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부 (한성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부(五部)는 조선시대 한성부를 구성하는 행정 구역으로, 동부, 남부, 서부, 북부, 중부로 나뉘었다. 한성부 설치 당시 52방이었으나, 세종 때 서부 3방이 폐지되어 49방이 되었고, 영조 때는 46방, 고종 때 경모궁방 신설로 47방이 되었다. 각 방에는 관령이 책임자로 임명되었으며, 시기에 따라 부를 관할하는 관원의 직책과 품계가 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행정기관 - 포도청
    포도청은 조선시대에 도적을 잡고 치안을 유지하던 관청으로, 성종 때 임시직으로 시작하여 좌·우 포도청으로 나뉘어 운영되다가 갑오경장 때 경무청으로 개편되며 폐지되었으며, 천주교 박해에도 관여하였다.
  • 조선의 행정기관 - 승정원
    승정원은 조선시대에 왕명 출납을 담당한 국왕 직속 비서 기관으로, 중추원에서 시작하여 승추부로 확대 후 다시 승정원으로 개편되어 육조 업무 분담, 국정 자문, 정보 기관 역할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다 갑오개혁 이후 승선원을 거쳐 궁내부 시종원으로 업무가 이관되었다.
  • 명수 5 - 5개국 방위 협정
    5개국 방위 협정은 1971년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싱가포르, 영국이 체결한 안보 협정으로, 회원국들은 상호 협의를 통해 공동 대응을 약속하며 군사 협력 및 상호 운용성을 강화하고 사이버 보안 및 우주 안보 등 새로운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능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 명수 5 - 파이브 아이즈
    파이브 아이즈는 미국,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5개국 간의 정보 동맹으로, 각국의 정보기관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공유하며 냉전 시기부터 현재까지 국제 정세에 대응하기 위해 감시 및 정보 공유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 나라별 정부 기관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나라별 정부 기관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오부 (한성부)
개요
위치한성부의 5부 중 하나. 현재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마포구, 서대문구, 은평구, 종로구, 중구, 성북구, 강서구, 양천구, 구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경기도 고양시, 부천시, 광명시, 시흥시, 안양시, 과천시, 성남시, 하남시, 구리시, 남양주시,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일대
관할 구역성저십리 지역을 포함한 한성 서부와 한강 이북 지역
주요 기능도성 서부와 한강 이북 지역의 행정, 치안, 토지 관리 담당
역사
설치 시기태조 5년 (1396년)
주요 변화1894년 갑오개혁 때 폐지
1895년 5부제가 8署로 개편될 때 서서(西署)와 북서(北署)로 분할
관직
종6품 아문오부(五部)
소속 아문
오부(五部)호조
형조
관련 기록
참고 문헌동국여지비고 제2권

2. 한성부 5부 52방

한성부는 처음 설치될 때 52방을 두었다.[2] 세종 때 서부의 3방을 폐지하여 49방이 되었다.

영조 때는 동부 6방, 남부 11방, 서부 9방, 북부 12방, 중부 8방으로 5부 46방이었으며, 그 아래에 328계(契)를 두었다. 1865년(고종 2) 동부에 경모궁景慕宮|경모궁중국어방이 신설되어 47방이 되고, 계도 11개가 늘어나 339계(약 340)가 되었다.

조선 초기 한성부의 관할 구역은 도성으로부터 사방 10리까지였으나, 대부분의 인구가 도성 안에 몰려 있었다. 1428년(세종 10) 한성부 인구 10만 3328명 중 도성 밖 10리까지의 인구는 6,044명에 불과했고, 도성 밖에는 서대문·서소문 밖에 2방, 동대문 밖에 2방, 남부의 2방 등 6방만 있었다.

각 방에는 책임자로 관령을 두었다.

2. 1. 동부 12방

동부 12방
연희방(燕喜坊)
숭교방(崇敎坊)
천달방(泉達坊)
창선방(彰善坊)
건덕방(建德坊)
덕성방(德成坊)
서운방(瑞雲坊)
연화방(蓮花坊)
숭신방(崇信坊)
인창방(仁昌坊)
관덕방(觀德坊)
흥성방(興盛坊)


2. 2. 남부 11방

방 이름한자
광통방廣通坊
호현방好賢坊
명례방明禮坊
대평방大平坊
훈도방勳陶坊
성명방誠明坊
낙선방樂善坊
정심방貞心坊
명철방明哲坊
성신방誠身坊
예성방禮成坊


2. 3. 서부 11방

영견방, 인달방, 적선방, 여경방, 인지방, 황화방, 취현방, 양생방, 반석방, 신화방, 반송방이 서부 11방에 해당한다.

2. 4. 북부 10방

방 이름
광화방
양덕방
가회방
안국방
관광방
진정방
순화방
명통방
준수방
의통방


2. 5. 중부 8방

방 이름
정선방
광행방
관인방
수진방
증청방
장통방
서린방
견평방


3. 관원

한성부의 각 부에는 시기별로 다른 관원이 있었다. 조선 초기에는 종6품 령이 각 부의 책임자였고, 세조부터 영조 시기까지는 종6품 주부와 종9품 참봉이, 영조부터 정조 시기까지는 종6품 도사와 종8품 봉사가, 정조부터 고종 시기까지는 종5품 령과 종9품 도사가 있었다.

3. 1. 조선 초기 (태조~세조 초기)

조선 초기 태조부터 세조 초기까지 각 부에는 종6품 령이 각 부의 책임자였다. 중부령, 동부령 등으로 호칭되었다.[1]

직책품계역할비고
종6품각 부의 책임자중부령, 동부령 등으로 호칭[1]


3. 2. 조선 중기 (세조~영조 시기)

직책품계역할
주부종6품각 부의 책임자
참봉종9품각 부의 주부를 보좌


3. 3. 조선 중기 (영조~정조 시기)

직책역할
종6품 도사각 부의 책임자
종8품 봉사각 부의 도사를 보좌


3. 4. 조선 후기 (정조~고종 시기)

직책품계역할
종5품각 부의 책임자
도사종9품각 부의 령을 보좌


참조

[1] 서적 東國輿地備考 제2권 http://db.itkc.or.kr[...]
[2] 실록 한성부에 명하여 5부의 총 52방에 방명표를 세우게 하다 http://sillok.histor[...] 4월 19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