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즈월드 베블런 기하학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즈월드 베블런 기하학상은 기하학 분야에 뛰어난 공헌을 한 수학자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1964년부터 시작되었으며, 1964년 흐리스토스 파파키리아코풀로스와 라울 보트를 시작으로, 미하일 레오니도비치 그로모프, 야우싱퉁, 마이클 프리드먼, 리처드 S. 해밀턴, 제프 치거, 데이비드 가바이, 피터 크론하이머, 토마스 므로우카, 토비아스 콜딩, 이안 아골, 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 쉬슝 첸, 사이먼 도널드슨, 마이클 A. 힐, 마이클 J. 홉킨스 등 많은 수학자들이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년마다 열리는 행사 - 실베스터 메달
수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연구자에게 수여되는 실베스터 메달은 앙리 푸앵카레, 게오르크 칸토어, 어거스터스 러브, 벤 그린 등 다양한 분야의 수학자들에게 수여되었으며, 이들의 연구는 현대 수학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3년마다 열리는 행사 - 콜상
콜 대수 상과 콜 수론 상은 대수학과 수론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수학자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각 분야 발전에 기여한 중요한 연구 업적을 대상으로 한다. - 미국의 과학기술상 - 튜링상
튜링상은 컴퓨터 과학 분야에 큰 공헌을 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알고리즘, 프로그래밍 언어,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이룬 연구자들에게 수여되며 "컴퓨터 과학 분야의 노벨상"으로 불린다. - 미국의 과학기술상 - 브레이크스루 상
브레이크스루 상은 과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리는 시상식으로, 올라퍼 엘리아슨이 제작한 원환체 트로피를 수여하며, 제네바에서 시작해 마운틴뷰, 로스앤젤레스 등에서 개최되고 모건 프리먼, 케빈 스페이시, 제임스 코든 등이 진행을 맡았고 2023년부터 유튜브로 생중계된다. - 수학상 - 울프 수학상
울프 수학상은 수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78년부터 이스라엘의 울프 재단에서 기금을 지원하여 매년 또는 격년으로 시상하는 국제적인 상이다. - 수학상 - 아벨상
아벨상은 노르웨이 수학자 닐스 헨리크 아벨을 기려 제정된 수학 분야의 국제적인 상으로, 수학 전반에 걸쳐 뛰어난 업적을 남긴 수학자에게 수여된다.
오즈월드 베블런 기하학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오즈월드 베블런 기하학상 | |
수여 기관 | 미국 수학회 (AMS) |
수여 목적 | 기하학 또는 위상수학 분야의 주목할 만한 연구 |
국가 | 미국 |
상금 | 5,000 미국 달러 |
첫 시상 연도 | 1964년 |
마지막 시상 연도 | 2022년 |
웹사이트 | 미국 수학회 오즈월드 베블런 기하학상 공식 웹사이트 |
2. 수상자 목록
연도 | 수상자 | 주요 업적 | ||||||||||||||||||||||||||||||||||||||||||||||||||||
---|---|---|---|---|---|---|---|---|---|---|---|---|---|---|---|---|---|---|---|---|---|---|---|---|---|---|---|---|---|---|---|---|---|---|---|---|---|---|---|---|---|---|---|---|---|---|---|---|---|---|---|---|---|---|
1964 | 흐리스토스 파파키리아코풀로스 | On Solid Tori, 'On Dehns lemma and the asphericity of knots'' 저술[1] | ||||||||||||||||||||||||||||||||||||||||||||||||||||
라울 보트 | The space of loops on a Lie group, The stable homotopy of the classical groups 저술[2] | |||||||||||||||||||||||||||||||||||||||||||||||||||||
1966 | 스티븐 스메일 | 미분 위상수학에 대한 다양한 공헌[3] | ||||||||||||||||||||||||||||||||||||||||||||||||||||
모튼 브라운 | generalized Schoenflies theorem 증명[4] | |||||||||||||||||||||||||||||||||||||||||||||||||||||
배리 메이저 | ||||||||||||||||||||||||||||||||||||||||||||||||||||||
1971 | 로비온 커비 | Stable homeomorphisms and the annulus conjecture 저술[5] | ||||||||||||||||||||||||||||||||||||||||||||||||||||
데니스 설리번 | On the Hauptvermutung for manifolds 저술[6] | |||||||||||||||||||||||||||||||||||||||||||||||||||||
1976 | 윌리엄 서스턴 | 엽층 구조 연구[7] | ||||||||||||||||||||||||||||||||||||||||||||||||||||
제임스 해리스 사이먼스 | 극소 다양체와 특성 형식 연구[8] | |||||||||||||||||||||||||||||||||||||||||||||||||||||
1981 | 미하일 레오니도비치 그로모프 | 리만 다양체의 기하학과 위상수학 연구[9] | ||||||||||||||||||||||||||||||||||||||||||||||||||||
야우싱퉁 |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 미분 다양체의 위상수학, 콤팩트 복소 다양체의 콤팩트 몽주-앙페르 방정식 연구[10] | |||||||||||||||||||||||||||||||||||||||||||||||||||||
1986 | 마이클 프리드먼 | 4차원 푸앵카레 추측 해결[11] | ||||||||||||||||||||||||||||||||||||||||||||||||||||
1991 | 앤드루 카슨 | 호몰로지 삼차원 구의 정수 값 불변량 발견[12] | ||||||||||||||||||||||||||||||||||||||||||||||||||||
클리포드 타우브스 | 양-밀스 이론 연구[12] | |||||||||||||||||||||||||||||||||||||||||||||||||||||
1996 | 리처드 S. 해밀턴 | 리치 흐름과 리만 계량에 대한 포물선형 방정식 연구[13] | ||||||||||||||||||||||||||||||||||||||||||||||||||||
티엔강 | 기하학적 해석[13] | |||||||||||||||||||||||||||||||||||||||||||||||||||||
2001 | 제프 치거 | 미분 기하학[14] | ||||||||||||||||||||||||||||||||||||||||||||||||||||
야코프 엘리아쉬버그 | 심플렉틱 및 접촉 위상수학[14] | |||||||||||||||||||||||||||||||||||||||||||||||||||||
마이클 J. 홉킨스 | 호모토피 이론[14] | |||||||||||||||||||||||||||||||||||||||||||||||||||||
2004 | 데이비드 가바이 | 3차원 다양체[15] | ||||||||||||||||||||||||||||||||||||||||||||||||||||
2007 | 피터 크론하이머 | 3, 4차원 위상수학[16] | ||||||||||||||||||||||||||||||||||||||||||||||||||||
토마스 므로우카 | ||||||||||||||||||||||||||||||||||||||||||||||||||||||
Peter Ozsváth|피터 오즈바스영어 | 헤가드 플레어 호몰로지 이론[16] | |||||||||||||||||||||||||||||||||||||||||||||||||||||
자보 졸탄 | ||||||||||||||||||||||||||||||||||||||||||||||||||||||
2010 | Tobias Colding|토비아스 콜딩영어 | |||||||||||||||||||||||||||||||||||||||||||||||||||||
William Minicozzi II|윌리엄 미니코지 2세영어 | ||||||||||||||||||||||||||||||||||||||||||||||||||||||
Paul Seidel|폴 사이델영어 | ||||||||||||||||||||||||||||||||||||||||||||||||||||||
2013 | 이안 아골 | 쌍곡 기하학, 3차원 위상수학, 기하학적 군론 | ||||||||||||||||||||||||||||||||||||||||||||||||||||
Daniel Wise (mathematician)|다니엘 와이즈영어 | ||||||||||||||||||||||||||||||||||||||||||||||||||||||
2016 | Fernando Codá Marques|페르난도 코다 마르케스영어 | |||||||||||||||||||||||||||||||||||||||||||||||||||||
André Neves|앙드레 네베스영어 | ||||||||||||||||||||||||||||||||||||||||||||||||||||||
2019 | Xiuxiong Chen|천시우시옹영어 | |||||||||||||||||||||||||||||||||||||||||||||||||||||
2. 1. 1964년 ~ 1970년대
2. 2. 1980년대 ~ 1990년대
2. 3. 2000년대 ~ 현재
참조
[1]
서적
A Century of Mathematics in America, Part II
https://books.googl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98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