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울은 다리보다 저렴하게 강을 건너는 방식으로, 얕은 물길을 이용하여 차량이나 보행자가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여울은 폭우나 홍수 시에는 통행이 불가능하며, 주로 작은 도로에 적합하다. 영국, 뉴질랜드 등지에서 여울은 도로의 일부로 사용되었으며, 수심을 나타내는 기둥이나 보행자 다리가 함께 설치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여울은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많은 전투가 여울 근처에서 벌어졌다. 현대에는 관광 명소로 활용되거나, 자연 보호를 위해 유지되기도 하며, 임도 건설에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로 위험요소 - 로드킬
로드킬은 자동차와 야생동물의 충돌로 발생하는 야생동물 사망사고로, 서식지 파괴, 운전자 부주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멸종위기종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생태계 및 문화적 측면에서도 논의되는 문제이다. - 도로 위험요소 - 돌리네
돌리네는 지하 암석 붕괴로 지표면에 생긴 큰 구멍으로, 자연적 또는 인위적 요인으로 발생하며 카르스트 지형에서 흔히 나타나 크기와 형태가 다양하고 갑작스러운 붕괴로 피해를 유발할 수 있어 지반 조사와 예방 대책이 중요하며, 최근 인위적 요인으로 인한 발생 증가가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 강 - 유역
유역은 분수계를 경계로 빗물이 모여 하천을 이루는 지역으로,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홍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학적으로 중요한 개념이다. - 강 - 급류
급류는 얕은 수심과 암석 노출로 특징지어지는 지형으로, 물이 바위를 넘으며 흰색 물보라를 일으키고 수질을 개선하며, 경사, 유량, 수축 등 물리적 요인에 따라 난이도 등급이 나뉘어 래프팅과 같은 스포츠 활동에 이용된다. - 수문학 - 밸브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로, 다양한 크기와 작동 방식을 가지며, 산업 전반과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된다. - 수문학 - 산사태
산사태는 사면 안정성 훼손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로, 자연적,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하므로, 사전 예방과 위험 지역 관리가 중요하다.
여울 | |
---|---|
개요 | |
유형 | 얕은 곳으로, 강이나 개울을 걸어서 건널 수 있는 발판이 좋은 장소 |
재료 | 일반적으로 없음 (자연적으로 존재), 그러나 때로는 차량을 위해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보강됨 |
가동 여부 | 아니오 |
디자인 | 없음 또는 낮음 |
이미지 | |
![]() | |
추가 정보 | |
설명 | 강이나 시내를 걸어서 건널 수 있는 얕은 장소 |
2. 정의 및 설명
여울은 강이나 개울을 걸어서 건널 수 있는 얕은 곳을 말한다. 다리가 놓이기 어려운 곳에 주로 설치되며, 사람이나 차량이 강을 건너는 데 사용된다.
일본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아라이-코스(세월)"는 "강물이 물건 위를 씻어 흘러넘는 것"을 의미한다.[15] 현대 일본어에서는 도로 위를 강이 흐르도록 설계된 지점을 "아라이코시(洗い越し, 세월)"라고 부른다.[17]
현대에도 자연 지형 속에 생긴 여울이나, 인프라 부족으로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보이는 여울이 세계 곳곳에 존재한다. 또한, 경관이 흥미로워 관광 명소화되거나, 지역 주민의 생활에 이점이 있어 유지되는 경우도 있다.
현대적 도시 문명권에서는 대부분 큰 강이나 도심부의 강에는 다리가 놓이므로, 여울은 다리를 놓는 것이 비용 대비 효과 면에서 맞지 않는 산악부나 농촌 지대에 한정되어 있다. 자연공원 등에서는 경관이나 자연 보호를 위해 일부러 여울로 해두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여울은 강바닥을 콘크리트 포장이나 돌길로 하여 물의 흐름에 의한 침식을 억제한다.[45]
2. 1. 특징
여울은 다리보다 저렴하게 강을 건널 수 있고, 더 많은 무게를 수송할 수 있지만, 폭우나 홍수 시에는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작은 도로(보행자, 기마자 등을 위한 길)에만 적합하다.[2] 현대식 여울은 대부분 자동차 등이 건널 수 있을 정도로 얕으며, "여울 건너기"라고 한다. 보행자를 위한 징검다리가 함께 있기도 하다.영국에는 2,000개 이상의 여울이 있는데, 대부분 물 때문에 통과할 수 없을 때 차량 통행을 막을 방법이 없다.[2] AA에 따르면, 홍수 관련 차량 고장의 상당수가 여울에서 발생한다.[2]
뉴질랜드에서는 여울이 도로의 일반적인 부분이며, 2010년까지 국도 1호선 남섬 동해안에서도 사용되었다.[3] 건조한 날씨에는 운전자가 도로의 퇴적물을 밟아 여울의 존재를 알 수 있다. 높은 수위 시에는 비상 차량을 위해 도로 주선에서 벗어난 베일리교가 건설될 수 있다.
수심이 얕지만 강바닥 재료가 중장비를 지지하지 못하는 곳에서는 잠긴 콘크리트 바닥을 건설하여 여울을 개선하기도 한다. 이때 연석은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류 쪽에 설치되며, 조류 번식으로 슬래브가 매우 미끄러워지기도 한다. 여울에는 수심을 나타내는 기둥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건너기 어려운 깊이인지 알 수 있게 한다. 일부에는 보행자가 물에 젖지 않고 건널 수 있도록 인접한 보행자 다리가 있다.
여울은 때때로 유일한 건널목이 되기도 한다. 워싱턴 D.C.의 락 크릭 밀크하우스 여울이 그 예시지만, 다리 건설로 대체되었다.[4] 이 건널목은 국립공원 관리청이 1996년 차량 통행을 금지할 때까지 "모험심이 강한" 운전자들을 위해 남아 있었다.[5]
수면 아래로 흐르는 도로는 "워터스플래시(watersplash)"라고도 불린다. 일부 지역에서는 여울이나 젖은 도로 구간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이름이며, 조수 횡단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워터스플래시는 랠리 코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이다. 일부 매니아들은 이러한 물길을 찾아 운전하며, 전용 웹사이트에 파도, 위치, 접근성 등 세부 정보를 기록한다.[6]
영국에는 워터스플래시로 알려진 오래된 여울이 많다. 햄프셔 브로켄허스트, 서머싯 우키, 옥스퍼드셔 스윈브룩 등이 그 예시이다. 이들 중 일부는 악천후 속에서 더 안정적인 횡단 수단인 다리로 대체되고 있다.
인상적인 워터스플래시는 호주 걸프 사바나, 캐나다, 이탈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핀란드, 테네시 뒷길 등 다양한 곳에서 발견된다. 테네시에서는 "수중 다리"라고 불린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하의 영국 지역 일부에서는 낮은 수위 횡단로 또는 워터스플래시를 영-아일랜드 전쟁과 관련하여 "아이리시 다리(Irish bridge)"라고 불렀다.[7][8][9]
일본어에서 강 등을 걸어서 건너는 것을 한자어로 "도섭/도섭(としょう|도섭일본어)"이라 하고, 야마토코토바로는 "카치와타리(徒渡|도도일본어/渡り|도도리일본어[23], 歩渡|보도일본어, 歩行渡|보행도일본어)"[24]라고 하며, 그 적지를 "도섭지/도섭지", "도섭점/도섭점" 등이라 한다.
도보로 건널 수 있는 장소는 여행뿐만 아니라 교역이나 전쟁의 관점에서도 중요하며, 이러한 장소 근처에는 성, 관문, 마을, 시가 설치되었고, 나아가 그것들이 통행료를 징수하는 거점이 되었다.
2. 2. 워터스플래시 (Watersplash)
여울은 다리보다 훨씬 저렴하게 강을 건널 수 있는 방식이며, 다리보다 훨씬 많은 무게를 수송할 수 있지만, 폭우나 홍수 시에는 통과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여울은 일반적으로 매우 작은 도로(그리고 보행자, 기마자 등을 위한 길)에만 적합하다. 대부분의 현대식 여울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기타 바퀴 또는 궤도가 있는 차량이 건널 수 있을 정도로 얕다(이를 "여울 건너기"라고 한다). 여울에는 보행자를 위한 징검다리가 함께 있을 수 있다.영국에는 2,000개 이상의 여울이 있으며, 대부분은 물 때문에 통과할 수 없을 때 차량이 건너는 것을 막을 방법이 없다.[2] AA에 따르면, 홍수와 관련된 많은 차량 고장은 여울에서 발생한다.[2]
뉴질랜드에서는 여울이 도로의 일반적인 부분이며, 2010년까지 국도 1호선의 남섬 동해안에서도 사용되었다.[3] 건조한 날씨에는 운전자가 도로의 퇴적물을 밟으면서 여울의 존재를 알게 된다. 높은 수위 시에는 비상 차량을 위해 도로 주선에서 벗어난 베일리교가 건설될 수 있다.
수심이 얕지만 강바닥의 재료가 중장비를 지지하지 못하는 곳에서는 잠긴 콘크리트 바닥을 건설하여 여울을 개선하기도 한다. 이 경우, 연석은 종종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류 쪽에 설치되며, 조류의 번식은 종종 슬래브를 매우 미끄럽게 만든다. 여울에는 또한 사용자가 물이 너무 깊어 건너기가 어려운지 알 수 있도록 수심을 나타내는 기둥이 설치될 수 있다. 일부에는 보행자가 물에 젖지 않고 건널 수 있도록 인접한 보행자 다리가 있다.
수면 아래로 흐르는 도로를 "워터스플래시(watersplash)"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여울이나 젖은 도로 구간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이름이며, 때로는 조수 횡단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워터스플래시는 랠리 코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이 되었다. 일부 매니아들은 이러한 물길을 찾아 운전하며, 전용 웹사이트에 파도, 위치, 접근성 등 세부 정보를 기록한다.[6]
영국에는 워터스플래시로 알려진 오래된 여울이 많이 있다. 예를 들어, 햄프셔의 브로켄허스트, 서머싯의 우키, 옥스퍼드셔의 스윈브룩이 있다. 이러한 여울 중 일부는 악천후 속에서 더 안정적인 횡단 수단인 다리로 대체되고 있다.
매우 인상적인 워터스플래시는 다양한 장소에서 발견될 수 있다. 호주의 걸프 사바나가 있으며, 캐나다, 이탈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핀란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테네시의 뒷길에서도 발견되는데, 이곳에서는 "수중 다리"라고 불린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하의 영국 지역 일부에서는 낮은 수위 횡단로 또는 워터스플래시를 영-아일랜드 전쟁과 관련하여 "아이리시 다리(Irish bridge)"[7][8][9]라고 불렀다.
3. 역사적 의의
여울은 역사적으로 군사적 요충지이자, 교역과 여행의 중요한 지점이었다. 강을 건너는 지점에 대규모 부대를 배치하면 방어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적의 도하를 공격하기에도 용이했기 때문이다.[10] 이러한 이유로 여울 근처에서는 많은 전투가 벌어졌다.
여울은 단순한 군사적 요충지를 넘어, 교역과 여행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람과 물자가 이동하는 길목이었기에, 여울 주변에는 성, 관문, 마을, 시 등이 발달했고, 통행료를 징수하는 거점으로 성장하기도 했다.
영어의 '포드(ford)'나 독일어의 '푸르트(Furt)'는 '여울'을 뜻하는 대표적인 단어군으로, 게르만 조어의 "furduz"에서 유래했다. 이는 인도유럽 조어의 "pértus"(*crossing*, 횡단)까지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오래된 역사를 지닌다. 이 단어들은 여러 고유 명사에 포함되어, 여울을 중심으로 성장한 도시 이름에 흔적을 남겼다.
현대에도 자연 그대로의 여울이나,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유지되는 여울이 세계 곳곳에 존재한다. 또한, 관광 명소나 지역 주민의 생활 편의를 위해 의도적으로 보존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현대 도시에서는 대부분 큰 강이나 도심부 강에 다리가 놓여, 여울은 비용 대비 효과가 낮은 산악 지대나 농촌 지역에 주로 남아있다. 자연공원 등에서는 경관이나 자연 보호를 위해 여울을 유지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여울은 강바닥을 콘크리트 포장이나 돌길로 만들어 침식을 방지한다.[45]
3. 1. 고대 및 중세

역사 시대에, 강가에 대규모 부대를 배치하는 것은 직접적인 방어뿐만 아니라 적이 건너는 지점을 공격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으로 여겨졌다.[10] 따라서, 여울은 종종 전략적인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많은 유명한 전투가 여울 근처에서 벌어졌다.
전투 | 연도 | 위치 | 주요 내용 |
---|---|---|---|
소요진 전투 | 215년 ~ 217년 | 중국 | 후한 말의 전쟁 |
풀퍼드 전투 | 1066년 | 요크셔주 우스강 | 하랄 하르드라다의 잉글랜드 침공 |
야곱의 여울 전투 | 1179년 | 요르단강 | 제2차 십자군과 제3차 십자군 사이의 기간 |
임진강 전투 | 1592년 | 임진강 | 임진왜란 |
황해 전투 | 1598년 | 아일랜드 블랙워터강 | 9년 전쟁 |
뉴번 포드 전투 | 1640년 | 스코틀랜드 왕국 타인강 | 제2차 주교 전쟁 |
보인 전투 | 1690년 | 아일랜드 보인강 | 윌리엄파-자코바이트 전쟁 |
매트슨 포드 전투 | 1777년 | 펜실베이니아주 슈일킬강 | 미국 독립 전쟁 필라델피아 전역 |
브랜디와인 전투 | 1777년 | 펜실베이니아주 브랜디와인 크릭 | 미국 독립 전쟁 필라델피아 전역 |
미니싱크 전투 | 1779년 | 델라웨어강 | 미국 독립 전쟁의 북부 전역 |
코완스 포드 전투 | 1781년 | 노스캐롤라이나주 카토바강 | 미국 독립 전쟁 남부 전역 |
아세 전투 | 1803년 | 인도 칼리나강 | 제2차 잉글로-마라타 전쟁 |
블랙번 포드 전투 | 1861년 | 버지니아주 불런 크릭 | 마나사스 전역 |
켈리 포드 전투 | 1863년 | 라파하노크강 | 미국 남북 전쟁 동부 전역 |
버핑턴 아일랜드 전투 | 1863년 | 오하이오강 | 모건의 습격 중 오하이오주와 웨스트버지니아주 |
챈슬러즈빌 전투 | 1863년 | 라파하노크강 | 미국 남북 전쟁 동부 전역 |
바이람스 포드 전투 | 1864년 | 미주리주 블루강 | 프라이스의 미주리 원정 |
모튼 포드 전투 | 1864년 | 버지니아주 래피댄강 | 미국 남북 전쟁 |
로크스 드리프트 전투 | 1879년 | 남아프리카 공화국 버팔로강 | 앵글로-줄루 전쟁 |
커트 나이프 전투 | 1885년 | 캐나다 노스 사스캐처원강 | 노스웨스트 반란 |
다비디우 브리드 전투 | 2022년 | 인훌레츠강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3. 2. 근대 및 현대
역사 시대에 강가에 대규모 부대를 배치하는 것은 직접적인 방어뿐만 아니라 적이 건너는 지점을 공격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으로 여겨졌다.[10] 따라서, 여울은 종종 전략적인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많은 유명한 전투가 여울 근처에서 벌어졌다.전투명 | 시기 | 위치 | 주요 내용 |
---|---|---|---|
소요진 전투 | 215–217년 | 중국 | 후한 말의 전쟁 |
풀퍼드 전투 | 1066년 | 요크셔주 우스강 | 하랄 하르드라다의 잉글랜드 침공 |
야곱의 여울 전투 | 1179년 | 요르단강 | 제2차 십자군과 제3차 십자군 사이 |
임진강 전투 | 1592년 | 임진강 | 임진왜란 |
황해 전투 | 1598년 | 블랙워터강 | 아일랜드의 9년 전쟁 |
뉴번 포드 전투 | 1640년 | 타인강 | 스코틀랜드 왕국의 제2차 주교 전쟁 |
보인 전투 | 1690년 | 보인강 | 아일랜드의 윌리엄파-자코바이트 전쟁 |
매트슨 포드 전투 | 1777년 | 펜실베이니아주 슈일킬강 | 미국 독립 전쟁의 필라델피아 전역 |
브랜디와인 전투 | 1777년 | 펜실베이니아주 브랜디와인 크릭 | 미국 독립 전쟁의 필라델피아 전역 |
미니싱크 전투 | 1779년 | 델라웨어강 | 미국 독립 전쟁의 북부 전역 |
코완스 포드 전투 | 1781년 | 노스캐롤라이나주 카토바강 | 미국 독립 전쟁 남부 전역 |
아세 전투 | 1803년 | 인도 칼리나강 | 제2차 잉글로-마라타 전쟁 |
블랙번 포드 전투 | 1861년 | 버지니아주 불런 크릭 | 마나사스 전역 |
켈리 포드 전투 | 1863년 | 라파하노크강 | 미국 남북 전쟁의 동부 전역 |
버핑턴 아일랜드 전투 | 1863년 | 오하이오강 | 모건의 습격 중 오하이오주와 웨스트버지니아주 |
챈슬러즈빌 전투 | 1863년 | 라파하노크강 | 미국 남북 전쟁의 동부 전역 |
바이람스 포드 전투 | 1864년 | 미주리주 블루강 | 미국 남북 전쟁 중 프라이스의 미주리 원정 |
모튼 포드 전투 | 1864년 | 버지니아주 래피댄강 | 미국 남북 전쟁 |
로크스 드리프트 전투 | 1879년 | 남아프리카 공화국 버팔로강 | 앵글로-줄루 전쟁 |
커트 나이프 전투 | 1885년 | 캐나다 노스 사스캐처원강 | 노스웨스트 반란 |
다비디우 브리드 전투 | 2022년 | 인훌레츠강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와카야마현의 구마노 고도에서는 돌길이나 흙길 위로 의도적으로 물을 건너게 하는, 에도시대 이전에 만들어진 배수 설비(여울)를 볼 수 있다.[31][32][45]
일본에서도 큰 강을 건너는 곳은 '와타리', '와타시', '가와고시', '가와고에' 등으로 불리며, 지금도 각지에 그러한 지명이 남아있다. 에도시대에 "가와고시닌소쿠"에 의한 "도보 渡し, 하이타이 渡し, 말 渡し"를 행했던 도카이도의 오이가와 渡し는 유명하다.[33][34] 에도시대에는 도카이도는 사코가와, 고쓰가와, 아베가와, 오이가와, 세토가와[35], 나카센도에서는 지쿠마가와와 우스이가와를 여울로 삼았다.[36] 이러한 강의 渡し場는 관소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관소 강으로 인식되었다.[37]
현재 일본의 일반 도로에서는 여울이 적으며, 여울이 있는 국도나 도도부현도는 이른바 "혹도"나 "험도"로 명소가 된 곳도 있다.
강우 시 및 그 후에는 수량이 증가하므로 통행 금지가 되는 경우도 있으며, 통행 가능한 장소라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구조를 실현하는 토목 공법은 '여울 공법' 또는 '세월 공법'으로 표기되며,[46][47] 임도(임업용 도로)의 배수 시공으로 일반적인 수법이다.[46][47][48][49][50] 산림청의 "임도 세월 공법 설계상의 유의점 등(안)"은 세월 공법의 설계 지침으로 노면을 콘크리트 노면 공사로 하고 있지만,[51]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 현지에서 조달한 통나무 등을 이용한 저비용의 간이적인 세월 공법도 사용되고 있다.[52][47]
4. 한국의 여울
한국의 강에는 수많은 여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는 대부분 다리가 건설되거나 다른 시설물로 대체되어 찾아보기 힘들다.
4. 1. 현대의 여울
여울은 다리보다 훨씬 저렴하게 강을 건널 수 있는 방법이며, 다리보다 훨씬 많은 무게를 수송할 수 있다. 하지만 폭우가 내리거나 홍수 시에는 통과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여울은 일반적으로 매우 작은 도로(그리고 보행자, 기마자 등을 위한 길)에만 적합하다. 대부분의 현대식 여울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기타 바퀴 또는 궤도가 있는 차량이 건널 수 있을 정도로 얕다(이를 "여울 건너기"라고 한다). 여울에는 보행자를 위한 징검다리가 함께 있을 수 있다.영국에는 2,000개 이상의 여울이 있으며, 대부분은 물 때문에 통과할 수 없을 때 차량이 건너는 것을 막을 방법이 없다.[2] AA에 따르면, 홍수와 관련된 많은 차량 고장은 여울에서 발생한다.[2]
뉴질랜드에서는 여울이 도로의 일반적인 부분이며, 2010년까지 국도 1호선의 남섬 동해안에서도 사용되었다.[3] 건조한 날씨에는 운전자가 도로의 퇴적물을 밟으면서 여울의 존재를 알게 된다. 높은 수위 시에는 비상 차량을 위해 도로 주선에서 벗어난 베일리교가 건설될 수 있다.
수심이 얕지만 강바닥의 재료가 중장비를 지지하지 못하는 곳에서는 잠긴 콘크리트 바닥을 건설하여 여울을 개선하기도 한다. 이 경우, 연석은 종종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류 쪽에 설치되며, 조류의 번식은 종종 슬래브를 매우 미끄럽게 만든다. 여울에는 또한 사용자가 물이 너무 깊어 건너기가 어려운지 알 수 있도록 수심을 나타내는 기둥이 설치될 수 있다. 일부에는 보행자가 물에 젖지 않고 건널 수 있도록 인접한 보행자 다리가 있다.
여울은 때때로 유일한 건널목이었으며, 예를 들어 워싱턴 D.C.의 락 크릭의 밀크하우스에서 그랬지만, 이 여울의 정기적인 사용은 다리에 의해 대체되었다.[4] 이 건널목은 국립공원 관리청이 1996년에 여울을 차량에 폐쇄할 때까지 "모험심이 강한" 운전자들을 위해 남아 있었다.[5]
5. 지명에 나타나는 여울
도보로 건널 수 있는 여울은 여행뿐만 아니라 무역, 전쟁에서도 중요했다. 이러한 장소 근처에는 성, 관문, 마을, 시장이 설치되었고, 통행료를 징수하는 거점이 되기도 했다.
영어의 '포드(ford)'나 독일어의 '푸르트(Furt)'는 게르만 조어 "furduz" (인도유럽조어 "*pértus*", '건너는 곳'을 의미)에서 유래했을 정도로, 오래전부터 널리 사용되어 온 "여울/도하"의 요충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단어이다. "얕은 여울"로 번역되는 경우가 많은 이 단어들은, 정확히는 "여울터/도하처", "여울점/도하점"을 의미하며, 많은 고유 명사의 구성 요소로도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여울점/도하점을 중심으로 성장한 도시 이름이 세계 각지에 존재한다.
브리튼어와 골어 ''ritus'' (현대 웨일스어 ''rhyd''; 옥스퍼드의 웨일스어 이름은 ''Rhydychen'' "소의 여울")는 샹보르 (골어 ''*Camboritum'' "굽이진 곳의 여울"에서 유래)와 니오르 (''Novioritum'' "새로운 여울")와 같은 이름의 기초가 된다.
- "생물 + 여울"
- 하트퍼드: 영어 Hertford는 고대 영어 Herutford (731년 최초 등장)에서 유래했으며, herut ('수컷 붉은사슴') + ford (여울)로 구성된다.[40]
- 옥스퍼드: 영어 Oxford는 중세 영어 Oxforde (Oxford의 옛 이름)를 거쳐 고대 영어 Oxnaforda (Oxford의 10세기경 옛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oxna ('소의') + ford (여울)로 구성된다.[41][42]
- "구조물 + 여울"
- 스태퍼드: 영어 Stafford는 고대 영어 Stæfford에서 유래했으며, stæð ('하역장') + ford (여울)로 구성된다.[44]
- ※트렌트강의 지류 소강 강변에서 발생한 지명.
5. 1. 영어권
영어의 '포드(ford)'나 독일어의 '푸르트(Furt)'는 게르만 조어 "furduz (=''ford'', 여울)", 인도유럽조어 "pértus(=''crossing'', 횡단, 교차, 교차로)"에서 유래되었을 정도로, 오래전부터 널리 사용되어 온 "여울/도하"의 요충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어군이다.[38]많은 마을과 촌락의 이름은 '여울'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이름 | 설명 |
---|---|
옥스퍼드 | 소가 강을 건너는 여울 (옥스퍼드 문장 참조) |
허트퍼드 | 허트퍼드셔의 주도로, 고라니가 건너는 여울 또는 "사슴 건너는 곳" |
브랜트퍼드 | 조셉 브랜트가 그랜드 강을 건넌 여울 |
암만포드 | 리버 암만의 여울 |
스태퍼드 | 스태퍼드셔의 주도로, 부두 옆 여울 또는 '착륙장 옆 여울' |
스태퍼트 | Pfinz 강을 건너는 여울 |
스트랫퍼드 | 로마 거리의 여울 |
독일어 단어 ''Furt'' (예: 프랑크푸르트, 프랑크족의 여울; 옥센푸르트, 옥스퍼드와 동의어; 슈바인푸르트, 돼지가 강을 건너는 여울; 클라겐푸르트, 문자 그대로 "불만의 여울")와 네덜란드어 ''voorde'' (예: 빌보르데, 코에보르덴, 잔드보르트, 아머스포르트)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 동족어이며, 모두 인도유럽조어 ''*pértus'' '건너기'에서 파생되었다.
마스트리흐트, 도르드레흐트, 위트레흐트와 같은 도시들도 여울에서 형성되었다. 어미 trichtnl, drechtnl, trechtnl는 "건너기"를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traiectum''에서 파생되었다. 따라서 위트레흐트의 이름은 원래 트라예크툼의 로마 요새였으며, "Uut Trecht", 즉 "하류 건너기"에서 유래되었다. 아프리칸스어 형태는 남아프리카 영어로 '''drift'''로 사용되었으며, 로크스 드리프트와 펠드드리프트와 같은 지명으로 이어졌다.
5. 2. 독일어권
독일어 단어 ''Furt'' (예: 프랑크푸르트, 프랑크족의 여울; 옥센푸르트, 옥스퍼드와 동의어; 슈바인푸르트, 돼지가 강을 건너는 여울; 클라겐푸르트, 문자 그대로 "불만의 여울")는 영어의 포드("'''ford'''")와 같은 의미를 가진 동족어이며, 모두 인도유럽조어 ''*pértus'' '건너기'에서 파생되었다.[38]- 프랑크푸르트: 독일어 Frankfurt (지명)은 고대 고지 독일어 Frank (프랑크족의…) + furt (''ford'', 여울)에서 유래했다. Frankonovurd (Frankfurt의 옛 이름)는 Franko(s)- (프랑크족의…) ??? + vurdim (여울)로 구성되며, 라틴어로는 Francōrum vadus (지명)로, vadum (''shallow'', ''ford'', 여울) + francōrum (프랑크족의…)로 구성된다.
- 530년경, 프랑크족이 알레만족을 대체하고 마인강 하류 유역의 패권을 장악하면서, "프랑크족의 여울"로 불리게 되는 마인강변의 여울을 교역 요충지로 중시했다. 이것이 역사적 사실에서 유추할 수 있는 지명 유래이다. 카롤루스 대제와 관련된 신비로운 전설은 사실과 다르다.
- 헤어포르트: 독일어 Herford (지명)는 고대 고지 독일어 her (''an army'', 군대) + ford (여울)에서 유래했다.
5. 3. 기타 언어
옥스퍼드 (소가 강을 건너는 여울), 허트퍼드 (고라니가 건너는 여울), 브랜트퍼드 (조셉 브랜트가 그랜드 강을 건넌 여울) 등 많은 마을과 촌락의 이름이 '여울'에서 유래했다.독일어의 ''Furt'' (예: 프랑크푸르트, 옥센푸르트)와 네덜란드어의 ''voorde'' (예: 빌보르데, 코에보르덴)는 '여울'을 뜻하는 동족어이며, 인도유럽조어 ''*pértus'' '건너기'에서 파생되었다. 이는 브리튼어와 골어 ''ritus'' (현대 웨일스어 ''rhyd'')의 기원이기도 하다.
마스트리흐트, 도르드레흐트, 위트레흐트와 같은 도시들도 여울에서 형성되었으며, 이들 지명의 어미는 "건너기"를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traiectum''에서 유래했다. 아프리칸스어 형태는 남아프리카 영어로 '''drift'''로 사용되어 로크스 드리프트와 같은 지명이 되었다.
슬라브어에서 단어 brod는 "강을 건너는 곳"을 의미하며, 세르보크로아트어에서 ''brod''는 '배'를 의미하지만, 슬라본스키 브로드, 마케돈스키 브로드 등 여러 지명은 ''brod''가 여울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음을 보여준다.
6. 여울과 관련된 전투
역사적으로 강가에 대규모 부대를 배치하는 것은 직접적인 방어는 물론, 적이 강을 건너는 지점을 공격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으로 여겨졌다.[10] 따라서 여울은 전략적인 군사 요충지였으며, 많은 유명한 전투가 여울 근처에서 벌어졌다.
전투 | 연도 | 위치 | 설명 |
---|---|---|---|
소요진 전투 | 215년–217년 | 중국 후한 | 후한 말의 전쟁 |
풀퍼드 전투 | 1066년 | 요크셔주 우스강 | 하랄 하르드라다의 잉글랜드 침공 |
야곱의 여울 전투 | 1179년 | 요르단강 | 제2차 십자군과 제3차 십자군 사이 |
임진강 전투 | 1592년 | 임진강 | 임진왜란 |
황해 전투 | 1598년 | 아일랜드 블랙워터강 | 9년 전쟁 |
뉴번 포드 전투 | 1640년 | 스코틀랜드 왕국 타인강 | 제2차 주교 전쟁 |
보인 전투 | 1690년 | 아일랜드 보인강 | 윌리엄파-자코바이트 전쟁 |
매트슨 포드 전투 | 1777년 | 펜실베이니아주 슈일킬강 | 미국 독립 전쟁 필라델피아 전역 |
브랜디와인 전투 | 1777년 | 펜실베이니아주 브랜디와인 크릭 | 미국 독립 전쟁 필라델피아 전역 |
미니싱크 전투 | 1779년 | 델라웨어강 | 미국 독립 전쟁 북부 전역 |
코완스 포드 전투 | 1781년 | 노스캐롤라이나주 카토바강 | 미국 독립 전쟁 남부 전역 |
아세 전투 | 1803년 | 인도 칼리나강 | 제2차 잉글로-마라타 전쟁 |
블랙번 포드 전투 | 1861년 | 버지니아주 불런 크릭 | 마나사스 전역 |
켈리 포드 전투 | 1863년 | 라파하노크강 | 미국 남북 전쟁 동부 전역 |
버핑턴 아일랜드 전투 | 1863년 | 오하이오강 | 모건의 습격 중 오하이오주와 웨스트버지니아주 |
챈슬러즈빌 전투 | 1863년 | 라파하노크강 | 미국 남북 전쟁 동부 전역 |
바이람스 포드 전투 | 1864년 | 미국 미주리주 블루강 | 프라이스의 미주리 원정 |
모튼 포드 전투 | 1864년 | 버지니아주 래피댄강 | 미국 남북 전쟁 |
로크스 드리프트 전투 | 1879년 | 남아프리카 공화국 버팔로강 | 앵글로-줄루 전쟁 |
커트 나이프 전투 | 1885년 | 캐나다 노스 사스캐처원강 | 노스웨스트 반란 |
다비디우 브리드 전투 | 2022년 | 인훌레츠강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전장에서는 적의 진격을 막기 위해 다리를 파괴하거나,[54] 아예 건설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사람이나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얕은 여울은 중요하게 여겨졌다.[55] 전략적으로 중요한 도섭점이 전장에서 사용된 주목할 만한 전투는 다음과 같다.
전투 | 연도 | 위치 | 설명 |
---|---|---|---|
가와나카지마 전투 제4차 전투 | 1561년 | 일본 시나노국 지쿠마강 유역 아메노미야의 나루터 | |
아네가와 전투 | 1570년 | 오다・도쿠가와 연합군과 아사이・아사쿠라 연합의 전투. 아네가와 여울을 사이에 두고 진을 쳤다. | |
백마 전투・관도 전투 | 중국 삼국 시대 | 조조가 기병이 건널 수 있는 백마와 병사가 건널 수 있는 연진에 병력을 배치하여 싸웠다.[56] | |
아사예 전투 | 1803년 9월 23일 | 인도 | |
챈슬러즈빌 전투 | 1863년 4월 30일~5월 6일 | 미국 | |
버핑턴 섬 전투 | 1863년 7월 19일 | 미국 |
고대 중국의 병법서 『손자』 행군편에는 "물을 건널 때는 반드시 물에서 멀리 떨어져라. 적이 물을 건너 공격해 올 때 물 속에서 공격하지 말고, 절반이 건너왔을 때 공격하면 유리하다. 공격할 때는 물가에 붙어 적을 맞이하지 말고, 지형이 높은 곳을 택하여 물의 흐름을 거스르지 마라, 이는 물 위에서 싸우는 군대의 전술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57]
7. 현대의 여울 활용
현대 일본어에서는 의도적으로 도로 위를 강이 흐르도록 설계된 지점을 洗い越し일본어 (아라이코시, 세월)라고 부른다.[17][18][19][20][21]
일본의 일반 도로에서는 여울이 적으며, 여울이 있는 국도나 도도부현도는 이른바 "혹도"나 "험도"로 명소가 된 곳도 있다. 강우 시 및 그 후에는 수량이 증가하므로 통행 금지가 되는 경우도 있으며, 통행 가능한 장소라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구조를 실현하는 토목 공법은 '''여울 공법''' 또는 '''세월 공법'''으로 표기되며, 임도(임업용 도로)의 배수 시공으로 일반적인 수법이다.[46][47][48][49][50] 산림청의 "임도 세월 공법 설계상의 유의점 등(안)"은 세월 공법의 설계 지침으로 노면을 콘크리트 노면 공사로 하고 있지만,[51]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 현지에서 조달한 통나무 등을 이용한 저비용의 간이적인 세월 공법도 사용되고 있다.[52][47]
7. 1. 일반 도로
여울은 다리보다 훨씬 저렴하게 강을 건널 수 있는 방법이다. 다리보다 훨씬 많은 무게를 수송할 수 있지만, 폭우나 홍수 시에는 통과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여울은 일반적으로 매우 작은 도로(보행자, 기마자 등을 위한 길 포함)에만 적합하다. 대부분의 현대식 여울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기타 바퀴 또는 궤도가 있는 차량이 건널 수 있을 정도로 얕다('여울 건너기'). 여울에는 보행자를 위한 징검다리가 함께 있을 수 있다.영국에는 2,000개 이상의 여울이 있으며, 대부분은 물 때문에 통과할 수 없을 때 차량이 건너는 것을 막을 방법이 없다.[2] AA에 따르면, 홍수와 관련된 많은 차량 고장은 여울에서 발생한다.[2]
뉴질랜드에서는 여울이 도로의 일반적인 부분이며, 2010년까지 국도 1호선의 남섬 동해안에서도 사용되었다.[3] 건조한 날씨에는 운전자가 도로의 퇴적물을 밟으면서 여울의 존재를 알게 된다. 높은 수위 시에는 비상 차량을 위해 도로 주선에서 벗어난 베일리교가 건설될 수 있다.
수심이 얕지만 강바닥의 재료가 중장비를 지지하지 못하는 곳에서는 잠긴 콘크리트 바닥을 건설하여 여울을 개선하기도 한다. 이 경우, 연석은 종종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류 쪽에 설치되며, 조류의 번식은 종종 슬래브를 매우 미끄럽게 만든다. 여울에는 또한 사용자가 물이 너무 깊어 건너기가 어려운지 알 수 있도록 수심을 나타내는 기둥이 설치될 수 있다. 일부에는 보행자가 물에 젖지 않고 건널 수 있도록 인접한 보행자 다리가 있다.
일본의 일반 도로에서는 여울이 적으며, 여울이 있는 국도나 도도부현도는 이른바 "혹도"나 "험도"로 명소가 된 곳도 있다. 강우 시 및 그 후에는 수량이 증가하므로, 통행 금지가 되는 경우도 있으며, 통행 가능한 장소라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 구조를 실현하는 토목 공법은 '''여울 공법''' 또는 '''세월 공법'''으로 표기되며, 임도(임업용 도로)의 배수 시공으로 일반적인 수법이다. 산림청의 "임도 세월 공법 설계상의 유의점 등(안)"은 세월 공법의 설계 지침으로 노면을 콘크리트 노면 공사로 하고 있지만,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 현지에서 조달한 통나무 등을 이용한 저비용의 간이적인 세월 공법도 사용되고 있다.
7. 2. 임도 (임업용 도로)
洗い越し일본어는 현대 일본어에서 의도적으로 도로 위를 강이 흐르도록 설계된 지점을 가리킨다.[17][18][19][20][21] 이 구조를 실현하는 토목 공법은 '''여울 공법''' 또는 '''세월 공법'''으로 표기되며,[46][47] 임도(임업용 도로)의 배수 시공으로 일반적인 수법이다.[46][47][48][49][50]산림청의 "임도 세월 공법 설계상의 유의점 등(안)"은 세월 공법의 설계 지침으로 노면을 콘크리트 노면 공사로 하고 있지만,[51]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 현지에서 조달한 통나무 등을 이용한 저비용의 간이적인 세월 공법도 사용되고 있다.[52][47]
7. 3. 기타
여울은 다리보다 훨씬 저렴하게 강을 건널 수 있는 방법이며, 다리보다 훨씬 많은 무게를 수송할 수 있지만, 폭우나 홍수 시에는 통과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여울은 일반적으로 매우 작은 도로(보행자, 기마자 등을 위한 길 포함)에만 적합하다. 대부분의 현대식 여울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기타 바퀴 또는 궤도가 있는 차량이 건널 수 있을 정도로 얕으며, 이를 '여울 건너기'라고 한다. 여울에는 보행자를 위한 징검다리가 함께 있을 수 있다.[2]영국에는 2,000개 이상의 여울이 있으며, 대부분은 물 때문에 통과할 수 없을 때 차량이 건너는 것을 막을 방법이 없다. AA에 따르면, 홍수와 관련된 많은 차량 고장은 여울에서 발생한다.[2]
뉴질랜드에서는 여울이 도로의 일반적인 부분이며, 2010년까지 국도 1호선의 남섬 동해안에서도 사용되었다.[3] 건조한 날씨에는 운전자가 도로의 퇴적물을 밟으면서 여울의 존재를 알게 된다. 높은 수위 시에는 비상 차량을 위해 도로 주선에서 벗어난 베일리교가 건설될 수 있다.
수심이 얕지만 강바닥의 재료가 중장비를 지지하지 못하는 곳에서는 잠긴 콘크리트 바닥을 건설하여 여울을 개선하기도 한다. 이 경우, 연석은 종종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류 쪽에 설치되며, 조류의 번식은 종종 슬래브를 매우 미끄럽게 만든다. 여울에는 또한 사용자가 물이 너무 깊어 건너기가 어려운지 알 수 있도록 수심을 나타내는 기둥이 설치될 수 있다. 일부에는 보행자가 물에 젖지 않고 건널 수 있도록 인접한 보행자 다리가 있다.
여울은 때때로 유일한 건널목이 되기도 하였는데, 예를 들어 워싱턴 D.C.의 락 크릭의 밀크하우스에서 그랬지만, 이 여울의 정기적인 사용은 다리에 의해 대체되었다.[4] 이 건널목은 국립공원 관리청이 1996년에 여울을 차량에 폐쇄할 때까지 "모험심이 강한" 운전자들을 위해 남아 있었다.[5]
수면 아래로 흐르는 도로를 "워터스플래시(watersplash)"라고 부르기도 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여울이나 젖은 도로 구간을 가리키는 일반적인 이름이며, 때로는 조수 횡단을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워터스플래시는 랠리 코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특징이 되었다. 일부 매니아들은 이러한 물길을 찾아 운전하며, 전용 웹사이트에 파도, 위치, 접근성 등 세부 정보를 기록한다.[6]
영국에는 워터스플래시로 알려진 오래된 여울이 많이 있는데, 햄프셔의 브로켄허스트, 서머싯의 우키, 옥스퍼드셔의 스윈브룩이 그 예이다. 이러한 여울 중 일부는 악천후 속에서 더 안정적인 횡단 수단인 다리로 대체되고 있다.
매우 인상적인 워터스플래시는 호주의 걸프 사바나를 비롯하여 캐나다, 이탈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핀란드 등 다양한 장소에서 발견될 수 있다. 또한 테네시의 뒷길에서도 발견되는데, 이곳에서는 "수중 다리"라고 불린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하의 영국 지역 일부에서는 낮은 수위 횡단로 또는 워터스플래시를 영-아일랜드 전쟁과 관련하여 "아이리시 다리(Irish bridge)"라고 불렀다.[7][8][9]
참조
[1]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Current English
https://archive.org/[...]
Oxford
[2]
웹사이트
Crossing A Ford: They're not always safe to cross – here's how to play it safe
https://www.theaa.co[...]
2017-01-18
[3]
뉴스
End of the road for last traffic fords left on State Highway 1
https://www.nzta.gov[...]
2015-12-28
[4]
웹사이트
Milkhouse Ford, Washington, District of Columbia, DC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Washington, D.C.
2020-12-24
[5]
웹사이트
Hidden clues reveal an old road that disappeared from DC
https://ggwash.org/v[...]
Greater Greater Washington
2015-01-08
[6]
웹사이트
An online guide to every UK ford, watersplash and tidal road
http://www.wetroads.[...]
wetroads.co.uk
2011-09-23
[7]
문서
The Be'er sheva ford was officially called Irish bridge
[8]
문서
"Yehuda Ziv - מורשת דרך''- the sources of the "Irish bridges""
[9]
Youtube
explanations about the source of the term Irish bridge
http://www.tapuz.co.[...]
[10]
웹사이트
Defense of Rivers and Streams
https://web.mst.edu/[...]
2020-12-24
[11]
웹사이트
Coming Through The Rye, Scottish Country Dance Instructions
https://www.scottish[...]
Scottish Country Dancing Dictionary
2021-03-19
[12]
뉴스
Stanhope Ford's permanent closure approved
https://www.bbc.com/[...]
2012-02-21
[13]
웹사이트
A guide to the circular Brockenhurst village walk
https://shewalksinen[...]
She walks in England
2020-01-19
[14]
문서
『国道の謎 思わず訪ねてみたくなる「酷道・珍道」大全』イースト・プレス〈イースト新書Q〉、p. 32。
[15]
서적
日本国語大辞典
小学館
2000-12
[16]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2018-01
[17]
웹사이트
『危険 落ちたら死ぬ!!』の看板」「川の中に突っ込む」ありえない全国の国道
https://dot.asahi.co[...]
朝日新聞出版
2014-10-27
[18]
웹사이트
国道157号、マニア好みの川渡り 危険看板が有名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18-01-05
[19]
웹사이트
大雨の被害は国宝や人気スポットにも 「洗い越し」渡れないほどの流れ 近くの集落は橋が流され孤立状態に
https://www.fnn.jp/a[...]
株式会社フジテレビジョン
2023-09-09
[20]
웹사이트
国道の路面を流れる路上河川「洗い越し」 酷道界の横綱「国道157号」を巡る旅|道との遭遇
https://hicbc.com/ma[...]
中部日本放送株式会社
2023-11-27
[21]
웹사이트
"落ちたら死ぬ!!」初ドライブに選んだ国道157号が恐怖の“酷道”だった話 : そして私は酷道に目覚めてしまった"
https://bunshun.jp/a[...]
文藝春秋
2020-06-06
[22]
웹사이트
徒渉/渡渉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3]
웹사이트
徒渡り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4]
웹사이트
徒渡・歩渡・歩行渡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5]
웹사이트
渡し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6]
웹사이트
渡し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7]
웹사이트
川越(かわごえ)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8]
웹사이트
川越し(かわごし)
https://dictionary.g[...]
goo
[29]
웹사이트
川越(かわごえ)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30]
웹사이트
川越(かわごえ)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31]
웹사이트
熊野古道のみどころ:石畳
http://www.kumadoco.[...]
東紀州ITコミュニティ
[32]
웹사이트
熊野古道伊勢路のはなし・三浦峠・始神峠
https://www.pref.mie[...]
三重県教育委員会
[33]
웹사이트
Q10. 橋のない川はどうやって渡っていたのですか? - 東海道への誘い
https://www.ktr.mlit[...]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横浜国道事務所
[34]
문서
日本博学倶楽部 著『雑学博物館 : 歴史・科学から民俗・食文化まで、意外な知識を充実展示』PHP研究所〈PHP文庫〉、2001年12月。「大井川の川越え料金は水の深さで決まる?」項。
[35]
웹사이트
東海道|国道1号|道路事業|国土交通省 中部地方整備局 浜松河川国道事務所
https://www.cbr.mlit[...]
[36]
간행물
江戸時代の川越って何なの
https://kids.gakken.[...]
学研・なぜなに学習相談
[37]
논문
大井川徒渉制を中心とする近世・東海道の渡河形態について
https://doi.org/10.2[...]
土木学会
1994
[38]
웹사이트
ford (n.)
https://www.etymonli[...]
2019-10-15
[39]
웹사이트
Clifford
https://www.etymonli[...]
2019-10-15
[40]
웹사이트
Hertfordshire
https://www.etymonli[...]
2019-10-15
[41]
웹사이트
Oxford
https://www.etymonli[...]
2019-10-15
[42]
웹사이트
オックスフォード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9-10-15
[43]
웹사이트
Hereford
https://www.etymonli[...]
2019-10-15
[44]
웹사이트
Stafford
https://www.etymonli[...]
2019-10-15
[45]
논문
熊野古道の自然空間における生態学的、人文・社会学的価値に関する評価
http://id.nii.ac.jp/[...]
近畿大学工業高等専門学校
[46]
웹사이트
森林作業道等の作設に関する情報
https://www.rinya.ma[...]
林野庁
2024-01-28
[47]
웹사이트
壊れにくい作業路
https://www.rinya.ma[...]
2024-01-28
[48]
웹사이트
災害に強い森林作業道開設の手引き
https://www.pref.miy[...]
宮城県
2023-06-18
[49]
웹사이트
洗い越しの重要性
https://note.com/abu[...]
2024-01-28
[50]
웹사이트
洗い越し工
https://izurin.exblo[...]
出雲地区森林組合
2024-01-28
[51]
웹사이트
林道洗越工設計上の留意点等(案)
https://www.rinya.ma[...]
林野庁
2024-01-28
[52]
웹사이트
低コスト作業道作設技術の確立について
https://www.rinya.ma[...]
東北森林管理局
2024-01-28
[53]
웹사이트
"「落ちたら死ぬ」酷道157号で見たものは…「もう勘弁してくれ!」"
https://withnews.jp/[...]
朝日新聞社
2023-04-10
[54]
서적
城の戦国史 : どう攻めたか いかに守ったか
河出書房新社
2015-04
[55]
서적
これでいいのか静岡県 : 日本の特別地域 特別編集75
マイクロマガジン社
2017-01
[56]
Youtube
【第一人者に聞く】三国志の本当の主人公とは 神レベルに尊敬された伝説の英雄 #02
https://www.youtube.[...]
ゲームさんぽ /ライブドアニュース
[57]
위키문헌
孫子兵法
[58]
서적
그 강에는 물고기가 산다 p3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