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재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정은 정부가 공공 서비스 제공과 사회적 목표 달성을 위해 재원을 조달, 관리, 사용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공공재정은 자원 배분, 소득 재분배, 경제 안정화 기능을 수행하며, 조세, 세외 수입, 국채 발행 등을 통해 재원을 조달한다. 재정 정책은 조세, 지출, 공채 관리를 통해 경제 안정과 사회적 형평성을 추구하며, 사회적 평등을 위한 재정 정책은 공평한 과세, 균등한 자원 배분, 보편적 서비스 접근, 차별 금지를 핵심 원칙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정 - 보조금
    보조금은 정부가 특정 개인, 기업,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하는 금전적 지원으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모두 가지며, 대한민국은 관련 법률과 감사를 통해 적정 집행을 관리하고, 국제 협정을 통해 규제 및 분쟁 해결을 도모한다.
  • 재정 - 복지국가
    복지국가는 사회 구성원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안정을 위해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사회 시스템으로, 19세기 후반 독일에서 등장하여 20세기 대공황과 2차 세계대전 이후 많은 국가에서 확대되었으며, 다양한 모델과 지속적인 논의 및 비판이 존재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재정
공공 재정
정책
공공 정책정책
농업
경제
에너지
산업
투자
사회
무역
재정
통화
정책 혼합
재정 정책
재정 정책예산
정책
부채
내부
적자/흑자
재무부
재정 동맹
수입
지출
적자
세금
통화 정책
통화 정책은행 준비금
지급준비율
할인 창구
금 준비금
이자율
통화 당국
중앙 은행
통화 위원회
본원 통화
통화 (통화) 동맹
통화 공급
무역 정책
무역 정책무역 수지
자유 무역
무역 이득
비관세 장벽
보호 무역
관세
무역 블록
무역 창출
무역 전환
무역/상무부
정부 수입
정부 수입비세수입
세수입
재량 지출
의무 지출
최적
최적균형 예산
경제 성장
물가 안정
개혁
개혁재정 조정
통화 개혁
기타
관련 항목포털
재정
은행

2. 공공재정의 개념 및 의의

공공재정은 경제에서 정부의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는 경제학의 하위 분야이다. 한 지역의 주민들은 교육, 의료와 같은 사회적 요구를 충족하고 외부 위협으로부터 주민들의 사유 재산을 보호하는 등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정부라는 기구를 설립한다.

이론적으로 민간 시장은 재화와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배분하지만, 시장 실패가 발생하는 경우 정부는 공공재 공급, 외부 효과 규제, 정보 비대칭 해소 등을 통해 시장의 한계를 보완한다. 정부 운영은 시민들에게 가치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시민, 기업, 종교, 학술 또는 기타 조직이나 단체 내에서 규칙과 법률을 제정하고 시행할 권한을 갖는다.[14]

정부는 국채를 발행하여 지출을 충당할 수 있지만, 이는 조세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에 따른 조세 부담을 분배하는 방식이다. 적자는 정부 지출과 수입의 차이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자가 축적되면 총 공공 부채가 된다. 적자 재정은 정부가 시간에 따라 조세 부담을 완화하고, 재정 정책 수단을 제공하지만, 후임 정부의 선택지를 좁힐 수 있다.

공공 재정과 민간 재정의 차이점은 소득원에 있는데, 공공 재정은 다양한 세금(특정 세금, 부가가치세)과 같이 간접적인 반면, 민간 재정은 소득원이 직접적이다.[10]

하지만 국가 재정을 가계부와 혼동하여 수지균형을 도모하는 것은 재정의 기본 기능인 “경제 안정화 기능” 및 “자원 배분 기능”을 손상시켜 재정을 불건전하게 만들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43][44][45][46] 균형재정 흑자화 목표는 국가 재정을 가계부와 혼동하는 부적절한 재정 규율이며, 재정의 기본 기능을 저해하여 재정을 불건전하게 만든다는 비판도 제기된다.[47][48][49]

2. 1. 공공재정의 필요성

민간 시장이 효율적인 결과를 제공하고 소득 분배가 사회적으로 용인될 수 있다면 정부의 역할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 민간 시장 효율성의 조건이 위반된다.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동일한 재화를 향유할 수 있는 경우(비경쟁적, 비배타적 소비) 민간 시장은 그러한 재화를 너무 적게 공급할 수 있다. 국가 방위는 공공재의 한 예이다.[8]

시장 실패는 민간 시장이 재화 또는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배분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시장 실패의 존재는 재화와 서비스의 집단적 또는 정부 제공에 대한 효율성 기반의 근거를 제공한다.[9] 외부 효과, 공공재, 정보적 우위, 강력한 규모의 경제, 그리고 네트워크 효과는 시장 실패를 야기할 수 있다.

넓은 가정 하에서 활동의 효율적인 범위와 수준에 대한 정부의 결정은 조세 제도의 설계에 대한 결정과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다이아몬드-미를리스 분리). 이러한 관점에서 공공 부문 프로그램은 사회적 편익에서 비용을 뺀 값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비용-편익 분석), 그러한 지출에 필요한 수입은 경제 활동의 왜곡으로 인한 효율성 손실을 최소화하는 조세 제도를 통해 조달되어야 한다.

3. 공공재정의 역사

공공 재정은 성경에서 이미 그 원칙들과 유사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오래되었으며, 정치 철학에서도 자주 다루어지는 주제였다.

로마 제국은 3세기경 막대한 사회 자본 유지와 이민족 침입 방어를 위한 지출로 인해 도시의 재정 부담이 커졌고, 이는 영지화를 통한 제국 붕괴의 한 원인이 되었다.

16세기가 되면 스페인포르투갈남미로부터 막대한 수입으로 인해 낭비를 계속하여 유럽에 가격 혁명을 가져왔다. 명나라는 미숙한 지폐 유통에 실패하고 일조편법으로 은 수입으로 통일하였다.

17세기 영국, 프랑스 등 절대 왕정 국가들은 대외 침략에 몰두하여 막대한 국채 잔고를 안고 있었다.

일본메이지 유신 이후 현물이 중심이었던 세입을 지조 개정을 통해 화폐 경제에 맞추었다.

이후 공공 재정은 적극적 재정과 긴축 재정 사이에서 줄다리기를 하는 역사를 거쳤으며, 세입과 세출 방식은 국가의 구조와 방향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1. 고대 및 중세 시대

고대 그리스에서는 공공 극장 건설과 시골 지역 예술 작품 제공, 전쟁 자금 조달 등을 위해 재정이 사용되었다. 당시 그리스 경제는 노예 제도에 크게 의존했기 때문에 실업 문제는 거의 없었다. 정부의 의무에 따른 경제 개발은 성장, 형평성, 고용으로 이어졌다.[11]

로마 제국은 체계적인 법률 체계를 통해 계약의 자유와 재산권을 보장하고, 잘 정비된 도로와 식민지 시스템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조세 시스템을 구축했다. 세금은 트리뷰타(토지세, 인두세)와 벡티갈리아(상속세, 소비세, 우편세 등)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군대 유지, 무역로 확보, 쿠르수스 푸블리쿠스(공공 우편 제도) 운영 등에 사용되었다. 각 지역은 귀족들이 징수한 일정 금액을 납부해야 했고, 세금 납부자는 지역 관리들이 결정했다. 로마는 저소득층이 더 많은 세금을 내는 역진세 제도를 운영했다.[11]

봉건 시대에는 의사소통 문제로 인해 기존 조세 제도에 어려움이 발생했다. 세금은 투자와 저축을 장려하기 위해 "사람들이 쓰는 돈"을 기준으로 조직되었으며, 이는 음의 소득세 개념의 초기 형태로 볼 수 있다. 영국에서는 주로 데인겔트(토지세)가 징수되었는데, 이는 용병에게 지급하기 위한 세금이었다. 7세기 앵글로색슨 영국의 기록에는 사법 사건으로 인한 벌금을 국왕에게 지불해야 한다는 내용이 처음 등장하며, 이후 식량 지대(국왕에게 정기적으로 식량을 납부하는 제도)가 도입되었다.

중세 러시아에서는 농노들이 생산물과 상품 대부분을 지역 영주에게 납부해야 했다. 1550년에는 자포보즈라는 세금이 추가되었는데, 이는 자신의 밭에서 수확한 작물을 영주에게 전달하기를 거부하는 사람들에게 부과되었다. 18세기와 19세기 후반, 영주들은 각 농민에 대해 1인당 세금을 납부해야 했고, 기근 시기에는 농민들의 복지를 책임져야 했다.

3. 2. 근대

17세기 중반 무렵 찰스 데이브넌트에 의해 자유 방임주의 접근 방식이 처음으로 대중화되었다. 프랑스의 중농주의자들은 "''자유 방임, 자유 통행''" 태도를 유지하며 자유 방임주의적 태도를 보였다. 이들은 정부의 중심적인 역할은 사유 재산을 보장하고, 농부의 잉여를 포함하는 ''프로뒤 넷''이라는 단일 세금을 유지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12]

애덤 스미스 또한 자유 방임주의를 옹호했지만, 정부가 보호, 사법, 공공 사업에 더 적극적으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재화가 사회 전체에 제공하는 가치가 한 개인에게만 제공하는 가치를 초과할 수 있다고 보았으며, 공공재 개념을 처음 제안했다. 애덤 스미스는 정부가 적절하게 규제된 자금 흐름과 은행 시스템, 특허저작권, 공교육, 교통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공 프로젝트는 항상 개인보다 사회에 더 큰 이익을 가져다주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애덤 스미스는 조세에 관한 저서 "조세의 원칙"에서 평등성, 확실성, 편의성, 경제성이라는 조세의 기준을 제시했다.[12]

토마스 로버트 맬서스는 세금으로 조달된 공공 사업이 노동과 상품에 대한 수요를 더 크게 만들면 가장 효과적이라고 믿으며 애덤 스미스의 사상을 변형시켰다.[12]

이 무렵부터 공공 재정이라는 분야는 더 잘 알려지고 독립적으로 인정받기 시작했으며, 존 램지 맥컬로가 이 분야에서 많은 중요한 저술을 남겼다.[12]

3. 3. 현대

케인스 경제학 탄생 직전, 영국 등 많은 나라의 재무부는 지출을 세수와 일치시키는 균형 재정주의를 채택하고 있었다.[50] 20세기에 들어서 미국은 세계 대공황을 맞아 균형 재정주의를 깨고 적극적인 지출 증액으로 실업자 구제를 시도했다. 1942년 일본은 미 달러 표시 국채의 채무 불이행(디폴트)에 빠졌다.[51]

1947년(쇼와 22년), 전후 혼란기 일본에서는 일본 국채 발행액이 세수를 웃돌았고, 그것이 전후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되었다는 반성에서 재정법이 제정되어, 적자 국채 발행과 일본은행의 적자 국채 인수를 금지하고 균형 재정주의를 취하게 되었다. 전후 일본은 세계은행으로부터의 차입에 의해 대규모 인프라 건설을 실시했다. 산업 개발과 고도 경제 성장으로 얻은 세입으로 기일대로 이자를 붙여 세계은행에 상환했다. 일본이 연체나 채무 탕감을 일으키지 않은 것은 세계은행을 놀라게 했다. 1965년(쇼와 40년)에는 일본에서 적자 국채 발행이 재개되었고, 1990년에는 버블 경기의 세수 증가로 일시적으로 발행액이 제로가 되었지만 1994년에 재개되었다.

1998년에는 아시아 외환 위기를 받아 러시아 금융 위기가 발생했다. 러시아는 채무 불이행(디폴트) 상태가 되었다. 2001년에는 아르헨티나가 디폴트 위기를 맞았다.

2007년 미국 주택 버블 붕괴를 시작으로 세계 금융 위기가 발생하면서 세계 각국과 지역에서 재정 위기도 발생했다.

2008년 10월에는 캘리포니아주의 재정 위기가 표면화되었다.

2010년에는 그리스의 재정 상황으로 인해 국가 부도 위험(소버린리스크)이 의식되면서 2010년 유럽 국가 부채 위기가 발생했다. 스페인, 포르투갈, 이탈리아, 아일랜드 등 유로존 국가들(PIIGS)로의 확산이 우려되어 각국이 위기를 회피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2013년 한국의 가계·기업·정부 부채 총액(2012년 말 기준)은 3607조(약 307조)에 달했고, 2012년 명목 국내총생산(GDP, 1272조) 대비 부채 총액 비율은 사상 최대인 283%에 이르렀다.[52]

4. 한국의 공공재정

한국은 조선시대까지 조세, 공납, 등 전통적인 재정 제도를 운영해 왔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근대적인 조세 제도가 도입되었고, 1945년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새로운 재정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1960년대 이후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추진과 함께 정부 주도의 경제 성장이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공공재정의 규모와 역할도 크게 확대되었다.

1947년 전후 혼란기에 일본은 일본 국채 발행액이 세수를 웃돌아 인플레이션의 원인이 되었다는 반성으로 재정법을 제정, 적자 국채 발행과 일본은행의 적자 국채 인수를 금지하고 균형 재정주의를 취했다. 전후 일본은 세계은행 차입으로 대규모 인프라 건설을 실시했고, 산업 개발과 고도 경제 성장으로 얻은 세입으로 기한 내에 이자를 상환했다. 일본의 채무 불이행 사례가 없는 것은 세계은행을 놀라게 했다. 1965년 일본은 적자 국채 발행을 재개했고, 1990년 버블 경기 세수 증가로 일시 중단했다가 1994년 다시 재개했다.

4. 1. 한국 공공재정의 특징

한국 공공재정은 경제 성장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강하며, 이는 재정 운용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사회 복지 관련 지출은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한다. 조세 부담률은 높은 편이며, 재정 구조는 중앙 정부에 권한이 집중된 형태를 보인다.[15][16][17][18]

4. 2. 한국 공공재정의 과제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재정 부담 증가, 사회 양극화 심화, 지방 재정 자립도 약화, 재정 건전성 확보 등은 대한민국 공공재정이 직면한 주요 과제이다. 2013년 한국의 가계·기업·정부 부채 총액(2012년 말 기준)은 3607조(약 3070억달러)에 달했고, 2012년 명목 국내총생산(GDP, 1272조) 대비 부채 총액 비율은 사상 최대인 283%에 이르렀다.[52]

5. 공공재정의 주요 기능

공공재정은 경제학의 전통적인 하위 분야 중 하나로, 경제에서 정부의 기능과 역할을 강조한다. 한 지역의 주민들은 교육 및 의료와 같은 사회적 요구를 충족하고 외부 위협으로부터 주민들의 사유 재산을 보호하는 등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정부라는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기구를 설립한다.[8]

정부의 적절한 역할은 공공재정 분석의 출발점을 제공한다. 이론적으로 특정 상황 하에서 민간 시장은 개인 간에 효율적으로 재화와 서비스를 배분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 민간 시장 효율성의 조건이 위반된다.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동일한 재화를 향유할 수 있는 경우(비경쟁적, 비배타적 소비) 민간 시장은 그러한 재화를 너무 적게 공급할 수 있다. 국가 방위는 공공재의 한 예이다.[8]

시장 실패는 민간 시장이 재화 또는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배분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시장 실패의 존재는 재화와 서비스의 집단적 또는 정부 제공에 대한 효율성 기반의 근거를 제공한다.[9] 외부 효과, 공공재, 정보적 우위, 강력한 규모의 경제, 그리고 네트워크 효과는 시장 실패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 또는 자발적 협회를 통한 공공 제공은 "정부 실패"라고 불리는 다른 비효율성의 영향을 받는다.

넓은 가정 하에서 활동의 효율적인 범위와 수준에 대한 정부의 결정은 조세 제도의 설계에 대한 결정과 효율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다이아몬드-미를리스 분리). 이러한 관점에서 공공 부문 프로그램은 사회적 편익에서 비용을 뺀 값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비용-편익 분석), 그러한 지출에 필요한 수입은 경제 활동의 왜곡으로 인한 효율성 손실을 최소화하는 조세 제도를 통해 조달되어야 한다.[10]

정부는 (예를 들어, 국채를 통해) 차입하여 지출을 충당할 수 있지만, 차입은 조세의 대체물이 아니라 시간에 따른 조세 부담의 분배 방식이다. 적자는 정부 지출과 수입의 차이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자가 축적되는 것이 총 공공 부채이다. 적자 재정은 정부가 시간에 따라 조세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정부에게 중요한 재정 정책 수단을 제공한다. 적자는 또한 후임 정부의 선택지를 좁힐 수 있다.[10]

경제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충분한 자원을 모으고 이러한 자원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배분하고 사용하는 것이 양호한 재정 관리를 구성한다. 자원 조달, 자원 배분 및 지출 관리(자원 활용)는 '''공공 재정 관리''' 시스템의 필수 구성 요소이다.

공공 재정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


  • '''자원 배분 기능''': 민간이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운 공공재를 공급한다.
  • '''소득 재분배 기능''': 조세사회 보장 제도 등을 통해 소득 불평등을 완화한다.
  • '''경제 안정화 기능''': 경기 변동을 완화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정책이 다른 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대의 경제안정정책은 고용 안정 및 물가 안정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추구한다. 자본주의 경제 조직에서는 가격 및 임금 통제와 같은 직접적인 수단은 배척되므로, 경제 안정을 위한 유효한 조치는 주로 재정 및 금융 정책에 한정된다. 1930년대 이후 금융 통화 정책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특히 케인스에 의해 경제 안정을 위한 재정 정책의 이론적 토대가 제시된 이래 안정 정책에서 재정 정책의 유효성이 확인되었다.[58]

재정 정책은 일반적으로 조세, 지출 및 공채 관리의 세 가지 수단에 의해 실시된다. 조세 조치는 세수(稅收)의 구조적 신축성을 조작하는 것 외에 적극적 조치로서 경기 변동에 따라 세율, 면세, 공제 규정 혹은 조세 객체 및 과세 표준을 기동적으로 변경한다. 공채 관리에 의한 조치는 보정적(補整的) 조세 정책 또는 지출에 의해 발생하는 재정상의 잉여 및 적자(赤字)의 처리와 함께 기존 공채의 차환(借換)에 관한 조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정적 재정 정책의 안정 효과는 예산의 구조적 신축성을 이용하는 소극적인 조치 외에 입법적 또는 행정적인 자유재량적 조치에 의해서도 실시된다. 그러나 보정적 재정 정책은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제약 요인을 가지고 있다.

1) 시기에 맞는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능성이 결여되어 있다.

2) 정확한 경제 예측 수단이 불충분하다.

3) 보정적 정책은 경제 부조정(不調整)의 원인이 되는 요인을 제거하지 못한다.

4) 증세는 항상 정치적 승인 및 여론의 지지를 받아야 하며, 경비 삭감은 정부 기능과 관련하여 일정한 하한을 가진다.

따라서 안정화를 위한 재정 정책은 금융임금, 가격, 투자 등의 모든 정책들과 결합되어 실시되어야 효과가 크다.[58]

5. 1. 자원 배분 기능

민간 경제 활동만으로는 충족되기 어려운 공공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기능이다. 공공 수요는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 사람도 이익을 얻기 때문에 민간 경제 활동에는 적합하지 않은 분야(예: 사회 자본(인프라스트럭처)), 국가 안정이 훼손될 위험이 있는 분야(예: 경찰, 국방, 상하수도),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효율적이지만 특정 민간 사업자에게 독점되면 불편한 분야(예: 도로, 철도)의 수요를 의미한다.[33] 이러한 공공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공급되는 것을 공공재·공공 서비스라고 한다.[34]

5. 2. 소득 재분배 기능

정부는 수입과 지출을 통해 개인 간 소득 격차가 일정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소득세상속세누진세 제도 등을 통해 고소득자나 상속 재산이 많은 사람에게는 더 무겁게 과세하고, 저소득자나 상속 재산이 적은 사람에게는 더 가볍게 과세한다. 그리고 지출에서는 생활 보호, 연금 등의 사회 보장을 통해 저소득자나 장애인 등에게 더 많은 경비를 배정한다.[33][35]

5. 3. 경제 안정화 기능

경제 안정화 기능은 호황·불황이라는 경기 변동을 최대한 줄이면서 안정적으로 경제 성장을 함으로써 세계에서 자국의 경제적 지위 및 그 기반이 되는 군사적 지위의 유지·향상을 안정적으로 실현[36]하는 기능이다. 경기가 좋을 때는 개인이나 법인(회사)의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고 이익(소득)이 많아진다. 이익이 많아지면 누진세 등에 의해 조세 부담액도 늘어나 투자나 소비에 돌아가는 자금이 줄어들어 경기 과열에 자동적으로 제동이 걸린다. 반대로 경기가 나쁠 때는 경제 활동이 위축되고 이익(소득)이 줄어든다. 이익이 줄어들면 누진세 제도 등에 의해 세금 부담액도 줄어들어 투자나 소비에 돌아가는 자금이 늘어나 경기 침체를 완화한다. 불황 시에는 정부 지출 증가나 감세를 실시하여 경제 전체의 총수요를 보충하고, 반대로 경기가 과열되고 있을 때에는 가능한 한 정부 지출을 삭감하거나 증세를 한다.[33][35]

재정이 없다면 경제는 매우 불안정하며, 경제공황에 빠질 수 있다. 이때 재정은 자유롭게 지출을 늘림으로써 재정적자를 발생시키고 유효수요를 창출한다. 그 후 경기 회복이 일어났을 경우 재정적자로 하는 것은 경제 안정 효과 측면에서도 정당화된다는 주장이 있다. 국채는 그러한 의미에서 경제적 효과를 가진다고 여겨져 왔다.

한편, 통화주의자 등은 항구소득 가설에 따라 그러한 효과를 갖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이 학파에 따르면 재정정책보다 통화정책이 더 효과적인 경기 대책이다. 요제프 슘페터의 경제학에서는 경기 변동은 단지 경기의 파동에 의한 것이며, 자유 경쟁에 의한 창조적 파괴가 효과적인 경기 변동 대책이라고 여겨진다.

재정 자체의 효과로서 경제의 자동 안정화 기능(빌트인 스태빌라이저)이 있다.

다음은 국가 재정을 가계부와 혼동하여 수지균형을 도모하는 것은 재정의 기본 기능인 “경제 안정화 기능” 및 “자원 배분 기능”을 손상시켜 재정을 불건전하게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 일본은 “재정의 우등생”인가? 국가 재정을 가계부와 혼동하는 재무관료와 미디어 [43]
  • 재정적자를 가계의 적자에 비유해서는 안 된다 [44]
  • “일본은 빚더미에 앉았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의 근본적인 오해: “정부의 빚”과 “가계의 빚”은 같지 않다 [45]
  • 재정을 둘러싼 7가지 거짓말 (그 1) [46]


다음은 균형재정(primary balance) 흑자화 목표는 국가재정을 가계부와 혼동하는 부적절한 재정 규율이며, 재정의 기본 기능인 “경제 안정화 기능” 및 “자원 배분 기능”을 저해하여 재정을 불건전하게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6. 재원 조달

공공 재정의 재원은 주로 조세 수입, 세외 수입, 국채 발행 등을 통해 조달된다.

정부 재정 통계(GFS)는 공공 재정 경제학을 뒷받침하는 거시경제 데이터이다. 정부 재정 통계 편람 2001(GFSM 2001)은 재정 데이터를 편찬하기 위한 국제적으로 인정된 방법론이며, 지역적, 국가적으로 인정된 방법론과 대체로 일관된다.

GFS는 국제통화기금(IMF)의 "국제금융통계", "정부재정통계 연감", 세계은행의 대외채무 정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일반정부 회계자료, 유로스타트(Eurostat)의 유럽연합 회원국 GFS 등 여러 출처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재정에는 재원이 필요하지만, 일본의 경우 일반회계 세입은 국채, 조세, 인지 수입, 기타 수입으로 구성된다.[37] 기타 수입에는 정부 화폐 발행 이익이 포함된다.[38] 일각에서는 세금이 재원이 아니며, 경기의 조정 밸브라는 의견도 존재한다.[39][40][41]

6. 1. 조세

조세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재정 수입을 조달하기 위해 법률에 따라 국민에게 부과하는 금전적 부담이다.[56] 현대 국가에서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국민이 국가에 지불해야 하는 화폐적 의무이자 국가 경제의 물질적 기초 재원이다. 조세는 재정 수입의 목적을 가져야 하는 동시에, 국민 대 국가의 관계에서 공평해야 한다.[56]

현대의 조세 제도는 단일 또는 2, 3종의 조세를 세제로 하는 단세 제도와 몇 가지 종류의 조세를 종합하는 복세 제도로 나뉜다. 현대 자본주의 국가는 모두 복세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56] 한국의 조세 제도는 소득세와 법인세 중심의 직접세 비중이 높고, 부가가치세 등 간접세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다.

공공 재정을 통한 사회적 평등 증진의 핵심 원칙은 다음과 같다:[27]

  • 공평한 과세: 조세 제도는 공평하게 설계되어 저소득층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정부 지출을 충당할 충분한 세수를 확보해야 한다. 대부분 누진세를 통해 고소득자는 더 높은 세율을 적용받게 된다.
  • 균등한 자원 배분: 모든 지역, 특히 빈곤 지역을 포함하여 공공 서비스의 질이 높고 균등하게 제공되도록 보장한다. 이를 통해 지역 간 공공 서비스 접근 불평등을 완화하는 데 기여한다.
  • 보편적 서비스 접근: 모든 시민이 필수적인 공공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한다. 예를 들어, 국민의 복지와 경제 생산성을 보장하는 서비스로는 초등 교육, 의료 및 공공 안전 등이 있다.
  • 차별 금지 조치: 정부 부문 내 서비스 배분 및 고용에서 차별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한다. 이는 모든 사람이 성공할 수 있는 동등한 기회를 갖는 사회에 필수적이다.


일본 정부 일반회계의 세입은 「국채(公債金)」, 「조세」, 「인지수입」, 「기타 수입」으로 구성되어 있다.[37]

6. 2. 세외 수입

세외 수입은 조세 이외의 수입으로, 국유 재산 임대료, 사용료, 수수료, 벌금, 과태료 등이 있다. 일본 정부 일반회계의 세입은 국채, 조세, 인지 수입 및 기타 수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37] 기타 수입에는 정부 화폐 발행 이익이 포함된다.[38]

6. 3. 국채 발행

국채는 정부가 재정 적자를 메우거나 특정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무 증서이다.[37] 국채 발행은 미래 세대로 재정 부담을 이전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일본 정부 일반회계의 세입은 국채(공채금), 조세, 인지수입, 기타 수입으로 구성된다.[37] 이 중 기타 수입에는 정부 화폐 발행 이익이 포함된다.[38]

현대화폐이론(MMT) 연구자인 나카노 고시는 통화 발행권을 가진 국가(영국, 미국, 일본 등)의 자국 통화 표시 국채는 채무 불이행(디폴트)되지 않으므로, 변동 환율제 하에서는 정부가 인플레이션율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재정정책을 펼칠 수 있다고 설명한다.[42]

7. 재정 정책

현대 민주주의 원칙하에서 국가의 수입과 지출은 국민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행정부에서 편성하는 예산안은 의회에 제출되며, 의회의 최종 심의 및 확정을 거쳐 성립된다.[57]

재정 정책은 일반적으로 조세, 지출 및 공채 관리의 세 가지 수단을 통해 실시된다. 1930년대 이후, 특히 케인스에 의해 경제 안정을 위한 재정 정책의 이론적 토대가 제시된 이래, 안정 정책에서 재정 정책의 유효성이 확인되었다.[58]

경제는 재정이 없다면 매우 불안정하며, 경제공황에 빠질 수 있다. 이때 재정은 자유롭게 지출을 늘려 재정적자를 발생시키고 유효수요를 창출한다. 경기 회복 후 재정적자를 유지하는 것은 경제 안정 효과 측면에서 정당화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국채는 그러한 의미에서 경제적 효과를 가진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재정 정책은 다음과 같은 제약 요인을 가지고 있다.[58]


  • 시기에 맞는 조치를 취하기 어렵다.
  • 정확한 경제 예측 수단이 불충분하다.
  • 경제 부조정의 원인이 되는 요인을 제거하지 못한다.
  • 증세는 정치적 승인과 여론의 지지를 받아야 하며, 경비 삭감은 정부 기능과 관련하여 하한선이 존재한다.


따라서 안정화를 위한 재정 정책은 금융, 임금, 가격, 투자 등 모든 정책들과 결합되어 실시되어야 효과가 크다.[58]

한편, 통화주의자들은 항구소득 가설에 따라 재정 정책이 효과가 없다고 비판하며, 통화정책이 더 효과적인 경기 대책이라고 주장한다. 요제프 슘페터는 자유 경쟁에 의한 창조적 파괴가 효과적인 경기 변동 대책이라고 보았다.

재정 자체에는 경제의 자동 안정화 기능(빌트인 스태빌라이저)이 내재되어 있다.

현대화폐이론(MMT) 연구자인 나카노 고시(中野剛志)에 따르면, 통화 발행권을 가진 국가와 통화 발행권이 없는 지방 공공 단체의 재정은 상황이 완전히 다르므로 혼동해서는 안 된다. 그는 "영국, 미국, 일본처럼 자국 통화를 발행할 수 있는 정부(중앙정부 + 중앙은행)의 자국 통화 표시 국채는 디폴트하지 않으므로, 변동 환율제 하에서는 정부가 인플레이션율이 허용하는 한 재정정책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42]

7. 1. 재정 정책의 수단

재정 정책의 수단에는 조세 정책, 지출 정책, 공채 관리 정책 등이 있다.[13]

경제학자들은 정부 지출을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한다. 현재 사용을 위한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정부 구매는 정부 소비로 분류된다. 미래의 이익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정부 구매(예: 인프라 투자 또는 연구 개발비)는 정부 투자로 분류된다. 재화 및 서비스 구매가 아닌 단순히 자금 이전을 나타내는 정부 지출(예: 사회 보장 지급)은 이전 지불이라고 한다.[13]

공공 재정 경제학을 뒷받침하는 거시경제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정부 재정 통계(GFS)라고 한다. 정부 재정 통계 편람 2001(GFSM 2001)은 재정 데이터를 편찬하기 위한 국제적으로 인정된 방법론이다. 이는 유럽 계정 시스템 1995와 같은 지역적으로 인정된 방법론과 일치하며, 국민 계정 시스템(SNA1993)의 방법론과도 일치하고, 가장 최근 업데이트된 SNA2008과도 대체로 일관된다.

7. 2. 재정 정책의 효과

재정 정책은 조세, 지출, 공채 관리를 통해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정부의 활동이다. 이는 경제 안정, 소득 재분배, 자원 배분, 경제 성장 촉진 등 다양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다.[58]

  • 총수요 관리: 재정 정책은 총수요를 조절하여 경기 변동을 완화하는 데 기여한다. 예를 들어, 경기 침체 시 정부는 지출을 늘리거나 세금을 줄여 총수요를 증가시키고, 경기 과열 시에는 반대로 지출을 줄이거나 세금을 늘려 총수요를 감소시킨다.[58] 경제가 불황에 빠졌을 때, 정부는 지출을 늘려 재정적자를 발생시키고 유효수요를 창출하여 경기 회복을 유도할 수 있다.

  • 소득 재분배: 재정 정책은 조세와 보조금 등을 통해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고 사회적 형평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한다. 누진세, 사회 복지 지출 등은 저소득층의 소득을 증가시키고 고소득층의 소득을 감소시켜 소득 격차를 줄이는 효과를 낼 수 있다.

  • 자원 배분: 정부는 특정 산업을 지원하거나 공공재를 공급하는 등 재정 정책을 통해 자원 배분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정부는 교육, 국방, 사회 기반 시설 등에 대한 투자를 통해 경제 성장과 국민 복지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 경제 성장 촉진: 재정 정책은 장기적인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정부는 연구 개발 투자, 인적 자본 투자, 사회 간접 자본 확충 등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확대할 수 있다.


하지만 재정 정책은 시차, 경제 예측의 어려움, 정치적 제약 등 여러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58] 따라서 재정 정책은 금융, 임금, 가격, 투자 등 다른 정책들과 함께 사용될 때 더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58]

한편, 통화주의자들은 항구소득 가설에 따라 재정 정책의 효과를 비판하며, 통화정책이 더 효과적인 경기 대책이라고 주장한다.[58] 요제프 슘페터는 자유 경쟁에 의한 창조적 파괴가 효과적인 경기 변동 대책이라고 보았다.

재정 자체에는 경제의 자동 안정화 기능(빌트인 스태빌라이저)이 내재되어 있다.

8. 공공재정과 사회적 형평성

사회적 평등은 사회 내 다양한 집단 구성원들에게 동등한 대우와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26] 사회적 공정성은 사회경제적 조건, 인종, 성별 및 기타 특성에 관계없이 모든 개인이 건강, 교육 및 사회 복지와 관련된 공공 서비스의 혜택을 동등하게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공공 재정에서의 사회적 형평성은 특히 서로 다른 사회 집단 간의 불평등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춘 공공 자원의 공정한 분배를 위한 원칙과 관행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개념은 조세, 예산 배정 및 공공 지출과 같은 공공 정책 설계 및 이행에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정치적 문제와 예산 제약은 사회적 평등을 공공 재정에 통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요인이다. 공공 재정 분배의 공정성에 대한 완전한 헌신을 바탕으로 정책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미세 조정해야 한다. 이러한 원칙과 전략은 공공 재정을 사회적 평등을 위한 가장 강력한 동맹 중 하나로 만들 수 있으며, 어떤 상황에서도 모든 사람이 성공할 수 있는 공정한 기회와 사회가 제공하는 혜택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

8. 1. 사회적 형평성을 위한 재정 정책

사회적 평등은 인종, 성별, 사회경제적 지위 등 개인적인 차이에 관계없이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동등한 대우와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26] 사회적 형평성은 모든 개인이 재정적 자원과 기회, 그리고 공공 서비스에 동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공공 재정에서 사회적 형평성은 서로 다른 사회 집단 간의 불평등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춘 공공 자원의 공정한 분배를 위한 원칙과 관행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개념은 조세, 예산 배정 및 공공 지출과 같은 재정 정책에 매우 중요하다.

사회적 형평성을 위해서는 모든 사회 집단에 공정하고 포괄적인 재정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고소득자일수록 더 높은 비율의 소득세를 부담하는 누진세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는 혜택을 받지 못하는 지역 사회에 자원을 재분배하는 데 도움이 된다.[30]

9. 결론 및 정책 제언

재정 정책은 사회적 평등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공공 재정 분배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책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미세 조정해야 한다. 고소득자에게 더 높은 비율의 소득세를 부과하는 누진세 시스템은 혜택을 받지 못하는 지역 사회에 자원을 재분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30]

지방 정부는 전략적 계획 및 예산 편성 과정에서 사회적 형평성을 고려해야 한다. "무지의 베일"과 같은 기법을 통해 정책 입안자는 인종, 소득, 거주지와 같은 개인적 특성에 따른 편견 없이 시스템을 설계해야 한다. 이를 통해 공공 서비스를 맞춤화하고 자원을 효과적으로 분배하여 체계적인 불평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30]

사회적 형평성 달성에는 제한된 자원, 정치적 저항, 경제적 불균형 등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려면 투명한 정책 결정, 차별 금지법 및 지역 특수 정책이 필요하다. 성공적인 정책 수행을 위해서는 이해 관계자의 참여, 장기 계획 및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는 효과적인 거버넌스가 필요하다.[31]

참조

[1] 서적 Public Finance and Public Policy Worth Publications
[2] 서적 The Economics of Public Finance https://books.google[...]
[3] 간행물 The Theory of Public Finance in a Federal System
[4] 서적 Public Finance and Public Policy Worth Publishers
[5] 서적 Public Finance and Public Policy Worth Publishers
[6] 서적 Public Finance and Public Policy Worth Publishers
[7] 서적 Public Finance and Public Policy Worth Publishers
[8] 서적 Public Sector Economics PALGRAVE MACMILLAN
[9] 학술지 Public Finance, Public Economics, and Public Choice: A Survey of Undergraduate Textbooks
[10] 웹사이트
[11] 학술지 Taxes and Trade in the Roman Empire (200 B.C.–A.D. 400) https://www.cambridg[...] 1980-11-00
[1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Theory of Public Finance By Margaret Doyle https://www.tcd.ie/E[...] 2024-08-00
[13] 서적 European Macroeconomics Macmillan
[14] 백과사전 Government Columbia Encyclopedia
[15] 학술지 Saying Too Little, Too Late: Public Finance Textbooks and the Excess Burdens of Taxation http://econjwatch.or[...] 2014-11-06
[16] 웹사이트 Public Finance https://web.archive.[...] 2010-04-13
[17] 서적 Black's Law Dictionary
[18] 서적 Black's Law Dictionary
[19] 뉴스 Definition: Seigniorage https://economictime[...] The Economic Times 2021-09-04
[20] 웹사이트 General Government sector http://epp.eurostat.[...]
[21] 간행물 ESA95
[22] 웹사이트 Central government http://epp.eurostat.[...]
[23] 웹사이트 State government http://epp.eurostat.[...]
[24]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 http://epp.eurostat.[...]
[25] 웹사이트 Social security fund http://epp.eurostat.[...]
[26] 웹사이트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dictionary.a[...] 2024-04-27
[27] 서적 Inclusion, Diversity and Social Equality
[28] 웹사이트 Global Dialogue on Public Finance and Tax for Gender Equality – Gender Equality Seal for Public Institutions https://www.genderse[...] 2024-04-27
[29] 웹사이트 Standing Panel on Social Equity in Governance https://napawash.org[...] 2024-04-27
[30] 웹사이트 https://academic.oup[...] 2024-04-27
[31] 웹사이트 What Is Social Equity in Public Administration? https://online.barry[...] 2024-04-27
[32] 웹사이트 Data-driven approaches to measuring social equity and resilience {{!}} Data-Driven EnviroLab https://datadrivenla[...] 2024-04-27
[33] 웹사이트 補章 財政の仕組みと役割 https://www.nta.go.j[...] 2020-09-27
[34] 웹사이트 第7章 財政支出の政策評価について https://www.mof.go.j[...] 2020-09-28
[35] 웹사이트 財政の役割と機能 https://www.nta.go.j[...] 2020-09-28
[36] 논문 経済と安全保障の交差点 http://www2.jiia.or.[...] 日本国際問題研究所 2020-09-28
[37] 웹사이트 国の財政 財政のしくみと役割 https://www.nta.go.j[...] 国税庁 2023-01-05
[38] 웹사이트 景気対策を目的とした政府貨幣増発の帰結 https://www.murc.jp/[...] 三菱UFJ銀行 2023-01-05
[39] 웹사이트 税は財源ではない 順番が逆である https://www.youtube.[...] Youtube 2023-01-05
[40] 웹사이트 「税金は財源じゃない」の3種類の説明の仕方について https://zaigen-lab.i[...] 財源研究室 2023-01-05
[41] 웹사이트 『税』は財源ではない!!消費税や走行距離税、税制調査会で本格議論がスタート!インフレを抑制し、社会をあるべき方向に導く!(西田昌司ビデオレター 令和4年11月18日) https://www.youtube.[...] Youtube 2023-01-05
[42] 웹사이트 中野剛志さんに「MMTっておかしくないですか?」と聞いてみた https://diamond.jp/a[...] DIAMOND Inc. 2020-11-28
[43] 웹사이트 日本は「財政の優等生」なのか? 国家財政を家計簿と混同させる財務官僚とメディア https://www.zakzak.c[...] 株式会社産経デジタル 2022-11-19
[44] 웹사이트 財政赤字を家計の赤字にたとえるべからず 塚崎公義 (経済評論家) https://wedge.ismedi[...] 株式会社ウェッジ 2022-11-19
[45] 웹사이트 「日本は借金まみれ」という人の根本的な誤解 「政府の借金」と「家計の借金」は同じではない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2-11-19
[46] 웹사이트 財政をめぐる7つのウソ (その1) https://www.zenken.c[...] 全日本建設技術協会 2022-11-19
[47] 웹사이트 日本を救うため、PB制約を撤廃し、「政策の自由度」を高めよ https://www.shinniho[...] 株式会社新日本コンサルタント 2022-11-19
[48] 웹사이트 【三橋貴明】プライマリーバランス黒字化目標を破棄せよ https://38news.jp/po[...] 株式会社経営科学出版 2022-11-19
[49] 웹사이트 プライマリーバランス黒字化目標の間違いが高校数学で判明 http://j-strategy.co[...] J-STRATEGY.COM 2022-11-19
[50] 서적 経済学的思考のすすめ 筑摩書房
[51] 뉴스 WAR ENDS SERVICE ON DOLLAR ISSUES; Italian, Japanese, Estonian and Czechoslovak Bonds Are in Default OTHERS PAY NO INTEREST Reduced Payments by Eight European Obligors Also Are Halted http://select.nytime[...] 1942-06-01
[52] 뉴스 韓国の負債比率が過去最高に GDP比283%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3-03-27
[53] 서적 日本の大問題が面白いほど解ける本 シンプル・ロジカルに考える 光文社
[54] 백과사전 재정학 글로벌 세계 대백과
[55] 백과사전 재정 글로벌 세계 대백과
[56] 백과사전 조세제도 글로벌 세계 대백과
[57] 백과사전 예산 글로벌 세계 대백과
[58] 백과사전 재정정책과 경제안정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