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은 1922년 체코슬로바키아의 마리에 메이즐리코바가 13초 6으로 처음 세웠다. 이후 1977년 전자 계시가 도입되기 전까지 여러 선수들이 기록을 경신했으며, 1970년대에는 동독의 레나테 슈테허가 10초 8까지 기록을 단축했다. 전자 계시 도입 이후에는 마를리스 괴어, 이블린 애시포드 등이 세계 기록을 경신했고, 1988년 플로렌스 그리피스 조이너가 10초 49의 기록을 세웠으나, 풍속 측정 논란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깨지지 않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0미터 달리기 - 10초 벽
    10초 벽은 육상 100m 달리기에서 선수들이 10초의 장벽을 깨는 것을 의미하며, 남자 100m에서는 짐 하인즈를 시작으로 우사인 볼트 등 수많은 선수들이 이 기록을 경신했으나 여자 100m에서는 아직 10초의 벽을 넘은 선수가 없다.
  • 100미터 달리기 - 남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남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은 1912년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10초 6을 최초 공인한 이후 여러 선수들에 의해 경신되었으며, 2009년 우사인 볼트가 9초 58의 기록으로 현재까지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육상 경기 세계 기록 추이 - 남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남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은 1912년 국제 육상 경기 연맹이 10초 6을 최초 공인한 이후 여러 선수들에 의해 경신되었으며, 2009년 우사인 볼트가 9초 58의 기록으로 현재까지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육상 경기 세계 기록 추이 - 남자 1600m 이어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남자 1600m 이어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는 1911년 아이리시 아메리칸 AC가 최초 기록을 세운 이후 미국 대표팀이 여러 차례 경신했으며, 1993년 미국 대표팀이 2분 54초 29를 기록하여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 스포츠에 관한 - 카이트서핑
    카이트서핑은 연과 보드를 사용하여 바람의 힘으로 물 위를 활강하는 수상 스포츠로, 다양한 스타일이 있으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인 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스포츠에 관한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여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2. 1922~1976년 기록

1922년부터 1976년까지 여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은 수동 계측 방식으로 측정되었으며, 전자 계측 기술이 도입되기 전이었다.

초기에는 유럽 선수들이 강세를 보였다. 마리에 메이즐리코바(체코슬로바키아)가 1922년에 13초 6으로 첫 기록을 세웠고, 메리 라인스(영국)가 12초 8로 단축했다. 1920년대 후반에는 레니 융커 (독일)등이 기록을 경신했다.

1930년대에는 톨린 스휘르만(네덜란드)이 11초 9를 기록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고, 스타니스와바 발라시에비치(폴란드)와 헬렌 스티븐스(미국)가 11초 6까지 기록을 단축하며 경쟁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파니 블랑커르스쿤(네덜란드)이 11초 5를 기록하며 전후 유럽에 희망을 불어넣었다. 1950년대에는 마저리 잭슨과 셜리 스트리클런드(이상 오스트레일리아)가 11초 3까지 기록을 단축하며 여자 육상 단거리 종목에서 강세를 보였다.

1960년대에는 윌마 루돌프와이오미아 타이어스(이상 미국)가 11초 0 (11.08초로 조정)까지 기록을 단축하며 흑인 여성 스포츠 선수로서 활약했다. 1970년대 초반에는 레나테 슈테허(동독)가 등장하여 10.8초 (11.07초)까지 기록을 경신하며 여자 100m 달리기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 시기의 기록들은 전자 계측 이전의 기록으로, 현재의 기록과는 차이가 있다.

2. 1. 초기 기록 (1922~1930년대)

1922년 8월 5일 체코슬로바키아의 마리에 메이즐리코바가 프라하에서 13초 6의 첫 세계 기록을 세웠다.[1] 같은 해 8월 20일, 영국의 메리 라인스가 파리에서 12초 8로 기록을 경신했다.[1]

1920년대에는 독일 선수들이 강세를 보였다. 1923년 5월 21일 에미 하우크가 프랑크푸르트에서 12초 7(110야드)을 기록했고,[1] 1925년에는 레니 슈미트가 라이프치히에서 12초 4, 레니 융커가 비스바덴에서 12초 2(110야드)를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1] 1926년에는 군델 비트만이 브라운슈바이크에서 12초 4,[1] 레니 융커가 하노버에서 12초 2를 기록했다.[1] 1927년 게르트루트 글라디치는 슈투트가르트에서 12초 1(110야드)의 기록을 세웠다.[1]

1928년, 일본의 히토미 키누에가 오사카에서 12초 2의 기록으로 아시아 선수 최초로 세계 기록을 보유하게 되었다.[1] 이는 당시 한국의 스포츠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같은 해 베티 로빈슨(미국)이 시카고에서 12.0[1], 머틀 쿡(캐나다)가 핼리팩스에서 12.0을 기록했다.[1]

1930년대 초반, 네덜란드의 톨리엔 스추르만이 1930년 암스테르담에서 12초 0,[1] 1932년 하를럼에서 11초 9를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1]

2. 2. 1930년대~1970년대 초반

Helen Stephens영어와 Stanisława Walasiewiczpl 등은 초창기 여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경신을 주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Fanny Blankers-Koennl은 뛰어난 기량으로 세계 기록을 세웠으며, 전후 재건 시기 유럽 사회에 희망을 불어넣었다. 1950년대부터는 Marjorie Jackson영어, Shirley Strickland영어 등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들이 여자 육상 단거리 종목에서 강세를 보였다.

기록선수나라날짜장소
12초 0톨린 스휘르만1930. 08. 31암스테르담 [8]
11초 9톨린 스휘르만1932. 06. 05하를럼 [8]
11초 9스타니스와바 발라시에비치1932. 08. 01로스앤젤레스 [8][9]
11초 9힐다 스트라이크1932. 08. 02로스앤젤레스
11초 8스타니스와바 발라시에비치1933. 9. 17포즈난 [8][9]
11초 9케테 크라우스1934. 8.11런던
11초 7스타니스와바 발라시에비치1934. 08. 26바르샤바 [8][9]
11초 9헬렌 스티븐스1935. 4. 10풀턴
11초 8헬렌 스티븐스1935. 06. 01세인트루이스
11초 6헬렌 스티븐스1935. 06. 08캔자스시티 [8]
11초 5헬렌 스티븐스1936. 08. 10드레스덴
11초 6스타니스와바 발라시에비치1937. 08. 01베를린 [8]
11초 5룰루 메이 하임스1939. 5. 6터스키기
11초 5로위나 해리슨1939. 5. 6터스키기
11초 5파니 블랑커르스쿤1943. 9. 5암스테르담
11초 5파니 블랑커르스쿤1948. 6. 13암스테르담 [8]
11초 5 (11.65)마저리 잭슨1952. 07. 22헬싱키
11초 4마저리 잭슨1952. 10. 04기후시 [8]
11초 3셜리 스트리클런드1955. 08. 04바르샤바
11초 3베라 크렙키나1958. 9. 13키예프 [8]
11초 3 (11.41)윌마 루돌프1960. 9. 2로마 [8]
11초 2윌마 루돌프1961. 07. 19슈투트가르트 [8]
11초 2 (11.23)와이오미아 타이어스1964. 10. 15도쿄 [8]
11초 1이레나 키르셴스테인1965. 7. 9프라하 [8]
11초 1와이오미아 타이어스1965. 07. 31키예프 [8]
11초 1바버라 페럴1967. 7. 2샌타바버라 [8]
11초 1와이오미아 타이어스1968. 4. 21멕시코시티
11초 1류드밀라 사모툐소바1968. 8. 15레니나칸 [8]
11초 1마거릿 베일스1968. 8. 18아우로라
11초 1바버라 페럴1968. 10. 14멕시코 시
11초 1 (11.20)이레나 셰빈스카1968. 10. 14멕시코시티 [8]
11초 0 (11.08)와이오미아 타이어스1968. 10. 15멕시코시티 [8]
11초 0 (11.22)지정1970. 07. 18 [8]
11초 0레나테 마이스너1970. 08. 02동베를린 [8]
11초 0레나테 마이스너1971. 7. 31동베를린 [8]
11초 0레나테 마이스너1972. 6. 3포츠담 [8]
11초 0엘렌 슈트로팔1972. 06. 15포츠담 [8]
11초 0에바 글레스코바1972. 7.1부다페스트 [8]
10.9레나테 마이스너1973. 06. 07오스트라바 [8]
10초 9레나테 슈테허1973. 06. 30라이프치히
10초 9 (11.07)레나테 마이스너1973. 07. 20드레스덴 [8]


2. 3. 1960년대~1976년

윌마 루돌프(Wilma Rudolph)와 와이오미아 타이어스(Wyomia Tyus)는 1960년대를 대표하는 미국의 여자 100m 달리기 선수들이다. 윌마 루돌프는 1960년 9월 2일 11.3초의 기록을 세웠고, 1961년 7월 19일에는 11.2초로 자신의 기록을 경신했다.[8][1] 와이오미아 타이어스는 1964년 10월 15일 11.2초의 기록으로 윌마 루돌프의 기록과 타이를 이루었고,[8][1] 1968년 10월 15일에는 11.0초 (11.08초로 조정)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8][1] 이들은 흑인 여성 스포츠 선수로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극복하고 세계 기록을 경신하는 등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폴란드의 이레나 셰빈스카(Irena Kirszenstein)는 1965년 7월 9일 11.1초의 기록을 세웠고,[8][1] 같은 날 와이오미아 타이어스도 11.1초를 기록했다.[8][1] 이후 미국의 바버라 페럴,[8][1] 소련의 류드밀라 사모툐소바,[8][1] 미국의 마거릿 베일스[1] 등이 11.1초를 기록하며 경쟁에 참여했다.

1968년 10월 14일, 폴란드의 이레나 셰빈스카(이레나 키르셴스테인)는 11.1초 (11.20초)를 기록했다.[8][1]

1970년대 초반, 동독의 레나테 슈테허(Renate Stecher)는 여자 단거리 육상의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1970년 8월 2일 11.0초의 기록을 세웠고,[8][1] 이후 1973년까지 여러 차례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73년 7월 20일에는 10.8초 (11.07초)의 기록을 세우며, 여자 100m 달리기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8][1]

1970년 7월 18일, 중화민국의 지정 선수는 11.0초 (11.22초)를 기록했다.[8][1]

1960년대~1976년 여자 1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기록바람 (m/s)선수나라날짜장소
11.3초0.8윌마 루돌프1960. 9. 2로마
11.2초0.7윌마 루돌프1961. 7. 19슈투트가르트
11.2초0.2와이오미아 타이어스1964. 10. 15도쿄
11.1초2.0이레나 키르셴스테인1965. 7. 9프라하
11.1초0.2와이오미아 타이어스1965. 7. 31키예프
11.1초0.3바버라 페럴1967. 7. 2샌타바버라
11.1초와이오미아 타이어스1968. 4. 21멕시코시티
11.1초0.0류드밀라 사모툐소바1968. 8. 15레니나칸
11.1초마거릿 베일스1968. 8. 18아우로라
11.1초바버라 페럴1968. 10. 14멕시코시티
11.1초 (11.20초)1.8이레나 셰빈스카1968. 10. 14멕시코시티
11.0초 (11.08초)
(조정됨)
1.2와이오미아 타이어스1968. 10. 15멕시코시티
11.0초 (11.22초)1.9지정1970. 7. 18
11.0초1.9레나테 마이스너1970. 8. 2동베를린
11.0초1.7레나테 마이스너1971. 7. 31동베를린
11.0초-1.5레나테 마이스너1972. 6. 3포츠담
11.0초1.9엘렌 슈트로팔1972. 6. 15포츠담
11.0초+ 1.4에바 글레스코바1972. 7.1부다페스트
10.9초+ 1.9레나테 마이스너1973. 06. 07오스트라바
10.9초레나테 슈테허1973. 06. 30라이프치히
10.8초 (11.07초)1.8레나테 마이스너1973. 7. 20드레스덴


3. 전자 계시 (1977년 이후)

1977년 1월 1일부터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은 1/100초까지 전자 계시로 측정한 기록만을 공인했다.[8] 그 이전의 전자 계시 기록 중에서는 와이오미아 타이어스의 1968년 하계 올림픽 기록(11.07초, 재검 결과 11.08초로 정정)과 레나테 슈테허의 1972년 하계 올림픽 기록(11.07초)이 인정되었다.[8]

#기록바람차이선수나라날짜대회명장소주석 및 기타동영상
111초 071.2와이오미아 타이어스1968. 10. 15멕시코시티[8]
11초 070.2레나테 슈테허1972. 09. 02뮌헨[8]
11초 040.6잉게 헬텐1976. 06. 13퓌르트[8]
11초 010.6- 0.03초안네그레트 리히터1976. 07. 25제21회 하계 올림픽몬트리올준결선[8]
10초 88+ 2.0- 0.13초마를리스 욀스너1977. 07. 01동독 육상 선수권 대회드레스덴[8]
10초 88+ 1.9마를리스 괴어1982. 07. 09칼마르크스슈타트[8]
10초 811.7마를리스 괴어1983. 06. 08동베를린[8]
10초 79+ 0.6- 0.02초이블린 애시포드1983. 07. 03전미 체전(National Sports Festival)콜로라도스프링스 공군사관학교[8]
10초 76+ 1.7- 0.03초이블린 애시포드1984. 08. 22벨트클라세 취리히취리히[8]
10초 49+ 0.0*- 0.27초플로렌스 그리피스 조이너1988. 07. 16미국 올림픽 대표 선발전인디애나폴리스[8]

*플로렌스 그리피스 조이너의 10초 49 기록은 당시 풍속계 측정 오류 의혹이 있었으나,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은 이 기록을 공인했다.

참조

[1] 웹사이트 12th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AAF Statistics Handbook. Berlin 2009. http://www.iaaf.org/[...]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07-29
[2] 문서 Later identified as suffering from an [[Intersexuality|inter-sex]] condition, and possible [[mosaicism]].
[3] 문서 Ewa Kłobukowska ran 11.1 to set a new world record along with teammate Irena Kirszenstein. But she was disqualified from competition in 1967 owing to a chromosome defect, and her world record was rescinded in 1970.
[4] 웹사이트 IAAF World Records Progression http://iaaf-ebooks.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thletics Federations 2018-07-18
[5] 웹사이트 ESPN Classics https://www.espn.com[...] 2011-06-29
[6] 웹사이트 Athletics - Final results - Women's 100m https://olympics.com[...] Tokyo 2020 Olympics 2021-08-22
[7] 웹사이트 Results - 100m Women https://livecache.sp[...] Wanda Diamond League, Eugene 2021 2021-08-22
[8] 웹인용 12th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AAF Statistics Handbook. Berlin 2009. http://www.iaaf.org/[...]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07-29
[9] 문서 훗날 [[인터섹스|양성]] 체질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모자이크 (유전학)|자웅모자이크]]였던 것으로 보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