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가군 (중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가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323년 동진 시대에 임해군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다. 유송 시대에는 5개 현을 관할했으며, 동양주에 속하기도 했다. 수나라 시대에는 폐지되었다가, 607년 괄주가 영가군으로 개명되었다. 당나라 시대에는 동가주, 온주로 개명되었으며, 742년 영가군으로 다시 개명되었다가 758년 온주로 개명되면서 영가군의 명칭은 사라졌다.
323년 동진 태녕 원년에 임해군에서 영가군이 분리 신설되었다. 영가군은 양주에 속했으며, 군 치소는 영녕현에 두었다. 동진의 영가군은 영녕, 안고, 쑹양, 헝양 4개 현을 관할했다.[1]
2. 동진 ~ 남제
남조 송과 남조 제 시대에도 영가군은 영녕, 안고, 쑹양, 러청, 헝양 5개 현을 관할했다.[2][3]
2. 1. 설치 배경
323년(동진 명제 태녕 원년), 임해군에서 온교령 이남에 있던 영녕, 안고, 송양, 횡양 4현을 분리하여 영가군을 설치했다.[6]
2. 2. 행정 구역 변화
323년(진 명제 태녕 원년) 임해군에서 온교령 이남에 있던 영녕, 안고, 송양, 횡양 4현이 영가군으로 분리되었다.[6] 유송 문제 효건 원년부터 유송 효무제 대명 3년(454년 ~ 459년), 유송 효무제 대명 8년부터 유송 전폐제 영광 원년(464년 ~ 465년)까지 총 7년 동안 일시적으로 동양주가 신설되자 동양주의 속군이 되었다. 유송 대 영가군은 5현 6,250호 36,680명을 거느렸다. 영가군으로부터 건강까지 수로로 2,800리, 육로로 2,640리 거리였다.[6]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영녕현 | 永寧縣 | 원저우시 루청구 | 본래 장안현 동구향(東甌鄕)이었는데 138년(영화 3년)에 현으로 승격되었다. 영가군이 신설된 이후 태수의 치소가 있었다. |
안고현 | 安固縣 | 원저우시 뤼안시 용성촌(龍星村) 일대 | 222년(손권 황무 원년) 장안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본래 이름은 나양현(羅陽縣)이었지만 268년(오 말제 보정 3년) 안양현(安陽縣)으로 개명되었고, 280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송양현 | 松陽縣 | 리수이 시 쑹양 현 서북 고시진(古市镇) | 203년(후한 헌제 건안 8년)에 신설되었다. |
낙성현 | 樂成縣 | 원저우시 웨칭시 | 374년(동진 효무제 영강 3년) 영녕현에서 분리신설되었다. |
횡양현 | 橫陽縣 | 원저우시 핑양현 | 283년(서진 무제 태강 4년) 안고현의 황서선둔(橫藇船屯)이 시양현(始陽縣)으로 분리되었다. 284년(서진 무제 태강 5년) 시양현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562년(진 문제 천가 3년) 폐지된 동양주가 재설치되면서 영가군은 동양주에 속하게 되었다.[7] 남조 송, 제 시대에 영가군은 영녕, 안고, 쑹양, 횡양(혹은 헝양 현) , 러청 5개 현을 관할했다.[2][3]
남조 송 시대에 영가군은 영녕, 안고, 쑹양, 러청, 횡양 5개 현을 관할했다.[2]
남조 제 시대에도 영가군은 영녕, 안고, 쑹양, 횡양, 러청 5개 현을 관할했다.[3]
3. 양 ~ 수
3. 1. 행정 구역 개편
589년(수 문제 개황 9년) 수나라가 진나라를 정복한 이후, 주현제가 실시되면서 영가군은 폐지되었고, 그 땅은 임해군 땅과 함께 '''처주(處州)'''로 분리되었다.[8] 처주는 600년(개황 20년)에 '괄주(括州)'로 개칭되었다가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군현제를 재실시하면서 영가군으로 개명되었다. 수나라의 영가군은 4현 10,542호를 거느렸다.[8]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영가현 | 英嘉縣 | 저장성 원저우 시 | 영녕현, 안고현, 횡양현, 낙성현을 통폐합하여 만들었다. |
괄창현 | 括苍县 | 저장성 리수이 시 롄두 구 | 589년 (개황 9년)에 신설되었다. |
임해현 | 臨海縣 | 저장성 타이저우 시 | 구 임해군 지역에서 낙안현을 제외한 모든 군현을 통폐합하여 만들었다. |
송양현 | 松陽縣 | 변화없음 |
4. 당
621년(당 고조 무덕 4년) 이자통을 점령하면서 지금의 리수이 시 일대가 처주(處州)로 분리되었고, 622년(당 고조 무덕 5년) 동가주(東嘉州)가 설치되어 영가현, 영녕현, 안고현, 낙성현, 횡양현의 5현을 속현으로 두었다. 지금의 리수이 시 지역은 괄주로 분리되었다. 627년(당 태종 정관 원년) 동가주가 폐지되면서 속현들이 모두 괄주의 속현이 되었다. 675년(당 고종 상원 2년) 괄주에서 영가현과 안고현으로 '''온주(溫州)'''를 신설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영가군으로 개명되었고,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를 재개하면서 온주로 개명되었다.
당나라 초기에는 강남도에 속했지만 강남동도가 신설되자 강남동도로 편입되었고, 당말에는 '''절동관찰사(浙東觀察使)'''가 통치했다. 천보 연간에 4개 현, 개원 연간에 78향, 원화 연간에 16향을 두었다.
개원 연간에는 37,554호, 천보 연간에는 42,814호 241,694명, 원화 연간에는 8,414호를 거느렸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영가현 | 永嘉縣 | 원저우 시 | 675년 기존의 현치소 북쪽에 새로운 치소가 설치되었다. |
안고현 | 安固縣 | 원저우 시 뤼안 시 | 625년(당 고조 무덕 8년) 영가현에서 분리되어 동가주에 소속되었다. 627년 괄주에 통폐합되었다가 675년 온주가 복구되면서 온주에 속했다. |
횡양현 | 橫陽縣 | 원저우 시 핑양 현 | 622년 안고현에서 분리 신설되었으나 627년 폐지되었다. 701년(대족 원년) 안고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
낙성현 | 樂城縣 | 원저우 시 웨칭 시 | 622년 신설되었으나 624년(당 고조 무덕 7년) 영가현으로 편입되었다. 689년(재초 원년) 영가현에서 분리되면서 복구되었다. |
4. 1. 온주 설치와 영가군 폐지
621년(당 고조 무덕 4년), 이자통 점령 후 리수이 시 일대가 처주(處州)로 분리되었다.[9] 622년(당 고조 무덕 5년), 동가주(東嘉州)가 설치되고 영가현, 영녕현, 안고현, 낙성현, 횡양현이 동가주에 속했다.[9] 627년(당 태종 정관 원년), 동가주가 폐지되면서 속현들이 괄주에 편입되었다.[9] 675년(당 고종 상원 2년), 괄주에서 영가현과 안고현을 분리하여 온주(溫州)를 신설했다.[9]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 실시로 온주가 일시적으로 영가군으로 개명되었다.[9]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 재개로 영가군은 다시 온주로 개명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9]4. 2. 특산물
개원 연간(713년 ~ 741년)에는 면(綿), 모시(紵), 포(布), 상어(鮫魚) 가죽 30장(張)을 공납으로 바쳤지만, 원화 연간(806년 ~ 820년)에는 상어 가죽만을 공납으로 바쳤다.[9][10]참조
[1]
서적
晋書
진서
[2]
서적
宋書
송서
[3]
서적
南斉書
남제서
[4]
서적
隋書
수서
[5]
서적
旧唐書
구당서
[6]
서적
송서 35권 지 제25 주군지 1 양주 영가군
https://zh.wikisourc[...]
송서
[7]
서적
진서 3권 본기 제3 세조 천가 3년
https://zh.wikisourc[...]
진서
[8]
서적
수서 31권 지 제26 지리지 下 양주 영가군
https://zh.wikisourc[...]
수서
[9]
서적
구당서 40권 지 제20 지리지 3 강남동도 온주
https://zh.wikisourc[...]
구당서
[10]
서적
원화군현도지 26권 강남도 2 절동관찰사 온주
https://zh.wikisourc[...]
원화군현도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