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트 (작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베르트 (작센)은 1873년부터 1902년까지 작센 왕국의 국왕이었다. 그는 군사 교육을 받고 여러 전쟁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며,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활약하여 육군 원수로 임명되었다. 1873년 부왕 요한의 사망으로 국왕이 된 후, 입헌 군주로서 군림하며 통치하지 않는 자세를 유지했다. 알베르트는 1902년 사망했으며, 자녀가 없어 동생 게오르크가 작센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급 1870년형 철십자장 수훈자 - 파울 폰 힌덴부르크
파울 폰 힌덴부르크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영웅이자 바이마르 공화국 대통령이었으나, 히틀러를 총리로 임명하여 나치즘 집권에 기여했다는 비판을 받는 인물로, 군사적 성공과 정치적 책임 사이에서 재평가되고 있다. - 1급 1870년형 철십자장 수훈자 - 에른스트 2세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에른스트 2세 폰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은 1844년부터 1893년까지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의 공작으로서 자유주의 개혁을 지지하고 여러 전쟁에서 프로이센을 지지했으며 유럽 왕가들과 인척 관계를 맺었으나 말년에는 사치스러운 생활로 비판받은 아마추어 작곡가였다. - 빌럼 군사훈장 대십자 기사 -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
게브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는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한 프로이센 왕국의 군인이자 원수로, 워털루 전투 승리에 기여했으며 '전진 원수'라는 별칭으로 불릴 정도로 용맹함과 불굴의 의지를 보여준 인물이다. - 빌럼 군사훈장 대십자 기사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 (하노버)
조지 3세의 아들이자 영국 왕족이었던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1세는 하노버 국왕으로 즉위하여 보수적인 정책을 펼치며 논란을 일으켰지만, 하노버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알베르트 (작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알베르트 |
전체 이름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알베르트 안톤 페르디난트 요제프 카를 마리아 밥티스트 네포무크 빌헬름 크사버 게오르크 피델리스 |
출생일 | 1828년 4월 23일 |
출생지 | 작센 왕국 드레스덴 |
사망일 | 1902년 6월 19일 |
사망지 | 독일 제국 지빌레노르트 |
매장지 | 독일 제국, 작센 왕국, 드레스덴, 카톨릭 궁정 교회 |
종교 | 로마 가톨릭교 |
![]() | |
![]() | |
통치 | |
작위 | 작센 국왕 |
재위 기간 | 1873년 10월 29일 ~ 1902년 6월 19일 |
이전 통치자 | 요한 |
다음 통치자 | 게오르크 |
계승 | 작센 왕위 |
가문 | |
왕가 | 베틴 가 |
아버지 | 요한 폰 작센 |
어머니 | 아말리에 아우구스테 폰 바이에른 왕녀 |
배우자 | |
배우자 | 카롤리네 폰 바사-홀슈타인-고토르프 |
결혼 | 1853년 |
2. 생애
알베르트는 1828년 4월 23일에 작센의 드레스덴에서 요한 국왕과 아말리에 아우구스테 폰 바이에른 왕녀 부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나던 당시에 작센 왕국의 국왕은 그의 큰할아버지인 안톤 국왕이었다. 알베르트는 독일의 여러 왕자들과 마찬가지로 군대에서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유능한 군인으로 성장했으며 본 대학교에서 강의를 들었다.
알베르트는 제1차 슐레스비히 전쟁,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공적을 남겼다. 1849년에는 제1차 슐레스비히 전쟁에 참전한 작센 군대를 지휘하면서 덴마크 군대를 격파했다. 1866년에 일어난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의 쾨니히그레츠 전투에서는 오스트리아 제국 군대와 연합하여 프리드리히 카를 폰 프로이센 왕자가 이끌던 프로이센 왕국 군대를 상대로 전투를 벌였으나 오스트리아-작센 연합군의 패배를 막지 못했다, 하지만 알베르트는 자신의 군사적 재능에 대한 명성을 확립했고 작센 왕국이 전쟁 이후에 북독일 연방에 합류하면서 작센 왕국의 병사들로 구성된 제12군단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870년에 일어난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는 프리드리히 카를 폰 프로이센 왕자가 이끌던 제2군단의 지휘를 담당했으며 1870년 7월 11일에는 작센 왕국 최초의 육군 원수로 임관했다. 1870년 8월 18일에 일어난 그라블로트 전투에서는 프로이센 군대의 최좌측 진영을 담당했다. 알베르트는 프로이센 군대의 파리 진격 과정에서 제4군단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는데 알베르트의 동생인 게오르크는 제12군단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알베르트는 스당 전투에서 프랑스 군대를 격파하는 공적을 세웠고 게오르크는 보몽 전투에서 프랑스 군대를 격파하는 공적을 세웠다.
알베르트는 파리 공성전 기간 동안에 프로이센 군대의 북동쪽 부분을 형성했으며 르 부르제 전투, 빌리에 전투에서 프랑스 군대를 포위시키는 공적을 세웠다. 알베르트는 1871년에 독일과 프랑스 사이에 프랑크푸르트 조약이 체결된 이후에 프랑스 파리를 점령한 독일 군대를 지휘했으며 파리 코뮌이 몰락할 때까지 지위를 유지했다. 알베르트는 종전 이후에 독일 제국의 육군 사찰관과 원수로 임명되었다.
알베르트는 1873년 10월 29일에 자신의 아버지인 요한 국왕이 사망하면서 작센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알베르트는 정치에 흥미를 갖지 않고 군림하면서 통치하지 않는 입헌 군주의 자세를 가졌다. 1897년에는 리페 후국의 후작위 계승을 둘러싼 분쟁의 중재 과정에 참여했다.
알베르트는 1902년 6월 19일에 슐레지엔에 위치한 지빌레노르트(Sibyllenort, 현재의 폴란드 슈초드레(Szczodre))에서 사망했다. 1853년 6월 18일에는 스웨덴의 구스타프 4세 아돌프 국왕의 손녀이자 구스타프 아브 바사 공작의 딸인 카롤라 아브 바사 공녀와 결혼하였으나 자식은 없었다. 이 때문에 알베르트의 동생인 게오르크가 작센의 왕위를 승계받았다.
2. 1. 군사 경력
알베르트는 독일 왕자들의 관례에 따라 군사 교육을 받았으며, 본 대학교에서 강의를 청강하기도 했다. 1849년 제1차 슐레스비히 전쟁에 참전하여 덴마크 군을 격파하며 군 경력을 시작했다.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알베르트는 작센군을 지휘하여 프로이센군에 맞섰으나, 쾨니히그레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작센 연합군이 패배하였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알베르트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인정받았다. 작센 왕국이 북독일 연방에 합류한 후, 알베르트는 작센 병사들로 구성된 제12군단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870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발발 당시, 알베르트는 프리드리히 카를 폰 프로이센 왕자가 이끄는 제2군단의 지휘를 담당했다. 1870년 7월 11일, 알베르트는 작센 왕국 최초의 육군 원수로 임관되었다. 그라블로트 전투(1870년 8월 18일)에서 프로이센 군대 최좌측 진영을 담당하여 전투의 승리에 기여했다. 이후 제4군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스당 전투, 보몽 전투 등에서 프랑스 군을 격파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파리 공성전 기간 동안 프로이센 군대의 북동쪽 부분을 형성하여 르 부르제 전투, 빌리에 전투 등에서 프랑스 군을 포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프랑크푸르트 조약 체결 이후, 알베르트는 파리를 점령한 독일 군대를 지휘했으며, 파리 코뮌이 몰락할 때까지 그 지위를 유지했다. 종전 이후 독일 제국의 육군 사찰관과 원수로 임명되었다.
2. 2. 작센 국왕 즉위와 통치
1873년 10월 29일, 부왕 요한이 사망하면서 알베르트는 작센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작센 왕국은 입헌군주제로 전환되었다. 알베르트는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보다는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 입헌 군주의 자세를 견지했다. 그는 주로 군사 문제에 전념했으며, 그의 조언과 경험은 작센 군단뿐만 아니라 독일 육군 전체에도 매우 가치 있는 것이었다.1870년대에 알베르트는 드레스덴 교외 지역에 알베르트슈타트 건설을 시작했는데, 이곳은 당시 독일에서 가장 큰 주둔지였다. 알베르트슈타트 외에도 알베르트교, 알베르트항, 알베르트 광장, 알베르티눔 등 그의 이름을 딴 여러 건물과 장소들이 건설되었다. 1879년, 그는 마이센에 있는 성 아프라 학교의 재건을 시작했다. 1897년, 알베르트는 리페 후국의 후작위 계승 분쟁 중재 과정에 참여했다.
2. 3. 사망과 후계
알베르트는 1902년 6월 19일 슐레지엔의 지빌레노르트(Sibyllenort, 현재의 폴란드 슈초드레(Szczodre))에서 사망했다. 1853년 6월 18일 드레스덴에서 스웨덴의 구스타프 4세 아돌프 국왕의 손녀이자 구스타프 아브 바사 공작의 딸인 카롤라 아브 바사 공녀와 결혼했으나, 여러 차례의 유산 끝에 자녀는 없었다. 알베르트의 사망으로 그의 동생인 게오르크가 작센의 왕위를 승계받았다. 알베르트의 장례식에는 독일 황제 빌헬름 2세와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조문객으로 참석했다.3. 가족 관계
알베르트는 1853년 6월 18일 드레스덴에서 구스타프 바사 공자의 딸이자 구스타프 4세 아돌프의 손녀인 바사 공녀 카롤라와 결혼했다. 카롤라는 홀슈타인-고토르프 왕가(스웨덴 분가)의 스웨덴 마지막 왕에서 두 번째인 구스타프 4세 아돌프의 손녀이다. 이 결혼은 자녀가 없었지만, 카롤라는 여러 번 유산했다.
알베르트의 부왕은 작센의 요한이고, 모후는 바이에른의 아말리에 아우구스테이다. 알베르트 사후 작센 왕위는 그의 동생인 게오르크가 계승했다.
4. 평가
5. 기타
알베르트의 이름을 따서 작센 극락조가 명명되었으며, 그의 아내의 이름을 따서 카롤라 왕비 극락조가 명명되었다.
참조
[1]
뉴스
Latest intelligence - Funeral of the King of Saxony
The Times
1902-06-24
[2]
서적
Staatshandbuch für den Freistaat Sachsen: 1865/66
https://books.google[...]
Heinrich
[3]
문서
Albert, King of Saxony
[4]
웹사이트
Friedrich Augustus Albert König von Sachsen
https://web.archive.[...]
2020-08-05
[5]
간행물
Königlich Preussische Ordensliste
https://babel.hathit[...]
[6]
서적
Die Ritter des Ordens pour le mérite 1812–1913
https://gdz.sub.uni-[...]
Ernst Siegfried Mittler & Sohn
[7]
문서
Staatshandbücher für das Herzogtum Sachsen-Coburg und Gotha
https://zs.thulb.uni[...]
1847
[8]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für das Königreich Hannover: 1859
https://archive.org/[...]
Berenberg
[9]
문서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https://zs.thulb.uni[...]
1855
[10]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Bayern: 1877
https://books.google[...]
Landesamt
[11]
서적
Der K. Bayerische Militär-Max-Joseph-Orden
https://babel.hathit[...]
Ganghofer'sche Buchdruckerei
[12]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Hessen: 1878
https://books.google[...]
Staatsverl.
[13]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https://digital.blb-[...]
1873
[14]
서적
Kurfürstlich Hessisches Hof- und Staatshandbuch: 1855
https://archive.org/[...]
Waisenhaus
[15]
문서
Staats- und Adreß-Handbuch des Herzogthums Nassau
https://www.digitale[...]
1866
[16]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önigreichs Württemberg: 1873
https://books.google[...]
[17]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s Oldenburg: 1878
https://books.google[...]
Schulze
[18]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für des Herzogtum Anhalt
https://www.digitale[...]
1883
[19]
웹사이트
A Szent István Rend tagjai
http://tornai.com/re[...]
[20]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1868
[21]
간행물
Hof- und Staatshandbuch der Österreichisch-Ungarischen Monarchie
1868
[22]
서적
Notizia storica del nobilissimo ordine supremo della santissima Annunziata. Sunto degli statuti, catalogo dei cavalieri
https://books.google[...]
Eredi Botta
1869
[23]
서적
Military Order of the Holy Great Martyr and Victorious George: A Nominal List, 1769-1920
https://books.google[...]
[24]
서적
Almanach royal officiel, publié, exécution d'un arrête du roi
[25]
서적
Guía Oficial de España
1887
[26]
서적
Les Grand'Croix de la Légion d'honneur de 1805 à nos jours. Titulaires français et étrangers
Archives & Culture
2009
[27]
간행물
Sveri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28]
간행물
Norges statskalender
https://runeberg.org[...]
2018-01-06
[29]
서적
Riddere af Elefantordenen, 1559–2009
https://books.google[...]
Syddansk Universitetsforlag
[30]
웹사이트
Sachsen, Friedrich August Albert Anton Ferdinand Joseph Karl Maria Baptist Nepomuk Wilhelm Xaver Georg Fidelis van
https://www.defensie[...]
[31]
서적
The Knights of England
https://archive.org/[...]
1906
[32]
간행물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33]
간행물
พระราชทานเครื่องราชอิสริยาภรณ์ ที่ประเทศยุโรป
https://web.archive.[...]
2019-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