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쿤의 법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쿤의 법칙은 경험적 법칙으로, 실업률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오쿤의 법칙에 따르면, 산출량 증가와 실업률 감소, 노동력 참여율 변화, 노동 시간 및 노동 생산성의 변화가 연관된다. 이 법칙은 GDP 성장률과 실업률 변화를 통해 귀납적으로 증명되며, 실업률 상승이 GDP 감소를 초래하는 현상을 설명한다. 오쿤의 법칙은 고용 없는 성장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되며, 노동 생산성 증가나 경제 활동 인구 증가가 실업률 감소 없이 산출량 증가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오쿤의 법칙은 갭(Gap) 버전과 성장률 형태로 표현되며, 실업률과 GDP 간의 단기 추세 분석 도구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내총생산 - 구매력 평가
    구매력 평가는 일물일가의 법칙에 기반하여 국가 간 물가 수준을 비교하고 환율을 계산하는 경제 이론으로, GDP 비교나 환율 예측 등에 활용되지만 여러 한계점도 존재한다.
  • 국내총생산 - 지역내총생산
    지역내총생산(GRDP)은 특정 지역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최종 재화 및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나타내는 경제 지표이며, 2014년 대한민국 GRDP는 1,484.5조원으로 소폭 증가했고 수도권이 높은 비중과 성장세를 보였으며, 지역별 GRDP 격차에 대한 분석이 이어진다.
  • 실업 - 고용 차별
    고용 차별은 인종, 성별, 장애, 종교 등을 이유로 동일 자격자를 다르게 대우하는 것으로, 노동 시장의 불평등을 야기하며, 다양한 증거와 이론으로 설명되고, 정부와 고용주는 차별 해소를 위해 노력하며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다.
  • 실업 - 필립스 곡선
    필립스 곡선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경제 이론으로, 단기적으로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나 장기적으로는 자연실업률 개념에 따라 상충관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현대 경제학에서는 기대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수정된 형태로 사용된다.
오쿤의 법칙
개요
유형경제 법칙
분야거시경제학
설명실업률 변화와 GDP 변화 사이의 경험적 관계
발견자아서 오쿤
발견 연도1962년
공식
기본 형태ΔY / Y = k * ΔU
Y실제 생산량
ΔY실제 생산량의 변화
Y*잠재 생산량
ΔU실업률 변화
k오쿤의 법칙 계수
현대 형태ΔY = α - βΔU
α상수, 일반적으로 잠재 성장률
β오쿤의 계수, 국가 및 기간에 따라 다름
일반적인 추정치미국: β ≈ 2 또는 3
의미
실업률 감소실업률 1% 감소는 GDP 성장률 약 2~3% 증가와 관련됨
성장률실업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면 GDP가 잠재 성장률로 성장해야 함
적용
경제 예측실업률 변화를 기반으로 GDP 성장률 예측
정책 분석경제 정책이 실업률 및 GDP에 미치는 영향 평가
경기 순환 연구경기 침체 및 회복 분석
한계
안정성오쿤의 계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음
인과 관계오쿤의 법칙은 상관 관계이지 인과 관계가 아님
기타 요인생산성, 노동 시장 구조 변화 등 다른 요인이 GDP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2. 의미

오쿤의 법칙은 경험 법칙으로, 생산성과 같은 다른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산출량과 실업률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오쿤이 처음 제시한 법칙은 산출량이 3% 증가하면 실업률이 1% 감소하고, 경제활동인구 비율은 0.5% 감소, 1인당 노동 시간은 0.5% 감소하며, 시간당 산출량은 1% 증가한다는 것이었다.[14] 이 관계는 국가와 시기에 따라 달라진다.

이 관계는 GDP 또는 GNP 성장률과 실업률의 변화를 이용하여 귀납적으로 증명된다. 마틴 프라초우니(Martin Prachowny)는 실업률이 1% 상승할 때 산출량이 3% 감소한다고 추정했다.[15]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실업률이 산출량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앤드루 아벨(Andrew Abel)과 벤 버냉키는 최근 자료를 바탕으로 실업률 1% 상승이 산출량 2% 감소를 가져온다고 추정했다.[6]

실업 증가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GDP 변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임금으로 인한 자금 순환의 승수효과 감소
  • 실망 실업자는 통계에 포함되지 않음
  • 취업자의 노동 시간 단축
  • 필요 이상의 고용 유지로 인한 노동 생산성 저하


오쿤의 법칙은 노동 생산성이나 경제 활동 인구 비율이 증가하면 실업률 감소 없이도 산출량 증가가 가능하다는 고용없는 성장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16] 또한 GDP가 양의 값을 가져도 실업률은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수학적 설명

오쿤의 법칙은 실업률과 생산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다음과 같이 두 가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1]
갭(Gap) 버전::(\overline{Y}-Y)/\overline{Y} = c(u-\overline{u})
성장률(Growth Rate) 버전::\Delta Y/Y = k - c \Delta u\,

각 식에 사용된 기호는 다음과 같다.


  • \overline{Y}: 완전고용 상태에서의 잠재산출량(GDP)
  • Y: 실제 총산출량
  • \overline{u}: 자연실업률
  • u: 실제 실업률
  • c: 실업률 변화와 산출량 변화의 상관 계수
  • \Delta Y: 특정 연도와 다음 연도 간 실제 산출량의 변화
  • \Delta u: 특정 연도와 다음 연도 간 실제 실업률의 변화
  • k: 완전 고용 상태에서의 산출량 평균 성장률


일반적으로 갭 버전보다는 성장률 버전이 더 널리 사용된다. 갭 버전의 경우, \overline{Y}\overline{u}를 측정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3. 1. 갭(Gap) 버전

다음은 오쿤의 법칙의 갭(Gap) 버전에 대한 설명이다.

:(\overline{Y}-Y)/\overline{Y} = c(u-\overline{u})

  • \overline{Y}는 완전고용 상태에서의 잠재산출량(GDP)이다.
  • Y는 실제 총산출량이다.
  • \overline{u}는 자연실업률이다.
  • u는 실제 실업률이다.
  • c는 실업의 변화와 산출량의 변화의 상관 계수이다.


단, c는 0보다 크다.

위의 식에서 \overline{Y}\overline{u}는 측정할 수 없는 값이기 때문에 실제로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1955년 이후 미국의 경우, c의 값은 일반적으로 2 또는 3 정도였다.[1] 1965년경부터는 3에서 2 정도로 변화했다.[2]

오쿤의 법칙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도 나타낼 수 있다.

:\Delta Y/Y = k - c \Delta u\,

  • Yc 의 정의는 위와 동일하다.
  • \Delta Y는 어떤 기준년도와 다음 해의 실제 산출량의 변화이다.
  • \Delta u는 어떤 기준년도와 다음 해의 실제 실업률의 변화이다.
  • k는 완전 고용 상태에서의 산출량의 평균 성장률이다.


현재 미국의 경우, ''k''는 약 3%이고 ''c''는 약 2이므로, 위의 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3]

:\frac{\Delta Y}{Y} = 0.03 - 2 \, \Delta u.\,

3. 2. 차분(Difference) 또는 성장률(Growth Rate) 버전

오쿤의 법칙의 차분 또는 성장률 버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

:\frac{\Delta Y}{Y} = k - c \Delta u\,

  • Y: 실제 산출량
  • \Delta Y: 특정 연도와 다음 연도 간 실제 산출량의 변화
  • \Delta u: 특정 연도와 다음 연도 간 실제 실업률의 변화
  • c: 실업률 변화와 산출량 변화 간의 상관 계수
  • k: 완전 고용 상태에서의 산출량 평균 성장률


이는 산출량의 변화율과 실업률의 변화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현재 미국의 경우, ''k''는 약 3%이고 ''c''는 약 2이므로, 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1]

:\frac{\Delta Y}{Y} = 0.03 - 2 \, \Delta u.\,

이 식은 실업률이 1% 증가할 때마다 산출량 성장률이 2% 감소함을 의미한다.
증명:오쿤의 법칙의 첫 번째 형태는 다음과 같다.[1]

:\frac{\overline{Y}-Y}{\overline{Y}} = 1-\frac{Y}{\overline{Y}} = c(u-\overline{u})

양변에 연간 차분을 적용하고, 통분 등의 과정을 거쳐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다.[1]

:\frac{\Delta Y}{Y} \approx \frac{\Delta \overline{Y}}{\overline{Y}} + c(\Delta \overline{u}-\Delta u)

여기서 자연 실업률의 변화(\Delta \overline{u})는 0에 가깝고, 완전 고용 산출량의 성장률(\frac{\Delta \overline{Y}}{\overline{Y}})은 평균값 ''k''와 같다고 가정하면,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오쿤의 법칙 성장률 형태의 식을 얻게 된다.[1]

:\frac{\Delta Y}{Y} \approx k - c \, \Delta u.

4. 활용 및 평가

오쿤의 법칙은 실업률 변화와 GDP 성장률 간의 경험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오쿤의 경험 법칙"이라고도 불린다. 이 법칙은 생산성 등의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오직 실업률과 GDP 성장률 간의 관계만을 다룬다.[14]

오쿤의 원래 설명에 따르면, 산출량(GDP)이 3% 증가하면 실업률은 1% 감소하고, 경제활동인구 비율은 0.5% 감소, 1인당 노동 시간은 0.5% 감소하며, 시간당 산출량(노동 생산성)은 1% 증가한다.[11] 그러나 이 관계는 국가와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4]

마틴 프라초우니(Martin Prachowny)는 실업률이 1% 상승할 때 산출량이 3% 감소한다고 추정했으며[10], 앤드루 아벨(Andrew Abel)과 벤 버냉키(Ben Bernanke)는 최근 자료를 바탕으로 실업률 1% 상승이 산출량 2% 감소를 가져온다고 추정했다.[6]

실업률 변화보다 GDP 변화가 더 빠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임금으로 인한 자금 순환의 승수효과 감소
  • 실망 실업자는 통계에 포함되지 않음
  • 취업자의 노동 시간 단축
  • 필요 이상의 고용 유지로 인한 노동 생산성 저하


오쿤의 법칙은 고용없는 성장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12] 노동 생산성이나 경제 활동 인구가 증가하면 실업률 감소 없이도 산출량 증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GDP가 성장하더라도 실업률이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오쿤의 법칙은 단기 예측에서 더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7] 실업률과 실질 GDP 간의 단기 추세 분석 도구로 활용된다. 샌프란시스코 연방 준비 은행은 과거 경기 침체 자료를 통해 오쿤의 법칙이 유용한 이론임을 확인했다.[8]

5. 비판적 시각

오쿤의 법칙은 경험 법칙이므로 생산성 등 다른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다. 오쿤이 처음 제시한 법칙은 산출량이 3% 증가하면 실업률은 1% 감소하고, 경제활동인구 비율은 0.5% 감소, 1인당 노동 시간은 0.5% 감소하며, 시간당 산출량은 1% 증가한다는 것이었다.[14]

이 관계는 국가와 시기에 따라 달라진다.

이 관계는 GDP 또는 GNP 성장률과 실업률의 변화를 통해 귀납적으로 증명된다. 마틴 프라초우니는 실업률이 1% 상승할 때 산출량이 3% 감소한다고 추정했다.[15] 산출량 변화에 대한 실업률의 민감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앤드루 아벨과 벤 버냉키는 최근 자료를 바탕으로 실업률 1% 상승이 산출량 2% 감소를 가져온다고 추정했다.[6]

실업이 증가하면 다음과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 임금으로 인한 자금 순환의 승수효과 감소
  • 실망 실업자는 통계에 포함되지 않음
  • 취업자의 노동 시간이 짧아짐
  • 필요 이상의 고용 유지로 인한 노동 생산성 저하


이러한 이유로 실업률 증가보다 GDP 변화가 더 빠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오쿤의 법칙은 노동 생산성이 상승하고 경제 활동 인구 비율이 증가하면 실업률 감소 없이 산출량 증가가 가능하다는 고용없는 성장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16] 또한 GDP가 양의 값을 가져도 실업률은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간행물 "Potential GNP: Its Measurement and Significanc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Proceedings of the Business and Economics Statistics Section 1962
[2] 문서 Knotek, 75
[3] 문서 Knotek, 93
[4] 문서 Okun, 1962
[5] 논문 Okun's Law: Theoretical Foundations and Revised Estimates https://www.jstor.or[...] 1993
[6] 서적 Macroeconomics https://www.worldcat[...] Pearson/Addison Wesley 2005
[7] 웹사이트 Okun's Law and Potential Output https://www.rba.gov.[...] 2014–2015
[8] 뉴스 Federal Reserve Bank of San Francisco | Interpreting Deviations from Okun’s Law https://www.frbsf.or[...]
[9] 문서 Knotek, 75
[10] 논문 "Okun's Law: Theoretical Foundations and Revised Estimates" 1993
[11] 문서 Gordon, 2004, 220
[12] 문서 Gordon, 2004, Chapter 8 and 9, p 223
[13] 서적 거시경제학 율곡출판사
[14] 서적 Productivity, Growth, Inflation and Unemploy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5] 논문 "Okun's Law: Theoretical Foundations and Revised Estimates" 1993
[16] 문서 Ibid., Chapter 8 and 9, p 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