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앤서니 콜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앤서니 콜린스는 1676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변호사, 철학자, 저술가이다. 이튼 칼리지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주요 저서로는 《자유사고론》, 《기독교 종교의 근거와 이유에 대한 담론》, 《인간 자유에 관한 탐구》 등이 있다. 그는 자유사상을 옹호하고 종교를 비판하며, 결정론적 관점을 제시했다. 또한, 당대 최대 규모의 개인 도서관을 소장한 서지학자이자 장서가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상가 - 이상화 (시인)
    이상화는 일제강점기의 저항 시인으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같은 작품을 통해 민족의 저항 의지를 표현했으며, 민족 시인으로서의 고뇌와 헌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그의 작품과 정신은 현재에도 재평가되고 있다.
  • 사상가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앤서니 콜린스
기본 정보
이름앤서니 콜린스
출생일1676년 7월 1일
출생지헤스턴, 미들섹스, 잉글랜드
사망일1729년 12월 24일
사망지런던, 잉글랜드
국적잉글랜드
학력
교육이튼 칼리지
모교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
활동
분야서양 철학
시대근대 철학
주요 관심사역사, 철학, 신학
사상과 관점
주요 사상해당 사항 없음
가족 관계
배우자마사 차일드 (1698년–1703년 결혼)
엘리자베스 로틀리 (1724년–1729년 결혼)

2. 생애

콜린스는 존 로크와 친분이 있었는데, 로크는 편지에서 콜린스에 대해 애정과 존경심을 표현했다. 1715년 잉글랜드 에식스주에 정착하여 미들섹스에서 이전에 역임했던 치안 판사와 부지사 직을 맡았다. 1729년 런던 할리 스트리트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했다.[3]

그의 저작은 이전 영국의 자유 사상가들의 결과물을 모아놓은 것이다. 그의 변함없는 정중한 문체는 그의 반대자들의 격렬함과 뚜렷한 대조를 이뤘으며, 그의 비정통적인 사상에도 불구하고 그는 무신론자도 불가지론자도 아니었다. 그는 "무지는 무신론의 기초이며, 자유 사상은 그 치료법이다"(''자유 사상에 관한 담론'', 105쪽)라고 말하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

앤서니 콜린스는 1676년 잉글랜드 미들섹스 호운슬로 인근의 헤스턴에서 변호사 헨리 콜린스와 메리 (옛 성씨 다인리) 사이에서 태어났다.[3] 콜린스에게는 두 명의 누이가 있었다. 앤 콜린스(1678년 출생)는 헨리 러비본드(1675년 출생)와 결혼했고, 메리 콜린스(1680년 출생)는 동인도 회사의 상인이자 이사인 에드워드 러비본드(1675–1737)와 결혼했다. 메리와 에드워드의 아들은 시인 에드워드 러비본드였다.

2. 2. 교육

콜린스는 이튼 칼리지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고, 미들 템플에서 법학을 공부했다.[4]

2. 3. 결혼과 가족

콜린스는 먼저 프랜시스 차일드 경(1642–1713)과 엘리자베스(결혼 전 성씨: 휠러)(1652–1720)의 딸인 마사 차일드(1677–1703)와 결혼했다.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으나, 두 아들은 모두 어릴 때 사망했다. 장남은 유아기에 사망, 차남은 앤서니 콜린스(1701–1723)였다. 두 딸은 엘리자베스 콜린스(1700년경 출생, 1738년 월터 캐리와 결혼)와 마사 콜린스(1700년경–1744, 1741년 로버트 페어팩스, 제7대 캐머론 페어팩스 남작(1706–1793)과 결혼)였다. 이후 콜린스는 월터 워틀리, 제3대 준남작 워틀리(1659–1712)와 엘레노라(결혼 전 성씨: 아처)(1661–1692)의 딸인 엘리자베스 워틀리(1680년경 출생)와 재혼했다.[3]

2. 4. 경력

콜린스는 이튼 칼리지케임브리지 대학교 킹스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고 미들 템플에서 법학을 공부했다.[4] 그는 존 로크와 친분이 있었으며, 존 로크는 편지에서 콜린스에 대해 애정과 존경심을 표현했다. 1715년 콜린스는 잉글랜드 에식스주에 정착하여 미들섹스에서 이전에 역임했던 치안 판사와 부지사 직을 맡았다.

2. 5. 사망

콜린스는 1729년 런던 할리 스트리트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했다.[3]

3. 사상과 저술

앤서니 콜린스는 종교와 철학 분야에서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그의 초기 저작인 『인간의 증언에 근거한 명제에서 이성의 사용에 관한 에세이』(1707)에서는 "이성 이상"과 "이성에 반하는" 사이의 구분을 거부하고, 계시는 신에 대한 인간의 자연적인 관념에 부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

그의 사상은 크게 자유사상, 종교 비판, 그리고 결정론으로 나눌 수 있다. 콜린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자유 사상의 중요성, 기독교 교리에 대한 비판적 검토, 그리고 모든 사건이 필연적으로 결정되어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콜린스는 영국에서 가장 박식한 사람 중 한 명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역사, 신학, 철학 등 모든 주제에 걸쳐 약 6,906권의 책을 소장한 서지학자이자 장서가였다.

(참고: Jacobson, "The England Libertarian Heritage")에서 콜린스가 "The Independent Whig" 에세이 10편의 익명의 저자였다고 주장되었다.

3. 1. 자유사상 (Freethinking)

앤서니 콜린스는 1713년 그의 주요 저서인 《자유 사상의 담론, 자유 사상가라고 불리는 종파의 발생과 성장에 의해 촉발됨》을 출판하였다. 이 책은 제목의 모호함과 모든 교회의 사제들에 대한 무자비한 공격에도 불구하고, 명시적으로는 모든 개신교도들이 인정해야 하는 것 이상을 주장하지 않는다. 콜린스는 자유 사상이 제한될 수 없고 제한되어서도 안 되는 권리라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자유사상은 진리를 아는 유일한 수단이며, 사회의 안녕에 본질적으로 기여하고, 성경에 의해 허용될 뿐만 아니라 명령되기 때문이다. 그는 기독교의 첫 도입과 모든 선교 사업의 성공은 개종자들의 자유 사상(어원적 의미에서)을 수반한다고 보았다.[1]

영국에서 이 에세이는 이신론을 옹호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다. 윌리엄 휘스턴, 해어 주교, 벤자민 호들리 주교, 그리고 "필레레우테루스 립시엔시스"라는 서명을 사용한 리처드 벤틀리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이 답신을 보냈다. 벤틀리는 콜린스가 부주의하게 표현한 특정 논쟁을 거칠게 다루었지만, 주로 사소한 학문적 문제에 대한 공격으로 승리했다. 그러나 콜린스의 팸플릿 자체도 이 점에서 흠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조나단 스위프트 역시 이 책에서 풍자적으로 언급되었으며, 이 책을 캐리커처의 주제로 삼았다.[1]

3. 2. 종교 비판

1724년, 콜린스는 ''기독교 종교의 근거와 이유에 대한 담론''이라는 논문을 출판했는데, 그 서두에는 ''자유로운 토론과 저술의 자유에 대한 변호''가 실려 있었다. 표면적으로는 구약 성서의 책들이 원래 신약 성서 이야기 속 사건들에 대한 예언을 담고 있었지만, 유대인들에 의해 제거되거나 변질되었다는 휘스턴의 주장에 반대했다. 그리고 그리스도의 삶 속 사건들에 의한 예언의 성취는 "2차적이고, 비밀스럽고, 비유적이고, 신비적"이며, 원래의 문자적 언급은 항상 다른 사실을 가리키기 때문이라고 증명하고자 했다. 게다가 예언의 성취가 기독교의 유일한 유효한 증거라는 주장에 따라, 그는 비밀리에 계시로서의 기독교에 타격을 가했다. 그는 영감을 받은 사람들에 의해서만 정경이 고정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신약성경의 정경성을 공개적으로 부인했다.[1]

이 책에 대해 35개나 되는 답변이 쏟아졌는데,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에드워드 챈들러 주교(Edward Chandler), 아서 사이크스, 그리고 새뮤얼 클라크의 답변이었다. 특히 그리스도에 의해 많은 예언이 문자적으로 성취되었다고 주장한 챈들러의 저작에 대해, 콜린스는 1727년 자신의 저서 ''문자적 예언의 도식 고찰''로 응답했다. 부록에서는 다니엘서가 안티오쿠스 4세 에피파네스 시대에 위조되었다는 휘스턴의 주장에 반박하는 내용이 실려 있다.[1]

3. 3. 결정론 (Necessitarianism)

철학에서 콜린스는 결정론 옹호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의 저서 《인간 자유에 관한 탐구》(1717)는 결정론적 관점을 제시하는 데 있어 주요 내용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1]

그는 새뮤얼 클라크의 논문에서 공격을 받았는데, 클라크의 체계에서는 의지의 자유가 종교와 도덕성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클라크 생전에는 종교와 도덕성의 적으로 낙인찍힐 것을 두려워하여 콜린스는 답변을 하지 않았으나, 1729년에 《자유와 필연》이라는 제목의 답변서를 출판했다.[1]

3. 4. 기타 저술


  • 헨리 도드웰에게 보낸 편지(A Letter to Mr Dodwell): 영혼이 물질적일 수 있으며, 클라크가 주장했듯이 영혼이 비물질적이라고 해서 불멸성을 따르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1]
  • 신의 속성 옹호(Vindication of the Divine Attributes, 1710)[1]
  • 완벽한 사제술(Priestcraft in Perfection, 1709): 39개조 신조의 스무 번째 조항에 있는 "교회...신앙"이라는 구절이 사기에 의해 삽입되었다고 주장했다.[1]
  • 인간의 증언에 근거한 명제에서 이성의 사용에 관한 에세이(1707): "이성 이상"과 "이성에 반하는" 사이의 구분을 거부하고 계시는 신에 대한 인간의 자연적인 관념에 계시가 부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

4. 평가 및 영향

앤서니 콜린스는 영국에서 가장 박식한 사람 중 한 명으로 알려졌다. 그는 역사, 신학, 철학 관련 서적을 주로 소장했으며, 약 6,906권의 책으로 구성된 당시 최대 규모의 개인 도서관을 소유한 서지학자이자 장서가였다.[3]

콜린스는 계몽주의 시대의 급진적인 사상가로, 자유사상과 결정론을 옹호했다.[1] 종교적 도그마를 비판하고 이성을 중시했으며, 개인과 사상의 자유를 옹호했다.[1] 데이비드 제이콥슨은 콜린스가 "The Independent Whig"라는 에세이에 10편의 글을 썼다고 주장한다.

콜린스의 종교표현의 자유에 대한 논쟁은 사회적 진보와 개인의 권리 신장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대한민국 헌법상 사상과 표현의 자유의 중요성을 상기시킨다.

4. 1. 평가

콜린스는 영국에서 가장 박식한 사람 중 한 명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모든 주제에 걸쳐 약 6,906권의 책으로 구성된, 당시 최대 규모의 개인 도서관 중 하나를 소유했던 서지학자이자 장서가였다. 특히 역사, 신학, 철학에 관한 저서를 선호했다.[3]

4. 2. 영향

계몽주의 시대의 급진적인 사상가였던 앤서니 콜린스는 자유사상과 결정론을 옹호했다.[1] 그는 종교적 도그마를 비판하고 이성을 중시했으며, 개인의 자유와 사상의 자유를 옹호했다.[1] 데이비드 제이콥슨(David Jacobson)은 콜린스가 "The Independent Whig"라는 에세이에서 10편의 글을 썼다고 주장한다.

4. 3. 한국의 관점

앤서니 콜린스(종교표현의 자유에 대한 논쟁)는 사회적 진보와 개인의 권리 신장에 영향을 주었다. 이는 대한민국 헌법상 사상과 표현의 자유의 중요성을 상기시킨다.

참조

[1] 서적 Collins, Anthony
[2] 서적 The Radical Rhetoric of the English Deists: The Discourse of Skepticism, 1680–1750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3] 웹사이트 Collins, Anthony (1676–1729), philosopher and freethinker https://www.oxforddn[...]
[4]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