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일러 운동 방정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일러 운동 방정식은 3차원 공간에서 한 점이 고정된 강체에 돌림힘이 가해질 때 강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세 개의 미분 방정식이다. 이 방정식은 강체의 각운동량, 각속도, 돌림힘, 관성 모멘트 등을 포함하며, 강체의 운동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오일러 운동 방정식은 관성 좌표계와 회전 좌표계에서 유도될 수 있으며, 관성 모멘트 텐서의 주축을 따라 좌표계를 선택하면 계산이 간소화된다. 토크가 없는 경우의 특수한 해와 일반화된 형태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체역학 - 고체역학
    고체역학은 고체 재료와 구조물의 응력, 변형, 파괴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구조물의 안정성, 동역학계, 열역학, 생체역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사회 기반 시설 설계에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 강체역학 - 피로 (재료)
    피로(재료)는 반복적인 응력으로 인해 재료가 파괴되는 현상으로, 초기 균열 형성, 균열 성장, 최종 파괴 단계를 거치며 환경 요인의 영향을 받아 설계 단계 고려, 검사, 부재 교체, 재료 변경 등의 방법으로 대처할 수 있다.
  • 강체 - 자유도 (역학)
    자유도는 물리학에서 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독립 변수의 최소 개수를 의미하며, 강체의 경우 병진 및 회전 운동을 포함하여 최대 6개의 자유도를 갖고, 이는 메커니즘 설계 및 분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로봇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강체 - 수직축 정리
    수직축 정리는 평면에 수직인 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는 평면 내의 두 수직 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의 합과 같다는 정리로, 항공기 및 자동차 설계, 로봇 공학, 원판의 관성 모멘트 계산 등에 활용된다.
  • 3차원 회전 - 방향
    방향은 2차원, 3차원 공간에서 방향 벡터로 표현되며, 단위 벡터, 각도(편각), 방향각, 방위각, 방향 코사인 등으로 나타낼 수 있고, 언어적으로는 가로세로, 상하, 전후, 좌우와 같은 상대적인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 3차원 회전 - 오일러 각
    오일러 각은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소개한 3차원 공간 좌표계의 회전으로 강체의 방향을 나타내는 세 개의 각도이며, 로봇 제어 등 기기 제어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회전축 순서에 따라 정오일러 각과 테이트-브라이언 각으로 나뉜다.
오일러 운동 방정식
개요
주제강체 역학
관련 항목오일러 각, 관성 모멘트, 강체
방정식
설명N: 외부 토크의 합
L: 각운동량
t: 시간
좌표계
회전 좌표계L': 강체 좌표계에서 측정된 각운동량
ω: 강체의 각속도
주축 좌표계
설명Ii: 주축에 대한 관성 모멘트
ωi: 주축에 대한 각속도
오일러 운동 방정식 (주축 좌표계)
본문(I2 - I3)ω2ω3"
(I3 - I1)ω3ω1"
(I1 - I2)ω1ω2"

2. 정의

3차원 공간에서 한 점이 고정된 강체돌림힘 \tau가 가해질 때, 강체의 운동은 오일러 운동 방정식이라 불리는 다음 세 방정식을 만족한다.

:\tau_1=\dot L_1=I_1\dot\omega_1+(I_3-I_2)\omega_2\omega_3

:\tau_2=\dot L_2=I_2\dot\omega_2+(I_1-I_3)\omega_3\omega_1

:\tau_3=\dot L_3=I_3\dot\omega_3+(I_2-I_1)\omega_1\omega_2.

여기서 \mathbf L=(L_1,L_2,L_3)은 강체의 각운동량, \omega=(\omega_1,\omega_2,\omega_3)은 강체의 각속도, \tau=(\tau_1,\tau_2,\tau_3)은 강체에 가해진 돌림힘이다. 편의상, 관성 모멘트 텐서의 고유기저로 직교좌표계를 잡으면 관성 모멘트 텐서는 다음과 같은 꼴이다.

:\mathsf I=\begin{pmatrix}

I_1\\&I_2\\&&I_3

\end{pmatrix}.

3. 유도

관성 좌표계(아래첨자 "in")에서, 각운동량 보존에 따르면 각운동량 '''L'''의 시간 미분은 작용하는 토크와 같다.

:

\frac{d\mathbf{L}_{\text{in}}}{dt} = \mathbf{M}_{\text{in}}



내부 힘이 중심력인 점 입자의 경우, 이는 뉴턴의 제2법칙을 사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강체의 경우, 각운동량과 관성 모멘트 '''I'''in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mathbf{L}_{\text{in}} = \mathbf{I}_{\text{in}} \boldsymbol\omega

관성 좌표계에서, 미분 방정식은 일반적인 회전하는 강체의 운동을 풀 때 항상 유용하지는 않다. 왜냐하면 '''I'''in과 '''ω''' 둘 다 운동 중에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관성 모멘트 텐서가 상수인 회전하는 물체에 고정된 좌표계로 변경할 수 있다. 질량 중심과 같은 기준 틀을 사용하면, 틀의 위치가 방정식에서 사라진다.

모든 회전하는 기준 틀에서, 시간 미분은 다음 방정식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

\left(\frac{d\mathbf{L}}{dt}\right)_\mathrm{rot} + \boldsymbol\omega\times\mathbf{L} = \mathbf{M}



그래서 외적, 회전 좌표계에서 시간 미분을 참조하십시오.

관성 좌표계와 회전 좌표계에서 토크의 벡터 성분은 다음과 같이 관련된다.



\mathbf{M}_{\text{in}} = \mathbf{Q}\mathbf{M},



여기서 \mathbf{Q}는 회전 텐서(회전 행렬 아님)이며, 다음 식으로 각속도 벡터와 관련된 직교 텐서이다.

\boldsymbol\omega \times \boldsymbol{u} = \dot{\mathbf{Q}} \mathbf{Q}^{-1}\boldsymbol{u}

임의의 벡터 '''u'''에 대해.

이제 \mathbf{L} = \mathbf{I} \boldsymbol\omega가 대입되고 시간 미분은 회전 좌표계에서 수행되며, 입자 위치와 관성 텐서가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것은 이러한 틀에서 유효한 오일러 방정식의 일반적인 벡터 형태를 초래한다.

:

\mathbf{I} \dot{\boldsymbol\omega} + \boldsymbol\omega \times \left( \mathbf{I} \boldsymbol\omega \right) = \mathbf{M}.



이 방정식은 또한 합력 토크에 대한 논의에서 뉴턴의 법칙으로 유도된다.

보다 일반적으로, 텐서 변환 규칙에 따라, 모든 2계 텐서 \mathbf{T}는 임의의 벡터 \mathbf{u}에 대해 \mathbf{\dot T} \mathbf{u} = \boldsymbol{\omega}\times (\mathbf{T} \mathbf{u}) - \mathbf{T}(\boldsymbol{\omega}\times \mathbf{u})를 가지는 시간 미분 \mathbf{\dot T} 를 갖는다. 이것은 \frac{d}{dt} \left( \mathbf{I} \boldsymbol\omega \right) = \mathbf{M}.을 대입하여 오일러 방정식을 생성한다.

3. 1. 주축 형태

관성 텐서의 주축에 축이 정렬되도록 좌표계를 선택하면 성분 행렬이 대각 행렬이 되어 계산이 더욱 간단해진다. 관성 모멘트 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각운동량 '''L'''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L''' = ''L''1'''e'''1 + ''L''2'''e'''2 + ''L''3'''e'''3 = Σ''i''=13 ''I''i''ω''i'''e'''i

또한 물체에 고정되지 않은 일부 좌표계에서도 각운동량 변화율에 대한 이러한 간단한(대각 텐서)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ω'''는 물체의 회전이 아닌 해당 좌표계 축의 회전 각속도여야 한다. 그러나 선택된 축이 여전히 관성의 주축인 것은 여전히 필요하다. 오일러 회전 방정식의 결과 형식은 일부 주 회전축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회전 대칭 물체에 유용하다.

4. 특수해

4. 1. 토크가 없는 세차 운동

토크가 없는 세차 운동은 우변의 토크가 0인 상황에 대한 자명하지 않은 해이다. 외부 기준 프레임에서 '''I'''가 일정하지 않으면 (즉, 물체가 움직이고 있으며 관성 텐서가 지속적으로 대각선이 아님) '''I'''는 '''L'''에 작용하는 미분 연산자를 통해 빼낼 수 없다. 이 경우 '''I'''(''t'')와 '''ω'''(''t'')는 곱의 미분이 여전히 0이 되도록 함께 변화한다. 이 운동은 푸아소의 구성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5. 일반화된 오일러 방정식

오일러 방정식은 임의의 단순 리 대수로 일반화될 수 있다.[1] 원래의 오일러 방정식은 리 대수를 \mathfrak{so}(3)로 고정하여 생성자 {t_1, t_2, t_3}가 관계 [t_a, t_b] = \epsilon_{abc}t_c를 만족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그러면 \boldsymbol\omega(t) = \sum_a \omega_a(t)t_a (여기서 t는 시간 좌표이며, 기저 벡터 t_a와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가 \mathfrak{so}(3) 값을 갖는 시간의 함수이고, \mathbf{I} = \mathrm{diag}(I_1, I_2, I_3) (리 대수 기저에 대해)이면 (토크가 없는) 원래의 오일러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2]

\mathbf{I}\dot\boldsymbol\omega = [\mathbf{I}\boldsymbol\omega, \boldsymbol\omega].

\mathbf{I}를 기저에 독립적인 방식으로 정의하기 위해, 리 대수 \mathfrak{g}에 대한 불변 쌍선형 형식을 기준으로 \mathfrak{g}에 대한 자기 수반 사상이 되어야 한다. 이 표현은 단순 리 대수의 표준 분류와 같이 임의의 단순 리 대수로 쉽게 일반화된다.

이는 일반화된 오일러 방정식의 락스 쌍 공식으로 볼 수 있으며, 그 적분 가능성을 시사한다.

참조

[1] 서적 Integrable systems: twistors, loop groups, and Riemann surfaces; based on lectures given at a conference on integrable systems organized by N. M. J. Woodhouse and held at the Mathematical Institute, University of Oxford, in September 1997 Clarendon Press 2011
[2] 서적 Collected works springer
[3] 서적 1983
[4] 서적 1983
[5] 서적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