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드 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드 팔은 호밀 위스키, 드라이 베르무트, 캄파리를 1:1:1 비율로 섞어 만드는 칵테일이다. 1927년 해리 맥엘혼의 저서에 처음 등장했으며, 파리의 해리스 뉴욕 바 단골 손님이었던 스패로 로빈슨이 고안했다는 설이 있다. 불바디에와 유사하며, 버번 대신 호밀 위스키를, 스위트 베르무트 대신 드라이 베르무트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르무트 기반 칵테일 - 마티니
    마티니는 진과 베르무트를 혼합하여 만드는 칵테일로, 기원은 불분명하나 마티니 & 로시社 마케팅 전략이나 마티네즈 칵테일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며, 금주법 시대를 거치며 인기를 얻고 다양한 종류와 변형이 생겨났고 대중문화, 특히 제임스 본드와 연관되어 있다.
  • 베르무트 기반 칵테일 - 네그로니
    네그로니는 진, 캄파리, 스위트 베르무트를 같은 비율로 섞어 오렌지로 장식하는 이탈리아 칵테일로, 1920년대 프랑스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다양한 변형이 있다.
올드 팔

2. 역사

올드 팔(Old Pal) 칵테일은 불바디에의 변형으로 여겨지며, 1920년대 프랑스 파리에서 활동하던 『뉴욕 헤럴드 트리뷴』의 스포츠 편집자 윌리엄 "스패로우" 로빈슨(William "Sparrow" Robinson영어)이 고안한 것으로 전해진다.[3] 이 칵테일은 해리스 뉴욕 바(Harry's New York Bar)의 소유주였던 해리 맥엘혼(Harry MacElhone)이 1927년에 쓴 책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올드 팔"이라는 이름은 "오랜 친구" 또는 "그리운 친구"라는 의미를 가지며, 로빈슨이 그의 친구 아서 모스(Arthur Moss영어)에게 칵테일을 헌정한 데서 유래했다. 초기 레시피는 캐나디안 클럽 위스키, 이탈리아 버무스(스위트 베르무트), 캄파리를 사용했으나, 이후 호밀 위스키 또는 캐나디안 위스키와 드라이 베르무트를 사용하는 현대적인 형태로 변화했다.

이 칵테일은 한때 IBA 공식 칵테일 목록에 포함될 정도로 인기를 얻었으나, 1987년 개정 시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세계적으로도 알려진 칵테일 중 하나이다.

2. 1. 초기 역사

올드 팔(Old Pal) 칵테일은 1920년대 프랑스 파리에서 활동하던 『뉴욕 헤럴드 트리뷴』(New York Herald Tribune영어)의 스포츠 편집자 윌리엄 "스패로우" 로빈슨(William "Sparrow" Robinson영어)이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그는 해리스 뉴욕 바(Harry's New York Bar)의 단골 손님이었으며, 이 칵테일은 그의 오랜 친구이자 사교계 인사인 아서 모스(Arthur Moss영어)에게 헌정되었다. "올드 팔"이라는 이름은 "오랜 친구" 또는 "그리운 친구"를 의미한다.

이 칵테일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해리스 뉴욕 바의 소유주였던 해리 맥엘혼(Harry MacElhone)이 1927년에 쓴 책에 등장한다. 책 속 레시피 목록에는 없었지만, "타운 주변의 칵테일"이라는 에세이에서 사교계 인사들이 즐겨 마시는 칵테일 중 하나로 불바디에와 함께 언급되었다. 맥엘혼은 책에서 로빈슨이 자신에게 레시피를 알려주며 이 칵테일을 "나의 올드 팔"(My Old Pal영어)이라고 불러달라고 했다고 기록했다. 당시 로빈슨이 제시한 레시피는 캐나디안 클럽 위스키 1/3, 이탈리아 버무스(스위트 베르무트) 1/3, 캄파리 1/3을 섞는 것이었다. 책에는 로빈슨이 1878년에 이 칵테일을 발명했다고 농담처럼 언급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이후 레시피에는 변화가 있었다. 1934년 윌리엄 부스비(William T. Boothby영어)의 책에는 프렌치 버무스(드라이 베르무트)를 사용한 레시피가 처음 등장한다. 이 레시피는 위스키(종류 미지정) 1/3, 프렌치 버무스 1/3, 캄파리 1/3을 얼음과 함께 흔들어 차갑게 마시는 방식이었다. 현대적인 레시피는 1952년에 출판된 맥엘혼의 책 "해리의 칵테일 믹싱 ABC" 개정판에서 확립되었는데, 캐나디안 위스키 1/3, 프렌치 버무스 1/3, 캄파리 1/3을 사용하는 것으로 소개되었다.

올드 팔은 불바디에 칵테일의 변형으로 볼 수 있는데, 불바디에의 버번 위스키 대신 호밀 위스키(또는 캐나디안 위스키)를 사용하고, 스위트 베르무트 대신 드라이 베르무트를 사용하는 점이 다르다.[3] 이 칵테일은 인기를 얻어 1961년 IBA 공식 칵테일 목록에 포함되었으나, 1987년 개정 시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2. 2. 현대적 변화

칵테일은 1927년 해리 맥엘혼(Harry MacElhone)의 책에서 처음 언급되었는데, 당시 레시피는 캐나디안 클럽 위스키, 이탈리아 버무스(스위트 베르무트), 캄파리를 같은 비율로 섞는 것이었다. 이는 파리의 해리스 뉴욕 바(Harry's New York Bar) 단골 손님이었던 스포츠 편집자 윌리엄 "스패로우" 로빈슨(William "Sparrow" Robinson|윌리엄 "스패로우" 로빈슨eng, 뉴욕 헤럴드 트리뷴 편집자)이 자신의 친구 아서 모스를 위해 1920년대에 고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올드 팔"은 아서 모스를 지칭한다.[3]

이후 드라이 베르무트(프렌치 버무스)를 사용하는 레시피가 등장했는데, 1934년 부스비(Boothby)의 책에는 위스키(종류는 명시되지 않음), 프렌치 버무스, 캄파리를 같은 비율로 섞어 얼음과 함께 흔들어 차갑게 마시는 방식으로 소개되었다.

1952년에 발행된 맥엘혼의 책 "해리의 칵테일 믹싱 ABC"에서는 캐나디안 위스키, 프렌치 버무스(드라이 베르무트), 캄파리를 1/3씩 사용하는, 오늘날 알려진 현대적인 레시피가 소개되었다. 이는 불바디에 칵테일의 버번 위스키호밀 위스키나 캐나디안 위스키로 바꾸고, 스위트 베르무트를 드라이 베르무트로 변경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3]

이 칵테일은 인기를 얻어 1961년 IBA 공식 칵테일의 첫 번째 목록 50가지 중 하나로 포함되었으나, 1987년 개정판에서는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올드 팔(Old Pal)"이라는 이름은 "오랜 친구" 또는 "그리운 친구"라는 의미를 가진다.

3. 레시피

올드 팔은 호밀 위스키, 드라이 베르무트, 캄파리를 기본 재료로 사용하는 칵테일이다. 만드는 방법이나 재료의 비율에는 몇 가지 변형이 존재한다.

3. 1. 표준 레시피

재료
만드는 법# 얼음과 함께 모든 재료를 미싱 글라스에 넣고 스테어하여 칵테일 잔에 따른다. 또는 셰이크로 만들기도 한다.

고전적인 레시피에서는 위와 같이 재료를 같은 양으로 사용하지만, 현대적인 레시피에서는 호밀 위스키의 비율을 늘리는 경우도 있다.

호밀 위스키 대신 캐나디안 위스키를 사용하기도 한다.

3. 2. 변형 레시피

고전적인 레시피에서는 호밀 위스키, 드라이 베르무트, 캄파리를 같은 비율로 사용하지만, 현대적인 레시피에서는 호밀 위스키의 비율을 늘리는 경우도 있다. 호밀 위스키 대신 캐나디안 위스키가 사용되기도 한다.

4. 유사한 칵테일

올드 팔은 불바디에 및 네그로니와 유사한 특징을 가진 칵테일이다.

불바디에와는 주로 사용하는 위스키 종류(호밀 위스키버번)와 베르무트 종류(드라이 대 스위트)에서 차이를 보이며, 네그로니와는 기주(호밀 위스키)와 사용되는 베르무트 종류(드라이 대 스위트)에서 차이가 있다.[2]

4. 1. 불바디에

올드 팔은 아서 모스의 에세이에서 처음 등장한 불바디에와 매우 유사하다. 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올드 팔은 버번 대신 캐나다 (호밀) 위스키를 사용하고, 스위트(이탈리아) 베르무트 대신 드라이(프랑스) 베르무트를 사용한다. 다만, 원래 두 칵테일 모두 이탈리아 베르무트를 사용했다는 기록도 있다.

또한, 두 칵테일 모두 처음에는 같은 비율로 만들어졌다. 올드 팔의 IBA 공식 레시피도 동일 비율(1:1:1)이지만, 불바디에는 종종 위스키 비율을 더 높게 만든다. IBA 레시피에서는 1½:1:1 (3:2:2) 비율이며, 2:1:1 비율도 흔하게 사용된다.

이는 네그로니와도 유사한 점이 있는데, 대신 호밀 위스키를 사용하고, 스위트 베르무트 대신 드라이 베르무트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2]

4. 2. 네그로니

네그로니와 유사하지만, 대신 호밀 위스키를 사용하고, 스위트 베르무트 대신 드라이 베르무트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2]

참조

[1] 간행물 Case Study: The Boulevardier https://archive.nyti[...] 2012-02-02
[2] 뉴스 Old Pal Cocktail http://cocktailenthu[...] 2017-01-25
[3] 서적 ABC of MIXING COCKTAILS http://www.aibmproje[...]
[4] 뉴스 Old Pal Cocktail http://cocktailenthu[...] 2017-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