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역내총생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역내총생산(GRDP)은 특정 지역 내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합한 경제 지표로, 지역 경제의 규모, 성장률, 산업 구조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대한민국 GRDP는 수도권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서울, 경기, 인천은 경제 중심지 역할을 한다. 비수도권은 영남권의 제조업, 호남권의 농업, 충청권의 첨단 산업, 강원도의 관광 산업, 제주도의 관광 산업 등이 주요 산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내총생산 - 구매력 평가
    구매력 평가는 일물일가의 법칙에 기반하여 국가 간 물가 수준을 비교하고 환율을 계산하는 경제 이론으로, GDP 비교나 환율 예측 등에 활용되지만 여러 한계점도 존재한다.
  • 국내총생산 - 세계 총생산
    세계 총생산(GWP)은 세계 경제의 총 생산량을 의미하며,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바탕으로 성장률을 나타내고, 역사적으로는 J. 브래드퍼드 딜롱이 추산한 자료와 세계 GDP, 구매력 평가 추정치를 1990년 미국 달러로 환산한 자료를 제공한다.
지역내총생산
지역내총생산
측정 대상지역 경제 규모
구성 요소지역 내 생산
지역 소비
지역 투자
지역 수출
지역 수입
측정 방법생산 접근법
소득 접근법
지출 접근법
계산 주기분기별
연간
중요성
경제 분석지역 경제 성장 및 변화 추세 분석
정책 수립지역 경제 정책 및 개발 계획 수립
투자 결정지역 투자 결정에 활용
경제 비교지역 간 경제 규모 및 성과 비교
관련 지표
1인당 지역내총생산 (GRDP per capita)지역 주민의 평균 소득 수준 측정
지역총소득 (Gross Regional Income, GRI)지역 주민의 총소득 수준 측정
지역총생산 (Gross Regional Product, GRP)지역 내 총생산 가치 측정
영어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정의특정 지역 내에서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의 총 시장 가치
특징지역 경제 생산력 측정
지역 경제 성장률 평가
지역 경제 정책 수립
활용지역 경제 규모 파악
국가 경제 분석 보조
약어GRDP
참고
국가총생산(GDP)국내총생산(GDP)은 국가 전체의 생산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

2. 대한민국의 지역내총생산(GRDP)

지역내총생산(GRDP,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은 특정 지역 내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합한 경제 지표이다. GRDP는 지역 경제의 규모, 성장률, 산업 구조 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며, 지역별 경제 상황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된다.

2014년 전국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1484.5조으로, 2013년 1430.3조에 비해 증가하였다.

2. 1. 대한민국의 GRDP 통계 (2013-2014)

지역2014년 (조 원)2013년 (조 원)
서울327.6조318.6조
부산73.7조70.3조
대구46.6조44.8조
인천68.4조64.7조
광주31조29.8조
대전32.7조31.5조
울산69.5조68.3조
경기329.5조313.7조
강원36.9조35.4조
충북49.1조47.4조
충남103.7조99.2조
전북44.6조42.5조
전남63.1조62.3조
경북91.7조89.1조
경남102.5조99.6조
제주13.9조13.2조
전국1484.5조1430.3조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의 GRDP가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다. 이는 수도권에 인구와 경제 활동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2. 2. 지역별 경제 특징

2014년 전국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1484.5조 원으로, 2013년 1430.3조 원에 비해 증가하였다. 각 지역별 경제 규모는 다음과 같다.

지역2013년(조 원)2014년(조 원)
전국1430.31484.5
서울318.6327.6
부산70.373.7
대구44.846.6
인천64.768.4
광주29.831.0
대전31.532.7
울산68.369.5
경기313.7329.5
강원35.436.9
충북47.449.1
충남99.2103.7
전북42.544.6
전남62.363.1
경북89.191.7
경남99.6102.5
제주13.213.9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를 포함하는 수도권은 높은 지역내총생산을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부산, 대구, 울산 등 영남권은 제조업과 중화학 공업이 발달했다. 광주전남을 포함하는 호남권은 농업과 식품 산업이 발달했으며, 최근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충청권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첨단 산업과 농업이 함께 발달했으며, 강원은 관광 산업과 의료기기 산업, 제주는 관광 산업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2. 2. 1. 수도권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대한민국의 경제 중심지로서 높은 지역내총생산(GRDP)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서울은 금융, 서비스업, IT 산업 등이 발달하여 다른 지역에 비해 압도적인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 경기도는 제조업, IT 산업 등이 발달하였으며, 인천은 인천국제공항과 항만을 기반으로 물류, 운송 산업이 발달하였다.

지역2013년(조원)2014년(조원)
서울318.6327.6
경기313.7329.5
인천64.768.4


2. 2. 2. 비수도권

非首都圈|비수도권중국어의 지역내총생산은 다음과 같다.

지역2013년(조원)2014년(조원)
부산70.373.7
대구44.846.6
울산68.369.5
광주29.831.0
강원35.436.9
충북47.449.1
충남99.2103.7
전북42.544.6
전남62.363.1
경북89.191.7
경남99.6102.5
제주13.213.9



부산, 대구, 울산 등 영남권은 제조업, 중화학 공업 등이 발달하였다. 광주, 전남 등 호남권은 농업, 식품 산업 등이 발달하였으며, 최근에는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에 힘쓰고 있다. 충청권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첨단 산업과 농업이 혼재된 지역이며, 강원는 관광 산업, 의료기기 산업 등이 발달하였다. 제주는 관광 산업이 주를 이루며, 최근에는 스마트 관광, 신재생에너지 등 미래 산업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3. 지역 불균형 문제와 과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지역내총생산(GRDP) 격차는 지역 불균형 문제를 일으킨다. 이는 인구 유출, 일자리 부족, 교육 및 의료 서비스 격차 등 다양한 사회 문제로 이어진다.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서는 비수도권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NSCB - Technical Notes -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 http://www.nscb.gov.[...] 2008-01-09
[2] 웹사이트 Evis.net.ph - evis Resources and Information http://neda8.evis.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