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병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병남은 대한민국의 미학자이다. 1940년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시카고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1970년부터 2006년까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미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한국미학회 창립을 주도하고 회장을 역임했다.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며, 저서 《미학강의》로 열암 학술상을, 한국적 미의식 개념 정립 공로로 3·1 문학상 학술 부문을 수상했다. 서구 미학 이론 연구와 한국 미학 연구, 예술과 인문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다수의 저서와 논문을 발표하고, 철학 및 미학 관련 서적을 번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 박일경
박일경은 일제강점기에 학위를 받고 함평군수, 서울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법제처장, 문교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 -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 김상협
김상협은 삼양그룹 창업주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의 조카로, 도쿄대 졸업 후 고려대 교수와 총장,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교육자이며,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 서울대학교 교수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서울대학교 교수 - 박태원 (1909년)
박태원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로, 모더니즘 소설을 주로 썼으며, 해방 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 - 2022년 사망 - 정태인
정태인은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하고 참여정부에서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쳤으나 행담도 개발 사업 논란으로 물러난 후, 한미 FTA를 비판하고 진보신당 창당에 참여한 경제학자이자 대학교수, 정치인이다. - 2022년 사망 - 한승헌
한승헌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인권 변호사, 사회운동가, 수필가로, 군사정권 시절 시국 사건 변론을 맡아 인권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감사원장과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오병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오병남 |
출생일 | 1940년 10월 14일 |
출생지 | 충청남도 천안시 |
사망일 | 2022년 8월 8일 (향년 81세) |
국가 | 대한민국 |
2. 생애와 경력
오병남은 1940년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성장했다. 서울대학교에서 미학을 전공하고,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시카고에서 철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70년부터 2006년까지 서울대학교 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으며, 한국미학회 창립과 발전에 기여했다. 2005년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 되었다. 저서 《미학강의》를 통해 한국적 미의식 개념 정립에 공헌했으며, 은사인 김정록 교수가 지어준 정암(鼎巖)이라는 아호를 사용했다.
2. 1. 출생과 학력
부친 오영, 모친 김창순의 차남으로 1940년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나 서울 종로구 삼청초등학교, 경기중학교,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59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미학과에 입학하여 1965년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1985년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 시카고(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2. 2. 학문 활동
1970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전임강사를 시작으로 2006년 정년퇴임까지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미학과 교수로 36년간 후학을 가르쳤다. 1968년 한국미학회 창립을 주도했으며, 1990년부터 10년간 한국미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2005년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 되었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뒤편의 '정암동산'은 오병남이 15년 넘게 가꿔온 정원으로, 그의 아호를 따서 이름 붙여졌다.3. 학문적 업적 및 평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섹션 제목, 요약 등을 제공해주시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고, 필요한 경우 수정까지 완료하여 제공해드리겠습니다.)
4. 저작 목록
오병남의 저작 목록은 저서, 공저, 역서, 주요 논문으로 구분된다.
'''저서'''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
2003년 | 《미학강의》 | 서울대출판부 |
2014년 | 《미술론 강의》 | 세창출판사 |
2023년 | 《미학적 수상》 | 북코리아 |
'''공저'''
- 1999년 《인상주의 연구》 (오병남, 민형원, 김광명 공저, 예전사)
- 2007년 《미학으로 읽는 미술》 (오병남 외 지음, 월간미술사)
- 2011년 《예술과 철학》 (오병남 외 지음, 현실사)
'''역서'''
출판 연도 | 제목 | 원저자 | 비고 |
---|---|---|---|
1979년 | 《예술작품의 근원》 | 하이데거 | 민형원 공역, 경문사 |
1980년 | 《미학입문》 | 디키 | 황유경 공역, 서광사 |
1981년 | 《마르크스주의와 예술》 | 아르봉 | 이창환 공역, 서광사 |
1982년 | 《현대미학》 | 디키 | 서광사 |
1983년 | 《화가와 그의 눈》 | 그로서 | 신성주 공역, 서광사 |
1983년 | 《현상학과 예술》 | 메를롱-퐁티 | 서광사 |
1983년 | 《예술철학》 | 올드리치 | 종로서적출판사 |
1988년 | 《현대미술 그 철학적 의미》 | 해리스 | 최현희 공역, 서광사 |
1989년 | 《20세기 예술철학사조》 | 바진 | 윤자정 공역, 경문사 |
1990년 | 《미학과 비평철학》 | 스톨니츠 | 이론과실천사 |
1995년 | 《미술: 그 취미의 역사》 | 챔버스 | 이상미 공역, 예전사 |
1996년 | 《고대 예술과 제의》 | 해리스 | 김현희 공역, 예전사 |
1996년 | 《현대 미술과 과학적 사고》 | 리차드슨 | 서광사 |
'''주요 논문'''
- Modern Art and the Prospect of Aesthetics영어, 미학 제1집, 1971
- Aesthetic Approach to the Problems of Art Education영어, 미학 제2집, 1972
- A Study on the Character of Contemporary Art and Aesthetic Experience영어, 공삼 민병태박사회갑기념논총, 1973
- The Decline of the Concept of Beauty and Its Consequences영어, 광제 이의철박사회갑기념논총, 1973
- A Study on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Modern Aesthetics영어, 장병림교수회갑기념논총, 1974
- A Study on the Meaning of Art as Expression in B. Croce and Its Aesthetic Premise영어, 미학 제3집, 1975
- The Concept of Art and the Problem of Definition영어, 서울대학교 인문논총 제1집, 1976
- The conception of art as performance영어, 철학연구 제12집, 1977
- The Direction and Problems of Contemporary Aesthetics영어, 문학과지성, 가을호 제9권 제3호, 1978
-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Modern Aesthetics영어, 미학 제5집, 1978
-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ry of Aesthetic Attitude and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Aesthetics영어, 미학 제6집, 1979
- Phenomenology and the Problems of Aesthetics영어, 현상학연구 제1집, 1983
- Trends and Problems in Contemporary Aesthetics: Up to G. Dickie's Institutional Theory of Art영어, 한국외국어대학교 외대 제18호, 1983
- Beauty: Its Word, Concept, and Theory영어, 철학연구, 제20집, 1985
- Problems of Aesthetics and Aesthetics Education영어, 미학 제10집, 1985
- Two Streams of Art and the Concept of Play영어, 예술교육과 창조 제5집, 1986
- Discussion on the Ideological Origins of Modern Aesthetics영어, 예술과 비평 제11호, 서울신문사, 1986
- Problems of Art Education and Aesthetics영어, 예술교육과 창조 제6집, 1987
- "Avant-garde" in "Avant-garde Art": Meaning and Problems영어, 현대미술의 동향, 미진사, 1987
- The Concept of Freedom of the Artist and Humanism영어, 휴머니즘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8
- Art and Philosophy in M. Merleau-Ponty: Focusing on "The Eye and the Mind"영어, 현상학연구 제3집, 1988
- Re-evaluation of I. Kant's Aesthetics영어, 미학 제14집, 1989
- Critique of Metaphysical Aesthetics영어, 낭만음악 제4권 1호, 1991
- The Essence of Art: Is Its Definition Possible?영어, 예술문화연구 제8집, 1991
- 철학·종교학·미학의 회고와 전망한국어, 심재룡, 윤이흠 공저, 인문과학 분야별 회고와 전망, 서울대학교 개교 50주년 기념 학술대회, 1996
- From Critical Philosophy to Philosophy of Art: From Value Evaluation to Meaning Interpretation영어, 21세기와 분석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0
- Impressionist Painting, Its Essence and Significance: Impressionism in an Aesthetic Context영어, 월간미술 제12권, 2000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History, Art History Theory, and Aesthetics영어, 미학 제30집, 2001
- An Approach to Ko Yu-seop's Aesthetic Thought영어, 미학 제42집, 2005
- Today's Art and Aesthetics: Drawing a Picture for Diagnosing Problems영어, 철학과 현실 가을호 제70호, 2006
-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Aesthetics영어, 월간미술, No. 262, 2006
- The Concept of the Sublime in Kant's Aesthetic Theory영어, 대한민국 학술원 논문집 제47집 제1호, 2008
- Art and Truth영어, 철학과 현실 제86호, 2010
-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Art Theory as a Humanities영어, 미학 제64집, 2010
- The Concept of Art and Creativity: Focusing on Kant's Critique of Judgment영어, 대한민국학술원 논문집 제 51집, 2012
- The Idea and Status of the Humanities영어, 대한민국학술원통신 제279호, 2016
4. 1. 저서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
2003년 | 《미학강의》 | 서울대출판부 |
2014년 | 《미술론 강의》 | 세창출판사 |
2023년 | 《미학적 수상》 | 북코리아 |
4. 2. 공저
- 1999년 《인상주의 연구》 (오병남, 민형원, 김광명 공저, 예전사)
- 2007년 《미학으로 읽는 미술》 (오병남 외 지음, 월간미술사)
- 2011년 《예술과 철학》 (오병남 외 지음, 현실사)
4. 3. 역서
출판 연도 | 제목 | 원저자 | 비고 |
---|---|---|---|
1979 | 《예술작품의 근원》 | 하이데거 | 민형원 공역, 경문사 |
1980 | 《미학입문》 | 디키 | 황유경 공역, 서광사 |
1981 | 《마르크스주의와 예술》 | 아르봉 | 이창환 공역, 서광사 |
1982 | 《현대미학》 | 디키 | 서광사 |
1983 | 《화가와 그의 눈》 | 그로서 | 신성주 공역, 서광사 |
1983 | 《현상학과 예술》 | 메를롱-퐁티 | 서광사 |
1983 | 《예술철학》 | 올드리치 | 종로서적출판사 |
1988 | 《현대미술 그 철학적 의미》 | 해리스 | 최현희 공역, 서광사 |
1989 | 《20세기 예술철학사조》 | 바진 | 윤자정 공역, 경문사 |
1990 | 《미학과 비평철학》 | 스톨니츠 | 이론과실천사 |
1995 | 《미술: 그 취미의 역사》 | 챔버스 | 이상미 공역, 예전사 |
1996 | 《고대 예술과 제의》 | 해리스 | 김현희 공역, 예전사 |
1996 | 《현대 미술과 과학적 사고》 | 리차드슨 | 서광사 |
4. 4. 주요 논문
- Modern Art and the Prospect of Aesthetics영어, 미학 제1집, 1971
- Aesthetic Approach to the Problems of Art Education영어, 미학 제2집, 1972
- A Study on the Character of Contemporary Art and Aesthetic Experience영어, 공삼 민병태박사회갑기념논총, 1973
- The Decline of the Concept of Beauty and Its Consequences영어, 광제 이의철박사회갑기념논총, 1973
- A Study on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Modern Aesthetics영어, 장병림교수회갑기념논총, 1974
- A Study on the Meaning of Art as Expression in B. Croce and Its Aesthetic Premise영어, 미학 제3집, 1975
- The Concept of Art and the Problem of Definition영어, 서울대학교 인문논총 제1집, 1976
- The conception of art as performance영어, 철학연구 제12집, 1977
- The Direction and Problems of Contemporary Aesthetics영어, 문학과지성, 가을호 제9권 제3호, 1978
-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Modern Aesthetics영어, 미학 제5집, 1978
- The Establishment of the Theory of Aesthetic Attitude and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Aesthetics영어, 미학 제6집, 1979
- Phenomenology and the Problems of Aesthetics영어, 현상학연구 제1집, 1983
- Trends and Problems in Contemporary Aesthetics: Up to G. Dickie's Institutional Theory of Art영어, 한국외국어대학교 외대 제18호, 1983
- Beauty: Its Word, Concept, and Theory영어, 철학연구, 제20집, 1985
- Problems of Aesthetics and Aesthetics Education영어, 미학 제10집, 1985
- Two Streams of Art and the Concept of Play영어, 예술교육과 창조 제5집, 1986
- Discussion on the Ideological Origins of Modern Aesthetics영어, 예술과 비평 제11호, 서울신문사, 1986
- Problems of Art Education and Aesthetics영어, 예술교육과 창조 제6집, 1987
- "Avant-garde" in "Avant-garde Art": Meaning and Problems영어, 현대미술의 동향, 미진사, 1987
- The Concept of Freedom of the Artist and Humanism영어, 휴머니즘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8
- Art and Philosophy in M. Merleau-Ponty: Focusing on "The Eye and the Mind"영어, 현상학연구 제3집, 1988
- Re-evaluation of I. Kant's Aesthetics영어, 미학 제14집, 1989
- Critique of Metaphysical Aesthetics영어, 낭만음악 제4권 1호, 1991
- The Essence of Art: Is Its Definition Possible?영어, 예술문화연구 제8집, 1991
- 철학·종교학·미학의 회고와 전망한국어, 심재룡, 윤이흠 공저, 인문과학 분야별 회고와 전망, 서울대학교 개교 50주년 기념 학술대회, 1996
- From Critical Philosophy to Philosophy of Art: From Value Evaluation to Meaning Interpretation영어, 21세기와 분석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0
- Impressionist Painting, Its Essence and Significance: Impressionism in an Aesthetic Context영어, 월간미술 제12권, 2000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History, Art History Theory, and Aesthetics영어, 미학 제30집, 2001
- An Approach to Ko Yu-seop's Aesthetic Thought영어, 미학 제42집, 2005
- Today's Art and Aesthetics: Drawing a Picture for Diagnosing Problems영어, 철학과 현실 가을호 제70호, 2006
-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Aesthetics영어, 월간미술, No. 262, 2006
- The Concept of the Sublime in Kant's Aesthetic Theory영어, 대한민국 학술원 논문집 제47집 제1호, 2008
- Art and Truth영어, 철학과 현실 제86호, 2010
-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Art Theory as a Humanities영어, 미학 제64집, 2010
- The Concept of Art and Creativity: Focusing on Kant's Critique of Judgment영어, 대한민국학술원 논문집 제 51집, 2012
- The Idea and Status of the Humanities영어, 대한민국학술원통신 제279호,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