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수대교는 1979년에 완공된 서울의 다리로, 영동 신도시 개발에 따른 서울 동부권의 균형 발전을 위해 건설되었다. 1994년 10월 21일 붕괴 사고로 32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당했으며, 이후 전면 철거 후 재건설되어 1997년 7월 3일에 임시 재개통, 2004년 9월 17일에 최종 완공되었다. 붕괴 사고는 대한민국 사회의 안전 불감증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전국적인 도로 및 교량 안전 점검과 재난 관리 시스템 강화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9년 완공된 교량 - 잠실철교
1977년 착공되어 1979년에 완공된 잠실철교는 도로와 철도 기능을 모두 수행하며 잠실과 서울 도심을 연결하는 교통 허브로서 건설되었다. - 1979년 완공된 교량 - 포스코대교
포스코대교는 동해안로와 연결된 다리로서, 1979년 신형산대교로 준공되었지만 2008년 포스코 40주년 기념 사업을 통해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1997년 완공된 교량 - 김포대교
김포대교는 1997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간 완공과 함께 개통된 한강의 21번째 다리이다. - 1997년 완공된 교량 - 강화대교
강화대교는 경기도 김포시와 강화군을 잇는 총 연장 780m, 폭 19.5m의 4차로 교량으로, 1993년 8월에 착공하여 1997년 8월에 완공되었으며 13개의 경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 트러스교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트러스교 - 당산철교
당산철교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한강 횡단 교량으로, 개통 후 안전 문제로 인해 재시공을 거쳐 재개통되었으며 현재는 지속적인 관리와 보수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
성수대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성수대교 |
로마자 표기 | Seongsu daegyo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Sŏngsu taekyo |
영어 이름 | Seongsu Bridge |
위치 | 한강, 서울특별시 |
유지 관리 | 서울특별시청 |
차선 수 | 8차선 (이전 4차선) |
총 길이 | 1,161m |
건설 | 구 성수대교 : 1977년 4월 9일 ~ 1979년 10월 15일 신 성수대교 : 1995년 4월 26일 ~ 1997년 7월 3일 |
건설 비용 | 구 성수대교 : 115억 8천만 원 신 성수대교 : 780억 원 |
건설사 | 동아건설산업 (구 성수대교) 현대건설 (신 성수대교) |
개통일 | 구 성수대교 : 1979년 10월 16일 신 성수대교 : 1997년 7월 3일 |
폐쇄일 | 구 성수대교 : 1994년 10월 21일 |
주요 연결 도로 | 언주로, 고산자로 |
횡단 위치 | 서울특별시 강남구와 성동구 사이의 한강 |
구조 | 게르버 트러스교 |
너비 | 35m (8차선) |
붕괴 사고 | |
붕괴 시각 | 1994년 10월 21일 오전 7시 38분 한국 표준시 |
기타 정보 | |
관련 노래 | DJ DOC의 노래 |
2. 역사
1977년 4월 동아건설이 성수대교를 착공하여 1979년 10월 16일에 준공식을 거행하면서 완공했다. 성수대교는 영동의 신도시 개발에 따른 서울 동부권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고 서울의 부도심으로서의 기능을 촉진하며 인구 분산과 교통 혼잡 해소를 위해 건설되었다.
1994년 10월 21일, 성수대교 붕괴 사고가 발생하여 32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당했다. 이후 성수대교는 전면 철거되었고, 1995년 4월 26일 현대건설이 재건설을 시작하여 1997년 7월 3일 왕복 4차선으로 임시 재개통되었다.[14] 1998년 12월 31일 8차선 확장 공사가 시작되어 2004년 9월 17일에 최종 완공되었다.[15]
2. 1. 최초의 성수대교 (1979년 ~ 1994년)
1977년 4월 동아건설이 성수대교를 착공하여 1979년 10월 16일에 준공식을 거행하며 완공하였다.[1] 이 다리는 서울 동부권의 균형 있는 발전과 인구 분산, 교통 혼잡 해소를 위해 건설되었다. 총 길이는 1160m, 폭은 19.4m인 4차선 도로교였다.[3] 설계 하중은 DB-18 (총중량 32.4톤)이었다.2. 2. 성수대교 붕괴 사고 (1994년)
1994년 10월 21일 오전 7시 40분경, 성수대교 상판 일부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했다.[10] 승합차 1대, 승용차 4대, 버스 1대가 한강으로 추락하여 32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을 입었다.[2] 사망자 중에는 필리핀 국적자 1명도 포함되어 있었다.[11][12]
사고 당시 성수대교는 길이 1160.8m, 너비 19.4m로, 한강에 걸린 17개 다리 중 비교적 최신 다리였으나,[10] 완공된 지 불과 15년 만에 붕괴되었다.
성수대교는 서울특별시 중심부와 강남 지역을 잇는 4차선 도로교로, 평소 통행량이 많았다.[10] 개통 당시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한 교통량으로 인해 설계 당시 예상했던 표준 차량 하중을 크게 초과하는 차량들이 통행하고 있었다.[10] 이전부터 통행 중 진동이 심하다는 민원이 있었고, 사고 전날 밤에도 서울시 당국이 응급 보수 공사를 진행하던 중이었다.[10] 사고 당일은 아침 출퇴근 시간과 겹쳤고, 강우로 인한 정체로 다리 위 차량 혼잡이 심했던 것도 피해를 키웠다.[10]
다리 중앙 부분이 갑자기 48m에 걸쳐 붕괴되었고,[10][11] 통행 중이던 시내버스와 승용차들이 20m 아래 한강으로 추락했다. 한강이 갈수기여서 붕괴된 교각 상부 포장 부분은 물에 잠기지 않았고, 그 위로 시내버스와 승용차들이 추락하여 파손되는 참사가 발생했다.[10] 이 사고로 통학 중이던 학생 등 버스 승객 17명과 자가용 출퇴근 직장인들이 희생되었다.[10] 사고 버스는 한성운수|한국어 소속 16번 시내버스였다.
사고 원인 조사 결과, 현수교 주케이블과 상판 연결 부재의 용접 불량, 부실 시공 등 여러 문제가 드러났다.[10] 다리 완공 후 유지보수 및 검사 관련 기술 기준이 없었고,[10] 시 재정 부족으로 정기 점검도 이루어지지 않았다.[10]
결과적으로 부실 용접, 부식된 확장 힌지, 전반적인 유지보수 부족이 붕괴 원인으로 밝혀졌고, 서울시 정부 관계자 16명과 건설 노동자들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4] 공사 담당 건설회사와 서울시 감독 책임자는 형사 처벌을 받았고,[11] 당시 서울시장 이원종|李元鐘한국어은 김영삼 대통령에 의해 경질되었다.[11]
이 사고로 한강 다리 전체 긴급 점검이 실시되었고, 결함이 발견된 당산철교는 교체되었다. 1995년 6월 29일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를 계기로 같은 해 7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이 제정되었다. 성수대교 및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로 소방방재청 직속 '''중앙119구조대'''가 설치되었다.
잇따른 대형 사고로 국내 부실 공사에 대한 국민적 비판이 높아지자, 김영삼 대통령은 전국 도로·교량 일제 점검을 실시했다.[10]
2. 3. 새로운 성수대교 (1997년 ~ 현재)
1995년 4월 26일, 현대건설이 성수대교 재건설 공사를 시작했다.[14] 1997년 6월에 완공되었으며, 7월 3일 왕복 4차선으로 임시 재개통되었다.[14] 새 다리 개통식에는 조순 시장이 참석하여 기념식을 거행했다.[8][9] 교체 다리 건설에는 780억원(1997년 기준)이 소요되었는데, 이는 당초 예상 가격의 약 6.8배에 달한다.[6][7]1998년 12월 31일, 본선 교량 1,160m를 폭 19.4m(4차선)에서 35m(8차선)로 확장하고, 강남 지역의 언주로 및 올림픽대로와 강북 지역의 고산자로 및 강변북로, 동부간선도로와 이어지는 남/북단 진·출입 램프 3.175m를 신설하는 공사가 착공되었다.[15] 이 공사는 2004년 9월 17일에 최종 완공되었다.[15]
새로운 성수대교는 총 길이 1,161m, 폭 35m의 8차선 교량이다. 설계 하중은 DB-24 (총중량 43.2톤)로 강화되었다.
3. 제원
한강 다리 최초로 120m 장경간 트러스교로 건설되었으며, 교하공간이 넓다는 특징이 있다.
3. 1. 구 성수대교
구 성수대교는 동아건설이 건설하여 1979년 10월 15일에 개통되었다.[2][1] 한강 다리 최초로 120m 장경간 트러스교로 건설되었으며, 교하공간이 넓다는 특징이 있었다. 다리는 길이 1160m, 폭 19.4m로 4차선 도로를 수용했다.[3] 설계하중은 DB-18(총중량 32.4톤)이었다.항목 | 내용 |
---|---|
폭 | 19.4m (4차선) |
연장 | 1160m |
설계하중 | DB-18 (총중량 32.4톤) |
준공 | 1979년 10월 |
1994년 10월 21일 아침, 성수대교의 일부가 붕괴되어 32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부상을 입는 참사가 발생했다.[2]
3. 2. 신 성수대교
한강 다리 최초로 120m 장경간으로 건설되었으며, 게르버 트러스교로 교하공간이 넓다는 특징이 있다.항목 | 내용 |
---|---|
폭 | 35m (8차선) |
연장 | 1161m |
설계하중 | DB-24 (총중량 43.2톤) |
준공 | 1997년 6월 |
개통 | 1997년 7월 3일 |
새 다리 건설은 1996년 3월 현대건설 주도하에 시작되었다. 교체 다리 건설에는 780억원(1997년 기준)이 소요되었는데, 이는 당초 예상 가격의 약 6.8배에 달한다.[6][7] 새 다리는 조순 시장에 의해 1997년 7월 3일 개통되었으며, 다리 위에서 기념식이 거행되었다.[8][9]
3. 3. 구조 형식
성수대교는 한강 다리 최초로 120m 장경간으로 건설되었으며, 게르버 트러스교로 교하공간이 넓다는 특징이 있다. 주경간부 양측의 앵커트러스(각 36m)와 중앙현수지간(48m)이 핀으로 연결된 구조이며, 용접과 고장력볼트(마찰접합) 접합방식으로 시공되었다.4. 성수대교 붕괴 사고의 영향
1994년 10월 21일에 일어난 성수대교 붕괴 사고는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여러 변화를 가져왔다.
사고에 대한 책임으로 공사 관련 건설회사와 서울시 감독 책임자가 형사 처벌을 받았다.[11] 당시 서울시장이었던 이원종한국어은 김영삼 대통령에 의해 경질되었다.[11]
성수대교는 1995년 5월부터 복구 공사를 시작하여 1997년 7월 3일에 다시 개통되었다.[10] 복구 공사는 현대건설이 맡았다.[10] 그러나 2001년 조사에서 성수대교의 부실 공사가 다시 드러나기도 했다.[13]
4. 1. 사회적 영향
성수대교 붕괴 사고는 대한민국 사회에 만연했던 안전 불감증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사고로 부실 공사에 대한 국민적 비판 여론이 높아졌고, 정부의 안전 관리 시스템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10]사고 이후 1995년 7월에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이 제정되었고, 성수대교 붕괴 사고와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를 계기로 소방방재청 직속 구조대인 '''중앙119구조대'''가 설치되었다.
김영삼 대통령은 전국의 도로·교량 등에 대한 일제 점검을 실시하도록 지시했다.[10] 또한 한국 정부는 주요 토목 공사 일부를 외국 기업에 발주하기로 결정했고, 성수대교 복구 공사의 총괄 및 기술 지도는 영국 기업이 담당하였다.[10]
4. 2. 건설 및 기술적 영향
성수대교 붕괴 사고를 계기로 한강에 걸린 모든 다리에 대한 긴급 점검이 실시되었고, 그 결과 결함이 발견된 당산철교는 교체되었다.[10] 이 사고는 주요 토목 공사에 외국 기업이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다. 성수대교 복구 공사의 총괄 및 기술 지도는 영국 기업이 담당하였다.[10]또한, 성수대교의 교통량 증가로 인해 설계 하중이 초과되었던 점을 고려하여 재설계가 이루어졌으며,[10] 이는 이후 설계 하중 기준 강화와 유지보수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5. 문화적 영향
2018년 한국 영화 벌새는 성수대교 붕괴 사고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Welcom to the NEM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http://nema.go.kr/en[...]
2023-02-17
[2]
뉴스
32 Reported Dead as Bridge Collapses in Seoul
https://www.nytimes.[...]
2023-02-17
[3]
웹사이트
'성수대교 붕괴' 20년... 그때는 이럴 줄 몰랐다
https://www.ohmynews[...]
2023-02-18
[4]
웹사이트
「성수대교붕괴」 전원 석방/서울지법/16명 집행유예·1명무죄 선고
https://www.hankooki[...]
2023-02-20
[5]
서적
Disaster risk manage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https://www.worldcat[...]
2017
[6]
웹사이트
'성수대교 붕괴' 20년... 그때는 이럴 줄 몰랐다
https://www.ohmynews[...]
OhmyNews
2023-02-18
[7]
Youtube
대형 참사... 성수대교 붕괴 (10월21일)ㅣ뉴튜브 – 영상실록, 오늘N [46회] / YTN2
https://www.youtube.[...]
YTN
2023-02-24
[8]
웹사이트
Collapse of Seongsu Bridge
http://nema.go.kr/en[...]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South Korea)
2006-03-03
[9]
Youtube
[꼬꼬무 55회 요약] 대한민국 최악의 참사, 순식간에 무너진 '성수대교 붕괴 참사' {{!}}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 (SBS방송)
https://www.youtube.[...]
SBS
2023-02-24
[10]
웹사이트
韓国ソウル聖水大橋の崩落事故
https://www.shippai.[...]
[11]
서적
世界災害史辞典
[12]
서적
図解・橋の科学 なぜその形なのか? どう架けるのか?
講談社
2010-03-20
[13]
뉴스
「94年崩壊」聖水大橋、またも不正工事
https://web.archive.[...]
朝鮮日報
[14]
뉴스
서울 성수대교, 붕괴된 2년 8개월 만에 재개통
http://mn.kbs.co.kr/[...]
1997-07-03
[15]
뉴스
성수대교 붕괴 10년만에 확장개통
https://n.news.naver[...]
2004-09-1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산재 반복' 포스코이앤씨…"면허 취소 등 검토"
"산재 사고나면 회사 문닫나"… 대통령 '경고'에 건설업계 패닉
‘탕치기’가 뭐길래…시각장애 안마사들 “수사를” 한강다리 시위
‘억’ 소리 나는 반포…‘대장 아파트’ 내부는
성수대교 투신 시도, 자전거 타던 시민이 막아…경찰 감사장
과속하다 넘어진 2억짜리 벤츠…"다행히 대피했던 운전자"라더니 [자막뉴스]
서울 때아닌 3월 폭설에 '출근 대란'…안전 비상에 곳곳 사고
한국 위해 싸운 25명의 외국인들…그들의 독립 투쟁기
서울 성수대교 교차로 달리던 SUV 차량 전복
서울숲 삼표레미콘 부지에 77층 랜드마크…내년 착공 목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