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헤시라스 회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헤시라스 회담은 1906년 스페인 알헤시라스에서 열린 국제 회의로, 유럽 열강들의 아프리카 분할 과정에서 모로코를 둘러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독일은 영국-프랑스 협상을 약화시키고 프랑스와 동맹을 맺으려 했으나 실패했고, 회담 결과 모로코의 독립을 부분적으로 보장하는 내용의 최종 의정서가 채택되었다. 이 회담은 열강 간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제1차 세계 대전의 배경이 되는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6년 모로코 - 제1차 모로코 위기
제1차 모로코 위기는 20세기 초 모로코 지배권을 두고 독일과 프랑스 간에 발생한 국제적 갈등으로, 프랑스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독일의 제동과 빌헬름 2세의 탕헤르 방문, 알헤시라스 회담을 거치며 유럽 열강 간 긴장을 고조시키고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알헤시라스 회담 | |
---|---|
회의 정보 | |
이름 | 알헤시라스 회의 |
원어 이름 | 프랑스어: Conférence d'Algésiras 스페인어: Conferencia de Algeciras 아랍어: مؤتمر الجزيرة الخضراء |
목적 | 제1차 모로코 위기 이후 유럽의 모로코 개입 비준 |
서명일 | 1906년 4월 7일 |
장소 | 알헤시라스, 스페인 |
비준일 | 1906년 6월 18일 |
서명국 |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대영제국 프랑스 러시아 제국 스페인 미국 이탈리아 왕국 모로코 제국 네덜란드 스웨덴 포르투갈 벨기에 |
언어 | 프랑스어, 영어, 스페인어 |
![]() | |
배경 | |
주요 원인 | 제1차 모로코 위기 |
결과 | |
주요 결과 | 영국과 프랑스의 협력 강화, 독일의 외교적 패배 |
2. 배경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유럽 열강들은 아프리카 분할 과정에서 모로코를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후 독일과 삼국 동맹은 영국, 프랑스, 러시아와 분리되었고, 이듬해 삼국 협상이 체결되었다. 이러한 긴장 관계는 보스니아 위기로 이어진다.[7]
2. 1. 영-프 협상과 독일의 반발
1904년 영국과 프랑스는 협상을 체결하여 양국 간의 외교 협력을 규정하고, 영국이 이집트를, 프랑스가 모로코를 통제하는 것을 인정했다(일부 스페인 양보 포함). 독일은 이러한 발전이 영국과 프랑스 간의 경쟁 관계를 종식시키고 유럽 문제에서 독일을 더욱 고립시킬 것이라고 보았다.[5]1905년 3월 31일, 독일의 카이저 빌헬름 2세는 탕헤르를 방문하여 모로코의 독립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 회의를 개최할 것을 촉구하는 연설을 했고, 대안은 전쟁이었다. 역사가 헤더 존스는 독일이 호전적인 수사를 사용한 것이 의도적인 외교적 책략이었다고 주장한다. 독일은 다른 유럽 열강들에게 제국 문제에 대해 독일과 협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시키려 했다. 프랑스가 모로코에 대해 독일과 양자 협정을 맺는 것을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독일의 심기를 건드렸고, 빌헬름 2세는 탕헤르를 방문하여 술탄의 독립과 왕국의 통합을 지지한다고 선언함으로써 모로코를 국제적인 '위기'로 만들었다.[5]
독일 외교관들은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모로코에 대한 프랑스의 개입에 이의를 제기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러일 전쟁을 중재하고 있던 루스벨트는 미국 상원이 유럽 문제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알고 있었기에 모로코 위기에 개입하는 것을 꺼렸다. 1905년 6월, 상황이 악화되어 독일과 프랑스, 그리고 영국 간의 전쟁이 일어날 지경에 이르자, 루스벨트는 7월에 프랑스가 알헤시라스에서 열리는 평화 회의에 참석하도록 설득했다.
독일은 이 회의가 영국-프랑스 협상을 약화시키기를 바랐다. 빌헬름 2세는 프랑스의 요구 사항 대부분이 충족되면 프랑스와 동맹을 맺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1] 그는 또한 1905년 러시아 혁명과 러일 전쟁으로 러시아가 약해졌기 때문에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독일은 초기의 결정에서 어느 정도 배제되었고,[1] 영국의 외무장관 에드워드 그레이는 프랑스 대사 줄 캉봉과의 회담을 통해 회의에서 프랑스를 지지하는 영국을 보여주었고, 이는 영국-프랑스 협상을 더욱 강화했다. 러시아 역시 러일 전쟁으로 인한 손실을 회복하기 위해 프랑스의 입장을 지지했다.[6]
영국을 고립시키려는 시도가 실패한 후, 독일은 1906년 세 번째 해군법 통과를 통해 영국-독일 해군 경쟁을 더욱 심화시켰다.
2. 2. 빌헬름 2세의 탕헤르 방문
1905년 3월 31일, 독일 황제 빌헬름 2세는 모로코 탕헤르를 방문하여 모로코의 독립을 지지하는 연설을 했는데, 이는 프랑스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었다.[5] 독일은 모로코 문제를 국제 회의를 통해 해결하려 했으며, 이는 프랑스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는 의도였다. 헤더 존스 교수는 독일이 의도적으로 호전적인 표현을 사용한 외교적 책략을 사용했다고 주장한다.[5]2. 3. 미국의 중재 노력
독일 외교관들은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모로코에 대한 프랑스의 개입에 이의를 제기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고 믿었다. 러일 전쟁을 중재하고 있던 루스벨트는 미국 상원이 유럽 문제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알고 있었기에 모로코 위기에 개입하는 것을 꺼렸다.[5] 그러나 1905년 6월에 상황이 악화되어 독일과 프랑스, 그리고 어쩌면 영국 간의 전쟁이 일어날 지경에 이르자, 루스벨트는 7월에 프랑스가 알헤시라스에서 열리는 1월 평화 회의에 참석하도록 설득했다.3. 회담 진행 과정
회담 진행 과정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별도로 작성하지 않는다.
3. 1. 모로코 대표단의 어려움
모로코의 압델아지즈 술탄은 무하마드 알 무크리와 무하마드 토레스를 대표로 보냈다.[8] 알 무크리는 통역 상황에 대해 "우리는 마치 조각상처럼 앉아있다. 무슨 말인지 전혀 이해할 수 없다."라며 불만을 표했다.[9] 모로코 대표단은 프랑스를 위해 회담에 참석한 알제리 통역사인 압델카데르 벤가브리트를 쓸 수밖에 없었다.[8]모로코 대표단이 겪은 또 다른 어려움은 술탄에게 회담의 모든 세부 사항을 알려야 하는데 연락이 어려웠다는 점이었다. 연구원 바제그 압데사마드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그의 지시와 조치 없이는 어떠한 결정도 내릴 수 없었다. 미국과 유럽 국가의 대표들은 각 정부와 협의하기 위해 쉽게 본국에 연락할 수 있었지만, 페즈에는 전화나 전신이 없었고, 회담의 전개 상황을 술탄에게 알릴 수 있는 철도나 포장도로도 없었다."[10]
4. 회담 결과
1906년 4월 7일, 알헤시라스 회담의 최종 의정서가 서명되었다. 이 의정서는 모로코 경찰 및 관세 조직, 무기 밀수 억제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었다.[11] 유럽인의 토지 소유권이 확립되었으며, 공공 사업을 위한 세금이 부과되었다.[12] 스페인 주화는 계속 유통되었다.[11]
모로코 술탄은 6개 항구 도시에서 경찰력 통제권을 유지했으나, 프랑스와 스페인 장교의 지시를 받았다. 책임자인 감찰관은 스위스인이었으며 탕헤르에 거주했다.[11]
모로코 대표단은 최종 의정서에 서명할 수 없었지만, 술탄 압델아지즈의 1906년 6월 칙령으로 비준되었다.
4. 1. 모로코 은행 설립
1906년 4월 7일 알헤시라스 회담의 최종 의정서가 서명되었다. 이 의정서는 금으로 뒷받침되는 40년 만기 지폐를 발행하는 새로운 모로코 국립 은행에 대한 유럽 은행가들의 특혜를 다루었다. 새로운 국립 은행은 모로코의 중앙 은행 역할을 수행했으며, 셰리프 제국의 지출에 대한 엄격한 제한과 독일 제국, 영국, 프랑스, 스페인의 국립 은행에서 대출을 보증하는 관리자가 임명되었다.[11]4. 2. 경찰력 개혁
모로코 술탄은 6개 항구 도시에서 경찰력 통제권을 유지했으며, 이 경찰력은 전적으로 모로코 무슬림으로 구성되었고 연간 1000ESP의 평균 급여로 예산이 책정되었지만, 프랑스 및 스페인 장교의 지시를 받았다. 이들은 급여 관리자(amin)를 감독하고, 규율을 관리하며, 그들의 정부에 의해 소환되고 교체될 수 있는 권한을 가졌다. 책임자인 감찰관은 스위스인이었으며 탕헤르에 거주했다.[11]4. 3. 기타
1906년 4월 7일 알헤시라스 회담의 최종 의정서가 서명되었다. 이 의정서를 통해 유럽인들은 토지 소유권을 인정받았고, 공공 사업을 위한 세금이 부과되었다.[12] 스페인 주화는 계속 유통되었다.[11]5. 회담의 영향 및 역사적 평가
1904년 영국과 프랑스의 협상은 양국 간 외교 협력을 규정하고, 영국은 이집트, 프랑스는 모로코를 통제하는 것을 인정했다. 독일은 이러한 발전이 영국과 프랑스 간 경쟁 관계를 종식시키고, 유럽 문제에서 독일을 더욱 고립시킬 것이라고 보았다.[5]
독일 외교관들은 러일 전쟁을 중재하고 있던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모로코에 대한 프랑스의 개입에 이의를 제기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루스벨트는 미국 상원이 유럽 문제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알고 있었기에 모로코 위기에 개입하는 것을 꺼렸다.[5]
영국을 고립시키려는 시도가 실패한 후, 독일은 1906년 세 번째 해군법 통과를 통해 영국-독일 해군 경쟁을 더욱 심화시켰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기여했으며, 독일과 삼국 동맹이 영국, 프랑스, 러시아 (삼국 협상)로 분리되는 결과를 낳았다.[7]
5. 1. 열강 간 긴장 고조
1904년 영국과 프랑스의 협상은 양국 간의 외교 협력을 규정했으며, 영국이 이집트, 프랑스가 모로코를 통제하는 것을 인정했다. 독일은 이러한 발전이 영국과 프랑스 간의 경쟁 관계를 종식시키고 유럽 문제에서 독일을 더욱 고립시킬 것이라고 보았다.[5]1905년 3월 31일, 독일의 카이저 빌헬름 2세는 탕헤르를 방문하여 모로코의 독립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 회의를 개최할 것을 촉구하는 연설을 했다. 이는 독일이 다른 유럽 열강들에게 제국 문제에 대해 독일과 협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시키기 위한 의도적인 외교적 책략이었다.[5] 독일 외교관들은 러일 전쟁을 중재하고 있던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모로코에 대한 프랑스의 개입에 이의를 제기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루스벨트는 미국 상원이 유럽 문제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알고 있었기에 모로코 위기에 개입하는 것을 꺼렸다. 1905년 6월, 상황이 악화되어 독일과 프랑스, 그리고 영국 간의 전쟁이 일어날 지경에 이르자, 루스벨트는 프랑스가 알헤시라스에서 열리는 평화 회의에 참석하도록 설득했다.[5]
독일은 이 회의가 영국-프랑스 협상을 약화시키기를 바랐다. 빌헬름 2세는 프랑스의 요구 사항 대부분이 충족되면 프랑스와 동맹을 맺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1] 그는 또한 1905년 러시아 혁명과 러일 전쟁으로 러시아가 약해졌기 때문에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독일은 초기의 결정에서 어느 정도 배제되었고,[1] 영국의 외무장관 에드워드 그레이는 프랑스 대사 줄 캉봉과의 회담을 통해 회의에서 프랑스를 지지하는 영국을 보여주었고, 이는 영국-프랑스 협상을 더욱 강화했다. 러시아 역시 러일 전쟁으로 인한 손실을 회복하기 위해 프랑스의 입장을 전적으로 지지했다.[6]
영국을 고립시키려는 시도가 실패한 후, 독일은 1906년 세 번째 해군법 통과를 통해 영국-독일 해군 경쟁을 더욱 심화시켰다.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기여했으며, 독일과 삼국 동맹이 영국, 프랑스, 러시아 (삼국 협상)로 분리되는 결과를 낳았다.
5. 2. 제1차 세계 대전의 배경
1904년 영국과 프랑스 간의 ''협상''은 양국 간의 외교 협력을 규정했으며, 영국이 이집트, 프랑스가 모로코를 통제하는 것을 인정했다. 독일은 이러한 발전이 영국과 프랑스 간의 경쟁 관계를 종식시키고 유럽 문제에서 독일을 더욱 고립시킬 것이라고 보았다.독일 외교관들은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모로코에 대한 프랑스의 개입에 이의를 제기하도록 설득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러일 전쟁 중재에 힘쓰던 루스벨트는 미국 상원이 유럽 문제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알고 있었기에 모로코 위기에 개입하는 것을 꺼렸다.
영국을 고립시키려는 시도가 실패한 후, 독일은 1906년 세 번째 해군법 통과를 통해 영국-독일 해군 경쟁을 더욱 심화시켰다. 결국 독일과 동맹국(삼국 동맹)은 영국, 프랑스, 러시아로 분리되었고, 이들은 이듬해 삼국 협상을 결성하였다. 알헤시라스 회담은 삼국 협상을 강화하고, 영국-독일 해군 군비 경쟁을 심화시켜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7]
6. 회담 참석자
참조
[1]
웹사이트
The Algeciras Conference of 1906
http://www.historyle[...]
History Learning Site
2012-05
[2]
서적
International History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Beyon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
[3]
문서
Jones, 2006
[4]
간행물
German Foreign Policy 1871–1914
1976
[5]
논문
Algeciras Revisited: European Crisis and Conference Diplomacy, 16 January–7 April 1906.
http://cadmus.eui.eu[...]
EUI WorkingPaper MWP 2009/1
2009
[6]
서적
Towards the Flame: Empire, War and the End of Tsarist Russia
Allen Lane
[7]
간행물
The War That Ended Peace: The Road to 1914
2012
[8]
웹사이트
"شروط الخزيرات" .. حقيقة أشهر مؤتمر قرر في مصير المغرب
https://www.hespress[...]
2020-05-21
[9]
웹사이트
"شروط الخزيرات" .. حقيقة أشهر مؤتمر قرر في مصير المغرب
https://www.hespress[...]
2020-05-21
[10]
웹사이트
"شروط الخزيرات" .. حقيقة أشهر مؤتمر قرر في مصير المغرب
https://www.hespress[...]
2020-05-21
[11]
웹사이트
"شروط الخزيرات" .. حقيقة أشهر مؤتمر قرر في مصير المغرب
https://www.hespress[...]
2020-05-21
[12]
웹사이트
Algeciras Conference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4-03-07
[13]
서적
Mon grand-père, ambassadeur à Paris: 1909–1910
https://books.google[...]
Marsam Editions
2008
[14]
서적
Empires of Intelligence: Security Services and Colonial Disorder After 1914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