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논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논노스는 4세기 말에서 5세기 중반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로마 시대의 그리스 시인이다. 그는 이집트의 아크밈 출신으로, 대표작으로는 48권으로 구성된 서사시 《디오니시아카》가 있으며, 《요한 복음서》의 의역본도 저술했다. 《디오니시아카》는 디오니소스의 생애와 인도 원정을 다루며, 호메로스 그리스어와 헥사메트론으로 쓰여졌다. 논노스는 후기 그리스 문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은 그리스 신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로마 제국의 시인 - 이오안네스 트제트제스
    이오안네스 트제트제스는 폭넓은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 활동을 펼친 12세기 비잔틴 제국의 학자이자 작가로, 특히 고대 그리스 문학 연구에 기여했다.
  • 동로마 제국의 시인 - 미하일 프셀로스
    미하일 프셀로스는 11세기 동로마 제국의 학자이자 철학자, 정치가로서 콘스탄티노폴리스 대학교의 수석 철학자였으며, 여러 황제의 고문으로 활동하며 정치에 관여했고, 비잔틴 황제들의 역사를 다룬 《연대기》를 포함한 철학, 과학, 종교 등 다양한 분야의 저술을 남겨 고대 철학 연구를 비잔틴 학문에 재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 5세기 이집트 사람 -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
    알렉산드리아의 헤시키오스는 5만 개 이상의 항목을 담은 고대 그리스어 어휘집을 저술했으며, 이 어휘집은 고대 그리스어 방언, 고전 작가, 잊혀진 언어 연구 등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 5세기 이집트 사람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412년부터 444년까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지낸 기독교 신학자이자 교부로, 네스토리우스와의 논쟁에서 테오토코스 칭호를 옹호하며 에페소스 공의회를 주도했으나 이교도와 유대인 탄압, 히파티아 피살 사건 연루 의혹 등 논란이 있었다.
  • 고대 이집트의 시인 - 에라토스테네스
    에라토스테네스는 고대 그리스의 학자로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관장을 역임하며 지구의 둘레를 정확하게 계산하고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고안하는 등 수학, 과학, 지리학 분야에서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고대 이집트의 시인 - 테오크리토스
    테오크리토스는 고대 그리스 시인으로, 목가, 서사시, 연애시 등을 포함하는 30개의 소품으로 구성된 시집을 통해 그리스 문학에 기여했으며, 대표작으로는 《목가》가 있다.
논노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Νόννος ὁ Πανοπολίτης (Nonnos ho Panopolitēs)
출생지파노폴리스 (현대 이집트)
국적로마 제국
활동 시기서기 5세기
직업
직업서사시인
언어호메로스 그리스어
작품
주요 작품디오니시아카

2. 생애

논노스의 생애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다. 그는 필사본에 이름이 언급되어 있고, 《팔라티누스 시집》 9.198의 에피그램에서 언급된 것으로 보아 상 이집트의 아크밈(Panopolis) 출신으로 알려져 있다.[2]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그가 서기 4세기 말에서 5세기 중반까지 활동했다고 추정한다. 그는 클라우디아누스의 그리스어 《기간토마키아》 (즉, 394-397년 이후)의 작품을 알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후에 살았음에 틀림없다. 아가티아스는 그를 "최근 작가"라고 언급하면서 6세기 중반에 그를 따랐던 것으로 보인다.[3][4]

그는 때때로 성 펠라기아의 성인전에 나오는 성 논노스와 칼케돈 공의회에 참석한 에데사 주교인 논노스 (에데사 주교)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이들은 거의 동시대 인물로 보이며, 이러한 연관성은 아마도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3. 작품

논노스의 주요 작품은 48권으로 이루어진 서사시 ''디오니시아''와 ''요한 복음서''의 ''의역''이 있다. ''디오니시아''는 고대 시대에 남아있는 가장 긴 시로, 디오니소스의 생애와 인도 원정, 귀환을 다룬다.[5] ''요한 복음서 의역''은 논노스가 기독교로 개종한 후 쓴 작품으로 추정된다.[6]

그 외에도 디오니소스를 주제로 한 『바사리카』라는 작품이 있었으나, 현재는 비잔티움의 스테파노스(Stephanus of Byzantium)의 주석 속에 4행만이 남아있다. 또한, 『그리스 시선집』에 실린 경구시(ix. 198)에 따르면, 논노스는 『거인족의 싸움』이라는 책의 저자였다고도 한다.

3. 1. 디오니시아카



논노스의 주요 작품은 48권으로 된 서사시 ''디오니시아''이다.[5] ''디오니시아카''의 판본 및 번역본은 다음과 같다.

판본 및 번역본
이중 언어 그리스어-영어판 (초기 소개, 일부 설명 주석): W. H. D. Rouse (1940), Nonnos, Dionysiaca, With an English Translation by W. H. D. Rouse, Mythological Introduction and Notes by H. J. Rose, Notes on Text Criticism by L. R. Lind, 3 vols., Loeb Classical Library, Cambridge (Ma.)
이중 언어 그리스어-프랑스어판 (개별 책에 대한 소개 및 주석 포함): F. Vian (general ed.) (1976–2006), Nonnos de Panopolis, Les Dionysiaques, 19 volumes, Paris
이중 언어 그리스어-이탈리아어판 (소개 및 주석 포함): D. Gigli Piccardi (general ed.) (2003–4), Nonno di Panopoli, Le Dionisiache, BUR, Milano
Nonno di Panopoli, Le Dionisiache, a cura di D. del Corno, traduzione di M. Maletta, note de F. Tissoni, 2 vols, Milano 1997.
F. Tissoni, Nonno di Panopoli, I Canti di Penteo (Dionisiache 44–46). Commento, Firenze 1998


3. 1. 1. 문체 및 특징

논노스의 주요 작품은 48권으로 된 서사시 ''디오니시아''로, 고대 시대에 남아있는 가장 긴 시이다.[5] 이 시는 호메로스 그리스어와 장단 6보격으로 구성된 20,426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내용은 디오니소스의 생애, 인도로의 원정, 그의 승리적인 귀환이다. 이 시는 5세기로 추정된다. 이전에는 문학적 가치가 낮다고 여겨졌지만, 최근의 많은 연구를 통해 이 시가 뛰어난 문학적 기량을 보여준다는 것이 밝혀졌다. 다만, 그 독특한 바로크 양식의 과장성은 현대 독자에게는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다. 그의 운율은 주목할 만하다. 6보격으로 쓰면서, 그는 이전 시인들보다 더 많은 비율의 장음절과 덜한 생략을 사용했다. 이는 그의 섬세한 두운과 유사음 사용과 더불어 그의 시에 독특한 음악성을 부여한다.

논노스의 대표작인 『디오니소스 서사시』는 48권으로 구성된 서사시로, 그 주제는 디오니소스의 인도 원정과 귀환이다. 첫 부분은 에우로페의 약탈, 제우스와 튀폰의 싸움, 테베의 신화적 역사를 다루고 있다. 디오니소스(탄생 장면)는 8권까지 등장하지 않는다. 이 주제는 이미 다른 시인들도 다루었으며, 알렉산드로스 3세(알렉산더 대왕) 시대 이후 왕과 신, 적과 거인족의 대비로 인기를 얻었다.

엄청나게 길고 화려하지만 혼돈스럽고, 아름답지만 인위적인 시, 행동과 열정의 묘사는 등장인물을 전혀 소홀히 하는 등 이 시는 인도의 서사시와 유사하다. 클라우디아누스와 마찬가지로 논노스는 풍부한 학식과 더욱 풍부한 의장을 갖춘 작가였으며, 논노스의 단점은 논노스가 살았던 시대의 단점이었다. 논노스의 장점은 호메로스의 헥사메트론(장단단 육보격)을 끌어오는 데 있어 꼼꼼한 마무리에 있지만, 운율의 정확성은 작품을 단조롭게 만든다. 후대 작가들의 어휘에 대한 논노스의 영향은 컸다.

현존하는 또 다른 작품인 『요한 복음』의 의역본은 논노스가 후반생에 기독교로 개종했음을 암시하며 흥미롭다. 그 스타일은 서사시의 그것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지만, 이미 아름답게 꾸며진 복음서 기자의 이야기체보다 더욱 아름답게 꾸며져 과장되고 맛이 부족한 인상을 준다.

논노스의 다른 작품들은 유실되었다. 『바사리카』(이 역시 디오니소스를 주제로 한 작품이다)는 4행만 비잔티움의 스테파노스(Stephanus of Byzantium)의 주석 속에 남아 있다. 『그리스 시선집』의 경구시에 따르면(ix. 198), 논노스는 『거인족의 싸움』이라는 책의 저자였다.

3. 2. 요한 복음서 의역

논노스의 ''요한 복음서'' ''의역''(''Μεταβολὴ τοῦ κατὰ Ἰωάννην Εὐαγγελίου|Metabolḕ toû katà Iōánnēn Euaggelíougrc'')은 현존하는 작품으로, 논노스가 생애 후반에 기독교로 개종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6] 이 작품은 원문의 아름다움을 더욱 화려하게 꾸며, 때로는 과장되고 세련되지 못한 인상을 주기도 한다.

''파라프레이즈''의 판본 및 번역본은 다음과 같다.

판본 및 번역본
Sherry, L.F., The Hexameter Paraphrase of St. John Attributed to Nonnus of Panopolis: Prolegomenon and Translation (Ph.D.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1991) (영어 번역)
Prost, Mark Anthony. Nonnos of Panopolis, The Paraphrase of the Gospel of John. Translated from the Greek by M.A.P. Ventura, CA: The Writing Shop Press, 2006 (영어 번역)
Nonni Panopolitani Paraphrasis S. Evangelii Joannei edidit Augustinus Scheindler, accedit S. Evangelii textus et index verborum, Lipsiae in aedibus Teubneri 1881 (그리스어 텍스트의 마지막 완전판)



주로 이탈리아 출신 학자 팀이 현재 텍스트를 책별로 재편집하고 있으며, 풍부한 소개와 주석을 덧붙이고 있다. 지금까지 출판된 것은 다음과 같다.

출판된 책
C. De Stefani (2002), Nonno di Panopoli: Parafrasi del Vangelo di S. Giovanni, Canto I, Bologna
E. Livrea (2000), Nonno di Panopoli, Parafrasi del Vangelo di S. Giovanni, Canto B, Bologna
M. Caprara (2006), Nonno di Panopoli, Parafrasi del Vangelo di S. Giovanni, Canto IV, Pisa
G. Agosti (2003), Nonno di Panopoli, Parafrasi del Vangelo di S. Giovanni, Canto V, Firenze
R. Franchi (2013), Nonno di Panopoli. Parafrasi del Vangelo di S. Giovanni: canto sesto, Bologna
K. Spanoudakis (2014), Nonnus of Panopolis. Paraphrase of the Gospel of John XI, Oxford
C. Greco (2004), Nonno di Panopoli, Parafrasi del Vangelo di S. Giovanni, canto XIII, Alessandria
E. Livrea (1989), Nonno di Panopoli, Parafrasi del Vangelo di S. Giovanni, Canto XVIII, Napoli
D. Accorinti (1996), Nonno di Panopoli, Parafrasi del Vangelo di S. Giovanni, Canto XX, Pisa


3. 2. 1. 신학적 해석

그의 ''요한 복음서''의 ''의역''(''Μεταβολὴ τοῦ κατὰ Ἰωάννην Εὐαγγελίου|Metabolḕ toû katà Iōánnēn Euaggelíougrc'') 또한 현존한다. 그 시기는 논쟁의 대상인데, 문헌 분석에 따르면 이 작품은 ''디오니시아카''보다 앞선 것으로 보이지만, 일부 학자들은 개종한 기독교인이 ''디오니시아카''의 이교도적 주제에 그렇게 많은 노력을 기울였을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6] 이 작품의 제작 시점의 하한선은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가 쓴 요한 복음서 주석(425–428년)인데, 논노스의 ''의역''의 신학적 층위가 명백히 그것에 의존하기 때문이다.[7] 더 어려운 문제는 제작 시점의 상한선을 결정하는 것이다. 아마도 이것은 위(僞)아폴리나리우스의 ''시편의 의역''(c. 460)이 쓰여진 시기일 텐데, 이 작품이 논노스의 시를 언급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8]

3. 3. 기타 작품

현존하는 또 다른 작품인 『요한 복음』의 의역본은 논노스가 후반생에 기독교로 개종했음을 암시하며 흥미롭다. 그 스타일은 서사시의 그것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지만, 이미 아름답게 꾸며진 복음서 기자의 이야기체보다 더욱 아름답게 꾸며져 과장되고 맛이 부족한 인상을 준다.[1]

논노스의 다른 작품들은 유실되었다. 『바사리카』(이 역시 디오니소스를 주제로 한 작품이다)는 4행만 Stephanus of Byzantium|비잔티움의 스테파노스grc의 주석 속에 남아 있다. 『그리스 시선집』의 경구시에 따르면(ix. 198), 논노스는 『거인족의 싸움』이라는 책의 저자였다.[1]

4. 평가 및 영향

논노스의 대표작인 『디오니소스 서사시』는 48권으로 구성된 서사시로, 디오니소스의 인도 원정과 귀환을 주제로 한다. 이 시는 알렉산드로스 3세(알렉산더 대왕) 시대 이후 왕과 신, 적과 거인족의 대비로 인기를 얻었다.[1]

『디오니소스 서사시』는 엄청나게 길고 화려하지만 혼돈스럽고, 아름답지만 인위적인 시라는 평가를 받는다. 행동과 열정 묘사에서 등장인물을 소홀히 하는 점 등은 인도의 서사시와 유사하다는 평가도 있다. 논노스는 풍부한 학식을 갖춘 작가였지만, 작품의 단점은 그가 살았던 시대의 단점이기도 했다. 논노스의 장점은 호메로스의 헥사메트론(장단단 육보격)을 끌어오는 데 있어 꼼꼼한 마무리에 있지만, 운율의 정확성은 작품을 단조롭게 만든다는 평가를 받는다. 후대 작가들의 어휘에 큰 영향을 주었다.[1]

현존하는 또 다른 작품인 『요한 복음』의 의역본은 논노스가 후반생에 기독교로 개종했음을 암시한다. 그 스타일은 서사시의 그것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지만, 이미 아름답게 꾸며진 복음서 기자의 이야기체보다 더욱 아름답게 꾸며져 과장되고 맛이 부족한 인상을 준다.[1]

논노스의 다른 작품들은 유실되었다. 『바사리카』(이 역시 디오니소스를 주제로 한 작품)는 4행만 Στέφανος ὁ Βυζάντιος|스테파노스 호 비잔티오스grc(비잔티움의 스테파노스)의 주석 속에 남아 있다. 『그리스 시선집』의 경구시에 따르면(ix. 198), 논노스는 『거인족의 싸움』이라는 책의 저자였다.[1]

참조

[1] 웹사이트 Nonnus {{!}} Greek poet https://www.britanni[...] 2021-10-06
[2] 논문 Il poeta e il vescovo: la questione nonniana e la storia 1987
[3] 간행물 Hist. "530"
[4] 간행물 Nonnus in Brill's New Pauly Leiden 2006
[5] 서적 Studies in the Dionysiaca of Nonnus Cambridge 1994
[6] 논문 '"Mârtus" chez Nonnos de Panopolis. Étude de sémantique et de chronologie.' 1997
[7] 서적 Orgies of Words: Mystery Terminology in the “Paraphrase of St. John’s Gospel” by Nonnus of Panopolis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22-07-18
[8] 서적 Nonnus of Panopolis. Paraphrase of the Gospel of John XI Oxford University Press
[9] 간행물 Hellenistic Bibliography Google Sit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