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동대교는 서울특별시의 성동구와 강남구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영등포의 동쪽에 위치한 지역이라는 뜻으로, 1970년대 강남 개발 당시 붙여진 이름에서 유래했다. 강북에서 강남 동부 지역으로 이동하는 주요 간선축으로, 주변에는 주택가, 대학교, 상업 시설 등이 위치해 있어 교통량이 많다. 인근에 청담대교가 있지만, 강남으로의 통행은 주로 영동대교가 담당한다. 이 도로는 국도 제47호선이며, 주현미의 노래 《비내리는 영동교》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완공된 교량 - 남해대교
남해대교는 1973년 준공된 현수교로, 일제강점기 피해 보상 자금으로 건설되었으며, 개통 당시 아시아에서 가장 긴 현수교였고, 남해군 사람들에게는 고향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1973년 완공된 교량 - 구포낙동강교
구포낙동강교는 부산광역시와 김해시를 잇는 다리로, 1973년에 준공되었으며, 대한민국 최초로 리버스 서큘레이션 공법을 도입하여 건설되었고, 개통 당시 국내 최장의 교량이었다. - 국도 제47호선 - 과천대로
과천대로는 경기도 안양시에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47호선 및 지방도 제309호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하며 수도권 남부의 주요 간선도로 역할을 수행한다. - 국도 제47호선 - 양재대로
양재대로는 과천시에서 시작하여 서울을 가로질러 구리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19.36km의 주요 간선도로로, 경부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서울 남부의 관문 역할을 하지만, 출퇴근 시간대 교통 정체가 심각하여 교통 시스템 개선이 요구되는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을 포함하고 있다. - 서울 성동구의 건축물 - 군자차량사업소
군자차량사업소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의 전동차 정비 및 관리 기지로서, 성수지선 용답역 인근에 위치하며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및 2000호대 전동차의 입·출고 시 신설동역 유령 승강장을 경유하고 노후 전동차 폐차 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심야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성수지선 전동차가 주박한다. - 서울 성동구의 건축물 - 한양대학교병원
한양대학교병원은 1972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개원하여 신관, T관, 별관 증축과 권역응급의료센터 준공을 거쳤다.
영동대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영동대교 |
한글 | 영동대교 |
한자 | 永東大橋 |
로마자 표기 | Yeongdong Daegyo |
교통 시설 | 국도 제4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
횡단 | 서울특별시 강남구와 성동구 사이의 한강 |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 ~ 성동구 |
관리 | 서울지방국토관리청 |
구조 | |
구조 형식 | 거더교 |
길이 | 1,065m |
너비 | 25m(6차선) |
건설 정보 | |
착공일 | 1970년 8월 |
완공일 | 1973년 11월 8일 |
개통일 | 1973년 11월 8일 |
요금 정보 | |
기타 | |
위도 | 37° 31′ 47.86″ N |
경도 | 127° 3′ 25.47″ E |
![]() |
2. 명칭 유래
영동(永東)이라는 명칭은 영등포의 동쪽에 있는 지역이라는 뜻으로, 1970년대 강남 개발 당시에 강남이라는 이름이 자리 잡기 전 붙여진 이름이다.[1] 강원도 영동 지방이나 충청북도 영동군, 그리고 영동고속도로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1] 영동이라는 이름은 현재 강남으로 대체되었으며, 영동대로나 영동고등학교 등 지역 시설물 일부에 남아 있고, KT에서는 영동 ICC라는 시설명으로 강남 대신 영동을 사용하고 있다.[1]
영동대교는 강북과 강남 동부 지역을 잇는 중요한 다리로, 주변 지역의 특성과 교통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친다. 강변북로 진·출입은 모든 방향으로 가능하나, 올림픽대로는 강일 나들목 방면으로 진출할 수 없어 성수대교나 잠실대교를 이용해야 한다.
3. 주변 지역과 교통
3. 1. 북단 (성동구, 광진구)
영동대교 북단의 성동구 지역은 주택가와 공장 지대가 밀집해 있고, 광진구 지역은 주택가와 건국대학교, 세종대학교 등 대학이 위치해 있다.
3. 2. 남단 (강남구)
영동대교 남단은 강남의 동부 지역으로, 청담동, 삼성동, 코엑스 등이 위치해 있어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이다. 영동대교는 강북에서 강남 동부 지역으로 이동하는 간선축에 위치한 다리로, 상시 교통량이 많은 다리 중 하나로 꼽힌다.[1] 1999년 인근에 청담대교가 새로 생겼으나, 청담대교 남단은 바로 동부간선도로로 연결되어 수서동에서나 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강남으로의 통행은 영동대교만 담당하고 있다.[1]
강변북로 진·출입은 모든 방향으로 가능하나, 올림픽대로는 강일 나들목 방면으로 진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성수대교나 잠실대교를 이용하여야 한다.[1]
3. 3. 교통량 및 역할
영동대교 북단의 성동구 지역은 주택가와 공장 지대가 밀집해 있고, 광진구 지역은 주택가와 건국대학교, 세종대학교 등 대학이 위치해 있다. 남단은 강남의 동부 지역으로, 청담동과 삼성동, 코엑스 등이 위치해 있어 많은 유동인구가 있는 지역이다. 영동대교는 강북에서 강남 동부 지역으로 이동하는 간선축에 위치한 다리로 상시 교통량이 많은 다리 중 하나로 꼽힌다. 1999년 인근에 청담대교가 새로 생겼으나, 청담대교 남단은 바로 동부간선도로로 연결되어 수서동에서나 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강남으로의 통행은 영동대교만 담당하고 있다.
강변북로의 진출입은 모든 방향으로 가능하나, 올림픽대로는 강일 나들목 방면으로 진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성수대교나 잠실대교를 이용하여야 한다.
3. 4. 도로 연결
영동대교 북단의 성동구 지역은 주택가와 공장 지대가 밀집해 있고, 광진구 지역은 주택가와 건국대학교, 세종대학교 등 대학이 위치해 있다. 남단은 강남의 동부 지역으로, 청담동과 삼성동, 코엑스 등이 위치해 있어 많은 유동인구가 있는 지역이다. 영동대교는 강북에서 강남 동부 지역으로 이동하는 간선축에 위치한 다리로 상시 교통량이 많은 다리 중 하나로 꼽힌다. 1999년 인근에 청담대교가 새로 생겼으나, 청담대교 남단은 바로 동부간선도로로 연결되어 수서동에서나 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강남으로의 통행은 영동대교만 담당하고 있다.
강변북로의 진출입은 모든 방향으로 가능하나, 올림픽대로는 강일 나들목 방면으로 진출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성수대교나 잠실대교를 이용하여야 한다.
4. 도로 번호
이 도로는 국도 제47호선이다. 노원구까지 계속 직진하면 국도 제3호선이 연결되고, 국도 제6호선으로 가는 사거리에서 왼쪽으로 가면 국도 제47호선이다.
5. 대중문화
참조
[1]
웹사이트
영동대교(永東大橋)
http://www.metro.seo[...]
2022-12-04
[2]
웹사이트
Han bridges tell stories of past, present
https://www.koreaher[...]
2022-12-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강버스 운항 나흘 만에 고장 2건…퇴근길 시민 불편
출항 5일 만에 또 멈춘 ‘한강버스’···퇴근시간 한때 양방향 운항 중단
호반건설, 자양1-4구역 가로주택 정비사업 수주
영동대교 북단서 차량 추돌사고…출근길 도로 정체
공유차량 번호판 떼고 강변북로 난폭운전…“경찰 2명 부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