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는 5만 개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고대 그리스어 어휘집을 저술한 인물이다. 이 어휘집은 특이한 어휘, 어원 설명, 고대 그리스 지역 정보 등을 담고 있어, 고대 그리스어 방언 연구, 고전 작가 연구, 잊혀진 언어 및 인도유럽조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헤시키오스는 자신의 어휘집이 디오게니아노스의 어휘집을 바탕으로 하고, 다른 저술가들의 어휘집을 참고했다고 밝혔다. 15세기 필사본이 남아 있으며, 1514년에 처음 인쇄되었고, 현대에는 코펜하겐의 덴마크 왕립 미술원의 후원으로 출판이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세기 이집트 사람 - 논노스
    논노스는 4~5세기에 활동한 고대 로마 시대의 그리스 시인으로, 48권의 서사시 《디오니시아카》를 저술했으며, 후기 그리스 문학에 영향을 미쳤다.
  • 5세기 이집트 사람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412년부터 444년까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지낸 기독교 신학자이자 교부로, 네스토리우스와의 논쟁에서 테오토코스 칭호를 옹호하며 에페소스 공의회를 주도했으나 이교도와 유대인 탄압, 히파티아 피살 사건 연루 의혹 등 논란이 있었다.
  • 고대 그리스의 문법학자 - 아테네의 아폴로도로스
    아테네의 아폴로도로스는 기원전 2세기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의 문법학자, 신화학자, 역사가이며, 주요 저작으로는 《연대기》, 《신들에 대하여》 등이 있으나 대부분 소실되었다.
  • 고대 그리스의 문법학자 - 니카이아의 파르테니오스
    니카이아의 파르테니오스는 기원전 1세기경 활동한 그리스 시인이자 문법학자로, 코르넬리우스 갈루스에게 헌정된 36가지 사랑 이야기 모음집 《사랑의 비애》를 통해 알렉산드리아 시인과 문법학자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5세기 동로마인 - 풀케리아
    풀케리아는 동로마 제국의 황족이자 아우구스타로서 동생 테오도시우스 2세의 섭정 역할을 했으며, 정녀 서약 후 교회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자선 활동과 교회 건축으로 유명하지만, 반유대주의 정책은 비판받았고, 테오도시우스 2세 사후 마르키아누스와 결혼하여 제국 정통성을 유지한 후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 5세기 동로마인 -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는 6세기 수도승이자 학자로, 성서학과 교회법에 능통했으며, 서기 연대표를 고안하고 부활절 계산법을 통해 교회 간의 논쟁을 해결하는 데 기여하여 서방 교회의 법 체계와 달력 체계 확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
기본 정보
헤시키오스의 얼굴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의 얼굴
이름헤시키오스 호 알렉산드레우스
로마자 표기Hēsýchios ho Alexandreús
직업문헌학자
사전 편찬가
출생지알렉산드리아
저서
주요 저서Συναγωγὴ Πασῶν Λέξεων κατὰ Στοιχεῖον (알파벳순 모든 단어의 모음)

2. 어휘집의 내용 및 중요성

Συναγωγὴ Πασῶν Λέξεων κατὰ Στοιχεῖον|쉬나고게 파손 렉세온 카타 스토이케이온grc이라고 명명된 이 저작은 5만 개가 넘는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이 사전에는 특이한 어휘, 형태, 성구의 방대한 목록과 어의 설명이 있으며, 종종 이러한 어휘를 사용한 인물이나 어휘가 사용되었던 고대 그리스 지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5]

이 사전은 고대 그리스어 방언 연구, 아이스킬로스테오크리토스 등 특이한 어휘를 사용한 작가의 원문 복원에 매우 가치가 있다. 또한 그리스어 문헌학뿐만 아니라, 알바니아어파나 트라키아어 등 고대 발칸 반도의 잊혀진 언어나 방언 연구, 인도유럽조어 복원에도 중요하다. 이 저작에 포함된 다수의 어휘는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어 문헌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헤시키오스는 다수의 에피테타(형용어구)와 성구, 숙어의 의미를 설명하여 고대의 종교 및 사회 생활에 대한 중요한 사실을 밝혀냈다. 그는 자신의 어휘집이 디오게니아노스의 어휘집을 바탕으로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 아피온, 헬리오도로스, 아메리아스 등의 어휘집을 참고했다고 밝혔다.

헤시키오스는 기독교도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며,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 등 기독교 저술가가 사용한 어휘 설명("성스러운 난어집")은 후대에 추가된 것이다.

2. 1. 어휘 및 형태

『모든 어휘의 알파벳 순서 컬렉션』(Συναγωγὴ Πασῶν Λέξεων κατὰ Στοιχεῖονgrc)이라는 제목의 저작에는 5만 개가 넘는 항목이 있으며, 특이한 어휘와 그 형태, 성구의 방대한 목록 외에도 어의 설명이 있고, 종종 이러한 어휘를 사용한 인물이나 어휘가 사용되었던 고대 그리스의 지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5] 이 때문에 이 사전은 고대 그리스어 방언 연구자에게, 또한 아이스킬로스테오크리토스와 같이 특이한 어휘를 다수 구사한 작가의 원문을 복원하는 데 매우 가치가 있다. 헤시키오스는 그리스어 문헌학에서 뿐만 아니라, 고대 발칸 반도의 잊혀진 언어나 실체가 불분명한 방언(예를 들어, 알바니아어파) 연구, 또한 인도유럽조어의 복원에도 중요하다. 이 저작에 포함된 다수의 어휘는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어 문헌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헤시키오스는 다수의 에피테타(에피셋)와 성구・숙어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고대의 종교 생활과 사회 생활에 대한 중요한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서론 격인 말에서 헤시키오스는 자신의 어휘집(사전)은 디오게니아노스의 어휘집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문법학자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 아피온, 헬리오도로스, 아메리아스와 다른 저술가들의 비슷한 어휘집도 이용했다고 언급했다.

헤시키오스는 아마도 기독교도는 아니었던 것 같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나 기타 기독교 저술가가 사용한 어휘 설명 부분("성스러운 난어집")은 후대의 가필이다.

어휘집(사전)은 훼손이 매우 심한 15세기 필사본이 보존되어 있는데, 이는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Marc. Gr.622, 15세기). 사전은 1514년에 마르쿠스 무수루스에 의해 베네치아의 알두스 마누티우스의 인쇄소에서 처음 인쇄되었다. 이 판은 후에 1520년과 1521년에 완만한 수정을 거쳐 재판되었다. 현대판은 코펜하겐의 덴마크 왕립 미술원의 후원으로 출판되었다. 쿠르트 라테에 의해 시작되어 1953년에 제1권을 간행했지만, 제2권은 1966년 그의 사후 출판으로 간행되었다. 이 출판 사업은 피터 앨런 한센과 이안 C. 커닝햄에 의해 완성되어, 2005년에 제3권, 2009년에 제4권이 간행되었다.

2. 2. 어원 설명

헤시키오스는 서론에서 자신의 어휘집(사전)이 디오게니아노스(en)(Διογενειανόςgrc, Διογενιανόςgrc})의 어휘집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5] 디오게니아노스는 알렉산드리아의 팜필로스(en)(Πάμφιλος ὁ Ἀλεξανδρεύςgrc。)의 어휘집을 발췌하여 자신의 저작을 만들었다.[5] 헤시키오스는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en)(Ἀρίσταρχος ὁ Σαμόθραξgrc), 아피온(en)( Ἀπίων Πλειστονίκουgrc}), 헬리오도로스(en)(Ἡλιόδωροςgrc}), 아메리아스(en)( Ἀμερίαςgrc}) 등 다른 저술가들의 어휘집도 이용했다.[5]

2. 3. 방언 연구

『모든 어휘의 알파벳 순서 컬렉션』(Συναγωγὴ Πασῶν Λέξεων κατὰ Στοιχεῖον|쉬나고게 파손 렉세온 카타 스토이케이온grc)이라는 저작에는[5] 5만 개가 넘는 항목이 있으며, 특이한 어휘와 그 형태, 성구의 방대한 목록 외에도 어의 설명이 있다. 종종 이러한 어휘를 사용한 인물이나 어휘가 사용되었던 고대 그리스의 지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고대 그리스어 방언 연구자에게 매우 가치가 있다. 또한 아이스킬로스테오크리토스와 같이 특이한 어휘를 다수 구사한 작가의 원문을 복원하는 데도 중요하다. 헤시키오스는 그리스어 문헌학에서 뿐만 아니라, 고대 발칸 반도의 잊혀진 언어나 실체가 불분명한 방언(예를 들어, 알바니아어파[5]트라키아어) 연구, 또한 인도유럽조어의 복원에도 중요하다. 이 저작에 포함된 다수의 어휘는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어 문헌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2. 4. 고대 언어 연구

『모든 어휘의 알파벳 순서 컬렉션』(Συναγωγὴ Πασῶν Λέξεων κατὰ Στοιχεῖον|쉬나고게 파손 렉세온 카타 스토이케이온grc)이라는 이름의 저작에는[5] 5만 개가 넘는 항목이 있으며, 특이한 어휘와 그 형태, 성구의 방대한 목록 외에도 어의 설명이 있다. 종종 이러한 어휘를 사용한 인물이나 어휘가 사용되었던 고대 그리스의 지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고대 그리스어 방언 연구 및 아이스킬로스테오크리토스와 같이 특이한 어휘를 다수 구사한 작가의 원문 복원에 매우 가치가 있다. 헤시키오스는 그리스어 문헌학뿐만 아니라, 고대 발칸 반도의 잊혀진 언어나 실체가 불분명한 방언(예: 알바니아어파[5], 트라키아어) 연구 및 인도유럽조어 복원에도 중요하며, 이 저작에 포함된 다수의 어휘는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어 문헌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헤시키오스는 다수의 에피테타(에피셋)와 성구・숙어의 의미를 설명하여 고대의 종교 및 사회 생활에 대한 중요한 사실을 밝혀냈다.

서론에서 헤시키오스는 자신의 어휘집(사전)이 디오게니아노스의 어휘집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문법학자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 아피온, 헬리오도로스, 아메리아스 등 다른 저술가들의 비슷한 어휘집도 이용했다고 언급했다.

헤시키오스는 기독교도가 아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 등 기독교 저술가가 사용한 어휘 설명 부분("성스러운 난어집" ''glossae sacrae'')은 후대에 추가된 것이다.

어휘집(사전)은 훼손이 매우 심한 15세기 필사본으로만 전해지며,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Marc. Gr.622, 15세기). 1514년 마르쿠스 무수루스가 베네치아의 알두스 마누티우스 인쇄소에서 처음 인쇄했으며, 이후 1520년과 1521년에 약간 수정되어 재판되었다. 현대판은 코펜하겐의 덴마크 왕립 미술원 후원으로 출판되었다. 쿠르트 라테가 시작하여 1953년에 제1권을 간행했고, 제2권은 1966년 그의 사후에 출판되었다. 피터 앨런 한센과 이안 C. 커닝햄이 출판 사업을 완성하여 2005년에 제3권, 2009년에 제4권이 간행되었다.

2. 5. 종교 및 사회 생활 정보

헤시키오스는 다수의 에피테타(형용어구)와 성구, 숙어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대의 종교 생활과 사회 생활에 대한 중요한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5] 헤시키오스는 기독교도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지안제노스의 그레고리오스나 기타 기독교 저술가가 사용한 어휘 설명 부분("성스러운 난어집")은 후대에 추가된 것이다.

3. 어휘집의 편찬 배경 및 과정

헤시키오스의 어휘집은 Συναγωγὴ Πασῶν Λέξεων κατὰ Στοιχεῖον|쉬나고게 파손 렉세온 카타 스토이케이온grc(모든 어휘의 알파벳 순서 컬렉션)이라고 불리며, 5만 개가 넘는 특이한 어휘, 형태, 성구의 방대한 목록과 그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해당 어휘를 사용한 인물이나 고대 그리스 지역 정보도 포함되어 있어 고대 그리스어 방언 연구 및 아이스킬로스, 테오크리토스와 같이 특이한 어휘를 많이 사용한 작가의 원문 복원에 매우 중요하다.[5]

이 사전은 그리스어 문헌학뿐만 아니라 고대 발칸 반도의 잊혀진 언어나 실체가 불분명한 방언(예: 알바니아어파, 트라키아어) 연구와 인도유럽조어 복원에도 중요하다.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어 문헌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 다수의 어휘가 이 사전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5]

헤시키오스는 서문에서 자신의 어휘집이 디오게니아노스의 어휘집을 바탕으로 하고, 알렉산드리아의 팜필로스,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 아피온, 헬리오도로스, 아메리아스 등 다른 저술가들의 어휘집도 참고했다고 밝혔다.

헤스키오스의 어휘집은 현재 훼손이 심한 15세기 필사본 형태로 산마르코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1514년 마르쿠스 무수루스에 의해 알두스 마누티우스 인쇄소에서 처음 인쇄되었으며, 이후 1520년과 1521년에 수정 재판되었다. 현대판은 쿠르트 라테가 시작하여 1953년에 제1권이 간행되었고, 이후 피터 앨런 한센과 이안 C. 커닝햄에 의해 2005년 제3권, 2009년 제4권까지 완간되었다.

3. 1. 기독교 관련 내용

헤시키오스는 아마도 기독교도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Γρηγόριος ὁ Ναζιανζηνός|그리고리오스 호 나지안제노스grc나 기타 기독교 저술가가 사용한 어휘 설명 부분("성스러운 난어집" ''glossae sacrae'')은 후대에 추가된 것이다.[5]

4. 현존 판본 및 현대의 연구

Συναγωγὴ Πασῶν Λέξεων κατὰ Στοιχεῖον|시나고게 파손 레크세온 카타 스토이케이온|모든 어휘의 알파벳 순서 컬렉션grc이라는 제목의 이 사전은 5만 개가 넘는 항목이 있으며, 특이한 어휘와 그 형태, 성구의 방대한 목록 외에도 어의 설명이 있다. 종종 이러한 어휘를 사용한 인물이나 어휘가 사용되었던 고대 그리스의 지역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고대 그리스어 방언 연구 및 아이스킬로스테오크리토스와 같이 특이한 어휘를 많이 사용한 고전 작가의 원문을 복원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헤시키오스는 그리스어 문헌학뿐만 아니라, 고대 발칸 반도의 잊혀진 언어나 실체가 불분명한 방언(예를 들어, 알바니아어파[5]트라키아어) 연구, 또한 인도유럽조어의 복원에도 중요하다. 이 저작에 포함된 다수의 어휘는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어 문헌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헤시키오스는 다수의 에피테타(에피셋)와 성구・숙어의 의미를 설명하여 고대의 종교 생활과 사회 생활에 대한 중요한 사실을 밝히고 있다.

서론에서 헤시키오스는 자신의 어휘집이 디오게니아노스의 어휘집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알렉산드리아의 팜필로스, 사모트라케의 아리스타르코스, 아피온, 헬리오도로스, 아메리아스 등 다른 저술가들의 어휘집도 이용했다고 언급했다.

헤시키오스는 기독교도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오스 등 기독교 저술가가 사용한 어휘 설명 부분("성스러운 난어집" ''glossae sacrae'')은 후대에 추가된 것이다.

어휘집은 훼손이 매우 심한 15세기 필사본만이 전해지고 있으며, 현대의 연구에 대해서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4. 1. 필사본

헤시키오스의 어휘집은 훼손이 매우 심한 15세기 필사본 하나만 전해지고 있으며,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Marc. Gr.622, 15세기).[5]

4. 2. 초판 인쇄

헤시키오스의 어휘집은 훼손이 매우 심한 15세기 필사본으로 전해지며,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Marc. Gr.622).[5] 이 사전은 1514년 마르쿠스 무수루스에 의해 베네치아의 알두스 마누티우스 인쇄소에서 처음 인쇄되었다.[5] 이 판은 1520년과 1521년에 약간의 수정을 거쳐 재판되었다.[5] 현대판은 코펜하겐의 덴마크 왕립 미술원의 후원으로 출판되었다.[5] 쿠르트 라테가 1953년에 제1권을 간행했고, 제2권은 그의 사후인 1966년에 출판되었다.[5] 피터 앨런 한센과 이안 C. 커닝햄이 이 출판 사업을 완성하여 2005년에 제3권, 2009년에 제4권을 간행했다.[5]

4. 3. 현대판

헤시키오스의 어휘집은 훼손이 매우 심한 15세기 필사본으로 전해지며,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Marc. Gr.622, 15세기).[5] 1514년 마르쿠스 무수루스가 베네치아의 알두스 마누티우스 인쇄소에서 처음 인쇄했다.[5] 이 판은 1520년과 1521년에 약간의 수정을 거쳐 재판되었다.[5]

덴마크 왕립 미술원의 후원으로 코펜하겐에서 현대판이 출판되었다.[5] 쿠르트 라테(en)가 시작하여 1953년에 제1권을 간행했지만, 제2권은 1966년 그의 사후에 출판되었다.[5] 피터 앨런 한센(en)과 이안 C. 커닝햄이 출판 사업을 완성하여, 2005년에 제3권, 2009년에 제4권이 간행되었다.[5]

참조

[1] 서적 Ancient Greek Scholarship
[2] 서적 Basic Albanian Etymologies https://books.google[...] Slavica Publishers
[3] 서적 Ancient Greek Scholarship
[4] 서적 辞書の世界史 朝日出版社
[5] 서적 Basic Albanian Etymologies https://books.google[...] Slavica Publishers
[6] 서적 Ancient Greek Scholarshi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