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휘기능문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휘기능문법(Lexical Functional Grammar, LFG)은 언어를 여러 층위의 구조가 협력하는 복합체로 보는 언어학 이론이다. LFG는 문법 기능 표상(f-구조), 통사 성분 표상(c-구조), 논항 구조(a-구조), 의미 구조(s-구조), 정보 구조(i-구조), 형태 구조(m-구조), 음운 구조(p-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상정하며, 이들은 상호 제약적인 관계를 갖는다. 촘스키주의 통사론과는 달리 LFG는 변형을 통한 구조 도출을 인정하지 않으며, 어휘부에서의 생산적 과정을 중시하고 구조와 기능을 분리하여 문법 현상을 설명한다. 1990년대 이후 최적성 이론, 데이터 지향 파싱, 접착 의미론 등의 영향을 받아 최적 통사론(OT-LFG), 확률론적 어휘기능분석(DOP-LFG), 접착 의미론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법 - 접속사
    접속사는 문장, 절, 구, 단어와 같은 언어 요소들을 연결하여 논리적 관계를 나타내는 품사로, 등위 접속사, 종속 접속사, 상관 접속사 등으로 나뉘며, 언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문법 - 품사
    품사는 형태, 기능, 의미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는 언어학적 범주로, 언어별 특징과 문법화 과정에 따라 분류 체계와 구성원이 달라지며, 품사 간 경계가 모호한 경우도 있어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어휘기능문법
개요
유형어휘 기능 문법
분야이론 언어학, 전산 언어학
개발자조앤 브레스넌, 로널드 캐플런
영향 받은 이론변형 생성 문법
영향을 준 이론의존 문법
세부 사항
구조구 구조
기능 구조
형식주의속성-값 행렬
파싱 방법차트 파싱
주요 개념
기능문법적 기능
기능 불확정성여러 가능한 기능 할당
제약기능 구조의 유효성을 제한하는 규칙
어휘 항목구문 및 의미 정보 포함
특징
어휘주의구문 정보의 대부분이 어휘 항목에 저장됨
모듈성다양한 언어 모듈 간의 명확한 분리
병렬 투사구문 구조와 기능 구조 간의 대응
활용
자연어 처리기계 번역
정보 검색
챗봇
언어학 연구구문 이론
의미론
형태론

2. 어휘기능문법의 구조

어휘기능문법(LFG)은 언어를 여러 층위의 구조가 협력하여 이루어지는 복합체로 본다. 각 층위는 독자적인 규칙, 개념, 형식을 갖는 구별되는 구조들이다. 어휘기능문법에서 상정하는 주된 구조는 다음과 같다.


  • 문법 기능 표상('''f-구조'''): 문장의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구조이다. 특징 구조를 참고하라.
  • 통사 성분 표상('''c-구조'''): 문장의 구문 구조를 나타낸다. 구 구조 규칙, ID/LP 문법을 참고하라.


예를 들어 ''The old woman eats the falafel''(그 나이 든 여자는 팔라펠을 먹는다)라는 문장의 c-구조는 먼저 명사구(NP)와 동사구(VP)로 분석된다. 동사구(VP)는 다시 동사(V)와 다른 명사구(NP)로 분석된다. 한편 이 문장의 f-구조를 분석하면 문장이 주어, 서술어, 목적어 등의 기능 단위와 수, 시제 등의 자질을 포함하는 속성들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보게 된다.

어휘기능문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들도 가정하고 있다.

  • 정보 구조 (i-구조)
  • 형태 구조 (m-구조)
  • 음운 구조 (p-구조)


이 모든 구조들은 '''상호 제약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어휘기능문법(LFG)의 언어 구조 개념은 촘스키 이론과 다르다. 촘스키 이론은 변형을 통해 서로 순차적으로 매핑되는 별도의 구성 요소 구조 표현 수준을 포함한다. LFG 접근 방식은 영어와 같은 언어보다 구조와 기능 사이의 관계가 덜 직접적인 비구성 언어에 특히 성공적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LFG 지지자들은 LFG를 더 그럴듯한 보편적 언어 모델로 간주한다.

LFG의 또 다른 특징은 수동태와 같은 문법 기능 변경 연산이 문장이 아닌 단어 형태 간의 관계라는 것이다. 즉, 능동-수동 관계는 예를 들어 두 개의 트리보다는 두 종류의 동사 간의 관계이다. LFG는 어휘에서 생산적인 프로세스를 가정하고 구조와 기능을 분리함으로써 구문 구조에 정의된 변형을 사용하지 않고도 구문 패턴을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hat did you see?"와 같은 문장에서 "what"이 "see"의 목적어로 이해되는 경우, 변형 문법은 "deep structure"에서 "what"을 "see" 뒤에 (목적어의 일반적인 위치) 놓고 이동시킨다. LFG는 "what"을 두 가지 기능, 즉 질문-초점 및 객체로 분석한다. 그것은 영어에서 질문-초점 기능과 관련된 위치를 차지하며 언어의 제약으로 인해 객체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LFG 연구의 주요 목표는 언어학자에게 어필하는 깊이와 동시에 효율적으로 구문 분석이 가능하며 전산 언어학자가 요구하는 형식주의의 강성을 가진 문법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전산 구문 분석기가 개발되었으며 LFG는 기계 번역 도구, 예를 들어 AppTek의 TranSphere 및 Julietta 연구 그룹의 Lekta의 이론적 기반으로도 사용되었다.

2. 1. 문법 기능 표상 (f-구조)

어휘기능문법(LFG)에서 문법 기능 표상('''f-구조''')은 문장의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구조로, 특징 구조라고도 한다. f-구조는 주어, 술어, 목적어와 같은 기능적 단위와 수, 시제 등의 특징을 포함하는 속성으로 구성된다.

"The old woman eats the falafel" (그 나이 든 여자는 팔라펠을 먹는다)라는 문장을 f-구조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이처럼 f-구조는 문장의 구성 요소들이 어떤 문법적 기능을 하는지, 그리고 그 기능들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보여준다.

2. 2. 통사 성분 표상 (c-구조)

어휘기능문법(LFG)에서 통사 성분 표상(c-구조)은 문장의 구문 구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The old woman eats the falafel''라는 문장을 c-구조로 분석하면, 먼저 명사구(NP)와 동사구(VP)로 나뉜다. 동사구(VP)는 다시 동사(V)와 다른 명사구(NP)로 분석된다. 명사구는 다시 하위 구조로 분석될 수 있다. 분석의 마지막 단계에 단어가 삽입되어 문장의 c-구조가 완성된다.

LFG의 언어 구조 개념은 촘스키 이론과 다르다. 촘스키 이론은 변형을 통해 서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구성 요소 구조 표현 수준을 포함한다. 반면 LFG는 구조와 기능 사이의 관계가 덜 직접적인 비구성 언어에 특히 적합하며, 보편적인 언어 모델로 간주되기도 한다.

구 구조 규칙, ID/LP 문법을 참고하라.

2. 3. 논항 구조 (a-구조)

서술어의 논항의 수와 논항들의 어휘의미론적 속성들을 표상하는 층위이다. 세타 역할을 참고하라.

2. 4. 의미 구조 (s-구조)

어휘기능문법(LFG)에서 의미 구조(s-구조)는 구와 문장의 의미를 표상하는 층위이다. 영어로는 Semantic structure영어라고 하며, 접착 의미론을 참조한다.

2. 5. 기타 구조

어휘기능문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들을 가정한다.

  • 논항 구조 (a-구조): 서술어의 논항 수와 논항들의 어휘의미론적 속성을 나타내는 층위. 세타 역할 참조.
  • 의미 구조 (s-구조): 구와 문장의 의미를 나타내는 층위. 접착 의미론 참조.
  • 정보 구조 (i-구조)
  • 형태 구조 (m-구조)
  • 음운 구조 (p-구조)


이 모든 구조들은 '''상호 제약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3. 촘스키주의 통사론과의 차이점

촘스키주의 언어 이론에서는 성분 구조 표상의 단계들이 변형 절차를 통해 순차적으로 도출된다고 보지만, 어휘기능문법(LFG)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어휘기능문법은 비형상적 언어 분석에서 많은 성과를 거두었는데, 이는 비형상적 언어들이 영어와 같은 형상적 언어에 비해 구조와 기능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덜 직접적이기 때문이다. 어휘기능문법 지지자들은 이 점을 들어 어휘기능문법이 변형문법보다 더 설득력 있는 보편 문법 이론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어휘기능문법은 피동화와 같은 문법 기능 교체 절차를 어휘적인 것으로 본다. 즉, 능동-피동 관계를 두 가지 동사 유형의 관계로 보며, 두 가지 수형(tree)의 관계로 보지 않는다. 능동사와 피동사는 둘 다 어휘부에 함께 등재되어 있으며, 사태참여자에게 각각 다른 문법 기능을 부여한다.

어휘기능문법은 통사 구조를 설명하는 데 변형과 같은 개념을 사용하지 않고, 어휘부에서의 생산적 과정을 중시하며, 성분구조와 기능구조를 분리하여 문법의 설명력을 확보한다. 예를 들어 "What did you see?"라는 문장에서 변형문법은 "what"을 "see"의 목적어로 보아 "심층 구조"에서 "what"이 "see" 뒷자리(목적어 자리)에 있다가 이동해 나간다고 설명한다. 반면 어휘기능문법에서는 "what"이 의문초점과 목적어라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진다고 설명한다. 영어에서 "what"은 의문초점 자리를 차지하며, 언어가 부여하는 제약에 따라 목적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4. 현대적 응용 및 연구 동향

어휘기능문법은 1990년대 이후 컴퓨터언어학과 여타 언어학 이론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특히 최적성 이론, 데이터 지향 파싱, 선형논리 등이 어휘기능문법에 많은 영향을 준 인접 분야로 꼽힌다.

LFG는 언어를 여러 차원의 구조로 구성된 것으로 보며, 각 차원은 고유한 규칙, 개념 및 형식을 갖춘 별개의 구조로 표현된다. LFG 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진 구조는 다음과 같다.


  • 문법 기능의 표현 ('''f-구조'''): 특징 구조 참조.
  • 구문 구성 요소의 구조 ('''c-구조'''): 구 구조 규칙, ID/LP 문법 참조.
  • 논항 구조 (a-구조): 세타 역할 참조.
  • 의미 구조 (s-구조): 접착 의미론 참조.
  • 정보 구조 (i-구조)
  • 형태 구조 (m-구조)
  • 음운 구조 (p-구조)


다양한 구조는 서로 '''상호 제약적'''이다.

LFG의 언어 구조 개념은 촘스키 이론과 다르다. 촘스키 이론은 변형을 통해 서로 순차적으로 매핑되는 별도의 구성 요소 구조 표현 수준을 포함한다. LFG 접근 방식은 영어와 같은 언어보다 구조와 기능 사이의 관계가 덜 직접적인 비구성 언어에 특히 성공적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LFG 지지자들은 LFG를 더 그럴듯한 보편적 언어 모델로 간주한다.

LFG는 어휘에서 생산적인 프로세스를 가정하고 구조와 기능을 분리함으로써 구문 구조에 정의된 변형을 사용하지 않고도 구문 패턴을 설명할 수 있다.

LFG 연구의 주요 목표는 언어학자에게 어필하는 깊이와 동시에 효율적으로 구문 분석이 가능하며 전산 언어학자가 요구하는 형식주의의 강성을 가진 문법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전산 구문 분석기가 개발되었으며 LFG는 기계 번역 도구, 예를 들어 AppTek의 TranSphere 및 Julietta 연구 그룹의 Lekta의 이론적 기반으로도 사용되었다.

4. 1. 최적 통사론 (OT-LFG)

최적 통사론은 최적성 이론의 개념을 통사론에 받아들여, 후보 생성, 제약 위계, 서로 경쟁하는 위배 가능한 보편적 제약 등의 개념을 어휘기능문법적 통사 분석에 활용하는 연구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4. 2. 확률론적 어휘기능분석 (DOP-LFG)

확률론적 어휘기능분석은 데이터 지향 파싱(DOP)의 방법론을 어휘기능문법에 적용한 연구이다. 이 연구 모형에서는 말뭉치를 어휘기능문법에서 상정하고 있는 개념들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다시 문법 이론에 반영하게 된다.

4. 3. 접착 의미론 (Glue Semantics)

접착 의미론은 통사론의미론의 접면을 연구하기 위해 제안된 의미론의 이론이다. 이 이론에서 의미합성은 의미구성자(meaning constructor)라 불리는 이론적 구성물에 의해 제약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