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바리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바리뇨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원산지인 백포도 품종으로, 특히 스페인의 리아스 바이샤스 지역과 포르투갈의 비뉴 베르데 지역에서 주로 재배된다. 이 품종은 독특한 시트러스 향과 살구, 복숭아 향을 특징으로 하며, 가볍고 산도가 높은 와인을 생산한다. 최근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오레곤, 워싱턴, 우루과이 등지에서도 재배되고 있으며, 호주에서는 사바냥 품종을 알바리뇨로 판매한 사례가 있었다. 알바리뇨는 수백 년 동안 전통적인 방식으로 재배되었으며, 현재는 전문적인 포도 재배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포도주 - 셰리
    셰리는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 특정 지역에서 생산되는 주정 강화 와인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며 다양한 포도 품종과 독특한 숙성 방식을 통해 독특한 풍미를 내는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술이다.
  • 스페인의 포도주 - 스페인 와인
    스페인 와인은 이베리아 반도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와인으로, 세계에서 가장 넓은 포도 재배 면적을 바탕으로 레드, 화이트, 스파클링, 주정 강화 와인 등 다채로운 와인을 생산하며, 셰리와 카바가 대표적이고, 복잡한 법적 규제 시스템과 숙성 등급을 통해 품질을 관리하며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 백포도주용 포도 품종 - 샤르도네
    샤르도네는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에서 유래하여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백포도 품종으로, 재배 방식과 와인 제조 방법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와인을 생산하며 독특한 풍미를 자랑하지만, 일부 와인 애호가들에게는 "ABC" 운동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백포도주용 포도 품종 - 슈냉 블랑
    슈냉 블랑은 프랑스 원산의 백포도 품종으로, 드라이, 스위트, 스파클링 등 다양한 스타일의 와인을 생산하며 숙성 잠재력이 뛰어나 전 세계에서 재배된다.
알바리뇨
기본 정보
알바리뇨 포도와 병
알바리뇨 포도와 알바리뇨 와인 병
종류백포도
다른 이름알바리나 (Alvarina)
카이뇨 블랑코 (Cainho Branco)
원산지갈리시아, 포르투갈
와인 생산 지역미뉴, 포르투갈
갈리시아, 스페인
아로마복숭아, 자몽, 꿀, 패션프루트
음식 매칭생선
조개류
아시아 음식
별칭알바리뇨
스페인어
스페인어 이름알바리뇨 (Albariño)
갈리시아어알바리뇨 (Albariño)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이름알바리뇨 (Alvarinho)

2. 주요 재배 지역

알바리뇨는 스페인포르투갈을 비롯하여 여러 지역에서 재배된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는 산타 이네즈 밸리, 클락스버그, 나파, 에드나 밸리 및 로스 카네로스 AVA 등에서 알바리뇨가 생산된다.[8] 오레곤워싱턴주에서도 생산되는데, 오레곤에서는 엄프콰 밸리 AVA[9]에 있는 아바셀라 와이너리[10]에서 처음으로 생산되었다.[11] 우루과이에서는 보데가 가르손에서 품종 와인으로 생산된다.

최근 몇 년간 호주 와인 생산자들도 알바리뇨 품종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2008년 호주를 방문한 프랑스 전문가에 의해, 호주에서 알바리뇨로 판매되던 와인 대부분이 프랑스산 사바냥으로 밝혀졌다. 이는 호주의 포도 재배자와 와인 제조 업체가 10년 넘게 라벨을 잘못 붙여 공급 및 판매해 온 결과였다.[12]

2. 1. 스페인

스페인의 Rías Baixas DO, 특히 캄바도스(Cambados), 콘다도 도 티(Condado do Tea) 및 바르반자 에 이리아(Barbanza e Iria) 지역에서 상당한 수준의 알바리뇨가 생산된다.[5] 1986년에 리아스 바이샤스(Rías Baixas) DO가 실험 재배 지역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알바리뇨는 지역적 및 국제적으로 품종 와인으로 부상했다.[7] 최근에는 유럽 및 미국 와인을 뛰어넘는 맛과 깔끔하면서도 잘 익은 과일의 풍부한 풍미를 선호하는 와인 애호가들에게 주목받는 품종 와인이 되었다. 이는 강 건너편의 포르투갈에서 생산된 알바리뇨 와인과는 현저히 다른 특징이다.[7]

갈리시아산 알바리뇨 와인.

2. 2. 포르투갈

포르투갈에서는 비뉴 베르데(Vinho Verde)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몬사웅(Monção)과 멜가수(Melgaço)에서만 재배가 허가된다.[6] 리베이로(Ribeiro), 리마(Lima), 브라가(Braga) 또는 발데오라스(Valdeorras)와 같은 다른 지역에서는 종종 루레이라(Loureiro), 고델로(Godelho), 카이뉴(Cainho) 또는 보라칼(Borraçal), 아린토(Arinto) 또는 트레이사두라(Treixadura)와 같은 다른 포도와 혼합하여 블렌드 와인을 생산한다.[7] 강 건너편의 포르투갈에서 생산된 알바리뇨 와인은 스페인에서 생산된 알바리뇨 와인과는 현저히 다른 특징을 지닌다.[7]

2. 3. 기타 지역

스페인의 리아스 바이샤스 DO, 특히 캄바도스(Cambados), 콘다도 도 티(Condado do Tea), 바르반자 에 이리아(Barbanza e Iria) 지역에서 상당한 수준의 알바리뇨가 생산된다.[5] 포르투갈에서는 비뉴 베르데(Vinho Verde)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몬사웅(Monção)과 멜가수(Melgaço)에서만 재배가 허가된다.[6] 리베이로(Ribeiro), 리마(Lima), 브라가(Braga) 또는 발데오라스(Valdeorras) 와 같은 다른 지역에서는 종종 루레이라(Loureiro), 고델로(Godelho), 카이뉴(Cainho) 또는 보라칼(Borraçal), 아린토(Arinto) 또는 트레이사두라(Treixadura)와 같은 다른 포도와 혼합하여 블렌드 와인을 생산한다. 1985년경까지 갈리시아 전역에서 이러한 블렌드 와인이 흔했으나, 1986년에 리아스 바이샤스 DO가 실험 재배 지역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알바리뇨는 지역적 및 국제적으로 품종 와인으로 부상했다.[7] 최근에는 유럽 및 미국 와인을 뛰어넘는 맛과 깔끔하면서도 잘 익은 과일의 풍부한 풍미를 선호하는 와인 애호가들에게 주목받는 품종 와인이 되었다. 이는 강 건너편의 포르투갈에서 생산된 알바리뇨 와인과는 현저히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7]

알바리뇨는 현재 산타 이네즈 밸리(Santa Ynez Valley), 클락스버그(Clarksburg), 나파(Napa), 에드나 밸리(Edna Valley) 및 로스 카네로스(Los Carneros) AVA를 포함한 여러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생산된다.[8] 또한, 오레곤(Oregon)과 워싱턴(Washington)주에서도 생산되는데, 오레곤에서는 엄프콰 밸리(Umpqua Valley) AVA[9]에 있는 아바셀라 와이너리(Abacela Winery)[10] 에서 처음으로 생산되었다.[11] 우루과이(Uruguay)에서도 재배되며, 보데가 가르손(Bodegas Garzon)에서 품종 와인으로 생산된다.

최근 몇 년간 알바리뇨는 호주 와인 생산자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생산자 중 몇몇은 현재 품종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호주의 포도 재배자와 와인 제조 업체가 10년 넘게 라벨이 잘못 붙여진 알바리뇨를 공급 및 판매해 온 사실이 밝혀졌다. 스페인산 포도로 여기며 재배 및 생산하여 시장에 내놓았지만, 2008년 호주를 방문한 프랑스의 전문가가 의문을 제기했다. DNA 테스트를 통해 포도가 실제로 프랑스산 사바냥(Savagnin)임을 확인했으며, 호주에서 알바리뇨 라벨이 붙은 와인의 대부분은 사바냥(Savagnin)인 것으로 밝혀졌다.[12]

3. 와인 특성

은은한 시트러스 향을 품은 독특한 보타니컬 아로마가 특징적이며 살구복숭아 향을 머금고 있다. 비오니에(Viognier), 게뷔르츠트라미너(Gewurztraminer) 및 쁘띠 만생(Petit Manseng)과 매우 유사하다. 아주 가볍고 산도가 높으며, 알코올 도수는 11.5~12.5%이다.[13] 껍질이 두껍고 포도 씨를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끝에 쓴맛이 남을 수 있다.

4. 포도 재배

알바리뇨 포도나무는 수백 년 동안 포플러 나무 줄기 주위와 들판 바깥 가장자리의 덤불에서 재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르투갈 비뉴 베르데(Vinho Verde) 지역에서는 일부 재배자들이 이 방식을 여전히 사용한다.[14] 20세기 중반, 재배자들은 대규모 투자를 통해 전문적인 포도 재배자가 되었다.[14] 비뉴 베르데의 포도나무는 일반적으로 높은 퍼걸러 방식으로 심어져 과도한 수확을 유도하며, 종종 알코올 함량이 8.5%를 넘지 않는 포도로 자란다.[15] 포도원의 포도나무는 보통 포도나무 당 30~40개의 싹을 수용할 수 있도록 큰 캐노피로 연결된다.[16] 알바리뇨는 열과 습도에 민감하지만, 수확량이 많고 군집이 많아 포도가 숙성되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16]

4. 1. 재배 방식

알바리뇨 포도나무는 수백 년간 포플러 나무 줄기 주위와 들판 바깥 가장자리의 덤불에서 재배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는 포르투갈의 비뉴 베르데(Vinho Verde) 지역에서 일부 재배자들이 여전히 사용하는 방식이다.[14] 그러나 20세기 중반, 재배자들은 대규모 투자를 통해 전문적인 포도 재배자가 되었다.[14] 비뉴 베르데(Vinho Verde)의 포도나무는 일반적으로 높은 퍼걸러 방식으로 심어져 과도한 수확을 조장하며, 종종 알코올 함량이 8.5%를 넘지 않는 포도로 자란다.[15] 포도원의 포도나무는 포도나무 당 30~40개의 싹을 수용할 수 있도록 큰 캐노피로 연결된 것이 일반적이다. 알바리뇨는 열과 습도에 민감하지만, 수확량이 많고 군집이 많아 포도가 숙성되는 정도의 차이를 유지한다.[16]

4. 2. 특징

알바리뇨 포도나무는 수백 년간 포플러 나무 줄기 주위와 들판 바깥 가장자리의 덤불에서 재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포르투갈의 비뉴 베르데(Vinho Verde) 지역에서 일부 재배자들이 여전히 사용하는 방식이다.[14] 비뉴 베르데의 포도나무는 일반적으로 높은 퍼걸러 방식으로 식재되어 과도한 수확을 조장하며, 종종 8.5% 이상의 알코올 함량을 초과하지 않는 포도로 자란다.[15] 포도원의 포도나무는 포도나무 당 30~40개의 싹을 수용할 수 있도록 큰 캐노피로 연결된 것이 일반적이다. 열과 습도에 민감하지만, 수확량이 많고 군집이 많아 포도가 숙성되는 정도의 차이를 유지한다.[16]

스페인산 알바리뇨 와인.

5. 동의어

알바리뇨는 알바리나(Albarina), 알바린 블랑코(Albarin Blanco), 알바리냐(Alvarinha), 알바리뇨(Alvarinho), 아잘 블랑코(Azal Blanco), 갈레고(Galego), 갈레기뇨(Galeguinho)로도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인용 denominação de origem alvarinho https://www.rtp.pt/n[...] 2020-07-31
[2] 웹인용 Así se descubriu a orixe galega do albariño https://boisimo.gcie[...] 2020-07-21
[3]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4] 웹인용 A identidade das castas de videira portuguesas http://www.iniav.pt/[...]
[5]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6] 웹인용 Instituto da Vinha e do Vinho https://www.ivv.gov.[...]
[7] 웹사이트 Split Personality http://www.winespect[...]
[8] 웹인용 Albarino https://web.archive.[...]
[9] 웹인용 Umpqua Valley Winegrowers - The Umpqua Valley http://www.umpquaval[...] 2018-04-06
[10] 웹인용 Abacela http://www.abacela.c[...] 2018-04-06
[11] 웹인용 Getting to Know Oregon and Washington Albariño https://archive.jame[...] 2018-04-06
[12] 웹인용 White wine fiasco https://web.archive.[...] 2010-05-11
[13]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14] 간행물 Manual Técnico Comissão de Viticultura dos Vinhos Verdes 2004
[15] 서적 Grapes and Wines Pavilion Books 2008
[16] 서적 Encyclopedia of Grapes Harcourt Books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