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변북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변북로는 서울특별시의 도시고속도로로, 한강 북쪽 강변을 따라 건설되었다. 1969년 일부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확장 및 개통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1997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국도 제77호선 등과 연결되어 있다. 주요 시설물로는 교량, 나들목, 분기점 등이 있으며,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보행자, 자전거 등의 통행이 금지된다. 1989년부터 1998년까지 확장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2012년에는 도로 개선 사업이 제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 양재대로
양재대로는 과천시에서 시작하여 서울을 가로질러 구리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19.36km의 주요 간선도로로, 경부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서울 남부의 관문 역할을 하지만, 출퇴근 시간대 교통 정체가 심각하여 교통 시스템 개선이 요구되는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을 포함하고 있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 영동대교
영동대교는 서울 성동구와 강남구를 잇는 다리로, 강남 개발 시기 '영동'에서 유래되었으며 강변북로와 연결되어 강북과 강남 동부 지역을 잇는 간선도로이자 국도 제47호선의 일부이고, 문화적으로도 의미를 지닌다. - 국도 제46호선 - 마포대교
마포대교는 영등포구 여의도동과 마포구 합정동을 잇는 다리로서,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를 연결하는 교통 요충지이며, 여의도 발전에 기여, 노후화로 신마포대교가 건설, 높은 자살률로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었으나 자살 예방 노력이 시행되었고, 대중문화에도 자주 등장하는 서울의 상징적인 다리이다. - 국도 제46호선 - 천호대로
천호대로는 서울 동대문구 신설동역오거리에서 강동구 상일 나들목까지 이어지는 간선도로로, 1976년 '천호대로'로 개통된 후 기점 변경 및 통합을 거쳐 현재 15.5km에 이르며,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으로 서울 동부 지역의 주요 교통축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서울 광진구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 광진구의 교통 - 광진교
광진교는 서울 광진구에 있는 한강 다리로서, 1936년 건설 후 확장 공사를 거쳐 현재는 왕복 2차선 도로와 보행로 등을 갖춘 복합 교량이며, 서울 동부 지역의 교통 및 휴식 공간으로 기능한다.
강변북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도로 종류 | 도시고속화도로 일반국도 국가지원지방도 서울특별시도 |
노선 번호 | |
노선명 | 강변북로 |
노선 번호명 | 서울특별시도 제70호선 |
노선 번호명2 | 국도 제46호선의 일부 국도 제77호선의 일부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의 일부 서울특별시도 제C3호선의 일부 |
총 연장 | 37.373km |
개통 년도 | 1969년 12월 25일 (양화대교 북단~한강대교 북단) 1970년 12월 23일 (한강대교 북단~성동교) 1972년 7월 (용비교~잠실대교 북단) 1981년 6월 26일 (잠실대교 북단~천호대교 북단) 1982년 7월 (성산대교 북단 ~ 행주대교 북단) 1996년 12월 30일 (당산철교~한강철교) 2003년 (천호대교 북단~구리시 구간) |
기점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가양대교) |
종점 |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동 (가운사거리) |
영문명 | Gangbyeonbuk-ro |
한자표기 | 江邊北路 |
가타카나 표기 | カンビョンブンノ |
대체 이름 | 강변고속도로 |
노선 정보 | |
방향 | 서쪽 ~ 동쪽 |
서쪽 종점 | 마포구, 서울특별시 (가양대교) [[File:Korea National Route No.77.svg|20px]] 자유로 |
동쪽 종점 | 남양주시, 경기도 (지금 분기점) [[File:Korea National Route No.6.svg|20px]] 국도 6호선 |
주요 교차로 | [[File:Korea National Route No.1.svg|20px]] 국도 1호선 [[File:Korea National Route No.1.svg|20px]] 서부간선도로 20px 내부순환로 [[File:Korea National Route No.6.svg|20px]] 국도 6호선 [[File:Korea National Route No.46.svg|20px]] 국도 46호선 20px 동부간선도로 [[File:Korea National Route No.3.svg|20px]] 국도 3호선 [[File:Korea National Route No.43.svg|20px]] 국도 43호선 [[File:Korea Expressway No.100.svg|20px]]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수석호평로 내부순환로 동부간선도로 |
관리 정보 | |
노선 번호 | 서울특별시도 제70호선 |
로마자 표기 | Gangbyeonbungno |
2. 역사
강변북로는 여러 차례의 확장과 개통,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84년 3월 21일 강변4로(양화대교 북단 ~ 한강대교 북단 4km 구간)가 "대건로"로 개칭되었고[12], 같은 해 11월 16일 강변1로의 기점이 광장동 시계에서 천호대교 북단으로 변경되어 연장이 4.2km에서 2.4km로 단축되었다.[13]
1986년 7월 12일 천호대교 북단 ~ 난지도 시계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고[14], 1988년 12월 반포대교 북단 ~ 천호대교 북단 구간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다.[15]
1994년 10월 1일 토평 나들목이 개통되었고[16], 1996년 3월 1일 용비교(현 서빙고로 구간의 교량)가 재시공으로 폐쇄되었다.[17] 같은 해 5월 잠실대교 ~ 천호대교 북단 3.6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으며[18], 7월 1일 국도 노선 변경으로 마포대교 북단 ~ 천호대교 북단 구간이 국도 제46호선으로 지정되었다.[19]
1997년 5월 10일 기존 도로 확장 및 신설 구간을 포함해 천호대교 북단 ~ 난지도 시계 26.8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고[21], 같은 해 10월 14일 '강변북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3]
1998년 8월 20일 새남터다리 ~ 한강대교 북단 ~ 대한의사협회(용산구 이촌1동 ~ 이촌2동, 지금의 이촌로와 이촌로46길의 일부) 700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되었고[24], 2000년 8월 10일 서빙고고가교 ~ 성수대교 북단(용산구 보광동 보광빗물펌프장 ~ 성동구 성수동 뚝도정수사업소, 지금의 뚝섬로의 일부) 5.3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되었다.[25]
2004년 2월 20일 천호대교 북단 ~ 광진구 광장동 시계 1.56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26]
2. 1. 개요
1969년 12월 25일 양화대교 북단 ~ 한강대교 북단 8km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4], 여러 차례 확장 및 개통을 거듭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초기에는 2차선, 3차선, 4차선 구간이 혼재되어 있었으나, 급속한 경제 성장과 1988년 하계 올림픽 이후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1989년부터 확장 공사가 시작되어 1998년에 완료되었다.[15]1970년 12월 23일에는 한강대교 북단 ~ 용비교 ~ 성동교 (현 용비교 ~ 성동교 구간은 광나루로 구간의 일부) 9.4km 구간이 개통되었고[5], 1972년 7월에는 용비교 ~ 잠실대교 북단 5km 구간이 개통되었다.[8] 1981년 6월 26일에는 잠실대교 북단 ~ 천호대교 북단이 개통되었다.[10]
1980년 1월 행주대교 북단 ~ 성산대교 북단 7.2km 구간이 착공되었고[9], 1982년 7월 성산대교 북단 ~ 행주산성 (행주대교 북단) 구간 (현 자유로 구간의 일부)이 개통되었다.[11]
1996년 12월 30일 당산철교 ~ 한강철교 구간이 개통되었고[20], 1997년 6월 24일 성산대교 ~ 용비교 (두모교) 구간 확장 개통이 이루어졌다.[22]
2003년에는 천호대교 북단 ~ 구리시 구간이 개통되었고, 2009년 7월 10일 도로명주소 시행으로 구리시 "토평강변로"와 남양주시 "종합운동장로"가 '''강변북로''' 구간에 편입되었다.[27] 2017년 8월 2일 남양주시 가운사거리 ~ 도농삼거리 구간은 '''다산지금로'''로 분리되었다.[28]
2012년 서울특별시 확장과 함께 강변북로 도로 개선 사업이 제안되었으며, 여기에는 도로 지하화 공사도 포함되었다.
2. 2. 상세
날짜 | 내용 |
---|---|
1969년 12월 25일 | 양화대교 북단 ~ 한강대교 북단 8km 구간 개통[4] |
1970년 12월 23일 | 한강대교 북단 ~ 용비교 ~ 성동교 (현 용비교 ~ 성동교 구간은 광나루로 구간의 일부) 9.4km 구간 개통[5] |
1972년 11월 26일 | 노선 명칭 변경[6][7] |
1972년 7월 | 용비교 ~ 잠실대교 북단 5km 구간 개통[8] |
1980년 1월 | 행주대교 북단 ~ 성산대교 북단 7.2km 구간 착공[9] |
1981년 6월 26일 | 잠실대교 북단 ~ 천호대교 북단 개통[10] |
1982년 7월 | 성산대교 북단 ~ 행주산성 (행주대교 북단) 구간 (현 자유로 구간의 일부) 개통[11] |
1984년 3월 21일 | 강변4로(양화대교 북단 ~ 한강대교 북단 4km 구간)를 "대건로"로 개칭[12] |
1984년 11월 16일 | 강변1로의 기점을 광장동 시계에서 천호대교 북단으로 변경하여 연장이 4.2km에서 2.4km로 단축[13] |
1986년 7월 12일 | 천호대교 북단 ~ 난지도 시계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4] |
1988년 12월 | 반포대교 북단 ~ 천호대교 북단 구간 확장공사 착공[15] |
1994년 10월 1일 | 토평 나들목 개통[16] |
1996년 3월 1일 | 용비교 (현 서빙고로 구간의 교량) 재시공에 따른 폐쇄[17] |
1996년 5월 | 잠실대교 ~ 천호대교 북단 3.6km 구간 왕복 8차로 확장공사 착공[18] |
1996년 7월 1일 | 국도 노선 변경으로 인해 마포대교 북단 ~ 천호대교 북단 구간 국도 제46호선으로 지정[19] |
1996년 12월 30일 | 당산철교 ~ 한강철교 구간 개통[20] |
1997년 5월 10일 | 기존도로 확장 및 신설 구간을 포함해 천호대교 북단 ~ 난지도 시계 26.8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1] |
1997년 6월 24일 | 성산대교 ~ 용비교 (두모교) 구간 확장 개통[22] |
1997년 10월 14일 | 강변북로로 개칭[23] |
1998년 8월 20일 | 새남터다리 ~ 한강대교 북단 ~ 대한의사협회(용산구 이촌1동 ~ 이촌2동, 지금의 이촌로와 이촌로46길의 일부) 700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24] |
2000년 8월 10일 | 서빙고고가교 ~ 성수대교 북단(용산구 보광동 보광빗물펌프장 ~ 성동구 성수동 뚝도정수사업소, 지금의 뚝섬로의 일부) 5.3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25] |
2003년 | 천호대교 북단 ~ 구리시 구간 개통 |
2004년 2월 20일 | 천호대교 북단 ~ 광진구 광장동 시계 1.56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6] |
2009년 7월 10일 | 도로명주소를 시행하면서 구리시의 "토평강변로"와 남양주시의 "종합운동장로"를 강변북로 구간에 편입[27] |
2017년 8월 2일 | 남양주시 가운사거리 ~ 도농삼거리 구간을 다산지금로로 분리.[28] |
1972년 이전의 강변도로에는 강남, 강북에 관계없이 준공 순으로 '강변1로 ~ 강변9로'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중 현재 강변북로 구간은 강변3로, 강변4로, 강변6로, 강변8로이다. 그 외 구간은 현재의 올림픽대로나 노들로의 일부이다.
고속도로 건설은 1969년에 시작되어 1972년에 개통되었다. 1985년에는 행주대교와 천호대교까지 연장되었다. 도로가 완공되었을 당시에는 2차선, 3차선, 4차선 구간이 혼재되어 있었다.
급속한 경제 성장과 1988년 하계 올림픽 이후, 이 도로는 만성적인 교통 체증을 겪는 곳이 되었다. 1989년에 확장 공사가 시작되어 1998년에 완료되었다.
2012년 서울특별시가 확장되면서 강변북로에 대한 도로 개선 사업이 제안되었는데, 여기에는 도로 지하화 공사도 포함되었다.
3. 노선 명칭의 변화
1972년 서울특별시는 시내 가로명을 제정하면서 한강 상류에서 하류 순서로 강변1로부터 강변5로까지 도로명을 부여하였다.[29] 이 중 강변4로는 1984년 교황 방한을 기념하여 대건로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일반 시민들은 구간별 명칭 대신 강변도로, 강변대로, 강변북로, 강북강변로, 강변도시고속도로 등의 이름을 혼용했다. 1997년 10월 14일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 강변북로로 명칭을 결정하여 현재는 이 명칭으로 정착되었다.
3. 1. 1972년 이전의 노선 명칭
1972년 이전의 강변도로에는 강남, 강북에 관계없이 준공 순으로 '강변1로 ~ 강변9로'라는 이름이 붙었다. 굵은 글씨가 현재 강변북로 구간이다. 그 외는 현재의 올림픽대로나 노들로의 일부이다.
도로명 | 구간 |
---|---|
강변1로 | 제1한강 ~ 영등포구청 |
강변2로 | 영등포구청 ~ 제2한강 |
강변3로 | 제1한강 ~ 제2한강 |
강변4로 | 제1한강 ~ 용비교 |
강변5로 | 제1한강 ~ 영동교 |
강변6로 | 용비교 ~ 잠실교 |
강변7로 | 영동교 북단 ~ 하일동시계 |
강변8로 | 제2한강 ~ 난지도 시계 |
강변9로 | 양화동 ~ 개화동시계 |
3. 2. 1972년 이후 사용 노선 명칭
1972년 서울특별시는 시내 가로명을 제정하면서 한강 상류에서 하류 순서로 강변1로부터 강변5로까지 도로명을 부여하였다.[29]구간 | 도로명 |
---|---|
천호대교 북단 ~ 잠실대교 북단 | 강변1로 |
잠실대교 북단 ~ 한남대교 북단 | 강변2로 |
한남대교 북단 ~ 한강대교 북단 | 강변3로 |
한강대교 북단 ~ 양화대교 북단 | 강변4로 |
양화대교 북단 ~ 난지도 시계 | 강변5로 |
이 중 강변4로는 1984년 교황 방한을 기념하여 대건로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일반 시민들은 구간별 명칭 대신 강변도로, 강변대로, 강변북로, 강북강변로, 강변도시고속도로 등의 이름을 혼용했다. 1997년 10월 14일 서울시 지명위원회에서 강변북로로 명칭을 결정하여 현재는 이 명칭으로 정착되었다.
4. 주요 시설물
강변북로는 한강 북쪽 강변을 따라 건설된 도로로, 서울과 경기도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시설물과 교량을 갖추고 있다.
주요 시설물
- 나들목(IC) 및 분기점(JC): 가양대교 북단(가양대로, 화곡로), 성산대교 분기점(내부순환로, 성산대교), 마포대교 북단(국도 제46호선, 마포대로, 여의대로) 등 여러 나들목과 분기점을 통해 다른 도로와 연결된다. IFC 서울, FKI타워, 여의도공원 등 주요 시설로의 접근성을 제공한다.
- 평면 교차로(IS): 노을공원(하늘공원로) 등 일부 구간에서는 평면 교차로를 통해 주변 도로와 연결된다.
- 교량: 가양대교부터 천호대교까지 한강을 가로지르는 여러 교량과 연결된다.
- 기타 시설물: 난지공원, 서울월드컵경기장, 국회의사당, 63빌딩, 용산역, 국립중앙박물관, N서울타워, 롯데월드타워 등 주요 랜드마크와 인접해 있다.
강변북로의 주요 시설물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강변북로/나들목 · 분기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나들목 · 분기점
강변북로의 나들목과 분기점은 다음과 같다.- IC: 나들목 (Interchange)
- IS: 평면 교차로 (Intersection)
- JC: 분기점 (Junction)
- -- 국도 제77호선 중복 구간
- -- 국도 제46호선 중복 구간
- -- 동부간선도로 중복 구간
- 일반도로 구간 (서울특별시도 제70호선 구간이 아니며, 고속화도로 구간이 아님)
가양대교 ~ 영동대교 구간은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과 중복된다.
종류 | 번호 | 이름 | 로마자 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램프 방향[32] | 비고 | |
---|---|---|---|---|---|---|---|---|
자유로와 직결 | ||||||||
IC | 6 | 가양대교 북단 | Gayangdaegyo Br. | 가양대교 화곡로 가양대로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우측 | |
IS | - | 노을공원 | Noeul Park | 하늘공원로 | - | 일산방향 진출입만 가능 | ||
IC | 7 | 월드컵대교 북단 | 증산로 | 우측 | 구리방향 진출 불가 | |||
JC | 8 | 성산대교 분기점 성산대교 북단 | Seongsandaegyo Br. | 내부순환로 성산대교 국도 제1호선 (성산로) 국도 제48호선 (성산로) | 양측 | |||
IS | - | 명칭 미상 | 동교로 | - | 일산방향 진출만 가능 | |||
IC | 9 | 양화대교 북단 | Yanghwadaegyo Br. | 양화대교 국도 제6호선 (선유로, 양화로) 국도 제77호선 (선유로) | 좌측 | |||
IS | - | 명칭 미상 | 와우산로 | - | 일산방향 진출입만 가능 | |||
IC | 10 | 서강대교 북단 | Seogangdaegyo Br. | 서강대교 국회대로 서강로 | 좌측 | 일산방향 대교 진입 불가 | ||
IS | - | 명칭 미상 | 대흥로 | - | 일산방향 진출만 가능 | |||
IC | 11 | 마포대교 북단 | Mapodaegyo Br. | 마포대교 국도 제46호선 (여의대로) | 좌측 | |||
IC | 원효로 | Wonhyoro | 원효로 | 좌측 | 구리방향 진출 및 일산방향 진입만 가능 | |||
IC | 12 | 원효대교 북단 | Wonhyodaegyo Br. | 원효대교 여의대방로 청파로 | 용산구 | 좌측 | ||
IC | 13 | 한강대교 북단 | Hangangdaegyo Br. | 한강대교 양녕로 한강대로 이촌로 | 좌측 | 이촌로 이용해 한강대교 북단 진입 | ||
IC | 14 | 동작대교 북단 | Dongjakdaegyo Br. | 동작대교 동작대로 | 좌측 | 강변북로 일산방향에서 탈 경우 신동아 아파트에 진입해 이촌로로 빠져나가 직진. | ||
IS | - | 신동아아파트 | 이촌로 | - | 일산방향 진출입만 가능 현대아파트와 서빙고역으로 진입 가능. | |||
IC | 15 | 반포대교 북단 | Banpodaegyo Br. | 반포대교 반포대로 서빙고로 | 좌측 | 1. 반포대교에서 강변북로 일산방향으로 진입 가능. 2. 강변북로 일산방향에서 탈 경우 신동아 아파트에 진입해 이촌로로 빠져나가 역 P턴. | ||
IC | 16 | 한남대교 북단 | Hannamdaegyo Br. | 한남대교 강남대로 | 우측 | 구리방향 진출입만 가능 | ||
JC | 18 | 성수대교 분기점 | Seongsudaegyo Br. | 동부간선도로 성수대교 언주로 고산자로 뚝섬로 | 성동구 | 우측 | 뚝섬로는 일산방향 진출과 구리방향 진입만 가능 | |
IC | - | 명칭 미상 | 왕십리로 | - | 일산방향 진출입만 가능 | |||
IC | 19 | 영동대교 북단 | Yeongdongdaegyo Br. | 영동대교 국도 제47호선 (영동대로, 동일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영동대로) | 광진구 | 우측 | ||
JC | 20 | 청담대교 북단 | Cheongdamdaegyo Br. | 청담대교 동부간선도로 | 좌측 | 구리방향 청담대교북단 진출불가 일산방향 양방향 진출불가 | ||
IC | 21 | 잠실대교 북단 | Jamsildaegyo Br. | 잠실대교 국도 제3호선 (송파대로, 자양로) | 우측 | |||
IC | - | (잠실철교) | Jamsil Railway Br. | 잠실철교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변역로 | 우측 | 구리방향 진출불가 | ||
IC | 22 | 올림픽대교 북단 | Olympicdaegyo Br. | 올림픽대교 강동대로 광나루로 | 우측 | 일산방향 진출불가 | ||
IC | 23 | 천호대교 북단 | Cheonhodaegyo Br. | 천호대교 국도 제43호선 (천호대로) 국도 제46호선 (천호대로) 광진교 구천면로 | 우측 | 구리방향은 천호대로 진출만 가능 (광진교 이용불가) 일산방향은 구천면로(워커힐)방향만 진출가능 천호대교에서 진입불가 | ||
IC | - | 아천 | Acheon | 양재대로 사가정로 국도 제43호선 (아차산로) 국도 제46호선 (아차산로) | 경기도 | 구리시 | N/A | |
IC | - | 남구리 | S.Guri | 29호선 세종포천고속도로 | ||||
IS | - | 토평삼거리 | Topyeong | 벌말로 | ||||
IS | - | 명칭 미상 | 코스모스길 | |||||
IC | - | 토평 | Topyeong | 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왕숙천로 | ||||
BR | - | 수석교 | Suseokgyo Br. | rowspan=2| | rowspan=2| | |||
남양주시 | ||||||||
IC | - | 수석 | Suseok | 수석호평로 | ||||
IS | - | 가운사거리 | Gaun | 고산로 | ||||
다산지금로와 직결 |
강변북로 일산방향에서는 올림픽대교, 잠실대교, 영동대교, 성수대교, 한강대교, 마포대교, 양화대교, 성산대교, 가양대교, 방화대교에서 다리로 바로 진입이 가능하다. 잠실야구장으로 갈 경우, 강변북로를 타다 잠실대교로 갈아타서 건너편 종합운동장 쪽으로 나가면 된다. 고척스카이돔으로 갈 경우는 강변북로를 탄 후 성산대교로 갈아타서 1호선 구일역까지 가면 된다.
강변북로 일산방향에서 동작대교와 반포대교를 타는 방법은 이촌로(서빙고역)로 빠져나가서 직진을 하면 동작대교가 나오고 역P턴을 하면 반포대교를 탈 수 있지만 시간이 오래 걸린다. 강변북로 구리방향에서는 잠수교[30]와 동호대교를 제외한 모든 한강 다리에 바로 진입이 가능하다.[31]
일반적인 나들목 형태와 다르게 1차로 좌측에 진출입로가 생기는 곳이 상당히 많다.
4. 2. 교량
(월드컵대교)(월드컵대교북단)
(월드컵大橋)
(성산대교)
(성산대교북단)
(城山大橋)
(동부간선도로 입구)
(동부간선도로입구)
(東部幹線道路入口)
(강동대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