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문도 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드문도 로스는 트리니다드 토바고 출신의 룸바 밴드 리더이자 음악가였다. 그는 194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활동하며, 런던을 중심으로 라틴 아메리카 음악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로스는 1930년대에 베네수엘라에서 음악을 공부한 후, 1940년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룸바 밴드를 결성하여 런던의 코코넛 그로브 클럽 등에서 연주하며 명성을 얻었다. 그의 밴드는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을 비롯한 상류층과 왕족들에게도 인기를 얻었으며, "웨딩 삼바"와 같은 히트곡을 발표하며 많은 음반을 판매했다. 로스는 1975년 밴드를 해체하고 은퇴 후 스페인에서 거주하다가 2011년에 사망했다. 그는 대영 제국 훈장을 수훈하고, '라틴 음악의 왕'으로 불리며, 2000년에는 OBE 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에드문도 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에드문도 로스 |
원어 이름 | Edmundo Ros |
출생 이름 | Edmund William Ross |
출생일 | 1910년 12월 7일 |
출생지 | 포트오브스페인, 트리니다드 |
사망일 | 2011년 10월 21일 |
사망지 | 알리칸테, 스페인 |
직업 | 음악가 보컬리스트 밴드 리더 |
활동 기간 | 1939년–1975년 |
훈장 | |
훈장 | OBE FRAM |
음악 스타일 | |
장르 | 라틴 아메리카 |
음반사 | |
레이블 | 팔로폰 데카 (영국) 런던 (미국 및 캐나다) |
2. 생애
에드문도 로스는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포트오브스페인에서 태어났다.[1] 그의 어머니는 베네수엘라 출신 교사였고, 아버지는 스코틀랜드계였다.[1] 육군 사관학교에서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된 그는 유포니움과 타악기를 배웠다.[3] 이후 카라카스에서 음악을 공부했으며, 베네수엘라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팀파니스트로 활동했다.[1] 1937년부터 왕립 음악 아카데미에서 화성학, 작곡 등을 공부했다.[4]
1940년,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룸바 밴드'''라는 오케스트라를 결성했다.[5] 1941년 첫 음반을 발매했고, 런던 상류층과 영국 왕실의 관심을 끌었다.[5] 그의 밴드는 런던의 나이트클럽과 레스토랑에서 활동했으며,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그의 음악에 맞춰 춤을 추면서 명성을 얻었다.[3] 버킹엄 궁전에서도 자주 연주했다.[6] 1946년, 밴드를 16인조로 확장하고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오케스트라'''로 이름을 바꿨다.[3] 그의 곡 "웨딩 삼바"는 300만 장 이상 판매되었고,[3][8] 1958년 앨범 ''남쪽의 리듬''은 1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3] 그는 1944년부터 1974년까지 데카 레코드에서 800개 이상의 녹음을 제작했다.[5]
1951년, 리젠트 스트리트의 코코넛 그로브를 인수했고, 1964년에는 에드문도 로스 디너 앤 서퍼 클럽으로 이름을 변경했다.[3] 1950년대와 1960년대에 BBC 라디오에 자주 출연했으며,[6] 1960년대 초 테드 히스 오케스트라와 협업 앨범을 제작했다.[3] 1975년 오케스트라를 해체하고,[3] 은퇴 후 스페인 하비아로 이주했다. 1994년 마지막 공개 공연을 했고,[13] 2011년 알리칸테에서 사망했다.[13] 2001년에는 대영 제국 훈장을 받았다.
2. 1. 초기 생애
에드문도 윌리엄 로스는 포트오브스페인, 트리니다드에서 태어났다.[1] 그의 어머니 루이사 어쿼트는 베네수엘라 출신의 교사였으며, 카리브족 원주민의 후손으로 여겨졌고, 그의 아버지 윌리엄 호프-로스는 스코틀랜드계 물라토였다.[1] 그는 루비와 엘레노어 두 명의 누이와 이복 동생 휴고를 둔 4남매 중 장남이었다. 휴고가 태어난 후 그의 부모는 헤어졌고, 여러 우여곡절 끝에 에드문도는 육군 사관학교에 입학했다. 그곳에서 그는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유포니움과 타악기를 배우게 되었다.[3] 그의 어머니가 그가 혐오하는 남자와 관계를 맺고 그에게 아들을 낳자, 17세의 그는 카라카스, 베네수엘라로 떠나 빈센테 에밀리오 소호에게 음악을 배우기 위해 음악 아카데미에서 공부했다.그는 도시의 나이트클럽과 카라카스 군악대에서 드럼을 연주했으며, 곧 소호에 의해 새롭게 창설된 베네수엘라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팀파니스트로 고용되었다. ''가디언''에 실린 그의 부고는 "그의 현지 이름인 '에드문도 로스'는 그가 베네수엘라 사람이라는 지속적인 신화를 만들어냈다"고 언급했다.[1] 이후 그는 엘레아자르 로페스 콘트레라스의 베네수엘라 정부로부터 음악 장학금을 받았고, 1937년부터 1942년까지 왕립 음악 아카데미에서 화성학, 작곡, 관현악 편성을 공부했다.[4] 동시에 그는 돈 마리노 바레토의 밴드에서 보컬과 타악기 연주자로 활동했으며, 1938년 런던을 방문한 페츠 월러의 사이드맨으로도 여러 음반을 녹음했다.[3]
2. 2. 밴드 활동
1940년 8월, 로스는 아르만도 오레피체가 지휘하는 레쿠오나 쿠반 보이즈 스타일로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룸바 밴드'''라는 자신만의 오케스트라를 결성하여 활동했다.[5] 1941년 파라폰에서 첫 음반을 발매했는데, 첫 번째 곡은 "로스 히호스 데 부다"였다. 밴드는 리젠트 스트리트의 코코넛 그로브 클럽에서 정기적으로 연주하며 런던 상류층과 영국 왕실 구성원의 관심을 끌었다.[5]로스의 밴드는 항상 런던의 나이트클럽이나 레스토랑을 기반으로 했다.[3] 처음에는 워도어 스트리트의 코스모 클럽, 그 다음에는 세인트 레지스 호텔, 코크 스트리트, 코코넛 그로브, 그리고 로스와 상류사회를 위해 문을 연 바가텔 레스토랑에서 활동했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국 지도자들과 왕족들이 에드문도의 룸바 밴드의 연주를 듣기 위해 이곳을 찾았다. 바가텔에서 엘리자베스 공주와 일행이 방문한 것이 그의 명성을 높였다.[3] 미래의 여왕은 에드문도의 음악에 맞춰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춤을 췄다. 부드러운 리듬 스타일과 매력적인 보컬로 대중에게 큰 인기를 얻었고, 그의 오케스트라는 종종 버킹엄 궁전에서 연주하도록 초대받았다.[6]
1946년까지 로스는 클럽, 댄스 학교, 음반 회사, 연예 기획사를 소유했다. 그의 밴드는 16명의 음악가로 늘어났고,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오케스트라로 이름을 변경했다.[3] 그의 타악기 연주자 중에는 진저 존슨도 있었다.[7] 1949년에 발매된 그의 곡 "웨딩 삼바"는[3] 300만 장의 78회전 음반이 판매되었다.[8] 1958년 앨범 ''남쪽의 리듬''은 최초의 고품질 LP 스테레오 레코드 중 하나였으며, 100만 장이 판매되었다. 그는 1944년부터 1974년까지 데카 레코드와 함께했으며, 총 800개 이상의 녹음을 제작했다.[5]
1950년, 조지 6세 국왕은 그를 윈저에서 공연하도록 초청했고, 그는 그해에 결혼한 아름다운 스웨덴 귀족 브리트 요한센을 약혼녀로 데려갔다.[9][10]
1951년 로스는 리젠트 스트리트의 코코넛 그로브를 인수했고, 1964년에는 에드문도 로스 디너 앤 서퍼 클럽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이 클럽은 분위기와 음악으로 인기를 얻었지만, 1965년 합법화된 카지노 도박으로 인해 많은 주요 고객을 잃어 문을 닫았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로스 오케스트라는 BBC 라디오에 자주 출연했으며, 1970년대 초까지 ''라디오 투 볼룸''에서 활동을 이어갔다.[6]
1960년대 초, 그는 테드 히스 오케스트라와 함께 비교적 새로운 스테레오 녹음 기술을 활용한 앨범 ''히스 대 로스''(데카 페이즈 4 1964)를 공동 작업했다.[3] 비틀즈와 롤링 스톤스와 같은 록 밴드로의 음악적 취향 변화는 로스의 입지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는 1970년대까지 연주를 계속했다.[3]
1975년, 로스의 일곱 번째 일본 투어 중, 그의 밴드의 음악가 연합 노조 대의원이 로스의 권위에 도전하여 그의 허락 없이 공연장과 계약을 맺었다. 영국으로 돌아온 로스는 BBC 녹음 세션 후에 기념 만찬을 열어 오케스트라 해체를 발표했다.[3] 그는 거의 모든 악보(편곡 시트)를 파기하여 오케스트라의 존재를 결정적으로 종식시켰다.[5]
1994년, 에드문도는 런던의 퀸 엘리자베스 홀에서 BBC 빅 밴드와 현악기를 지휘하고 노래했다. 다른 지휘자는 스탠리 블랙이었다.[3] 이 콘서트는 BBC 라디오 2를 통해 방송되었으며, 큰 성공을 거두어 일본의 음반 회사가 그들을 런던의 녹음 스튜디오로 초청하여 또 다른 에드문도 로스 CD를 제작하게 했다.
2. 3. 은퇴 이후
로스는 은퇴 후 스페인 하비아(알리칸테)로 이주했다. 1994년 1월 8일에 마지막 공개 공연을 했다.[13] 2011년 10월 21일, 알리칸테에서 101번째 생일을 얼마 남겨두지 않고 병으로 사망했다.[13]3. 서훈 및 평가
2000년 대영 제국 훈장 4등급(OBE)을 받았다.[14] 1964년 10월 4일 엔터테인먼트 단체인 워터 래츠 대훈장에 가입했다. 1965년 1월 5일에는 포울터스 컴퍼니의 자유민으로 인정받았고, 같은 해 6월 22일에는 런던 시의 자유민이 되었다. 그는 프리메이슨이었으며, 첼시 로지 3098에 가입했고, 어센션 로지 7358의 창립 멤버이자 워십풀 마스터였다. 은퇴 후에는 스페인 하베아의 스프리그 오브 아카시아 로지 41의 멤버였다.[11]
1991년 영국 왕립 음악원의 특별 회원이 되었다. 팬들과 언론인들은 그를 '라틴 음악의 왕'이라고 불렀다.
2000년 신년 서훈에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로스에게 대영 제국 훈장 오피서(OBE) 훈장을 수여했고, 로스는 버킹엄 궁전에서 서훈식을 가졌다.[12]
4. 주요 히트곡
- 아마폴라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
- 브라질
- 휘핑 크림 (TBS 라디오 독마무시 산타유의 뮤직 프레젠트 테마곡)
5. 음반 목록
에드문도 로스는 다양한 음반을 발매했는데, 1951년까지 녹음된 78s는 할리퀸(Harlequin) CD로 재발매되었다.[3] 이 시리즈는 10장의 CD로 구성되어 있으며,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오케스트라의 초기 음악을 담고 있다.[3]
10인치 LP 음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음반명 | 영국/영연방 레이블 | 미국/캐나다 레이블 | 비고 |
---|---|---|---|
라틴 아메리카 리듬[1] | 데카 LF 1002 | 런던 155 | 에드문도 로스와 그의 룸바 밴드; 라틴 리듬 (에드문도 로스와 그의 오케스트라)와 내용 동일. |
로스와 함께하는 맘보[1] | 데카 LF 1038 | 런던 LPB 341 | |
로스와 함께하는 삼바[1] | 데카 LF | 런던 LB 367 | |
로스와 함께하는 라틴 아메리카 리듬[1] | 데카 LP 1051 | 런던 LPB 368 | |
로스가 선사하는 칼립소[1] | 데카 LF 1067 | 런던 LB 367 | |
삼바 댄스[1] | 데카 LF 1126 | 런던 LB 742 |
12인치 LP 음반 목록은 아래 표와 같다.
제목 | 레이블 | 발매 연도 | 비고 |
---|---|---|---|
라틴 아메리카 참신함 | London LL 1090 | ||
로스 맘보스 | London LL 1092, Decca | 1956 | |
라틴 멜로디 | London LL 1093 | ||
로스 삼바 앨범 | London LL 1117, 리치먼드 B 20032 | 데카/런던은 14곡, 리치먼드는 10곡 수록. | |
로스 칼립소 앨범 | Decca LK 4102 | 1956 | |
로스 바이옹 앨범 | Decca LK 4111 | 한 면은 바이옹, 다른 면은 볼레로. | |
맘보 파티 | Richmond B 20022 | ||
라틴 카니발 | Richmond B 20023 | ||
남쪽의 리듬 | Decca | 1958 | |
칼립소 매니아 | Decca | 1958 | |
댄스를 위한 완벽함 | Decca | 1958 | |
하이피에스타 댄스를 위한 완벽함 | London LL3000 | ||
브로드웨이의 로스 | London PS110, Decca | 1957, 1959 | |
할리우드 차차차 | Decca | 1959 | |
에드문도와 함께 춤을 | Decca LK 4353 | 1960 | |
불과 광란 | London sw 99019 | 1960 | 카테리나 발렌테 노래 |
남쪽에서 온 봉고 | Decca | 1961 | |
에드문도 로스와 함께 노래하고 박수 치며 | London PS 226 | 1961 | |
브로드웨이의 로스와 함께 노래하고 박수 치며 | Decca LK 4388 | 1961 | |
로스와 함께 춤을 | London FFSS PS 205 | 1961 | |
삼바! | Richmond B 20032 | 1962 | |
다시 춤을 | Decca | 1962 | |
에드문도 로스와 함께 노래하고 춤을 | Decca SKL 4526 | 1963 | |
히스 대 로스 | Decca Phase 4 | 1964 | |
카테리나 발렌테 콤 에드문도 로스 | London LLN-7058 | 1964 | |
라틴 아메리카 리듬 | Decca | 1964 | 카테리나 발렌테 노래 |
에드문도 로스와 함께 노래하고 춤을 | Decca SKL 4885 | 1967 | |
히스 대 로스, 2라운드 | Decca Phase 4 | 1967 | |
헤어 고스 라틴 | Decca | 1969 | |
국경의 남쪽으로 향하다 | Decca Phase 4 | 1970 | |
이것이 나의 세상 | Decca | 1972 | |
카리브해의 로스 | Decca | 1974 | |
로스, 기억하다 | Decca | 1974 | |
햇살과 올레! | London Phase 4 | 1976 | |
오늘날의 에드문도 로스 | Decca | 1978 | |
쇼 보트/포기 앤 베스 | (LP) | ||
오페라의 로스 | |||
브로드웨이가 라틴으로 | |||
남쪽의 새로운 리듬 | |||
라틴 보스... 세뇨르 로스 | |||
아리바 | |||
놓친 라틴 히트곡 | |||
라틴 킹 | |||
이것이 나의 세상 | |||
브로드웨이에 안부 전해주세요 | |||
그 라틴 사운드 | |||
라틴 페이보릿 | Gold Crown | 1979 | |
라틴 노래와 댄스맨 | Pye | 1980 | |
수백만 명을 위한 음악 | Decca | 1983 | |
스트링스 라티노 | London | 1985 | |
라틴 매직 | London | 1987 | |
그 라틴 사운드 | Pulse | 1997 | |
도잉 더 삼바 | CD | ||
남쪽의 리듬/남쪽의 새로운 리듬 | CD | ||
굿! 굿! 굿! | CD | ||
스트링스 라티노/놓친 라틴 히트곡 | CD |
5. 1. 78s (Harlequin CD로 재발매)
이 10장의 CD 세트에는 1951년까지 녹음된 알려진 모든 78s가 포함되어 있으며, 자료는 크리스티안 아프 로젠보르크의 78rpm 컬렉션이었고, 노트는 페페 루흐탈라가 작성했으며, 리마스터링은 찰리 크럼프가 진행했다.[3] 이 시리즈는 완결되지 않았지만, 이후의 대부분의 로스 자료는 LP 또는 CD로 이용 가능하다. 일부 할리퀸(Harlequin) 시리즈는 낙소스(Naxos)에서 이용 가능하다. 이 CD들의 제목은 그의 그룹을 룸바 밴드로 칭하고 있지만, 전후 시대에는 16명으로 확대되어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오케스트라로 알려졌다.[3]-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룸바 밴드'', 1939–41, 할리퀸 CD 15. 에드문도 로스가 그의 경력 초창기에 대해 논하는 약 8분을 포함한다.
- ''트로피컬 매직: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룸바 밴드, vol 2'', 1942–44. 할리퀸 CD 50. 에드문도 로스가 그의 자서전적 회상을 이어가는 4개의 세트를 포함한다.
- ''쿠반 러브 송: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룸바 밴드, vol 3'', 1945. 할리퀸 CD 73.
- ''치키타 바나나: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룸바 밴드, vol 4'', 1946–47. 할리퀸 CD 105.
- ''라 콤파르사: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룸바 밴드, vol 5'', 1948. 할리퀸 CD 129.
- ''초콜릿 위스키 앤 바닐라 진: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룸바 밴드, vol 6'', 1948–49. 할리퀸 CD 147.
- ''맘보 잠보: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룸바 밴드, vols 7 & 8'', 1949–50. 할리퀸 CD 164/165.
- ''브라질의 플레이타임: 에드문도 로스 앤 히스 오케스트라, vols 9 & 10'', 1951. 할리퀸 CD 180/181.
5. 2. 10" LPs
음반명 | 레이블 (영국/영연방) | 레이블 (미국/캐나다) | 비고 |
---|---|---|---|
라틴 아메리카 리듬[1] | 데카 LF 1002 | 런던 155 | 에드문도 로스와 그의 룸바 밴드; 라틴 리듬 (에드문도 로스와 그의 오케스트라)와 내용 동일. |
로스와 함께하는 맘보[1] | 데카 LF 1038 | 런던 LPB 341 | |
로스와 함께하는 삼바[1] | 데카 LF | 런던 LB 367 | |
로스와 함께하는 라틴 아메리카 리듬[1] | 데카 LP 1051 | 런던 LPB 368 | |
로스가 선사하는 칼립소[1] | 데카 LF 1067 | 런던 LB 367 | |
삼바 댄스[1] | 데카 LF 1126 | 런던 LB 742 |
5. 3. 12" LPs
제목 | 레이블 | 발매 연도 | 비고 |
---|---|---|---|
라틴 아메리카 참신함 | London LL 1090 | ||
로스 맘보스 | London LL 1092, Decca | 1956 | |
라틴 멜로디 | London LL 1093 | ||
로스 삼바 앨범 | London LL 1117, 리치먼드 B 20032 | 데카/런던은 14곡, 리치먼드는 10곡 수록. | |
로스 칼립소 앨범 | Decca LK 4102 | 1956 | |
로스 바이옹 앨범 | Decca LK 4111 | 한 면은 바이옹, 다른 면은 볼레로. | |
맘보 파티 | Richmond B 20022 | ||
라틴 카니발 | Richmond B 20023 | ||
남쪽의 리듬 | Decca | 1958 | |
칼립소 매니아 | Decca | 1958 | |
댄스를 위한 완벽함 | Decca | 1958 | |
하이피에스타 댄스를 위한 완벽함 | London LL3000 | ||
브로드웨이의 로스 | London PS110, Decca | 1957, 1959 | |
할리우드 차차차 | Decca | 1959 | |
에드문도와 함께 춤을 | Decca LK 4353 | 1960 | |
불과 광란 | London sw 99019 | 1960 | 카테리나 발렌테 노래 |
남쪽에서 온 봉고 | Decca | 1961 | |
에드문도 로스와 함께 노래하고 박수 치며 | London PS 226 | 1961 | |
브로드웨이의 로스와 함께 노래하고 박수 치며 | Decca LK 4388 | 1961 | |
로스와 함께 춤을 | London FFSS PS 205 | 1961 | |
삼바! | Richmond B 20032 | 1962 | |
다시 춤을 | Decca | 1962 | |
에드문도 로스와 함께 노래하고 춤을 | Decca SKL 4526 | 1963 | |
히스 대 로스 | Decca Phase 4 | 1964 | |
카테리나 발렌테 콤 에드문도 로스 | London LLN-7058 | 1964 | |
라틴 아메리카 리듬 | Decca | 1964 | 카테리나 발렌테 노래 |
에드문도 로스와 함께 노래하고 춤을 | Decca SKL 4885 | 1967 | |
히스 대 로스, 2라운드 | Decca Phase 4 | 1967 | |
헤어 고스 라틴 | Decca | 1969 | |
국경의 남쪽으로 향하다 | Decca Phase 4 | 1970 | |
이것이 나의 세상 | Decca | 1972 | |
카리브해의 로스 | Decca | 1974 | |
로스, 기억하다 | Decca | 1974 | |
햇살과 올레! | London Phase 4 | 1976 | |
오늘날의 에드문도 로스 | Decca | 1978 | |
쇼 보트/포기 앤 베스 | (LP) | ||
오페라의 로스 | |||
브로드웨이가 라틴으로 | |||
남쪽의 새로운 리듬 | |||
라틴 보스... 세뇨르 로스 | |||
아리바 | |||
놓친 라틴 히트곡 | |||
라틴 킹 | |||
이것이 나의 세상 | |||
브로드웨이에 안부 전해주세요 | |||
그 라틴 사운드 | |||
라틴 페이보릿 | Gold Crown | 1979 | |
라틴 노래와 댄스맨 | Pye | 1980 | |
수백만 명을 위한 음악 | Decca | 1983 | |
스트링스 라티노 | London | 1985 | |
라틴 매직 | London | 1987 | |
그 라틴 사운드 | Pulse | 1997 | |
도잉 더 삼바 | CD | ||
남쪽의 리듬/남쪽의 새로운 리듬 | CD | ||
굿! 굿! 굿! | CD | ||
스트링스 라티노/놓친 라틴 히트곡 | CD |
참조
[1]
웹사이트
Edmundo Ros obituary
https://www.theguard[...]
2011-10-22
[2]
뉴스
Band leader Edmundo Ros dies, 100
https://www.bbc.co.u[...]
BBC News
2011-10-22
[3]
서적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Virgin Books
1997
[4]
문서
Ros, Edmundo
Grove Music Online
[5]
문서
Pepe Luhtala, liner notes to Tropical Magic, vol 2 of Harlequin Records CD 50. These notes were based on interviews with Edmundo Ros.
[6]
뉴스
A Latino love affair
2010-12-02
[7]
웹사이트
Sleeve notes from African Party, Ginger Johnson and his African Messengers
http://www.songbird.[...]
2013-09-04
[8]
서적
The Book of Golden Discs
https://archive.org/[...]
Barrie and Jenkins Ltd
[9]
웹사이트
Edmundo Ros obituary
http://www.theguardi[...]
2022-07-14
[10]
문서
Marriage, Ros, Edmundo W and Johansson, Maj-Britt V, December Quarter 1950, Paddington Registration District, UK, 5d 322
[11]
웹사이트
Biography of Water Rat Edmundo Ros, OBE
http://www.gowr.co.u[...]
Grand Order of Water Rats
[12]
뉴스
Long lifetime of inspiring music
http://www.timesofma[...]
2010-12-10
[13]
뉴스
Musician Edmundo Ros dies aged 100
http://www.telegraph[...]
The Telegraph
2011-10-22
[14]
저널
Supplement No. 1: New Year Honours List - United Kingdom
https://www.thegazet[...]
1999-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