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캐나디안 위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캐나디안 위스키는 캐나다에서 제조되는 위스키로, 곡물을 원료로 하여 캐나다 내에서 증류, 숙성 과정을 거쳐야 하며, 최소 3년 이상 오크통에서 숙성되어야 한다. 18세기와 19세기 초 곡물 제분소에서 시작되어, 미국 금주법 시대를 거치며 캐나다 위스키는 미국으로의 밀수를 통해 성장했다. 옥수수, 호밀, 보리 맥아 등을 사용하며, 블렌디드 위스키가 주를 이루지만, 싱글 몰트 위스키도 생산된다. 주요 증류소로는 앨버타 증류소, 블랙 벨벳 증류소, 하이우드 증류소 등이 있으며, 캐나디안 클럽, 크라운 로열, 블랙 벨벳 등이 대표적인 브랜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위스키 - 파이어볼 시나몬 위스키
    파이어볼 시나몬 위스키는 시그램에서 개발되어 현재 사제락 컴퍼니에서 판매하는 시나몬 향이 첨가된 위스키 기반 리큐어이며, 소셜 미디어와 입소문 마케팅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프로필렌 글라이콜 함량 문제로 논란이 있었고, 이후 EU 규정을 준수하는 제품으로 대체되었다.
캐나디안 위스키
기본 정보
캐나다 위스키 정물 사진
캐나다 위스키 정물 사진
종류위스키
원산지캐나다
주재료호밀
옥수수
맥아
알코올 함량40% 이상 (최소)
역사 및 규정
정의캐나다 법률에 따름
규정캐나다에서 증류 및 숙성되어야 함
최소 3년 이상 작은 오크통에서 숙성
최소 40%의 알코올 함량
역사18세기 후반: 위스키 생산 시작
19세기: "호밀 위스키"로 알려짐
20세기: 블렌딩 기술 발전
생산
주요 생산 지역온타리오주
매니토바주
앨버타주
퀘벡주
제조 과정발효
증류
숙성
병입
독특한 특징다양한 곡물 사용 (특히 호밀)
블렌딩 기술의 발달
부드러운 맛과 향
종류 및 브랜드
주요 브랜드캐나디안 클럽
크라운 로열
시그램 VO
블랙 벨벳
위슬러
글렌 브레턴
음용
음용법스트레이트
온더락
칵테일 (예: 맨해튼, 올드 패션드)
음식과의 조화치즈
육류 요리
초콜릿

2. 역사

18세기와 19세기 초, 곡물 제분소들은 남은 곡물을 증류하여 부패를 방지했다. 이 시기 위스키는 대부분 거칠고 숙성되지 않은 밀 위스키였다. 미국과 유럽 이민자들은 밀과 호밀 증류 경험을 바탕으로 증류 기술을 캐나다로 가져왔다. 초기 위스키는 부패하기 쉬운 곡물을 사용하여 즉석 증류기에서 만들어졌으며, 통제되지 않은 도수로 생산되어 숙성되지 않은 채 현지에서 소비되었다.[10]

캐나다에서 최초로 상업적 규모의 위스키 생산이 시작된 것은 1801년 존 몰슨이 몬트리올에서 럼 생산에 사용되던 구리 단식 증류기를 구매하면서부터였다. 그의 아들 토마스 몰슨과 제임스 모턴은 몬트리올과 킹스턴에서 증류소를 운영하며 위스키를 수출했다. 나폴레옹 전쟁으로 프랑스 와인과 브랜디 공급이 어려워지자 이들은 이익을 얻었다.[10]

구더햄 앤 워츠 건물, 19세기 경. 1860년대에 이 증류소는 세계 최대의 위스키 생산 업체가 되었다.


구더햄 앤 워츠는 1837년 토론토에서 밀가루 제분 사업의 부업으로 위스키 생산을 시작했다. 1850년대에 Distillery District에 새로운 증류소를 건설하면서 몰슨의 생산량을 넘어섰다. 헨리 코비는 1859년 코비빌에서 제분소 부업으로 위스키를 증류하기 시작했다. 조셉 시그램은 1864년 워털루 제분소와 증류소에서 일하기 시작하여 1883년에 인수했다. 한편, 미국인 하이럼 워커는 1858년 윈저로 이주하여 제분소와 증류소를 열었고, J.P. 와이저는 1857년 프레스콧으로 이주하여 삼촌의 증류소에서 일하면서 호밀 위스키를 소개하고 5년 후 증류소를 구매했다.[10]

1850년대에는 연속식 증류기가 도입되었고, 19세기 후반부터는 옥수수 등도 원료로 사용되면서 캐나다 위스키는 맛이 변화하기 시작했다. 미국 남북 전쟁은 캐나다산 위스키, 특히 숙성을 시작한 워커와 와이저의 위스키에 대한 수출 기회를 제공했다. 전후 관세 도입에도 불구하고 이 시장은 유지되었다.[10]

2. 1. 미국 금주법 시대와 캐나디안 위스키

미국에서 금주법이 시행되면서, 캐나다 위스키 산업은 큰 변화를 겪었다. 금주법은 1920년 1월 16일부터 1933년 12월 5일까지 시행되었는데, 이 기간 동안 미국 내 위스키 생산은 큰 타격을 입었다.[11][14]

1905년~1915년경 온타리오주 윈저의 증류소. 캐나다-미국 국경 근처의 증류소는 밀주업자들에게 미국 금주법 기간 동안 술을 공급했다.


표면적으로는 캐나다 위스키도 수입 금지 대상이었지만, 지리적 이점 덕분에 밀수가 성행했다. 캐나다는 미국과 긴 국경을 접하고 있어 감시가 어려웠고, 이를 틈타 많은 양의 캐나다 위스키가 미국으로 밀수되었다.[20][21] 특히, 하이럼 워커사와 시그램사는 디트로이트 강 건너편 온타리오주 윈저에 증류소를 두고 소형 고속선을 이용해 손쉽게 밀수할 수 있었다.

미국 영어에서 'bootleg'는 밀수된 술, 특히 캐나다산 위스키를 의미하는 단어로 널리 알려졌다. 금주법 시대 미국에서 소비된 위스키의 3분의 2가 캐나다산이었다는 이야기도 있을 정도로, 캐나다 위스키는 미국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11][14]

미국 금주법 시대는 캐나다 위스키 산업에 위험과 불안정을 초래했지만, 동시에 기회이기도 했다.[13] 일부 캐나다 증류소들은 사용하지 않는 미국 증류 장비를 구매하여 이익을 얻었고, 브론프만 가문처럼 미국으로 위스키를 밀수하여 큰돈을 벌기도 했다.

금주법이 철폐된 후에도, 숙성 기간이 필요한 미국 위스키와 달리 캐나다 위스키는 즉시 공급이 가능했기 때문에 미국 내 인기를 유지할 수 있었다. 사무엘 브론프만은 금주법 종료를 예측하고 생산 능력을 늘려, 시그램을 빠르게 성장시켰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비자들의 기호 변화에 따라 캐나디안 위스키의 특징들이 부합하면서 세계적으로 소비가 증가했다.[11]

일부 생산 시설은 제2차 세계 대전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용 알코올 생산으로 전환되었지만, 전쟁 후 1980년대까지 위스키 산업은 다시 확장되었다.[11] 1945년, 쉔리 산업은 밸리필드에 있는 산업용 알코올 증류소 중 하나를 구매하여 골든 웨딩, 올드 파인 코퍼와 같은 몇몇 폐쇄된 미국 위스키 브랜드를 다시 사용하고, 1972년부터는 깁슨스 파이니스트를 생산하기 시작했다.[11]

바튼 브랜드는 캐나다 위스키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1967년 콜링우드에 새로운 증류소를 건설하여 캐네디언 미스트를 생산했지만, 4년 후 증류소와 브랜드를 브라운-포먼에 매각했다.[11] 미국으로 가는 해운 항로(기차 및 배)와의 근접성이 덜 중요해지면서 앨버타와 매니토바에 대규모 증류소가 설립되었다.[11]

토론토 진 증류소에서 위스키 실험을 시작한 지 5년 후, W. & A. 길비 사는 1951년 블랙 벨벳 블렌드를 만들었고, 그 성공으로 인해 1973년 레스브릿지에 새로운 증류소를 건설하여 생산했다.[11]

김리의 김리 공장 표지판. 이 증류소는 시그램에서 사용하기 위해 1969년에 건설되었다.


서부에서는 캘거리에 기반을 둔 사업 그룹이 1948년 브리티시 컬럼비아 출신의 리펠을 영입하여 앨버타 증류소 운영을 감독했다.[11] 이 회사는 위스키를 미국으로 벌크 선적하여 병입하는 관행의 혁신자가 되었으며, 윈저 캐나디안 브랜드(앨버타에서 생산되었지만 미국에서 병입됨)의 성공으로 인해 내셔널 디스틸러스 리미티드는 1964년에 앨버타 증류소를 구매하여 공급망을 확보했다.[11] 더 많은 앨버타 투자자들은 1974년 하이 리버에 하이우드 증류소를 설립하여 밀 기반 위스키를 전문으로 했다.[11]

시그램은 1969년 김리에 대규모 신규 공장을 열어 워털루와 라살 증류소를 대체하게 되었다.[11] 브리티시 컬럼비아에서 앨버타 증류소에서 증류한 알코올로 과일 리큐어를 생산하던 어니 포터는 1958년 랭리에 자신의 위스키 증류소를 건설하고 포터와 센추리 브랜드의 위스키를 생산했다.[11] 하이럼 워커는 1970년 윈필드에 오카나간 증류소를 건설하여 캐네디언 클럽을 생산할 계획이었지만, 산토리에 위스키를 생산하는 계약을 이행하기 위해 방향을 바꾸었고, 1995년에 폐쇄되었다.[11]

수십 년간의 확장 이후, 미국 시장에서 보드카와 같은 백색 증류주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변화하면서 캐나다 위스키의 과잉 공급이 발생했다.[16] 이는 위스키의 숙성 기간을 늘릴 수 있게 했지만, 예상치 못한 보관 비용과 연기된 수익으로 개별 회사가 어려움을 겪었다.[16] 증류업체들이 투자자를 찾고 다국적 기업들이 가치 브랜드를 찾으면서 일련의 인수 및 합병이 발생했다.[16]

앨버타 증류소는 1987년 포춘 브랜드에 인수되었고, 이 회사는 산토리 글로벌 스피릿츠의 일부가 되었다.[16] 하이럼 워커는 1987년 얼라이드 리옹스에 매각되었고, 페르노리카가 2006년에 인수하면서 포춘 브랜드가 캐네디언 클럽 브랜드를 인수했다.[16] 그랑 메트로폴리탄은 1972년에 블랙 벨벳을 구매했지만, 1999년에 콘스텔레이션 브랜드에 매각했고, 콘스텔레이션 브랜드는 2019년에 헤븐 힐에 매각했다.[17] 쉔리는 1990년 유나이티드 디스틸러스에 인수되었고, 이 회사는 디아지오의 일부가 되었지만, 깁슨스 파이니스트는 2001년 윌리엄 그랜트 앤 선즈에 매각되었다.[17]

시그램은 2000년 비방디에 매각되었고, 비방디는 다양한 브랜드와 증류소를 페르노리카와 디아지오에 매각했다.[18] 하이우드는 2006년에 포터를 구매했다.[18] 이러한 통합에도 불구하고, 그림스비의 키틀링 리지 증류소는 포티 크릭 브랜드를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2014년에 캄파리 그룹에 매각되었다.[18] 이후 사제락 컴퍼니는 2018년에 디아지오로부터 시그램의 VO, 캐나디안 83 및 파이브 스타 브랜드를 구매했다.[19]

2. 3. 현대의 캐나디안 위스키

1880년대 캐나다의 국가 정책은 위스키가 병에 담겨 판매되기 시작하면서 외국 알코올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했고, 연방 정부는 위스키가 숙성된 시간을 인증하고 해당 기간 동안 세금 납부를 연기할 수 있는 본드 숙성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숙성을 장려했다.[10] 1890년 캐나다는 위스키 숙성 기간을 최소 2년으로 규정하는 숙성 관련 법률을 제정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증가하는 금주 운동은 1916년 금주법으로 절정에 달했고, 증류소는 수출 시장을 전문으로 하거나 전쟁 노력을 지원하는 데 수요가 있는 산업용 알코올과 같은 대체 제품으로 전환해야 했다.[11][12]

해리 해치는 20세기 초에 여러 캐나다 증류소를 통합한 캐나다 산업가였다.


숙성 법률의 연기된 수익과 보관 비용이 신규 진입자에게 장벽으로 작용하고, 금주법으로 인해 시장이 축소되면서 캐나다 위스키의 통합이 시작되었다. 헨리 코비 주니어는 아버지의 증류소를 현대화하고 확장하여 1905년에 사업가 모티머 데이비스에게 매각했으며, 데이비스는 1918년에 J.P. 와이저의 상속인으로부터 와이저 증류소도 구매했다. 데이비스의 판매원 해리 해치는 코비와 와이저 브랜드를 홍보하고 캐나다 금주법이 종료되고 미국 금주법이 시작되면서 유지된 미국 내 유통망을 개발하는 데 시간을 보냈다. 해치는 데이비스와 불화한 후 1923년에 고전하던 구더햄 앤 워츠를 구매하고 데이비스의 위스키를 자신의 위스키로 교체했다. 해치는 1926년에 하이럼의 손자로부터 워커 증류소와 인기 있는 캐네디언 클럽 브랜드를 구매할 수 있을 정도로 성공했다.[13]

미국 금주법은 캐나다 위스키 산업에 위험과 불안정을 초래했지만, 일부는 사용하지 않는 미국 증류 장비를 구매하고 수출업자(실제로 생피에르 미클롱과 같은 외국으로, 실제로는 부츠레거에게 미국으로)에게 판매하여 이익을 얻었다. 해치와 함께 브론프만 가문은 금주법 기간 동안 미국으로 향하는 위스키를 만들어 이익을 얻을 수 있었지만, 대부분 캐나다 서부에서였으며, 라살에 증류소를 열고 1928년에 금주 시장으로 전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시그램과 회사를 합병할 수 있었다. 사무엘 브론프만은 회사의 사장이 되었고, 그의 지배적인 성격으로 금주법 종료를 예상하여 생산 능력을 늘리고 위스키를 숙성시키는 전략을 시작했다. 1933년에 금주법이 실제로 종료되었을 때, 시그램은 빠르게 확장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그들은 1935년에 리펠 가문으로부터 브리티시 컬럼비아 증류 회사를 구매했으며, 여러 미국 증류소를 구매하고 새로운 브랜드를 출시했는데, 그 중 하나가 1939년에 크라운 로열로, 결국 가장 많이 팔리는 캐나다 위스키 중 하나가 되었다.[11][14]

일부 생산 능력이 자국의 제2차 세계 대전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용 알코올 생산으로 전환되었지만, 이 산업은 전쟁 후 1980년대까지 다시 확장되었다. 1945년, 쉔리 산업은 밸리필드에 있는 그러한 산업용 알코올 증류소 중 하나를 구매하여 골든 웨딩, 올드 파인 코퍼와 같은 몇몇 폐쇄된 미국 위스키 브랜드를 재사용하고, 1972년부터는 깁슨스 파이니스트를 시작했다. 캐나다 위스키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바튼 브랜드는 1967년 콜링우드에 새로운 증류소를 건설하여 캐네디언 미스트를 생산했지만, 불과 4년 후 증류소와 브랜드를 브라운-포먼에 매각했다. 미국으로 가는 해운 항로(기차 및 배)와의 근접성이 덜 중요해지면서 앨버타와 매니토바에 대규모 증류소가 설립되었다. 토론토 진 증류소에서 위스키 실험을 시작한 지 5년 후, W. & A. 길비 사는 1951년 블랙 벨벳 블렌드를 만들었고, 그 성공으로 인해 1973년 레스브릿지에 새로운 증류소를 건설하여 생산했다.

또한 서부에서는 캘거리에 기반을 둔 사업 그룹이 1948년 브리티시 컬럼비아 출신의 리펠을 영입하여 앨버타 증류소 운영을 감독했다. 이 회사는 위스키를 미국으로 벌크 선적하여 병입하는 관행의 혁신자가 되었으며, 윈저 캐나디안 브랜드(앨버타에서 생산되었지만 미국에서 병입됨)의 성공으로 인해 내셔널 디스틸러스 리미티드는 1964년에 앨버타 증류소를 구매하여 공급망을 확보했다. 더 많은 앨버타 투자자들은 1974년 하이 리버에 하이우드 증류소를 설립하여 밀 기반 위스키를 전문으로 했다. 시그램은 1969년 김리에 대규모 신규 공장을 열어 워털루와 라살 증류소를 대체하게 되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에서 앨버타 증류소에서 증류한 알코올로 과일 리큐어를 생산하던 어니 포터는 1958년 랭리에 자신의 위스키 증류소를 건설하고 포터와 센추리 브랜드의 위스키를 생산했다. 하이럼 워커는 1970년 윈필드에 오카나간 증류소를 건설하여 캐네디언 클럽을 생산할 계획이었지만, 산토리에 위스키를 생산하는 계약을 이행하기 위해 방향을 바꾸었고, 1995년에 폐쇄되었다.[11][15]

수십 년간의 확장 이후, 미국 시장에서 보드카와 같은 백색 증류주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변화하면서 캐나다 위스키의 과잉 공급이 발생했다.[16] 이는 위스키의 숙성 기간을 늘릴 수 있게 했지만, 예상치 못한 보관 비용과 연기된 수익으로 개별 회사가 어려움을 겪었다. 증류업체들이 투자자를 찾고 다국적 기업들이 가치 브랜드를 찾으면서 일련의 인수 및 합병이 발생했다. 앨버타 증류소는 1987년 포춘 브랜드에 인수되었고, 이 회사는 산토리 글로벌 스피릿츠의 일부가 되었다. 하이럼 워커는 1987년 얼라이드 리옹스에 매각되었고, 페르노리카가 2006년에 인수하면서 포춘 브랜드가 캐네디언 클럽 브랜드를 인수했다. 그랑 메트로폴리탄은 1972년에 블랙 벨벳을 구매했지만, 1999년에 콘스텔레이션 브랜드에 매각했고, 콘스텔레이션 브랜드는 2019년에 헤븐 힐에 매각했다.[17] 쉔리는 1990년 유나이티드 디스틸러스에 인수되었고, 이 회사는 디아지오의 일부가 되었지만, 깁슨스 파이니스트는 2001년 윌리엄 그랜트 앤 선즈에 매각되었다. 시그램은 2000년 비방디에 매각되었고, 비방디는 다양한 브랜드와 증류소를 페르노리카와 디아지오에 매각했다.[18] 하이우드는 2006년에 포터를 구매했다. 이러한 통합에도 불구하고, 그림스비의 키틀링 리지 증류소는 포티 크릭 브랜드를 생산하기 시작했지만, 2014년에 캄파리 그룹에 매각되었다. 이후 사제락 컴퍼니는 2018년에 디아지오로부터 시그램의 VO, 캐나디안 83 및 파이브 스타 브랜드를 구매했다.[19]

1920년 1월 16일부터 1933년 12월 5일까지 이웃 나라인 미국이 금주법 시대로 접어들면서 캐나디안 위스키는 전환점을 맞았다. 금주법은 미국의 위스키 생산에 큰 타격을 주었고, 캐나다 위스키는 미국으로 밀수되었다.

미국 영어에서 부틀렉(bootleg)은 밀수된 술을 의미하는 단어로, 캐나다산 위스키는 부틀렉으로 잘 알려진 상품이 되었다. 하이럼 워커사와 시그램사는 디트로이트 강을 건너 밀수할 수 있도록 온타리오주 윈저에 설비를 갖추고 있었다.

미국에서 금주법이 시행되어도 위스키 소비량은 변하지 않았고, 이 무렵 미국에서 소비된 위스키의 3분의 2는 캐나다산이었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캐나다의 위스키 산업은 크게 발전했다. 미국에서 금주법이 철폐된 후에도 아메리칸 위스키가 부활할 때까지 캐나디안 위스키는 미국 내에서 확고한 평가와 인기를 얻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비자 기호 변화에 부합했기 때문에 캐나디안 위스키는 세계적으로 소비되었다.

3. 제조 방법

캐나디안 위스키는 캐나다 법률에 따라 엄격하게 제조된다. 캐나다에서 법이 정비된 이후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브랜드에 따라 원료 배합 비율이나 숙성 방법 등은 다를 수 있다.

캐나디안 위스키는 주로 옥수수, 호밀을 사용하며, 이나 보리를 사용하기도 하는 혼합(블렌딩) 위스키이다.[5] 저렴한 미국 옥수수는 향료 위스키를 혼합하는 기본 위스키 제조에 주로 사용되나, 밀을 전문으로 사용하는 하이우드 증류소와 호밀 증류를 전문으로 하는 앨버타 증류소 같은 예외도 있다.[5]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1. 당화: 원료에 을 더하고, 맥아 효소로 원료 속 전분을 당화시킨다.

2. 발효: 당화된 액체에 효모를 넣어 발효시켜 술덧(양조주)을 만든다. 보리류 술덧과 옥수수 술덧은 별도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증류: 두 종류의 술덧을 각각 주로 연속식 증류기를 사용하여 증류한다. 옥수수 증류주는 보리류 증류주보다 알코올 도수가 높게 증류된다.

4. 숙성: 각각의 증류주를 180리터 이하 나무 통에서 3년 이상 숙성시킨다. 보리류 증류주는 주로 안쪽을 불로 태운 새 통이나 중고 통을, 옥수수 증류주는 버번 통을 재료로 '''재생한 통'''[42]을 사용한다.

5. 블렌딩 및 출하: 보리류 증류주(플레이버링 위스키)와 옥수수 증류주(베이스 위스키)를 블렌딩한다.[43] 블렌딩 비율은 베이스 위스키 88~96%, 플레이버링 위스키 4~12% 정도이며, 와인이나 브랜디 등의 향미액을 사용하기도 한다.

캐나다 ''식품 및 의약품법''에 따르면, 위스키는 "캐나다에서 매싱, 증류 및 숙성"되어야 하고, "소형 나무 용기에서 3년 이상 숙성"되어야 하며, "부피 기준 40% 이상의 알코올"을 포함해야 하고, "카라멜과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4]

3. 1. 정의 및 규정

캐나다에서는 역사적으로 더 많은 풍미를 내기 위해 매시 빌에 약간의 호밀을 첨가한 옥수수 기반 위스키를 "라이"라고 불렀다.[3]

캐나다의 ''식품 및 의약품법''에 따른 규정은 "캐나디안 위스키" 또는 "캐나디안 라이 위스키"(또는 "라이 위스키")로 제품의 라벨을 표시하기 위해 충족해야 하는 최소 조건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지리적 표시제 협정을 통해 국제적으로도 유지된다. 이 규정에 따르면 위스키는 "캐나다에서 매싱, 증류 및 숙성되어야"하며, "소형 나무 용기에서 3년 이상 숙성되어야", "부피 기준으로 40% 이상의 알코올을 포함해야" 하며, "카라멜과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매개변수 내에서 캐나디안 위스키는 특히 "향료"의 허용과 관련하여 상당히 다양할 수 있지만, "캐나디안 위스키에 일반적으로 귀속되는 향, 맛 및 특징을 가져야 한다"는 추가 요건은 제한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4]

캐나디안 위스키는 주로 혼합(블렌딩) 위스키로, 주로 옥수수호밀을 사용하지만, 때로는 또는 보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부 향료 위스키에는 여러 곡물의 매시 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곡물에 비해 사용 가능한 전분의 비율이 더 높은 저렴한 미국 옥수수의 가용성은 향료 위스키를 혼합하는 기본 위스키를 만드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게 했다. 이에 대한 예외는 밀 사용을 전문으로 하는 하이우드 증류소(Highwood Distillery)와 호밀 증류를 전문으로 하는 자체 효모 균주를 개발한 앨버타 증류소(Alberta Distillers)가 있다.[5] 향료 위스키는 가장 일반적으로 라이 위스키로, 제품에 혼합되어 대부분의 맛과 향을 더한다. 캐나디안 위스키는 "라이 위스키"로 표시될 수 있지만, 이 혼합 기술은 맛을 내기 위해 소량(예: 10%)의 호밀만 필요로 하며, 더 쉽게 증류되는 옥수수와 함께 매시 빌에 추가하는 경우 훨씬 더 많은 호밀이 필요하다.[6]

기본 위스키는 180~190 프루프 사이로 증류되어 동족체 부산물(예: 퓨젤 알코올, 알데히드, 에스테르 등)이 거의 생성되지 않아 맛이 가벼워진다.[7] 이에 비해 160 프루프 이상으로 증류된 미국 위스키는 "라이트 위스키"로 표시된다.[8] 향료 위스키는 곡물의 풍미를 더 많이 유지하기 위해 더 낮은 프루프로 증류된다. 기본 위스키 사용으로 생성된 상대적인 가벼움은 캐나디안 위스키를 칵테일하이볼에 섞는 데 유용하게 만든다. 소형 나무 배럴에서 최소 3년 숙성은 블렌드에 사용되는 모든 위스키에 적용된다. 규정은 사용해야 하는 특정 유형의 나무를 제한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유형의 배럴에서 숙성된 위스키를 혼합하여 다양한 풍미를 얻을 수 있다. 새 나무 배럴 외에도 탄화 또는 비탄화된, 이전에 사용된 버번 위스키 또는 강화 와인 배럴에서 위스키를 서로 다른 기간 동안 숙성하여 풍미를 더할 수 있다.[9]

캐나디안 위스키는 캐나다 법률에 의해 규정된다. 이에 따르면 캐나디안 위스키는 곡물만을 원료로 하며[40] 이를 맥아의 전분 분해 효소로 당화시키고, 효모발효시키며[40] 캐나다 국내에서 증류하고 용량 700L 이하의 오크통을 사용하여 숙성하며, 최소 3년 이상의 숙성 기간을 거쳐야 한다.[40] 또한 숙성은 캐나다 국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캐나디안 위스키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없다.

3. 2. 원료

캐나디안 위스키는 주로 혼합(블렌딩) 위스키로, 옥수수, 호밀을 사용하며, 때로는 또는 보리를 사용하기도 한다.[5] 일부 향료 위스키에는 여러 곡물의 매시 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곡물에 비해 사용 가능한 전분의 비율이 더 높은 저렴한 미국 옥수수의 가용성은 향료 위스키를 혼합하는 기본 위스키를 만드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게 했다. 이에 대한 예외는 밀 사용을 전문으로 하는 하이우드 증류소(Highwood Distillery)와 호밀 증류를 전문으로 하는 자체 효모 균주를 개발한 앨버타 증류소(Alberta Distillers)가 있다.[5]

캐나다에서는 역사적으로, 더 많은 풍미를 내기 위해 매시 빌에 약간의 호밀을 첨가한 옥수수 기반 위스키를 "라이"라고 불렀다.[3] 향료 위스키는 가장 일반적으로 라이 위스키로, 제품에 혼합되어 대부분의 맛과 향을 더한다. 캐나디안 위스키는 "라이 위스키"로 표시될 수 있지만, 이 혼합 기술은 맛을 내기 위해 소량(예: 10%)의 호밀만 필요로 하며, 더 쉽게 증류되는 옥수수와 함께 매시 빌에 추가하는 경우 훨씬 더 많은 호밀이 필요하다.[6]

일본 자료에 따르면, 캐나디안 위스키의 원료는 주로 옥수수, 호밀, 보리 맥아 등이다. 이 외에 맥아가 원료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원료의 사용 비율은 임의로 정해지지만, "캐나디안 라이 위스키"(단순히 "라이 위스키"라고도 함)라는 이름을 사용하려면 호밀의 사용 비율이 51%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사용량에 제한이 있지만, 위스키와 전혀 관계없는 향미액 (와인이나 브랜디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3. 3. 제조 공정

캐나다에서는 위스키 제조 시 호밀을 첨가하여 풍미를 더하는 전통이 있었으며, 이 때문에 옥수수 기반 위스키도 "라이"라고 불렸다.[3]

캐나다 ''식품 및 의약품법''은 "캐나디안 위스키" 또는 "캐나디안 라이 위스키"(또는 "라이 위스키") 라벨을 위한 최소 조건을 규정하며, 이는 지리적 표시제 협정으로 국제적으로도 유지된다. 이 규정에 따르면 위스키는 "캐나다에서 매싱, 증류 및 숙성"되어야 하고, "소형 나무 용기에서 3년 이상 숙성"되어야 하며, "부피 기준 40% 이상의 알코올"을 포함해야 하고, "카라멜과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4]

캐나디안 위스키는 주로 옥수수호밀을 사용한 혼합(블렌딩) 위스키이며, 이나 보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부 향료 위스키는 여러 곡물의 매시 빌을 사용한다. 저렴한 미국 옥수수는 향료 위스키를 혼합하는 기본 위스키 제조에 주로 사용된다. 예외적으로 밀을 전문으로 사용하는 하이우드 증류소와 호밀 증류를 전문으로 하는 앨버타 증류소가 있다.[5]

향료 위스키는 주로 라이 위스키로, 제품에 혼합되어 맛과 향을 더한다. 캐나디안 위스키는 "라이 위스키"로 표시될 수 있지만, 소량(예: 10%)의 호밀만으로도 충분하며, 옥수수와 함께 매시 빌에 추가할 경우 더 많은 호밀이 필요하다.[6]

기본 위스키는 180~190 프루프 사이로 증류되어 동족체 부산물이 거의 생성되지 않아 맛이 가벼워진다.[7] 160 프루프 이상으로 증류된 미국 위스키는 "라이트 위스키"로 표시된다.[8] 향료 위스키는 곡물 풍미 유지를 위해 더 낮은 프루프로 증류된다. 기본 위스키의 가벼움은 캐나디안 위스키를 칵테일하이볼에 유용하게 만든다. 최소 3년 숙성은 블렌드에 사용되는 모든 위스키에 적용된다. 규정은 특정 나무 유형을 제한하지 않아, 다양한 배럴에서 숙성된 위스키를 혼합하여 다양한 풍미를 낼 수 있다. 새 나무 배럴 외에도 탄화 또는 비탄화된, 이전에 사용된 버번 위스키 또는 강화 와인 배럴에서 위스키를 숙성하여 풍미를 더할 수 있다.[9]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당화: 원료에 을 더하고, 원료 속 전분을 맥아 효소로 당화시킨다. 효모는 전분을 그대로 알코올로 분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2. 발효: 당화된 액체를 효모로 발효시켜 술덧(양조주)을 만든다. 보리류 술덧과 옥수수 술덧은 별도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리류 술덧은 호밀이 주가 되며, 옥수수 술덧에는 소량의 보리 맥아가 사용된다.

3. 증류: 두 종류의 술덧을 각각 주로 연속식 증류기를 사용하여 증류한다. 보리류 증류주와 옥수수 증류주가 별도로 제조된다. 옥수수 증류주는 보리류 증류주보다 알코올 도수가 높게 증류된다. 증류 후 숙성에 적합한 알코올 도수가 되도록 가수한다.

4. 숙성: 각각의 증류주를 통에 저장하여 숙성시킨다. 두 종류의 증류주는 180리터 이하 나무 통에서 3년 이상 숙성되어야 한다. 보리류 증류주는 안쪽을 불로 태운 새 통이나 중고 통을 주로 사용한다. 옥수수 증류주는 버번 통을 재료로 '''재생한 통'''[42]을 주로 사용한다.

5. 블렌딩 및 출하: 캐나디안 위스키는 보리류 증류주(플레이버링 위스키)와 옥수수 증류주(베이스 위스키)를 블렌딩하여 제조한다.[43] 플레이버링 위스키는 향이 강하며, 베이스 위스키는 개성이 적어 플레이버링을 위한 토대로 사용된다. 블렌딩 비율은 베이스 위스키 88~96%, 플레이버링 위스키 4~12% 정도이다. 플레이버링으로 와인이나 브랜디 등의 향미액을 사용하기도 한다. 통 숙성 후 가수를 통해 알코올 도수 40도 정도의 제품으로 출하한다.

4. 특징

캐나다에서는 역사적으로 더 많은 풍미를 내기 위해 매시 빌에 약간의 호밀을 첨가한 옥수수 기반 위스키를 "라이"라고 불렀다.[3]

캐나다의 ''식품 및 의약품법''에 따른 규정은 "캐나디안 위스키" 또는 "캐나디안 라이 위스키"(또는 "라이 위스키")로 제품의 라벨을 표시하기 위해 충족해야 하는 최소 조건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지리적 표시제 협정을 통해 국제적으로도 유지된다. 이 규정에 따르면 위스키는 "캐나다에서 매싱, 증류 및 숙성되어야"하며, "소형 나무 용기에서 3년 이상 숙성되어야", "부피 기준으로 40% 이상의 알코올을 포함해야" 하며, "카라멜과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4] 이러한 매개변수 내에서 캐나디안 위스키는 특히 "향료"의 허용과 관련하여 상당히 다양할 수 있지만, "캐나디안 위스키에 일반적으로 귀속되는 향, 맛 및 특징을 가져야 한다"는 추가 요건은 제한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4]

캐나디안 위스키는 주로 혼합(블렌딩) 위스키로, 주로 옥수수호밀을 사용하지만, 때로는 또는 보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부 향료 위스키에는 여러 곡물의 매시 빌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곡물에 비해 사용 가능한 전분의 비율이 더 높은 저렴한 미국 옥수수의 가용성은 향료 위스키를 혼합하는 기본 위스키를 만드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게 했다. 이에 대한 예외는 밀 사용을 전문으로 하는 하이우드 증류소(Highwood Distillery)와 호밀 증류를 전문으로 하는 자체 효모 균주를 개발한 앨버타 증류소(Alberta Distillers)가 있다.[5] 향료 위스키는 가장 일반적으로 라이 위스키로, 제품에 혼합되어 대부분의 맛과 향을 더한다. 캐나디안 위스키는 "라이 위스키"로 표시될 수 있지만, 이 혼합 기술은 맛을 내기 위해 소량(예: 10%)의 호밀만 필요로 하며, 더 쉽게 증류되는 옥수수와 함께 매시 빌에 추가하는 경우 훨씬 더 많은 호밀이 필요하다.[6]

기본 위스키는 180~190 프루프 사이로 증류되어 동족체 부산물(예: 퓨젤 알코올, 알데히드, 에스테르 등)이 거의 생성되지 않아 맛이 가벼워진다.[7] 이에 비해 160 프루프 이상으로 증류된 미국 위스키는 "라이트 위스키"로 표시된다.[8] 향료 위스키는 곡물의 풍미를 더 많이 유지하기 위해 더 낮은 프루프로 증류된다. 기본 위스키 사용으로 생성된 상대적인 가벼움은 캐나디안 위스키를 칵테일하이볼에 섞는 데 유용하게 만든다. 소형 나무 배럴에서 최소 3년 숙성은 블렌드에 사용되는 모든 위스키에 적용된다. 규정은 사용해야 하는 특정 유형의 나무를 제한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유형의 배럴에서 숙성된 위스키를 혼합하여 다양한 풍미를 얻을 수 있다. 새 나무 배럴 외에도 탄화 또는 비탄화된, 이전에 사용된 버번 위스키 또는 강화 와인 배럴에서 위스키를 서로 다른 기간 동안 숙성하여 풍미를 더할 수 있다.[9]

5. 종류

캐나디안 위스키는 크게 블렌디드 위스키, 싱글 몰트 위스키, 화이트 위스키로 나눌 수 있다.

블렌디드 위스키는 여러 증류소에서 생산된 다양한 원액을 혼합하여 만든 위스키로, 캐나디안 위스키의 주류를 이룬다. 앨버타 디스틸러스, 캐나디안 미스트 디스틸러스, 하이우드 디스틸러스, 하이람 워커, 포티 크릭 등 다양한 증류소에서 생산되고 있다.

싱글 몰트 위스키는 한 증류소에서 생산된 몰트(보리)만을 사용하여 만든 위스키이다. 노바스코샤 주 글렌빌에 위치한 Glenora Distillery|글레노라 증류소영어에서 생산되는 글렌 브레튼 레어가 대표적이다.

화이트 캐나디안 위스키는 세계 최초의 무색 투명한 위스키로, 4회의 증류와 3회의 활성탄 여과를 통해 만들어진다.[44] 이는 나무 통에서 숙성시킨 후 무색 투명하게 만든 것으로, 숙성되지 않은 증류주와는 다르다.

5. 1. 블렌디드 위스키

증류소계열사 및 위치주요 제품
앨버타 디스틸러스빔사 산하, 앨버타 주캘거리Alberta Springs Rye Whisky 10년, Tangle Ridge Aged 10년
얼라이드 도메크McGuinness Silk Tassel
Bartons Canadian 36개월, Canadian Host, Canadian Supreme, Corbys Canadian 36개월, McMaster's, Northern Lights
캐나디안 미스트 디스틸러스브라운–포어맨 계열, 온타리오 주
센추리 디스틸링브리티시컬럼비아 주밴쿠버Century Reserve 8년, Century Reserve 13년, Century Reserve 15년, Century Reserve 21년
코비 디스틸러리즈온타리오 주토론토Gooderham & Worts Ltd, Lot No. 40, Pike Creek, Royal Reserve
하이우드 디스틸러스[45]앨버타 주Centennial - 10년산 라이 위스키, Highwood Canadian - 라이 위스키, Saskatchewan Wheatland - 라이 위스키
하이람 워커온타리오 주윈저Canadian Club Premium, Canadian Club Sherry Cask 8년, Canadian Club Reserve 10년, Canadian Club Premium Classic 12년, Hiram Walker Special Old - 라이 위스키, Wisers De Luxe, Wisers De Luxe 10년, Wisers Very Old, Wisers Special Blend, Rich & Rare
포티 크릭온타리오 주그림스비Forty Creek Barrel Select, Forty Creek Three Grain
메이플 리프 증류소(Maple Leaf Distillers)[46]브리티시컬럼비아 주오카나간Canadian Cellars Rye Whisky
컨스텔레이션 브랜즈앨버타 주레스브리지
윌리엄 그랜트 & 선즈온타리오 주윈저12년, Gibsons Finest Rare 18년, Gibsons Finest Sterling Edition
쉔리 인더스트리즈Schenley Golden Wedding, Schenley OFC 8년
크라운 로열 증류소디아지오 산하, 매니토바 주, Crown Royal Limited Edition, Crown Royal Special Reserve, Seagrams 83 Canadian Whisky, Seagrams Five Star Rye Whisky, Seagram's VO


5. 2. 싱글 몰트 위스키

1991년부터 케이프 브레튼 섬에 위치한 독립 양조장인 Glenora Distillers|글레노라 증류소영어는 스코틀랜드 위스키 형식으로 그레인 위스키와 블렌딩하지 않은 싱글 몰트 위스키를 제조하고 있다. 오늘날, 세계적으로 다양한 싱글 몰트 위스키를 찾아볼 수 있지만, 블렌디드 위스키가 주류인 캐나디안 위스키로서는 이례적인 존재이다.

  • Glenora Distillery|글레노라 증류소영어 - 노바스코샤주 글렌빌 (독립계)
  • * 글렌 브레튼 레어

5. 3. 화이트 캐나디안 위스키

화이트 캐나디안은 1930년대에 만들어진 세계 최초의 무색 투명한 위스키로 알려져 있다.[44]

4회의 증류와 3회의 활성탄을 사용한 여과를 통해 탈색하여 만들어졌다.[44]

이는 증류된 지 얼마 안 되어 숙성되지 않은 증류주와는 별개의 것으로, 제대로 나무 통에서 숙성시킨 후에 액체가 무색 투명하도록 조작한 위스키이다. 이는 세계적으로 보아도 특수한 위스키라고 할 수 있다.

6. 주요 증류소 및 브랜드



온타리오주 윈저에 있는 Hiram Walker Distillery. 1858년에 설립되었으며, 온타리오에서 가장 오래된 가동 중인 증류소이다.


블랙 벨벳 한 병은 레드브릿지에 있는 블랙 벨벳 증류소에서 생산된 위스키입니다.


다음은 현재 캐나디안 위스키를 생산하는 증류소 목록이다.

지역증류소설립 연도소유주요 생산 브랜드기타
앨버타주 캘거리앨버타 증류소1946년산토리 글로벌 스피릿츠앨버타 프리미엄, 앨버타 스프링스, 윈저 캐네디언, 탱글 릿지, 캐네디언 클럽 체어맨스 셀렉트호밀 발효에 특화된 자체 개발 효모 균주 사용. 위스키 대부분을 다른 국가에서 병입하기 위해 수출.[22]
앨버타주 레스브릿지블랙 벨벳 증류소 (구 팔리서 증류소)[23]1973년헤븐 힐블랙 벨벳주로 미국에서 병입하기 위해 대량으로 출하. 댄필드, 쉔리의 골든 웨딩, OFC 라벨도 생산.[24][25]
앨버타주 하이 리버하이우드 증류소 (구 써니베일 증류소)1974년센테니얼, 센추리, 나인티, 포터스기본 위스키에 밀을 사용하는 것을 전문으로 함. 보드카, 럼, 진 및 리큐어도 생산. 활성탄으로 여과한 화이트 아울 위스키도 생산.[26]
매니토바주 김리김리 증류소1968년디아지오크라운 로얄2017년에 700만 상자가 출하된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캐나다 위스키. 시그램 VO 및 기타 블렌드에 사용되는 위스키 일부를 공급.[27][28][29][30]
온타리오주 윈저하이럼 워커 증류소1858년페르노리카 (코비 스피릿 앤 와인에서 운영)Lot 40, Pike Creek, 구더햄 앤 워츠, Hiram Walkers Special Old, Corbys Royal Reserve, J.P. 와이저스 브랜드온타리오에서 가장 오래된 가동 증류소. 캐네디언 클럽 계약 생산, 대량 수출되는 일반적인 캐나다 위스키도 생산.[31]
온타리오주 콜링우드캐네디언 미스트 증류소1967년사제락 컴퍼니캐네디언 미스트주로 수출용. 콜링우드, Bearface 브랜드에 사용되는 위스키도 생산.[32]
온타리오주 그림스비키틀링 리지 증류소1992년캄파리 그룹포티 크릭[34]
퀘벡주 몬트리올올드 몬트리올 증류소1929년사제락 컴퍼니사제락 브랜드Caribou Crossing 병입 인수.[35][36]
퀘벡주 밸리필드밸리필드 증류소 (구 쉔리 증류소)1945년디아지오시그램 VO (김리 증류소 향료용 위스키와 함께 병입)옥수수로 증류된 베이스 위스키 생산에 특화.[37]



캐나다에서는 미국과의 국경과 가까운 온타리오 호를 포함한 오대호 주변이 위스키의 주요 산지이다.[38]

온타리오주에는 19세기 중반에 증류소가 설립되었으며, 구더햄 앤 워츠는 1830년대에 토론토의 Distillery District에서 운영을 시작했다. 증류소는 1990년까지 Distillery District에서 운영되었으며, 이후 이 지역은 상업 및 주거 개발로 전환되었다. 온타리오주에 있던 다른 증류소로는 Corbyville에 있는 곳이 있는데, 이곳에는 Corby Spirit and Wine에서 운영하는 증류소가 있었다. 워털루의 증류소는 Seagram에서 운영하여 1992년까지 Crown Royal을 생산했다. 그러나 회사는 여전히 Amherstburg에 혼합 및 병입 공장을 유지하고 있다.

7. 한국으로의 수입

일간 경제 통신사가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일본의 캐나디안 위스키 수입량은 캐나디안 클럽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750ml 병 환산 4만 병 이상이 수입된 이 기간 동안 캐나디안 클럽이 차지하는 비중은 다음과 같다.[47]

연도캐나디안 클럽 수입 비중
2007년95.5%
2008년94.8%
2009년94.8%
2010년95.5%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Canadian Whisky? http://www.whisky.co[...] 2010-12-15
[2] 서적 Canadian Whisky: The Portable Expert McClelland & Stewart Ltd.
[3] 웹사이트 The essence of Canadian rye http://www.canadianw[...] canadianwhisky.org 2011-03-02
[4] 웹사이트 Canadian Whisky, Canadian Rye Whisky or Rye Whisky http://laws-lois.jus[...] Canada. Department of Justice 2015-08-31
[5] 웹사이트 Whistlepig 10 Year Old Straight 100% Rye Whisky http://www.canadianw[...] Canadianwhisky.org 2011-03-02
[6] 서적 Canadian Whisky: The portable expert McClelland & Stewart
[7] 서적 Canadian Whisky: The Product and The Industry W. F. Rannie 1976
[8] 웹사이트 Standards of Identity for Distilled Spirits, Title 27 Code of Federal Regulations, Pt. 5.22 http://edocket.acces[...] 2012-08-13
[9] 서적 Canadian Whisky: The portable expert McClelland & Stewart
[10] 웹사이트 Canadian Whisky Makes a Big Comeback https://www.mensjour[...] Men's Journal 2015-01-01
[11] 서적 Canadian Whisky: The portable expert McClelland & Stewart
[12] 서적 Two Hundred Years of Tradition: The Story of Canadian Whisky Fitzhenry & Whiteside
[13] 뉴스 The old booze barons https://www.theglobe[...] 2008-11-28
[14] 뉴스 Canadian Whisky's Long-Awaited Comeback https://www.nytimes.[...] 2018-01-11
[15] 서적 Canadian Whisky: The Product and The Industry W. F. Rannie 1976
[16] 웹사이트 All Hail King Whiskey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4-10-15
[17] 웹사이트 Heaven Hill finalises Black Velvet whisky purchase https://www.thespiri[...] 2019-11-04
[18] 문서 De Kergommeaux, p136–285.
[19] 웹사이트 Sazerac buys liquor brands from Diageo https://www.bizjourn[...] Louisville Business First 2018-11-12
[20] 웹사이트 People Profile: Hiram Walker (1816–1899) http://www.cocktailt[...] 2010-12-16
[21] 웹사이트 Rum-runner tourism helps lift the veil on 'dirty little secret' - Windsor's bootlegging past a hit with visitors and locals http://mynewwaterfro[...] MyNewWaterfrontHome.com 2010-07-01
[22] 문서 De Kergommeaux, p193–202.
[23] 뉴스 Canada's golden age https://whiskymag.co[...] 2019-06-01
[24] 문서 De Kergommeaux, p203–212.
[25] 뉴스 New owners see strong future for Lethbridge whisky distillery https://calgary.ctvn[...] 2019-11-05
[26] 문서 De Kergommeaux, p248–256.
[27] 웹사이트 World Whisk(e)y Brand Champion 2018 https://www.thespiri[...] The Spirits Business 2018-06-18
[28] 웹사이트 The top 150 https://www.thespiri[...] The Spirits Business 2018-06-18
[29] 웹사이트 Gimli https://www.whisky.c[...]
[30] 문서 De Kergommeaux, p225–233.
[31] 문서 De Kergommeaux, p257–265.
[32] 웹사이트 Brown-Forman sells Early Times and Canadian Mist to Sazerac https://www.thespiri[...] 2020-06-10
[33] 문서 De Kergommeaux, p213–224.
[34] 문서 De Kergommeaux, p266–275.
[35] 웹사이트 Sazerac Resume Whisky Distilling in Montreal https://www.oldliquo[...] Old Liquors Magazine 2018-02-01
[36] 웹사이트 Sazerac starts whisky production in Montreal https://www.thespiri[...] The Spirits Business 2018-12-02
[37] 서적 De Kergommeaux
[38] 문서
[39] 문서
[40] 서적 酒の科学 講談社 1996-05-20
[41] 문서
[42] 문서
[43] 문서
[44] 서적 洋酒を読む本(新訂版) ビジネス教育出版 1995-05-30
[45] 웹사이트 Highwood Distillers – Every Occasion http://www.highwood-[...] Highwood Distillers
[46] 웹사이트 Protos International Inc. http://www.whiskypor[...] The Whisky Portal
[47] 서적 酒類食品産業の生産・販売シェア - 需給の動向と価格変動 - (2011年度版) 日刊経済通信社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