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혜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 혜왕은 연 소왕의 태자로, 기원전 279년에 왕위에 올랐다. 즉위 전부터 악의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혜왕은 악의를 축출하고 기겁을 새로운 사령관으로 임명했지만, 이로 인해 연나라 군의 사기가 저하되었다. 결국 제나라 전단의 계략에 빠져 70여 개의 성을 빼앗기고 국력이 쇠퇴했으며, 기원전 271년에 공손조에게 시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72년 사망 - 빈두사라
빈두사라는 마우리아 제국의 2대 황제이자 찬드라굽타의 아들이며 아소카 왕의 아버지로,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제국은 확장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헬레니즘 세계와 외교 관계를 유지했으며, 아지비카교를 신봉했고 아소카와의 갈등, 탁샤실라 반란 등의 사건이 있었다. - 기원전 272년 사망 - 피로스
피로스는 기원전 319년경에 태어나 기원전 272년에 사망한 에페이로스의 왕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사촌이자 뛰어난 군사적 재능으로 당대 최고의 장군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특히 이탈리아 원정 중 로마군과의 전투에서 '피로스의 승리'라는 고사를 남긴 인물이다. - 연나라의 군주 - 소공 석
소공 석은 서주 시대의 정치가로, 주 무왕의 동생이며 성왕을 보좌했고, 훌륭한 정치를 펼쳐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으며, 《상서》와 《시경》에 그의 업적이 기록되어 있다. - 연나라의 군주 - 연 공공
연 공공은 춘추 시대 연나라의 군주로, 도공의 뒤를 이어 5년간 재위하며 진나라의 선우 토벌 사건을 겪고 평공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 춘추 전국 시대 사람 - 열자
열자는 전국 시대의 제자백가 철학자로,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그의 저작과 생애에 대한 증거 부족으로 인해 가상의 인물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 춘추 전국 시대 사람 - 혜시
혜시는 전국 시대 위나라의 학자이자 정치가로, 공손룡과 함께 명가의 대표적인 인물이며, 동일성과 차이의 상대성을 논하는 역설적인 주장을 펼쳤고, 장자와 교류하며 서로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으며, 위나라 혜왕과 양왕을 섬겨 재상을 지냈다.
연 혜왕 | |
---|---|
인물 정보 | |
이름 | 혜왕 (惠王) |
성 | 기(姬) |
씨 | 연(燕) |
휘 | 미상 |
시대 | 연 (나라) |
봉호 | 혜왕(惠王) |
재위기간 | 기원전 278년 ~ 기원전 272년 |
이전 | 소왕 |
이후 | 무성왕 |
생애 | |
즉위 전 | 태자 시절 악의와 사이가 좋지 않았음 |
즉위 후 | 악의를 의심하여 기겁(騎劫)으로 장수를 교체 악의는 조나라로 망명 제나라의 전단이 즉묵에서 연나라 군대를 격파, 기겁은 전사 연나라 군대는 철수, 제나라는 모든 옛 성을 되찾음 |
기타 | |
아버지 | 소왕 |
자녀 | 무성왕 |
관련 인물 | 악의 기겁 전단 공손조 |
2. 생애
소왕의 태자였다.[8] 기원전 279년 아버지 소왕이 병사하여 왕위에 올랐다.[8] 연 소왕이 악의를 총사령관으로 하여 군대를 제나라로 보냈고, 제나라의 70여 성을 탈취를 하였다.[8] 거성과 즉묵등 성 두개만 남았고, 제나라는 철저히 항전하였고, 전쟁이 장기화되었다.[8] 소왕이 사망하자, 연나라에서는 악의가 제나라를 정벌하면 제나라 군주로 자립한다는 소문이 무성하였다.[8] 혜왕은 태자시절에는 악의를 싫어하였고, 대립하였다.[8] 악의가 모반을 일으킬 음모가 있다고 하여 연나라 조정이 악의에게 소환 명령을 내렸다.[8] 악의는 혜왕에게 미움을 받고 있는 것을 알고 있었고, 혜왕에게 살해될 것을 두려워하고 조나라로 망명하였다.[8] 혜왕은 새사령관으로 장수 기겁을 삼고, 제나라로 군대를 이끌고 갔다.[8]
하지만, 혜왕의 부당한 인사 처신으로 연나라군의 사기는 단숨에 떨어졌다.[8] 여전히 수그려지지 않던 악의가 모반을 일으킨다는 소문도 제나라 장군 전단에게 사용된 이간책이었다.[8] 기겁은 악의 만큼의 군대를 통솔하는 능력이 없었고, 제나라 장수인 전단의 책략에 걸렸다.[8] 최후에는 화우계(火牛計)라는 계략에 걸려서 연나라 군대는 패배하고 연나라가 빼앗은 70여개 성들은 모두 제나라로 탈환하였다.[8] 이후에는 연나라는 완전하게 기세가 꺽이고, 연나라는 국력이 약하게 되었다.[8]
기원전 271년에 연나라 장군인 성안군 공손조에 의해 시해되었다.[8]
2. 1. 즉위 전
2. 2. 즉위와 악의 축출
기원전 279년, 소왕이 사망하자 혜왕이 즉위했다.[8] 혜왕은 태자 시절부터 악의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8] 당시 연나라는 악의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제에 보내 70여 성을 빼앗았지만, 거와 즉묵 두 성만은 격렬하게 저항하여 전쟁이 장기화되고 있었다.[8] 소왕 사후, 연나라에서는 악의가 제나라를 평정하면 제나라 왕으로 자립하려 한다는 소문이 돌았다.[8] 혜왕은 악의에게 모반의 꾀가 있다고 여겨 연나라로 소환을 명했다.[8] 악의는 혜왕에게 미움을 받고 있음을 알고 있었기에, 죽임을 당할 것을 두려워하여 조나라로 망명했다.[8] 혜왕은 새로운 사령관으로 기겁을 보냈다.[8]그러나 혜왕의 부당한 인사로 연나라 군의 사기는 급격히 저하되었다.[8] 앞서 악의의 모반 소문도 제나라 장수 전단의 이간계였다.[8] 기겁은 악의만큼의 군사적 능력이 없었고, 전단의 책략에 잇따라 말려들어 결국 화우지계에 걸려 패사했으며, 연나라가 빼앗았던 70여 성은 모두 제나라에 빼앗겼다.[8] 이후 연나라는 세력을 떨치지 못하고 쇠퇴했다.[8]
2. 3. 제나라와의 전쟁 패배
소왕의 태자로, 기원전 279년 아버지 소왕이 병사하여 왕위에 올랐다. 연 소왕이 악의를 총사령관으로 하여 군대를 제나라로 보냈고, 제나라의 70여 성을 탈취하였다. 거성(莒城)과 즉묵(即墨)등 성 두개만 남았고, 제나라는 철저히 항전하였고, 전쟁이 장기화되었다. 소왕이 사망하자, 연나라에서는 악의가 제나라를 정벌하면 제나라 군주로 자립한다는 소문이 무성하였다. 혜왕은 태자시절에는 악의를 싫어하였고, 대립하였다. 악의가 모반을 일으킬 음모가 있다고 하여 연나라 조정이 악의에게 소환 명령을 내렸다. 악의는 혜왕에게 미움을 받고 있는 것을 알고 있었고, 혜왕에게 살해될 것을 두려워하고 조나라로 망명하였다. 혜왕은 새사령관으로 장수 기겁을 삼고, 제나라로 군대를 이끌고 갔다.하지만, 혜왕의 부당한 인사 처신으로 연나라군의 사기는 단숨에 떨어졌다. 여전히 수그려지지 않던 악의가 모반을 일으킨다는 소문도 제나라 장군 전단에게 사용된 이간책이었다. 기겁은 악의 만큼의 군대를 통솔하는 능력이 없었고, 제나라 장수인 전단의 책략에 걸렸다. 최후에는 화우계(火牛計)라는 계략에 걸려서 연나라 군대는 패배하고 연나라가 빼앗은 70여개 성들은 모두 제나라로 탈환하였다. 이후에는 연나라는 완전하게 기세가 꺽이고, 연나라는 국력이 약하게 되었다.
2. 4. 혜왕의 최후
소왕의 태자였다. 기원전 279년에 부친이 병사함에 따라 왕위를 계승했다.[8] 이때 연나라는 소왕이 악의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군대를 제에 보내 70여 성을 빼앗았지만, 거와 즉묵 두 성만은 격렬하게 저항하여 장기화되고 있었다.[8] 소왕 사후, 연나라에서는 악의가 제나라를 평정하면 제나라 왕으로 자립하려 한다는 소문이 돌았다.[8] 혜왕은 태자 시절부터 악의와 사이가 좋지 않았기에, 악의에게 모반의 꾀가 있다고 여겨 연나라로 소환을 명했다.[8] 악의는 혜왕에게 미움을 받고 있음을 알고 있었기에, 죽임을 당할 것을 두려워하여 조나라로 망명했다.[8] 혜왕은 새로운 사령관으로 기겁을 보냈다.[8]그러나 혜왕의 부당한 인사로 연나라 군의 사기는 급격히 저하되었다.[8] 앞서 악의의 모반 소문도 제나라 장수 전단의 이간계였다.[8] 기겁은 악의만큼의 군사적 능력이 없었고, 전단의 책략에 잇따라 말려들어 결국 화우지계에 걸려 패사했으며, 연나라가 빼앗았던 70여 성은 모두 제나라에 빼앗겼다.[8] 이후, 연나라는 전혀 세력을 떨치지 못하고 쇠퇴했다.
기원전 271년에 세력을 떨치던 연나라 장군인 성안군 공손조에 의해 시해되었다[8] . 그 때문에 태자가 왕위를 이어 즉위했다 (무성왕). 혜왕의 최후에 대해서는 기록이 엇갈린다. ''사기'' 연세가에는 혜왕이 자연사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기'' 조세가에는 혜왕이 재상 공손조와 장군 성안군에게 시해당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3. 평가
4. 기타
4. 1. 가족 관계
참조
[1]
서적
Cihai
Shanghai Lexicographical Publishing House
[2]
웹사이트
The Regional State of Yan
http://www.chinaknow[...]
[3]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www.guoxue123[...]
[4]
서적
Xunzi: A Translation and Study of the Complete Works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8
[5]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www.guoxue123[...]
[6]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http://www.guoxue123[...]
[7]
서적
『史記』燕召公世家
[8]
서적
『史記』趙世家
[9]
문서
오진봉(吳鎭峰)의 금문인명회편(金文人名匯編)에는 '''언왕 융인(匽王戎人)'''으로 기록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