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b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b는 2000년 발견된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이다.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되었으며, 허블 우주 망원경의 천체측량 측정을 통해 존재가 확인되었다. 목성형 행성으로, 질량은 목성의 0.65배에서 1.5배 사이로 추정되며, 궤도 긴반지름은 약 3.5 천문단위(AU)이고 공전 주기는 약 7.4년이다. 궤도 이심률은 초기에는 컸으나, 2019년 연구를 통해 거의 원형 궤도(이심률 약 0.07)를 가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국제천문연맹은 이 행성의 이름을 에기르, 모항성의 이름을 란으로 명명했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직접 관측이 계획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리다누스자리 - 아케르나르
    아케르나르는 에리다누스자리에서 가장 밝고 지구에서 아홉 번째로 밝게 보이는 청색 항성으로, 빠른 자전으로 편구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적도면에 가스 원반을 가지고 있고 동반성을 거느리고 있다.
  • 에리다누스자리 -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란)은 태양과 유사한 K형 주계열성으로, 행성 b와 두 개의 소행성대, 먼지 원반을 거느리고 있어 외계 행성 탐색의 주요 대상이다.
  • 2000년 발견한 외계 행성 - HD 179949 b
    HD 179949 b는 본문 내용이 없어, 이 천체의 특징에 대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
  • 2000년 발견한 외계 행성 - HD 83443 b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b
기본 정보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b의 상상도. 링을 가진 가스 행성으로 묘사됨. 하단의 물체는 가상의 위성.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b의 상상도. 링을 가진 가스 행성으로 묘사됨. 하단의 물체는 가상의 위성.
명칭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b / AEgir
다른 이름AEgir, 18 Eridani b, Gliese 144 b, HD 22049 b, HIP 16537 b, HR 1084 b
발견
발견자아티 P. 하츠 외
발견 장소미국
발견 날짜2000년 8월 7일
발견 방법도플러 분광법
궤도 특성
모항성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궤도 긴반지름3.53 ± 0.06 AU
궤도 이심률0.26 ± 0.04
공전 주기2688.60 ± 16.17/16.51일 (7.36 ± 0.04/0.05년)
궤도 경사130.60 ± 9.53/12.62 도
승교점 경도206.07 ± 15.14/17.48 도
근점 통과 시간2444411.54 ± 76.60/81.95 JD
근일점 인수166.48 ± 6.63/6.66 도
반진폭9.98 ± 0.43/0.38 m/s
물리적 특성
질량0.76 ± 0.14/0.11 목성질량
평형 온도약 150 K (약 -123 °C)
기타 정보
적색 편이0.000055
시선 속도16.43 ± 0.09 km/s
고유 운동적경: -975.17 ± 0.21 밀리초/년, 적위: 19.49 ± 0.20 밀리초/년
시차310.94
시차 오차0.16
추정 반지름≥ 1 목성 반지름
나이7억 3천만 년 ± 2억 년

2. 발견

2000년 8월 7일 아티 헤치스 연구팀은 시선 속도법을 이용하여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b를 발견했다.[13] 이 행성의 질량은 목성의 1.2 ± 0.33배, 어머니 항성으로부터의 거리는 3.3 AU라고 발표되었으며, 궤도 이심률은 매우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제프리 마시 팀은 엡실론별의 강하고 변덕스러운 자기장 때문에 도플러 잡음이 발생하여 행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착각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7] 이러한 논쟁은 허블 우주 망원경이 행성의 존재를 확인할 때까지 계속되었다.[13]

이 행성의 존재는 1990년대 초 브루스 캠벨과 고든 워커 연구진에 의해 예측되었으나, 당시 관측 기술로는 확실한 발견으로 이어지지 못했다.[13]

2006년 허블 우주 망원경은 천체측량 측정을 통해 행성의 존재를 확인했다.[8] 이 관측으로 행성은 목성 질량의 1.5배이며 별 주위에서 관측된 외부 먼지 원반과 같은 평면을 공유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후 스피처 우주 망원경이 별로부터 약 3 AU 떨어진 곳에서 소행성대를 감지했으나, 2009년 한 천문학자 팀은 제안된 행성의 궤도 이심률과 이 소행성대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천문학자들은 시선 속도 데이터를 계속 수집하고 분석했으며, 2019년 1월 발표된 논문에서는 궤도 이심률이 약 0.07로, 거의 원형 궤도와 일치한다는 새로운 결과가 나왔다. 이는 내부 소행성대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했다.

미국 해군 천문대히파르코스 임무와 가이아 EDR3 데이터를 결합하여 엡실론 에리다니를 공전하는 장주기 외계 행성의 존재를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2021년에는 히파르코스, 가이아 DR2 데이터의 절대 천체측정 측정과 Keck/NIRC2 Ms-band vortex coronagraph 이미지의 새로운 시선 속도 측정을 통해, 목성 질량의 0.65배, 이심률 약 0.055, 공전 거리 약 3.53 AU, 궤도 경사각 78도 등 더 정밀한 궤도 요소가 결정되었다.[10]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엡실론 에리다니 b의 직접 영상화가 계획되어 있다.[11]

3. 물리적 특징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b는 목성형 행성으로, 질량은 목성의 0.65배에서 1.5배 사이로 추정된다.[13][14] 궤도 경사각은 관측 방법에 따라 30도에서 78도 사이로 추정되며, 엡실론별을 둘러싼 먼지 원반과 같은 평면을 공유하는 것으로 보인다. 궤도 긴반지름은 약 3.5 천문단위(AU)이며, 공전 주기는 약 7.4년이다. 초기에는 궤도 이심률이 큰 엑센트릭 행성으로 여겨졌으나, 2019년 연구에서는 목성과 유사한 원형 궤도(이심률 약 0.07)를 가진다는 결과가 나왔다. 행성의 반지름은 직접 측정되지 않았지만, 행성계의 나이가 젊다는 점을 고려할 때 목성보다 약간 클 것으로 추정된다.

3. 1. 소행성대와의 관계

4. 명칭

국제천문연맹(IAU)은 NameExoWorlds 캠페인을 통해 외계 행성과 그 짝별에 고유한 이름을 부여하는 절차를 진행했다.[1][2] 이 절차에는 새로운 이름에 대한 대중의 지명과 투표가 포함되었다.[3] 2015년 12월, 국제천문연맹은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b의 이름을 에기르(에기르/Ægirnon)로, 그 모항성의 이름을 란으로 발표했다.[4] 이 명칭은 미국 워싱턴주에 있는 마운틴사이드 중학교 학생 제임스 오트가 제안한 것이다.[5] 아에기르는 북유럽 신화의 바다의 신 에기르의 이름을 딴 것이며, 철자에서 대문자 사용 여부만 다르다.[6]

5. 추가 연구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b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을 이용한 직접 관측이 계획되어 있다.[11]

2021년과 2022년에 발표된 여러 연구에서는 히파르코스, 가이아, Keck/NIRC2 등의 관측 데이터를 종합하여 행성의 질량, 궤도 경사각, 이심률 등에 대한 보다 정밀한 추정치를 제시했다.[10] 2021년 10월 연구에서는 히파르코스, 가이아 DR2 데이터와 Keck/NIRC2 Ms-band vortex coronagraph 이미지의 새로운 시선 속도 측정을 사용하여, 목성 질량의 0.65배, 이심률 약 0.055, 궤도 장반경 약 3.53 AU, 궤도 경사각 78도 라는 값을 얻었다.[10] 2021년 7월에는 목성 최소 질량의 0.651배, 궤도 장반경 3.5 AU, 이심률 0.044 라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2022년 3월 연구에서는 궤도 경사각 45도, 목성 질량의 0.63배, 이심률 0.16 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2019년 1월, 이전 추정치보다 한 자릿수 작은, 거의 원형 궤도와 일치하는 약 0.07의 궤도 이심률이 발견되었다. 이는 내부 소행성대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했다. 새로운 측정값은 행성의 질량과 경사각에 대한 새로운 추정치를 포함했는데, 목성의 0.78배였지만 경사각이 89도로 제대로 제한되지 않아 이는 절대 질량에 대한 대략적인 추정치에 불과했다. 만약 행성이 파편 원반과 같은 경사각(34도)으로 공전한다면, 그 질량은 목성의 1.19배가 되었을 것이다.

미국 해군 천문대는 천체측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로봇 천체측정 망원경(URAT)에서 얻은 데이터와 히파르코스 임무에서 이전에 수집된 데이터, 그리고 새로운 가이아 EDR3 데이터 릴리스를 결합하여, 에리다누스자리를 공전하는 장주기 외계 행성의 존재를 확인했다고 믿고 있다.

참조

[1] 뉴스 NameExoWorlds: An IAU Worldwide Contest to Name Exoplanets and their Host Stars http://www.iau.org/n[...] 2017-09-25
[2] 웹사이트 The ExoWorlds https://web.archive.[...] IAU 2017-09-25
[3] 웹사이트 NameExoWorlds http://nameexoworlds[...] IAU 2017-09-25
[4] 뉴스 Final Results of NameExoWorlds Public Vote Released http://www.iau.org/n[...]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7-09-25
[5] 웹사이트 Mountainside wins competition to name planet, star http://www.spokesman[...] 2016-05-12
[6] 웹사이트 Planetary Names https://planetarynam[...] 2023-01-06
[7] 간행물 Planetary Messages in the Doppler Residuals (Invited Review) 2000-08-07
[8] 뉴스 Hubble Zeroes in on Nearest Known Exoplanet http://hubblesite.or[...] Hubble News Desk 2006-10-10
[9] 논문 Catalog of Nearby Exoplanets 2006
[10] 서적 Planet eps Eridani b https://exoplanet.eu[...] 2021-09-26
[11] 웹사이트 First image and spectrum of a true Jupiter-Saturn Analog https://www.stsci.ed[...]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24-02-29
[12] 웹사이트 eps Eri -- Variable of BY Dra type https://simbad.u-str[...] 2016-01-13
[13] 뉴스 http://hubblesite.or[...] 2006-10-10
[14] 문서 Benedict et al. (2006), The Extrasolar Planet ɛ Eridani b: Orbit and Mass, The Astronomical Journal, Volume 132, Issue 5, pp. 2206-2218 http://arxiv.org/ab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