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로린 투게넨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로린 투게넨시스는 610만 년 전에서 580만 년 전의 중신세에 살았던, 이족 보행을 했다는 증거가 있는 초기 인류 화석 중 하나이다. 현재까지 최소 5구의 화석이 발굴되었으며, 대퇴골, 상완골, 치아 화석 등을 통해 이족 보행, 식습관, 크기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마틴 픽포드는 오로린속이 사람아과라고 주장하며, 인류 진화에 대한 기존 가설과 달리 숲에서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람아족 - 메간트로푸스
    메간트로푸스는 자바섬에서 발견된 화석 인류로, 호모 에렉투스의 변종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지만, 일부 학자들은 아종이나 별개의 유인원으로 분류하며 루펑피테쿠스와의 관련성을 제시하기도 한다.
  • 사람아족 - 아르디피테쿠스 카다바
    아르디피테쿠스 카다바는 580만 년에서 560만 년 전의 초기 호미닌 화석 종으로, 송곳니 크기 축소와 관련된 행동 변화를 보이며 숲과 사바나 환경에 서식했고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의 조상으로 추정된다.
  • 마이오세의 포유류 - 수마트라코뿔소
    수마트라코뿔소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에서 발견된 가장 작은 코뿔소 종으로, 두 개의 뿔과 털이 많으며 멸종 위기에 놓여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마이오세의 포유류 - 사헬란트로푸스
    사헬란트로푸스는 약 700만 년 전에서 680만 년 전에 생존했던 화석 인류의 한 속으로, 2001년 차드에서 발견된 '투마이' 화석 표본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작은 두개골과 턱뼈, 작은 뇌 용량을 특징으로 하고, 분류 및 직립 보행 여부에 대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200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케다르펠타
    케다르펠타는 백악기 전기에 미국 유타주에서 발견된 대형 곡룡류 공룡으로, 부분적인 골격 화석을 바탕으로 2001년에 명명되었다.
  • 200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아르디피테쿠스 카다바
    아르디피테쿠스 카다바는 580만 년에서 560만 년 전의 초기 호미닌 화석 종으로, 송곳니 크기 축소와 관련된 행동 변화를 보이며 숲과 사바나 환경에 서식했고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의 조상으로 추정된다.
오로린 투게넨시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오로린의 화석
화석
지질 시대중신세
학명Orrorin tugenensis
학명 명명Senut et al, 2001
오로린 (Orrorin)
속 명명Senut et al, 2001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영장목 (Primates)
아목직비원아목
하목원숭이하목
소목협비원소목
상과사람상과
사람과 (Hominidae)
아과사람아과 (Homininae)
사람족 (?) (Hominini)
아족사람아족 (?) (Hominina)
오로린 투게넨시스 (O. tugenensis)
화석 정보
화석 이름오로린 투게넨시스
연대기약 600만 년대
발굴지케냐 투겐 언덕
기타 정보
관련 분류Orrorin

2. 연대

방사성 연대 측정에 따르면, 화석이 발견된 지층의 화산성 응회암은 610만 년 전에서 580만 년 전의 중신세에 해당한다. 이는 이족 보행을 했다는 증거가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화석 중 하나이다.

3. 특징

오로린 투게넨시스는 침팬지 정도의 크기였다. 현재까지 이 종류의 화석은 최소 5구가 발굴되었다. 화석 중에는 직립 보행을 시사하는 대퇴골, 나무에는 오를 수 있었지만 팔로 건너는 동작은 할 수 없었음을 시사하는 얇은 오른손 상완골, 현대 인류와 거의 같은 것을 먹었던 것을 시사하는 치아 화석도 포함되어 있다.

3. 1. 이족 보행

현재까지 이 종류의 화석은 최소 5구가 발굴되었다. 그 중에는 직립했음을 시사하는 대퇴골 화석, 나무에는 오를 수 있었지만 팔로 건너는 동작은 할 수 없었음을 시사하는 얇은 오른손 상완골 화석, 현대 인류와 거의 같은 것을 먹었던 것을 시사하는 치아 화석도 포함되어 있다. 오로린 투게넨시스의 화석이 대퇴골의 둔부 쪽에 외폐쇄근 홈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은, 이 종이 이족 보행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어금니가 크고 송곳니가 작았다는 것은 이 종이 과일과 채소를 즐겨 먹고 육류도 가끔 먹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오로린 투게넨시스는 침팬지 정도의 크기였다.

3. 2. 상지 골격

오로린 투게넨시스의 화석 중에는 직립 보행을 했음을 보여주는 대퇴골 화석과, 나무는 탈 수 있었지만 팔로 건너는 동작은 할 수 없었음을 보여주는 얇은 오른손 상완골 화석이 있다.

3. 3. 치아

오로린 투게넨시스의 화석 중에는 현대 인류와 거의 같은 것을 먹었던 것을 시사하는 치아 화석도 포함되어 있다.[1] 어금니가 크고 송곳니가 작다는 것은 이 종이 과일과 채소를 즐겨 먹고 육류도 가끔 먹었다는 것을 시사한다.[1]

3. 4. 크기

현재까지 이 종류의 화석은 최소 5구가 발굴되었다. 그 중에는 직립 보행을 했음을 시사하는 대퇴골 화석, 나무에는 오를 수 있었지만 팔로 건너는 동작은 할 수 없었음을 시사하는 얇은 오른손 상완골 화석, 현대 인류와 거의 같은 것을 먹었던 것을 시사하는 치아 화석도 포함되어 있다. 오로린 투게넨시스의 화석이 대퇴골의 둔부 쪽에 외폐쇄근 홈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은, 이 종이 이족 보행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어금니가 크고 송곳니가 작았다는 것은, 이 종이 과일과 채소를 즐겨 먹고 육류도 가끔 먹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오로린 투게넨시스는 침팬지 정도의 크기였다.

4. 계통 가설

마틴 픽포드 팀이 2000년에 오로린 투게넨시스의 화석을 다시 발견했다. 픽포드는 오로린속이 사람아과라고 주장하며, 이를 근거로 사람과와 다른 아프리카 유인원이 분화된 것은 적어도 700만 년 전이라고 했다.[2][3] 이 값은 분자 시계에 의한 계산 결과와는 상당히 다르다.

만약 오로린속이 현생 인류의 직접적인 조상으로 증명된다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 등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은 사람과의 계통수에서 옆길로 벗어난 존재가 된다. 오로린속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보다 150만 년이나 오래되었지만, 더욱 현생 인류에 가깝다.

화석이 발견된 장소로 미루어 볼 때, 인류의 진화에 대한 기존의 가설과는 달리, 오로린속은 숲에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5. 서식 환경

오로린 투게넨시스의 화석이 발견된 장소로 미루어 볼 때, 인류의 진화에 대한 기존의 가설과는 달리, 오로린속은 숲에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참조

[1] 웹사이트 Orrorin tugenensis http://humanorigins.[...] Smithsonian Institution 2015-12-21
[2] 논문 Millennium Ancestor', a 6-million-year-old bipedal hominid from Kenya http://reference.sab[...] 2015-12-21
[3] 논문 First hominid from the Miocene (Lukeino formation, Kenya) http://forumamislo.n[...] 2015-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