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봉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봉행은 도요토미 정권의 행정 실무를 담당한 5명의 중신을 지칭한다. 아사노 나가마사, 이시다 미쓰나리, 마시타 나가모리, 나쓰카 마사이에, 마에다 겐이가 그 구성원이며, 각자 사법, 행정, 토목, 재정, 종교 분야를 분담했다. 교토와 그 주변 지역을 통치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행정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여 정책 결정보다는 전문가와 고문으로 구성된 위원회 역할을 했다는 시각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행 - 군함봉행
군함봉행은 에도 막부 말기에 해안 방어, 군함 건조 및 관리, 해군 인력 양성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막부 해군력 강화에 기여한 해군 담당 직책으로, 외국과의 문제 처리도 담당했다. - 봉행 - 정봉행
정봉행은 에도 막부의 직책으로 에도의 민정을 담당하며 행정권과 재판권을 가졌고, 사사봉행, 감정봉행과 함께 삼봉행으로 불렸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정책제도 - 도요토미 정권
도요토미 정권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오다 정권을 계승하여 전국을 통일하고 중앙집권 체제를 구축했으나, 임진왜란 실패와 히데요시 사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하며 멸망했다.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정책제도 - 오다 정권
오다 정권은 오다 노부나가가 무로마치 막부 멸망 후 구축한 중앙 집권적 정치 권력으로, 도요토미 정권과 에도 막부로 이어지는 근세 일본의 기틀을 마련했으나 노부나가 사후 혼란기를 거쳐 도요토미 정권에 흡수되었다. - 명수 5 - 5개국 방위 협정
5개국 방위 협정은 1971년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싱가포르, 영국이 체결한 안보 협정으로, 회원국들은 상호 협의를 통해 공동 대응을 약속하며 군사 협력 및 상호 운용성을 강화하고 사이버 보안 및 우주 안보 등 새로운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능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 명수 5 - 파이브 아이즈
파이브 아이즈는 미국,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5개국 간의 정보 동맹으로, 각국의 정보기관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공유하며 냉전 시기부터 현재까지 국제 정세에 대응하기 위해 감시 및 정보 공유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오봉행 | |
---|---|
개요 | |
![]() | |
유형 | 관직 |
정치 체제 | 도요토미 정권 |
존속 기간 | 1585년 ~ 1600년 |
임명 | 도요토미 히데요시 |
구성원 | |
주요 인물 | 아사노 나가마사 마시타 나가모리 이시다 미쓰나리 마에다 겐이 나가쓰카 마사치카 |
설명 | |
역할 | 행정 재정 사법 |
상세 내용 | 히데요시의 측근 관료들로 구성 정무 전반을 담당 합의제 형태 히데요시 사후 이에야스에 의해 약화 |
기타 | |
관련 항목 | 오대로 |
2. 구성원 및 역할
오봉행(五奉行)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명한 다섯 명의 봉행(奉行)으로, 주로 행정, 사법, 재정, 토목, 종교 등의 업무를 분담했다. 이들은 오대로와 함께 도요토미 정권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담당 | 이름 | 영지 | 비고 |
---|---|---|---|
주로 사법 담당[8] | 아사노 나가마사 | 가이 고후 22만 석 | 오봉행의 필두 |
주로 행정 담당[9] | 이시다 미쓰나리 | 오미 사와야마 19만 석 | 오사카 근처 사카이 지역 통치 |
주로 토목 담당[10] | 마시타 나가모리 | 야마토 고리야마 22만 석 | |
주로 재정 담당[11] | 나쓰카 마사이에 | 오미 미나쿠치 5만 석 | |
주로 종교 담당[12] | 마에다 겐이 | 단바 가메야마 5만 석 | 고쇼, 조정(朝廷), 구게(公家), 사찰과 신사(寺社) 담당 |
마에다 겐이는 고쇼(御所)・조정・구게・사찰과 신사를, 나쓰카 마사이에는 재무를 담당하고, 아사노 나가마사, 마시타 나가모리, 이시다 미쓰나리는 일반 정무를 처리했다. 그러나 이시다 미쓰나리도 교토 쇼시다이를 역임한 적이 있어, 5명의 역할 분담이 명확하지는 않다.[7]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행정 문제에 적극적이었기 때문에, 오봉행은 정책 결정 실행보다는 전문가와 고문으로 구성된 위원회 역할을 했다는 평가도 있다.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가 발발하자, 나쓰카 마사이에는 이시다 미쓰나리 등과 함께 서군에 가담했고, 아사노 나가마사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군에 속했다. 마에다 겐이, 마시타 나가모리는 오사카 성에 주둔했다.
2. 1. 아사노 나가마사 (浅野長政)
아사노 나가마사는 오봉행의 필두(가장 높은 직위)로, 주로 사법을 담당했으며 가이 고후(甲斐甲府) 22만 석의 영지를 다스렸다.[8]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근 고문으로서 토지 조사와 여러 정책을 고안했으며, 교토와 기나이(畿内, 수도 주변 지역) 통치 임무를 맡았다.히데쓰구 사건으로 일시 실각했을 때는 미야베 게이준과 토미타 잇파쿠가 아사노 나가마사를 대신하여 봉행을 맡기도 했다.[6]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이끄는 동군(東軍)에 속했다.
2. 2. 이시다 미쓰나리 (石田三成)
이시다 미쓰나리는 오미 사와야마 19만 석을 다스렸으며 주로 행정을 담당했다.[9] 오봉행은 교토와 주변 지역, 즉 ''기나이'' 또는 본국이라 불리는 지역을 통치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러나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여전히 행정 문제에 매우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으며, 일부 학자들은 오봉행이 이를 대체한 오대로와 달리 실제로 정책 결정을 실행하는 집단이라기보다는 전문가와 고문으로 구성된 위원회 역할을 했다고 평가한다.이시다 미쓰나리는 경찰청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오사카 근처의 사카이 지역도 통치했다. 사카이는 주요 항구였으므로 이시다는 다양한 무역 측면의 관리 및 통제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게이초 5년(1600년)에 이시다 미쓰나리가 오대로의 모리 데루모토와 함께 세키가하라 전투를 일으켰고, 미쓰나리는 서군에 종군했다.
아사노, 이시다, 마스다 3명이 정무 전반을 담당하는 형태였으나, 이시다는 분로쿠 4년(1595년) 4월부터 게이초 4년(1599년) 윤3월까지 교토쇼시다이를 역임했고[7], 5명의 명확한 역할 분담은 찾아볼 수 없다.
2. 3. 마시타 나가모리 (増田長盛)
마시타 나가모리는 야마토 고리야마 22만 석을 다스렸으며, 주로 토목을 담당했다.[10] 아사노 나가마사, 이시다 미쓰나리와 함께 일반 정무를 처리하기도 했다.2. 4. 나쓰카 마사이에 (長束正家)
나쓰카 마사이에는 오미 미나쿠치 5만 석을 다스렸으며, 주로 재정을 담당했다.[11] 오봉행 중에서는 재무라는 특별 부문을 담당하였고, 일반 정무 처리보다는 전문가와 고문으로 구성된 위원회 역할을 했다고도 평가받는다.[9]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이시다 미쓰나리를 중심으로 한 서군에 가담했다.[4]2. 5. 마에다 겐이 (前田玄以)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명한 오봉행 중 한 명으로, 주로 종교를 담당하였다.[12] 단바 가메야마(丹波亀山) 5만 석을 다스렸다.마에다 겐이는 고쇼(御所)・조정(朝廷)・구게(公家)・사찰과 신사(寺社) 등 종교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12]
불교 승려이자 도쿠젠인(Tokuzen-in)으로도 알려진 마에다 겐이는 수도권(교토) 담당 관리인 ''쇼시다이'' 직책을 받았다. 그 결과 그는 다양한 종교 문제에 대응했을 뿐만 아니라 민사 분쟁의 판사 역할도 했다.[7]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당시에는 오사카 성에 주둔하였다.
3. 역할 분담 및 특징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명한 오봉행은 각자 전문 분야를 담당했다. 이들은 행정 전문가와 고문 역할을 수행했으며, 히데요시는 여전히 행정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8][9][10][11][12]
역할 | 담당자 | 영지 |
---|---|---|
주로 사법 담당 | 아사노 나가마사 | 가이 고후 22만 석 |
주로 종교 담당 | 마에다 겐이 | 탄바 가메야마 5만 석 |
주로 행정 담당 | 이시다 미쓰나리 | 오미 사와야마 19만 석 |
주로 토목 담당 | 마스다 나가모리 | 야마토 고리야마 22만 석 |
주로 재정 담당 | 나쓰카 마사이에 | 오미 미즈구치 5만 석 |
마에다 겐이는 고쇼, 조정(朝廷), 구게(公家), 사찰과 신사(寺社)를, 나쓰카 마사이에는 재정을 담당했다. 아사노 나가마사, 마시다 나가모리, 이시다 미쓰나리 3인은 일반 정무를 처리했다.[8][9][10][11][12]
아사노 나가마사는 위원들 중 선임이었으며, 교토와 기나이를 통치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는 히데요시의 측근 고문으로서 토지 조사와 여러 정책을 고안했다. 마에다 겐이는 교토 담당 관리인 '쇼시다이' 직책을 받아 종교 문제와 민사 분쟁을 담당했다. 이시다 미쓰나리는 경찰청장으로 임명되어 오사카 근처의 사카이 지역을 통치하며 무역 관련 업무를 관리했다. 나쓰카 마사이에는 재무, 마시다 나가모리는 공공 사업을 담당했다.
5명의 역할 분담은 명확하지 않았으며, 이시다 미쓰나리도 1595년부터 1599년까지 교토 쇼시다이를 역임했다.[7]
4.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1600년 이시다 미쓰나리가 오대로 중 한 명인 모리 데루모토와 함께 세키가하라 전투를 일으켰다. 나가쓰카 마사이에는 데루모토, 미쓰나리 등 서군에 종군했고, 아사노 나가마사는 도쿠가와 히데타다가 이끄는 동군에 합류했다. 마에다 겐이와 마스다 나가모리는 오사카 성에 머물렀다.
참조
[1]
간행물
徳川家康の豊臣政権運営―「秀吉遺言覚書」体制の分析を通して―
2004
[2]
간행물
豊臣五大老・五奉行についての一考察
1999
[3]
간행물
家康と秀吉―内府"律義"の真相―
1999
[4]
간행물
豊臣氏の五奉行制度に関する考察
1935
[5]
서적
豊臣政権の正体
柏書房
2014
[6]
문서
文禄4年7月20日付諸将血判起請文
[7]
간행물
石田三成佐和山入城の時期について
2003
[8]
문서
오늘날의 법무부장관
[9]
문서
오늘날의 행정안전부 장관
[10]
문서
오늘날의 건설교통부 장관
[11]
문서
오늘날의 재무부장관
[12]
문서
오늘날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