel.org
[60]
웹사이트
'Arianism {{!}} Definition, History, & Controvers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61]
간행물
The Missing Link: The Homoian Church in the Danubian Provinces and Its Role in the Conversion of the Goths
"[De Gruyter]"
2021-02
[62]
웹사이트
7.5: Successor Kingdoms to the Western Roman Empire
https://human.libret[...]
2016-12-16
[63]
간행물
Lombard Arianism Reconsidered
https://www.journals[...]
1981-04-01
[64]
웹사이트
'Clovis of the Franks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65]
웹사이트
Goths and Visigoths
https://www.history.[...]
2019-04-03
[66]
문서
Encyclopedia of barbarian Europe
ABC-Clio
[67]
문서
Secret Histories
[68]
서적
History of the Franks
[69]
간행물
The Conversion of the Visigoths to Catholicism
[70]
웹사이트
German Tribes org Lombard Kings
http://www.germantri[...]
2011-05-23
[71]
웹사이트
GARIBALDO, re dei Longobardi in "Dizionario Biografico"
https://www.treccani[...]
2021-01-16
[72]
서적
Hunted Heretic. The Life and Death of Michael Servetus
[73]
서적
The Radical Reformation
Edwards Brothers
1992
[74]
간행물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2004-09-23
[75]
서적
Religious identities in Britain, 1660–1832
[76]
백과사전
Arianism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77]
서적
Dictionary of Christian Biography and Literature to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John Murray
1911
[78]
웹사이트
Trinity > Unitarianism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2021-01-16
[79]
웹사이트
The Trinity and other gods
https://mbcpathway.c[...]
2020-06-28
[80]
웹사이트
Arianism is taught by the Jehovah's Witness organization
https://carm.org/jeh[...]
2010-05-04
[81]
서적
The Arian Christian Bible
https://books.google[...]
Metaphysical Institute
2010
[82]
웹사이트
Ten Things You Didn't Know about Jehovah's Witnesses.
http://www.miskeptic[...]
[83]
웹사이트
Modern Day Arians: Who Are They?
http://www.believers[...]
2012-05-02
[84]
웹사이트
Trinity: Arius and the Nicene Creed
http://www.bible.ca/[...]
2012-05-02
[85]
웹사이트
Jehovah's Witnesses
http://www.fatherale[...]
2012-05-02
[86]
간행물
We Worship What We Know
https://wol.jw.org/e[...]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2020-10-28
[87]
간행물
Should You Believe in the Trinity?
http://wol.jw.org/en[...]
Watch Tower Bible and Tract Society of Pennsylvania
2020-10-28
[88]
웹사이트
Iglesia Ni Cristo (Church Of Christ)
https://iglesianicri[...]
2020-06-16
[89]
웹사이트
Jesus: God the Son or Son of God?
https://thechristade[...]
[90]
서적
A Scriptural Defence of the Doctrine of the Trinity: Or a Check to Modern Arianism as Taught by Campbellites, Hicksites, New Lights, Universalists and Mormons, and Especially by a Sect Calling Themselves "Christians"
L. Colby
1846
[91]
웹사이트
Exaltation
https://www.churchof[...]
2023-05-01
[92]
문서
D&C 132:20
[93]
웹사이트
Mother in Heaven
https://www.churchof[...]
2023-05-20
[94]
웹사이트
'Man Was Also in the Beginning with God'
https://www.churchof[...]
2021-04-03
[95]
문서
D&C 130:22
[96]
간행물
The Only True God and Jesus Christ Whom He Hath Sent
https://www.churchof[...]
2007-11
[97]
웹사이트
The Trinity of traditional Christianity is referred to as the Godhead
https://newsroom.chu[...]
2021-08-09
[98]
웹사이트
Gospel Topics: Godhead
https://www.churchof[...]
2021-08-09
[99]
문서
Articles of Faith 1
[100]
문서
alma 11:44
[101]
서적
Theory of Mediumship
Allan Kardec
[102]
문서
Άρειος、Arius
[103]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アリウス派」の解説
https://kotobank.jp/[...]
2202-05-22
[104]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のArianism
https://www.biblical[...]
2202-05-22
[105]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early church
Eerdmans
1976
[106]
웹사이트
АРИАНСТВО «Православ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http://www.pravenc.r[...]
[107]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Arianism
http://www.newadvent[...]
[108]
서적
初代教会史論考
[109]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1982
[110]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Early Church
[111]
서적
中世思想原典集成 別巻 中世思想史/総索引
平凡社
2002
[112]
서적
中世思想原典集成1 初期ギリシャ教父
平凡社
1995
[113]
서적
山川 世界史小辞典
山川出版社
2004/01
[114]
문서
致命者・殉教者
[115]
웹사이트
The Monk Martyr Lucian, Presbyter of Antioch (Commemorated on October 15)
http://www.holytrini[...]
HOLY TRINITY RUSSIAN ORTHODOX CHURCH, a parish of the Patriarchate of Moscow
[116]
웹사이트
St. Lucian of Antioch - Saints & Angels - Catholic Online
http://www.catholic.[...]
[117]
서적
2010
[118]
웹사이트
ΙΕΡΑ ΜΗΤΡΟΠΟΛΙΣ ΗΛΕΙΑΣ, Με την επιφύλαξη παντός δκαιώματος
http://www.imilias.g[...]
[119]
웹사이트
Arius and Euzoius to the Emperor Constantine
http://www.fourthcen[...]
2017-04-29
[120]
웹사이트
Thalia
http://www.fourthcen[...]
2017-04-29
[121]
서적
使徒教父文書
[122]
서적
キリスト教神秘思想の源流
[123]
서적
中世思想原典集成 別巻 中世思想史/総索引
平凡社
2002
[124]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early church
Eerdmans
1976
[125]
문서
A short history of the early church、P114に「アリウスの見解は、波紋されたサモサタのパウロ、テオドトスに比べて劣っている」 ''A short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P50に「''必然的に完全で不十分な啓示の教義に繋がった」とある。
[126]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
Fortress Press
1966
[127]
문서
Bernhard Lohseの''A short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P50、アリウスの教義は、「新しい形の多神教に繋がる」それは、「イエスにおける神の啓示を否定するか、複数の神がいると仮定し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を意味している」と書かれている。
[128]
문서
''A short history of Christian doctrine、P50「''アリウスの教義は、「新しい形の多神教に繋がる」それは、「イエスにおける神の啓示を否定するか、複数の神がいると仮定しなければならないことを意味している」と書かれている。
[129]
서적
How Jesus Became God: The Exaltation of a Jewish Preacher from Galilee
HarperOne
2014
[130]
서적
中世思想原典集成1 初期ギリシャ教父
平凡社
1995
[131]
서적
2010
[132]
서적
キリスト教大事典
[133]
서적
初代教会史論考
[134]
문서
(ousia):古典ギリシア語再構 (言語学)|再建音からはウーシア、現代ギリシア語からはウシアもしくはウシーアと転写し得る(現代ギリシア語のアクセントは長音のように転写されることも多いが、厳密には現代ギリシア語には長短の区別は無い)。
[135]
문서
聖霊について、正教会の一員である日本ハリストス正教会は「聖霊」ではなく、「アーメン|聖神(せいしん)」「神聖神(かみせいしん)」を訳語として採用している
[136]
문서
(hypostasis):古典ギリシア語再構 (言語学)|再建音からはヒュポスタシス、現代ギリシア語からはイポスタシスと転写し得る。
[137]
문서
当初の議論は「子」の神性を巡ってのものであったが、聖霊の神性、聖霊も同本質としての神なのかについての議論が起こって来た。第1ニカイア公会議(第一全地公会、325年)から議論が続き、第1コンスタンティノポリス公会議(第二全地公会、381年)で、三位一体の定式がまとめられた。
[138]
서적
初代教会史論考
[139]
서적
初代教会史論考
[140]
서적
キリスト教史<2>教父時代
[141]
서적
『初代教会史論考』
[142]
웹사이트
Ariu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202-05-22
[143]
백과사전
ARIANISM
http://www.jewishenc[...]
Kopelman Foundation
2020-12-01
[144]
백과사전
Arianism
https://www.britanni[...]
[145]
백과사전
ARIANISM
http://www.jewishenc[...]
Kopelman Foundation
2020-12-01
[146]
웹인용
Athanasius, Five-time exile for fighting 'orthodoxy'
https://www.christia[...]
2018-08-10
[147]
서적
A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In Which the Words Are Deduced from their Originals; and Illustrated in Their Different Significations by Examples from the Best Writers
https://books.google[...]
Beeves and Turner
1828
[148]
웹인용
The Story of the Church – Part 2, Topics 2 & 3
http://www.ritchies.[...]
[149]
웹인용
"The Letter of the Synod, relative to its Decisions"
https://ccel.org/cce[...]
2020-04-16
[150]
웹인용
Part of an edict against Arius and his followers
https://www.fourthce[...]
2022-04-16
[151]
서적
콘스탄티누스 가문의 기독교적 입법정책
한국학술정보
[152]
웹인용
Athanasius, Five-time exile for fighting 'orthodoxy'
https://www.christia[...]
2018-08-10
[153]
문서
'Church History'
[154]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ity Vol.1
https://archive.org/[...]
Harper Collins
[155]
웹인용
First Council of Constantinople, Canon 1
http://www.ccel.org/[...]
ccel.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