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사코 아키노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사코 아키노부는 일본의 유도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미야자키현 출신으로, 텐리 대학을 졸업하고 아사히카세이에 입사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85년 전일본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야마시타 야스히로와 대결하며 이름을 알렸고, 부상으로 주특기인 업어치기를 포기해야 했지만, 재기를 통해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0년 은퇴 후에는 아사히카세이 코치, 전일본유도연맹 코치를 역임하며 이노우에 코세이 등을 지도했으며, 2012년과 2016년 올림픽 심판으로도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리 대학 동문 - 미즈코시 준
    미즈코시 준은 일본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선수 시절 여러 팀에서 활약했으며 은퇴 후 지도자 및 나라 클럽 이사로 활동했고,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기도 했다.
  • 덴리 대학 동문 - 시노하라 신이치
    일본의 유도 선수 출신 시노하라 신이치는 100kg 초과급에서 1999년 세계 유도 선수권 2체급 석권, 2000년 시드니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 지도자와 방송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 김재엽
    김재엽은 1980년대에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유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유도 선수이자, 현재 대학교수로 후진을 양성하고 있다.
  • 198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 하형주
    하형주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유도 금메달리스트이자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유도 금메달, 198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은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 스포츠 행정가, 정치인, 교육자이다.
  • 미야자키현 출신 - 사카이 마사토
    사카이 마사토는 일본의 배우로, 연극,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드라마 《리갈 하이》와 《한자와 나오키》 시리즈에서 주연을 맡아 연기력을 인정받았으며, 2013년 배우 간노 미호와 결혼했다.
  • 미야자키현 출신 - 기무라 다쿠야 (야구인)
    기무라 다쿠야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포지션을 가리지 않는 유틸리티 플레이어였으며,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으나, 2009년 은퇴 후 코치로 활동하다 지주막하 출혈로 사망했다.
오사코 아키노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일1960년 11월 27일
출생지미야자키, 일본
국적일본
선수 정보
종목유도
체급86kg급
8단
소속아사히 가세이 (과거)
세계 랭킹9위 (1989년)
올림픽
올림픽 랭킹3위
올림픽 연도1988년
올림픽 체급남자 86kg

2. 경력

오사코 아키노부는 텐리 대학 졸업 후 아사히카세이에 입사하여 실업 선수로 활동했다. 선수 시절에는 1988년 서울 올림픽 유도 86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2] 국내외 대회에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1985년 전일본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는 당시 무패 행진을 이어가던 야마시타 야스히로를 상대로 인상적인 경기를 펼치기도 했다[4]. 선수 생활 중 부상을 겪기도 했으나 이를 극복하고 1990년까지 현역으로 활동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전향하여 아사히카세이와 전일본유도연맹에서 코치를 역임하며 이노우에 코세이와 같은 선수들을 지도했다. 이후 국제 유도 연맹(IJF)의 심판으로 활동했으며, 2012년 런던 올림픽과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심판을 맡았다. 2017년부터는 IJF의 슈퍼바이저로 임명되어 활동하고 있다.

2. 1. 선수 경력

미야자키현 중앙부에 위치한 니시모로카타군 노지리정에서 농림업을 하는 오사코 가문의 5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3]。 유도는 지역의 가미야 중학교 시절에 시작했다[4]。 중학교 시절에는 크게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지만, 현립 미야자키 상업고등학교의 후지이 이노리 감독(당시)의 권유로[4], 1976년에 이 학교에 입학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후지이 감독의 집에서 하숙하며 3년간 훈련에 매진했고[4], 고등학교 3학년 때에는 인터하이 단체전에서 팀의 8강 진출에 기여했다.

1979년에는 텐리 대학에 진학하여, 2학년부터 주전 선수로 활약했다. 오사코가 활약하는 동안 텐리 대학은 전일본 학생 우승 대회에서 1980년 3위, 1981년 우승, 1982년 준우승이라는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1983년 봄, 대학을 졸업하고 아사히카세이에 입사하여 실업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 1. 1. 23세에 강화 선수 발탁

대학 졸업 후에는 아사히카세이에 입사했고, 23세에 처음으로 강화 선수로 선발되었다[4]。 주특기인 업어치기를 무기로 고도칸배나 전일본 실업 선수권 등에서 활약하며 점차 두각을 나타냈다. 1985년에는 체중 제한이 없는 전일본 선수권에 처음 출전하여, 첫 경기에서 중국 지구 대표 이타모토 겐조를 꺾었다. 이어진 2회전에서는 당시 199연승 중이던 야마시타 야스히로와 맞붙었다. 경기에서는 패배했지만, 경기 도중 야마시타를 안다리걸이로 공중에 띄워 경기장을 열광시켰다[4]

2. 1. 2. 부상과 주특기 상실

선수권 대회 이후 올림픽을 목표로 삼은 오사코는 국제 대회 실적을 쌓기 위해 북한에서 열린 국제 대회에 출전했다.[4] 86kg급에서 준우승한 그는 무차별급에도 나섰지만, 결승전에서 키가 2m가 넘는 북한 대표 선수의 겨드랑이 굳히기[5] 기술에 당해 왼쪽 팔꿈치가 탈구되는 부상을 입었다. 이 부상으로 배대뒤치기 기술에 가장 중요한 왼손, 즉 상대를 낚아채는 손을 쓸 수 없게 되었다.

당시는 스포츠 외과 분야가 발달하지 않아 수술 성공 확률이 절반에 불과하다는 진단을 받았다.[4] 의사는 수술에 성공하더라도 1년 동안 유도를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선수로서 나이가 많아 시간이 없다고 판단한 오사코는 결국 수술을 포기하고 부상을 안고 유도를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자신의 주특기인 배대뒤치기를 포기하는 것을 의미했다.[4]

오사코는 배대뒤치기를 대신할 기술로 한 팔 업어치기를 연마하며 재기를 노렸지만, 팔꿈치 통증과 싸우며 훈련하는 과정은 매우 힘들었다. 언제 나을지 모르는 팔꿈치 부상에 더해 요추 분리증까지 겹치면서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1987년 세계 선수권 대회 선발전에서 3위에 그친 후, 소속팀 아사히카세이 유도부 감독에게 은퇴 의사를 밝혔으나 감독의 설득으로 은퇴를 잠시 보류했다.[4] 그러나 직후 전유련 강화 선수 명단에서 제외되면서 급격히 의욕을 잃었다. 오사코는 당시 심경에 대해 "모든 것이 끝났다고 생각했다"고 회고했다.[4]

2. 1. 3. 부활과 올림픽 출전

규슈 대표로 출전한 1988년 전일본 선수권 대회에서, 오사코 아키노부는 이 대회를 마지막으로 은퇴하기로 결심하고 아내와 친아버지를 도쿄의 일본 무도관으로 불렀다[4]。당시 설사로 컨디션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첫 경기에서 젊은 기대주 요시다 히데히코를, 2회전에서 전년도 세계 선수권 무차별급 챔피언 오가와 나오야를, 3회전에서는 베테랑 히카게 노부토시를 차례로 꺾으며 4강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마사키 요시미에게 소토가리 기술로 패했지만, 3위에 입상한 성과를 인정받아 다시 강화 선수로 지정되었다.

오사코는 이 대회에서의 활약에 대해 "몸 상태가 최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었던 것은 '전국의 사람들이 나의 마지막 경기를 지켜봐 주었으면 한다'는 생각으로 마음을 비울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회상했다[4]

현역 생활을 이어가기로 결정한 오사코는 곧이어 열린 전일본 체중별 선수권에서 우승하여, 같은 해 9월에 열린 1988년 서울 올림픽 출전권을 따냈다. 서울 올림픽에서는 준결승에서 오스트리아페터 자이젠바허에게 패배했지만, 3위 결정전에서 전년도 세계 챔피언인 프랑스의 파비앙 카누를 근소한 차이로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2]

다음 해인 1989년에는 전일본 체중별 선수권에서 2연패를 달성했고,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세계 선수권에도 일본 대표로 출전했다. 하지만 이 대회에서는 패자 부활전 1회전에서 탈락하여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1990년, 아사히카세이 소속 선수로 출전한 단체전에서 우승을 차지한 후, 30세의 나이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2. 2. 지도자 경력

은퇴 후, 아사히카세이의 코치로 취임했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는 아사히카세이 아미다스에 소속되었다. 또한, 전일본유도연맹에서도 주니어 헤드 코치, 전임 코치 등을 역임했으며, 시니어 강화 코치를 담당하며 이노우에 코세이 등을 지도했다.

자신의 코치 취임 당시의 실패 경험을 통해, 지도자로서 "선수와 같은 시선에서 지도"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2012년 런던 올림픽과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심판원을 맡았다. 2017년에는 IJF가 심판 간 의견이 엇갈리는 미묘한 판정이 나왔을 때 최종 판단을 내리는 슈퍼바이저 직책을 신설했는데, 이 임무를 맡은 5명 중 한 명이 되었다.

3. 주요 전적

wikitext

연도대회결과
1984년고도칸배3위
1985년고도칸배3위
1986년프랑스 국제2위
미국 국제3위
1987년고도칸배2위
1988년고도칸배3위
선발 체중별우승
서울 올림픽3위
1989년고도칸배2위
선발 체중별우승


참조

[1] 뉴스 Sports Click : 柔道 - 31st Technical Seminar http://www.sportscli[...] BASEBALL MAGAZINE SHA 2008-01-13
[2] 웹사이트 Akinobu Osako Bio, Stats, and Results https://www.sports-r[...] 2023-04-19
[3] 뉴스 テクニカル・セミナー第29回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0-08-29
[4] 뉴스 転機-あの試合、あの言葉 第24回-大迫明伸-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3-12-20
[5] 문서 立ち姿勢から倒れ込む腋固であったため、いわゆる「反則技」に当たる。
[6] 문서 旭化成のコーチ就任当初、大迫は厳しい指導方法を取り、選手の1人から[[紙の寸法|B4]]用紙3-4枚の抗議文書を受け取った事がある。内容は8割方大迫に対する苦言で、要約すると“大迫先輩は上からの立場になり過ぎている”との事だった。
[7] 뉴스 物議醸すジュリー制度=選手、審判に当惑広がる-柔道〔五輪・柔道〕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2-08-02
[8] 뉴스 金メダル”級に公平判定 宮崎在住、唯一の日本人審判員・大迫さん /宮崎 http://mainichi.jp/a[...]
[9] 뉴스 国際柔道スーパーバイザー 小林出身・大迫さん就任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7-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