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자 30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자 30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는 여자 3000m 달리기 세계 기록의 변화를 연도별로 정리한 문서이다.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이 공식 종목으로 인정하기 전인 1927년부터 1972년까지 여러 선수들이 기록을 경신했으며, 1974년 IAAF가 공식 종목으로 인정한 이후에는 류드밀라 브라지나, 그레테 바이츠, 스베틀라나 울마소바, 타탸나 카잔키나, 그리고 왕쥔샤 등의 선수들이 세계 기록을 갱신했다. 특히 1993년 왕쥔샤가 세운 기록은 오랫동안 깨지지 않고 있으며,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000미터 달리기 - 남자 30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남자 3000m 달리기 세계 기록은 IAAF 공식 기록 인정 이전 월터 조지의 기록부터 이후 하네스 콜레흐마이넨, 파보 누르미, 사이드 아우이타 등 여러 선수를 거치며 경신되어 왔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비주류 종목이지만 육성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 육상 경기 기록 - 마라톤 세계 기록 추이
    마라톤 세계 기록은 1896년 시작된 마라톤 경기의 역사를 반영하며, 남자와 여자 모두 여러 선수들이 기록을 경신하며 발전해 왔다.
  • 육상 경기 기록 - 여자 400m 달리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
    여자 400m 달리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는 여자 400m 달리기 대한민국 기록의 변천사를 보여주는 기록이다.
  • 스포츠에 관한 - 카이트서핑
    카이트서핑은 연과 보드를 사용하여 바람의 힘으로 물 위를 활강하는 수상 스포츠로, 다양한 스타일이 있으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인 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스포츠에 관한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여자 3000m 달리기 세계 기록 추이
여자 3000m 세계 기록 추이
여자 3000m 세계 기록 추이 그래프
여자 3000m 세계 기록 추이
기록 추이
최고 기록8분 13초 62
기록 보유자왕쥔샤
날짜1993년 9월 13일
장소중국, 베이징

2. IAAF 이전 시절 (~1974년)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이 여자 3000m를 공식 종목으로 인정하기 전까지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1927년 루마니아의 아나 치카네이가 14분 44초 4의 기록을 세웠다. 이후 1954년 5월 22일 영국의 필리스 퍼킨스가 런던에서 10분 56초 0의 기록을 세웠고, 1955년 6월 25일에는 같은 장소에서 10분 55초 2로 자신의 기록을 경신했다. 1955년 8월 27일 영국의 레일라 버클랜드가 런던에서 10분 25초 8을 기록했고, 1956년 8월 25일 영국의 준 브릿글랜드가 런던에서 10분 16초 2를 기록했다. 1956년 10월 27일 필리스 퍼킨스는 런던에서 다시 10분 16초 0을 기록하며 자신의 최고 기록과 동률을 이루었다.

1966년 7월 23일, 캐나다의 로버타 피코가 돈밀스에서 9분 44초 0의 기록을 세웠다.

1969년 5월 11일, 이탈리아 포르미아에서 열린 경기에서 파올라 피니(파올라 피니/Paola Pigniit)가 9분 42초 8을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이후 파올라 피니는 1969년 9월 2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9분 38초 0으로 자신의 기록을 다시 한번 단축했다.

1971년에는 미국의 도리스 브라운이 7월 10일 베이커즈필드에서 9분 26초 9를 기록하며 경쟁에 합류했고, 6일 뒤인 7월 16일 영국 런던에서 조이스 스미스가 9분 23초 4를 기록하며 다시 세계 기록을 갈아치웠다.

1972년 5월 11일, 파올라 피니는 포르미아에서 열린 경기에서 9분 9초 2를 기록하며 또다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1972년 8월 12일, 소련의 류드밀라 브라지나가 모스크바에서 8분 53초 0을 기록했다.

2. 1. 초기 기록 (1927년~1966년)

1927년 루마니아의 아나 치카네이가 14분 44초 4의 기록을 세웠다. 이후 1954년 5월 22일 영국의 필리스 퍼킨스가 런던에서 10분 56초 0의 기록을 세웠고, 1955년 6월 25일에는 같은 장소에서 10분 55초 2로 자신의 기록을 경신했다. 1955년 8월 27일 영국의 레일리아 버클랜드가 런던에서 10분 25초 8을 기록했고, 1956년 8월 25일 영국의 준 브릿글랜드가 런던에서 10분 16초 2를 기록했다. 1956년 10월 27일 필리스 퍼킨스는 런던에서 다시 10분 16초 0을 기록하며 자신의 최고 기록과 동률을 이루었다.

1966년 7월 23일, 캐나다의 로버타 피코가 돈밀스에서 9분 44초 0의 기록을 세웠다.

2. 2. 기록 단축 경쟁 (1969년~1972년)

1969년 5월 11일, 이탈리아 포르미아에서 열린 경기에서 파올라 피니(파올라 피니/Paola Pigniit)가 9분 42초 8을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이후 파올라 피니는 1969년 9월 2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9분 38초 0으로 자신의 기록을 다시 한번 단축했다.

1971년에는 미국의 도리스 브라운이 7월 10일 베이커즈필드에서 9분 26초 9를 기록하며 경쟁에 합류했고, 6일 뒤인 7월 16일 영국 런던에서 조이스 스미스가 9분 23초 4를 기록하며 다시 세계 기록을 갈아치웠다.

1972년 5월 11일, 파올라 피니는 포르미아에서 열린 경기에서 9분 9초 2를 기록하며 또다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3. IAAF 시절 (1974년~)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이 여자 3000m를 공식 종목으로 인정한 이후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 브라기나와 그레테 바이츠 (1974년~1976년) ====

소련의 류드밀라 브라지나는 1974년 7월 6일 영국 더럼에서 8분 52초 8의 기록으로 여자 3000m 달리기 세계 기록을 세웠다.[2] 이후 노르웨이그레테 바이츠가 1975년 6월 24일 오슬로에서 8분 46초 6,[3] 1976년 6월 21일 같은 장소에서 8분 45초 4를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4] 1976년 8월 7일, 브라기나는 오스트레일리아 칼리지 파크에서 8분 27초 2의 기록으로 다시 세계 기록을 탈환했다.[5] 브라기나의 자동 기록 8분 52초 74와 8분 27초 12는 각각 8분 52초 8과 8분 27초 2로 공인되었다.

==== 소련의 강세 (1982년~1984년) ====

1982년 7월 25일, 소련의 스베틀라나 울마소바가 키예프에서 열린 경기에서 8분 26초 78을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6] 이후 1984년 8월 26일, 소련의 타탸나 카잔키나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8분 22초 62를 기록하며 다시 한번 세계 기록을 단축했다.[7]

==== 왕쥔샤의 시대 (1993년) ====

1993년, 중화인민공화국왕쥔샤는 베이징에서 열린 제7회 전국체육대회에서 단기간에 세 번이나 세계 기록을 갈아치웠다.[8][9][10] 9월 12일에 장린리가 8분 22초 06으로 세계 기록을 세웠으나,[8] 같은 날 왕쥔샤가 8분 12초 19로 다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9] 다음 날인 9월 13일, 왕쥔샤는 8분 06초 11이라는 획기적인 기록으로 또 한 번 세계 기록을 갈아치웠다.[10]

왕쥔샤의 기록은 마쥔런 코치가 이끄는 '마가군단'의 훈련 방식과 도핑 의혹 등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왕쥔샤의 기록은 오랫동안 깨지지 않고 있으며, 여자 3000m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기록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3. 1. 브라기나와 그레테 바이츠 (1974년~1976년)

소련의 류드밀라 브라지나는 1974년 7월 6일 영국 더럼에서 8분 52초 8의 기록으로 여자 3000m 달리기 세계 기록을 세웠다.[2] 이후 노르웨이그레테 바이츠가 1975년 6월 24일 오슬로에서 8분 46초 6,[3] 1976년 6월 21일 같은 장소에서 8분 45초 4를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4] 1976년 8월 7일, 브라기나는 오스트레일리아 칼리지 파크에서 8분 27초 2의 기록으로 다시 세계 기록을 탈환했다.[5] 브라기나의 자동 기록 8분 52초 74와 8분 27초 12는 각각 8분 52초 8과 8분 27초 2로 공인되었다.

3. 2. 소련의 강세 (1982년~1984년)

1982년 7월 25일, 소련의 스베틀라나 울마소바가 키예프에서 열린 경기에서 8분 26초 78을 기록하며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6] 이후 1984년 8월 26일, 소련의 타탸나 카잔키나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8분 22초 62를 기록하며 다시 한번 세계 기록을 단축했다.[7]

3. 3. 왕쥔샤의 시대 (1993년)

1993년, 중화인민공화국왕쥔샤는 베이징에서 열린 제7회 전국체육대회에서 단기간에 세 번이나 세계 기록을 갈아치웠다. 9월 12일에 장린리가 8분 22초 06으로 세계 기록을 세웠으나, 같은 날 왕쥔샤가 8분 12초 19로 다시 세계 기록을 경신했다. 다음 날인 9월 13일, 왕쥔샤는 8분 06초 11이라는 획기적인 기록으로 또 한 번 세계 기록을 갈아치웠다.

왕쥔샤의 기록은 마쥔런 코치가 이끄는 '마가군단'의 훈련 방식과 도핑 의혹 등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왕쥔샤의 기록은 오랫동안 깨지지 않고 있으며, 여자 3000m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기록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4.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12th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AAF Statistics Handbook. Berlin 2009. http://www.iaaf.org/[...]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08-04
[2] 웹인용 (pdf). Monte Carlo: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 pp. 546, 642쪽. 2009년 8월 4일 확인. http://www.iaaf.org/[...] 2012-05-20
[3] 웹인용 (pdf). Monte Carlo: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 pp. 546, 642쪽. 2009년 8월 4일 확인. http://www.iaaf.org/[...] 2012-05-20
[4] 웹인용 (pdf). Monte Carlo: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 pp. 546, 642쪽. 2009년 8월 4일 확인. http://www.iaaf.org/[...] 2012-05-20
[5] 웹인용 (pdf). Monte Carlo: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 pp. 546, 642쪽. 2009년 8월 4일 확인. http://www.iaaf.org/[...] 2012-05-20
[6] 웹인용 (pdf). Monte Carlo: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 pp. 546, 642쪽. 2009년 8월 4일 확인. http://www.iaaf.org/[...] 2012-05-20
[7] 웹인용 (pdf). Monte Carlo: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 pp. 546, 642쪽. 2009년 8월 4일 확인. http://www.iaaf.org/[...] 2012-05-20
[8] 웹인용 (pdf). Monte Carlo: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 pp. 546, 642쪽. 2009년 8월 4일 확인. http://www.iaaf.org/[...] 2012-05-20
[9] 웹인용 (pdf). Monte Carlo: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 pp. 546, 642쪽. 2009년 8월 4일 확인. http://www.iaaf.org/[...] 2012-05-20
[10] 웹인용 (pdf). Monte Carlo: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 pp. 546, 642쪽. 2009년 8월 4일 확인. http://www.iaaf.org/[...] 2012-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