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지 축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지 축구단은 1967년 중앙정보부에 의해 반공주의를 목표로 창단된 축구 클럽이다.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의 8강 진출에 대한 대응으로,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 아래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의 주도로 설립되었다. 최고의 선수들을 영입하여 군 복무 면제, 고액 연봉, 해외 훈련 등 파격적인 지원을 받으며, 1969년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 진출하는 등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김형욱의 해임과 북한과의 관계 개선으로 인해 1970년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군사 축구단 - 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육군 특무부대 축구단은 한국전쟁 중 창설되어 해체될 때까지 막강한 영향력 아래 승부욕을 바탕으로 성장하며 여러 논란을 낳았지만, 한국 축구 초창기를 빛낸 유명 선수들을 배출한 군 축구단이다. - 대한민국의 군사 축구단 - 육군 축구단
육군 축구단은 대한민국 육군에서 운영했던 여러 축구단을 통칭하며, 1965년 이전에는 다양한 부대별 축구단이 존재했고, 이후 병참단과 공병단 축구단이 주축을 이루다 1969년 단일 축구단으로 재편되어 원호단, 충의, 웅비 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한 주요 선수들을 배출했다. -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 김대중 납치 사건
김대중 납치 사건은 1973년 대한민국 중앙정보부가 야당 정치인 김대중을 도쿄에서 납치하여 한국으로 강제 연행한 사건으로, 박정희 정권의 반대 세력 탄압 목적과 대한민국 주권 침해 논란, 국제적 문제 비화, 한일 관계 악영향, 그리고 반민주적 행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기록된다. -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 민청학련 사건
민청학련 사건은 1974년 박정희 유신 정권이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을 불순 세력의 조종을 받는 반정부 단체로 규정하여 관련자들을 구속, 처벌한 사건으로, 반독재 운동 탄압의 대표적인 사례로 재평가되고 있다.
양지 축구단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클럽 이름 | 양지 |
풀 네임 | 양지 축구단 |
별칭 | 해당 정보 없음 |
마스코트 | 해당 정보 없음 |
창단 | 1967년 |
해체 | 1970년 |
홈구장 | 해당 정보 없음 |
수용 인원 | 해당 정보 없음 |
구단주 |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
감독 | 해당 정보 없음 |
리그 | 해당 정보 없음 |
시즌 | 해당 정보 없음 |
순위 | 해당 정보 없음 |
현재 시즌 | 해당 정보 없음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상의) | 하얀색 |
홈 유니폼 (하의) | 빨간색 |
홈 유니폼 (양말) | 하얀색 |
어웨이 유니폼 (상의) | 빨간색 |
어웨이 유니폼 (하의) | 하얀색 |
어웨이 유니폼 (양말) | 해당 정보 없음 |
2. 역사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이 8강에 진출하자, 대한민국 사회는 큰 충격을 받았다. 이에 박정희 대통령은 "북한을 이길 수 있는 팀을 만들라"는 지시를 내렸고,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의 주도로 1967년 3월 29일 중앙정보부 직속 축구단 '양지'가 창단되었다.[1][2] '양지'라는 팀명은 중앙정보부의 부훈인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에서 따왔다.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은 양지 축구단 운영에 깊이 개입하며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선수들에게는 병역 혜택, 높은 급여, 장기 해외 훈련 등이 제공되었다.[1][2] 이회택, 김정남, 김기복, 허윤정, 김호 등 당시 최고의 선수들이 양지에서 활동했다.[8][5][3] 최정민이 초대 감독, 김용식이 2대 감독을 맡았다.[7] 1967년 7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23명 중 11명이 양지 소속이었다.[8]
2. 1. 창단 배경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이 8강에 진출하자, 대한민국 사회는 큰 충격을 받았다.[3][4] 당시 북한과 첨예한 체제 경쟁을 벌이던 대한민국은 축구에서조차 북한에 뒤진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이에 박정희 대통령은 "북한을 이길 수 있는 팀을 만들라"[4]는 지시를 내렸고,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의 주도로 1967년 1월[5][6][7] (또는 2월[3]) 중앙정보부 직속 축구단 '양지'가 창단되었다. '양지'라는 팀명은 중앙정보부의 부훈인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에서 따온 것이다.[3]2. 2. 운영 과정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은 양지 축구단 운영에 깊이 개입하며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선수들에게 당시 국영기업체 중간 간부 수준의 월급인 2만원을 지급했고, "이기라면 이기고, 죽으라면 죽어라"라며 강한 정신력을 강조했다.[1]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조차 허가 없이 사용하지 못했던 이문동 천연 잔디 구장을 양지 선수들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다.[1]이러한 지원을 바탕으로 양지 축구단은 1969년 한국 축구 역사상 처음으로 105일 동안 유럽 전지훈련을 떠나 현지 팀들과 연습 경기를 가졌으며,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1]
양지 축구단의 주요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대회 | 년도 | 결과 |
---|---|---|
머데카컵 | 1967년 | 미얀마 축구 국가대표팀과 공동 우승[6][9] |
전국 축구 선수권 대회 | 1968년 | 우승 |
대통령배 전국 축구 대회 | 1968년 | 우승 |
아시안 클럽 선수권 대회 | 1969년 | 준우승 (결승에서 이스라엘의 마카비 텔아비브 FC에 패배)[8] |
1969년에는 한국 축구계에서 전대미문의 105일간의 유럽 원정을 떠나 18승 2무 6패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8]
2. 3. 해체
1969년 10월 팀의 후원자였던 김형욱이 중앙정보부 부장직에서 해임되면서 양지 축구단은 위기를 맞았다.[5][8] 1960년대 말부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대한민국 사이에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양지 축구단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었다.[1][2] 결국 양지 축구단은 1970년 3월 17일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1][2]3. 주요 선수
4. 감독
5. 성적
wikitext
전국축구선수권대회와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에서 1968년에 우승하였다.[3][4][5][6][7][8]
대회 | 결과 |
---|---|
전국축구선수권대회 | ![]() |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 우승 |
5. 1. 국제 대회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 1969 시즌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였고,[3][4][5][6][7][8] 1967년 메르데카 컵에서는 미얀마와 공동 우승을 차지하였다.[6][9]대회 | 결과 |
---|---|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 1969 | ![]() |
1967년 메르데카컵 | ![]() |
5. 2. 국내 대회
전국 축구 선수권 대회와 대통령배 전국 축구 대회에서 1968년에 우승하였다.[3][4][5][6][7][8]6. 평가 및 영향
양지 축구단은 정치적인 목적으로 설립되었지만, 결과적으로 대한민국 축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비록 북한과의 체제 경쟁을 위해 창단되었으나, 양지 소속 선수들은 해체 이후에도 대한민국 축구계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한국 축구가 한 단계 발전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1]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이 8강에 진출하자, 반공주의를 목표로 1967년 3월 29일 중앙정보부(KCIA)에 의해 창단되었다. 당시 중앙정보부장 김형욱의 지휘 아래 최고의 선수들을 영입하여 한국 축구의 수준을 높이는 임무를 맡았다. 선수들은 군 복무를 면제받는 대신 정보부 본부에서 생활하며 강도 높은 훈련을 받았고, 높은 급여와 장기간의 해외 훈련을 보장받았다. 이러한 지원을 바탕으로 양지 축구단은 국내 축구계를 장악했으며, 1969년에는 AFC 챔피언스 리그 결승에 진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김형욱의 권력이 약화되고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서 양지 축구단은 1970년 3월 17일에 해체되었다.[1][2]
참조
[1]
뉴스
"중앙정보부가 창단한 '양지' 축구단을 아십니까?"
https://news.naver.c[...]
No Cut News
2014-06-26
[2]
뉴스
한국 축구해외 전훈' 양지팀 전설들의 추억
https://sports.news.[...]
Yonhap News Agency
2017-06-09
[3]
웹사이트
[オピニオン]サッカーは偉大だ
http://japan.donga.c[...]
2002-05-25
[4]
웹사이트
「シルミ島サッカー部隊」陽地チームをご存知ですか
http://japan.donga.c[...]
2007-04-11
[5]
서적
日韓キックオフ伝説 ワールドカップ共催への長き道のり
集英社
2002
[6]
웹사이트
월드컵예선 남북 대결에 '양지팀' 스타 총출동(ワールドカップ予選南北対決に“陽地チーム”スター総出動)
http://news.hankooki[...]
2008-06-19
[7]
웹사이트
양지팀 올드스타들, 국정원팀과 친선경기(陽地チームオールドスター、国情院チームと親善試合)
http://article.joins[...]
2009-09-09
[8]
웹사이트
축구에도 '684부대'있었다(サッカーにも“684部隊”があった)
http://article.joins[...]
2004-01-30
[9]
문서
http://www.rsssf.com[...]
[10]
뉴스
양지 축구팀 발족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67-03-29
[11]
뉴스
양지 축구팀 해체 상비군 사업은 축협에 이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0-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