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드스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이드스타는 일본의 NTT 도코모가 제공했던 위성 통신 서비스로, 1996년 해안 기지국을 대체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N-STAR 위성을 활용하여 일본 영해, 영토, 200해리 수역에서 해상, 육상, 공중 통신을 제공했으며, 와이드스타 II, 와이드스타 III로 서비스가 확장되었다.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팩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재해 대책용으로도 활용되었다. 2014년에 기존 와이드스타 서비스는 종료되었고, 와이드스타 II는 2028년 3월 31일에 서비스 종료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와이드스타 | |
---|---|
기본 정보 | |
종류 | 통신 위성 |
운영 주체 | NTT 도코모 스카이 퍼펙트 JSAT |
상세 정보 | |
이전 명칭 | N-STAR |
서비스 | 음성 데이터 통신 위성 방송 |
특징 | 광대역 통신 서비스 제공 |
용도 | 재해 시 통신망 확보, 도서 지역 통신 지원 |
기술 사양 | |
탑재 장비 | 통신 중계기 안테나 |
궤도 | 정지 궤도 |
수명 | 10년 이상 |
2. 역사
NTT 도코모가 제공하는 위성 전화 서비스인 와이드스타는 1996년 3월 29일, 해안 기지국을 이용한 선박 전화를 대체하기 위해 처음 서비스를 시작했다. 초기에는 N-STAR a/b 2기 체제로 운영되었으나, 현재는 N-STAR c/d 2기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춘분점 및 추분점 전후에는 태양 잡음에 의한 통신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지만, 경도가 다른 위치에 2기의 위성을 배치하여 그 영향을 최소화하고 있다.[2]
2010년 4월 12일부터는 기존 와이드스타(1세대)보다 향상된 속도와 기능을 제공하는 "와이드스타 II"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4] 2023년 10월 11일부터는 새로운 통신 위성을 활용하는 와이드스타 III 서비스가 시작되었다.[13][14]
와이드스타 듀오의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
통신사 | NTT 도코모 |
제조 | 미쓰비시 전기 |
발매년 | 2001년 |
통신 방식 | 디지털 |
사용 주파수 대역 | 위성 단말 간 2.6GHz/2.5GHz |
형태 | 휴대형, 선박형, 차량 탑재형 |
크기 | 202mm (폭) x 185mm (길이) x 45mm (두께) |
무게 | 1.7kg |
연속 통화 시간 | 약 120분 |
연속 대기 시간 | 약 20시간 |
메인 화면 방식 | 흑백 액정 |
메인 화면 색상 수 | 2 |
본체 색상 | 흰색 |
2014년 3월, 와이드스타(1세대) 서비스는 종료되었고, 2020년 10월 1일에는 와이드스타 II의 64kb/s 데이터 통신 모드 제공이 종료되었다.[10] 2024년 10월, NTT 도코모는 2025년 3월 31일에 와이드스타 II 신규 신청을 종료하고 2028년 3월 31일에 서비스 제공을 종료한다고 발표했다.[12]
2. 1. 서비스 개시 (1996년)
1996년 3월 29일, 해안 기지국을 이용한 선박 전화를 대체하기 위해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N-STAR a/b 2기 체제로 운영되었으나, 현재는 N-STAR c/d 2기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춘분점 및 추분점 전후에는 지상국, 위성, 태양이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태양 잡음에 의한 통신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지만, 경도가 다른 위치에 2기의 위성을 배치하여 그 영향을 최소화하고 있다.[2]2. 2. 와이드스타 (1세대, 2014년 서비스 종료)
서비스 시작 당시의 초대 와이드스타용 단말기로는 휴대형, 자동차/선박용 고정형, 공중전화형이 있었다. 서비스는 2014년 3월에 종료되었고, 와이드스타 II로 이행하여 현재는 계약할 수 없다.항목 | 내용 |
---|---|
통신사 | NTT 도코모 |
제조 | 미쓰비시 전기 |
발매년 | 2001년 |
통신 방식 | 디지털 |
사용 주파수 대역 | 위성 단말 간 2.6GHz/2.5GHz |
형태 | 휴대형, 선박형, 차량 탑재형 |
크기 | 202mm (폭) x 185mm (길이) x 45mm (두께) |
무게 | 1.7kg |
연속 통화 시간 | 약 120분 |
연속 대기 시간 | 약 20시간 |
메인 화면 방식 | 흑백 액정 |
메인 화면 색상 수 | 2 |
본체 색상 | 흰색 |
2. 3. 와이드스타 II (2010년 ~ 현재)
2010년 4월 12일부터 새로운 위성 전화 서비스인 "와이드스타 II" 제공이 시작되었다.[4]와이드스타 II는 기존 와이드스타에서 최대 64Kbps였던 패킷 통신 속도를 다운로드 최대 384kbps, 업로드 최대 144kbps로 고속화했다. 또한 64Kbps 대역 보장 타입과 대역 점유 서비스, 팩스 게이트웨이 서비스, 다이렉트 커넥트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패킷 통신 단가는 기존의 1/4 이하로 낮아졌다. 음성용 CODEC은 IP 전화 등에서 사용되는 G.729a를 채용하여, 기존 PDC의 하프 레이트 상당이었던 와이드스타보다 음질이 개선되었다. 그 외의 기능으로 최대 200명의 사용자에게 음성, 팩스, 전자 메일을 통해 일제 동보 등을 지원한다[4]。
와이드스타 II 서비스 개시에 따라 새로운 단말인 위성 휴대 단말 01과 위성 선박·차재 단말 01, 모바일 Wi-Fi 라우터 판매가 시작되었다[5][6][7]。
이에 따라 2000년 3월부터 제공되던 와이드스타용 최대 64kbps의 무선 패킷 통신 서비스 "위성 패킷 서비스"는 2012년 3월 31일에 종료되었다[8]。
와이드스타 공중 전화의 후속으로, 와이드스타 II 간이 공중 전화 서비스 제공도 2011년 6월 1일부터 시작되었다(월 14500JPY 세금 별도, 렌탈료 포함)[9]。-- 이 간이 공중 전화에서는 전자 화폐인 Edy 또는 100엔 동전만 사용할 수 있지만, Edy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 공중 전화는 수신자 부담 전화를 사용할 수 있었지만, 그 기능은 2015년 7월 31일을 기점으로 서비스가 종료되어 사용할 수 없다.
2020년 10월 1일에 64kb/s 데이터 통신 모드 제공이 종료되었다[10]。
통신 위성에 있는 태양광 패널의 발전 전력 저하로 인한 서비스 중단 가능성이 2022년 10월에 발표되었다[11]。
2024년 10월, 2025년 3월 31일에 신규 신청을 종료하고 2028년 3월 31일에 서비스 제공을 종료한다고 발표했다[12]。
2. 4. 와이드스타 III (2023년 ~ 현재)
2023년 10월 11일부터 새로운 통신 위성을 활용하여 서비스를 시작했다.[13][14]3. 기술적 특징
와이드스타는 ARIB STD-T49 S 밴드를 사용하는 국내 이동 위성 통신 시스템 표준 규격을 준수한다. 위성 패킷 방식 데이터 통신(하향 최대 64kbps, 상향 최대 4.8kbps)과 위성 회선 교환 방식 데이터 통신(하향, 상향 모두 4.8kbps)을 지원한다.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회선 교환과 패킷 모두)이 가능하며, 무선 패킷 통신을 이용한 선박 등의 이동체 위치 통보 시스템도 이용할 수 있다.
2001년에 출시된 초기 모델 '와이드스타 듀오'는 미쓰비시 전기에서 제조되었으며, 휴대형, 차량 탑재형, 선박형, 실내 설치형의 4가지 형태로 제공되었다. 2014년 3월에 서비스가 종료되고 와이드스타 II로 전환되면서 현재는 계약할 수 없다.
3. 1. 통신 위성
스카이퍼 JSAT가 소유한 N-STARc (동경 136도)와 JCSAT-5A (N-STARd, 동경 132도) 2기의 정지 위성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1] 적도 상공 35,786km의 정지 위성에서 4개의 빔(동일본 빔·서일본 빔·오키나와 빔·오가사와라 빔)으로 육상과 해상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1]춘분점 및 추분점 전후에는 지상국, 위성, 태양이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태양 잡음에 의한 통신 품질 저하를 피할 수 없지만, 경도가 다른 위치에 2기의 위성을 배치함으로써 그 영향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있다.[1] 서비스 초기에는 N-STAR a/b 2기 체제였지만, 현재는 N-STAR c/d 2기 체제로 이행했다.[1]
3. 2. 단말기 (와이드스타 듀오)
미쓰비시전기에서 제조하였다. 휴대형, 차량 탑재형, 선박형, 실내 설치형의 4가지 형태로 제공되었다.- 와이드스타 듀오 휴대형 (위성 포터블 폰): 휴대 가능한 형태로, 지향성 소형 안테나와 무선기가 일체화되어 있다. 안테나 각도를 45도로 세우고 남쪽 방향으로 향하게 한 후 핸드셋을 사용하여 통화한다. 위성 모뎀을 사용하여 팩스 통신 및 데이터 통신도 가능하다. 남쪽에 창이 없는 실내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실내에서 사용하려면 외부 안테나를 설치해야 한다.
- 와이드스타 듀오 차량 탑재형 (위성 카 폰): 자동차용 위성 휴대 전화로, 자동차 지붕에 소형 원형 차량 탑재 안테나(직경 260mm × 높이 47mm)를 장착한다. 안테나는 자동 추적형으로, 항상 남쪽의 N-Star 전파를 추적한다. 와이드스타 듀오를 전용 차량 탑재 도킹 베이스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 와이드스타 듀오 선박형 (위성 마린 폰): 차량 탑재형과 마찬가지로, 차량 탑재형보다 더 큰 원형 위성 자동 추적형 안테나(직경 220mm × 높이 200mm)를 탑재한다. 선박형은 염해 대책으로 안테나뿐만 아니라 케이블도 차량 탑재형이나 실내 설치형보다 굵게 되어 있다. GMDSS 대응 선박 단말이다.
와이드스타 듀오는 기본적으로 남쪽 45도 각도의 하늘이 보이지 않는 실내 등에서는 이용할 수 없지만, 옥외 설치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옥외 설치 안테나를 남쪽 하늘이 보이는 장소에 설치하고, 와이드스타 듀오까지 케이블로 연결한다. 또한, 아날로그 변환기(모뎀)를 이용하여 와이드스타 듀오를 PBX나 유선 전화에 연결하여, 긴급 시에 전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옥외 설치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아도, 남쪽 창가에 와이드스타를 놓고, 거기에서 사내 유선 전화에 모듈러 케이블을 사용하여 유선 전화에 연결함으로써 실내에서 위성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휴대 전화나 유선 전화가 닿지 않는 산장이나 댐 건설 현장에서 이용되거나(패턴 1), 재해 대책용으로 소방, 자치단체, 기업 등에 설치되어 있다(패턴 2).

3. 3. 단말기 (와이드스타 II)
미쓰비시 전기에서 제조하였으며, 휴대형, 선박형, 차량 탑재형이 제공되었다.[5][6][7] 2010년 4월 12일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5] 모바일 Wi-Fi 라우터도 판매되었다.[5][6][7]항목 | 내용 |
---|---|
제조사 | 미쓰비시 전기 |
통신 방식 | PSI-CELP |
사용 주파수 대역 | 위성 단말 간 2.6GHz/2.5GHz |
형태 | 휴대 타입, 선박 타입, 차량 탑재 타입 |
크기 | 180mm(너비) x 196mm(길이) x 39mm(두께) |
무게 | 1.3kg |
연속 통화 시간 | 약 132분 |
연속 대기 시간 | 약 26시간 |
외부 메모리 | 없음 |
FeliCa | 없음 |
적외선 통신 기능 | 없음 |
Bluetooth | 없음 |
방송 수신 기능 | 없음 |
메인 화면 방식 | 흑백 액정 |
메인 카메라 유무 | 없음 |
서브 카메라 유무 | 없음 |
본체 색상 | 회색 |
4. 서비스 종류
와이드스타는 ARIB STD-T49 S 밴드를 사용하는 국내 이동 위성 통신 시스템 표준 규격을 준수하며,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음성 통화''': NTT 도코모가 제공하며, 휴대폰과 같은 090 전화번호를 사용한다. 발신 및 수신 방식은 일반 휴대폰과 동일하다.[2][3]
- '''데이터 통신''':
- 위성 패킷 방식 데이터 통신 (하향 최대 64kbps, 상향 최대 4.8kbps)과 위성 회선 교환 방식 데이터 통신 (하향, 상향 모두 4.8kbps)을 제공한다.
- "와이드스타"의 최대 64kbps 무선 패킷 통신 서비스 "위성 패킷 서비스"는 2012년 3월 31일에 종료되었다.[8]
- "와이드스타 II"는 2010년 4월 12일부터 패킷 통신 속도를 다운로드 최대 384kbps, 업로드 최대 144kbps로 향상시켰다. 64kbps 대역 보장 타입, 대역 점유 서비스, 팩스 게이트웨이 서비스, 다이렉트 커넥트 서비스 등도 제공한다.[4] 패킷 통신 단가는 기존의 1/4 이하로 낮아졌다. 2020년 10월 1일에는 64kb/s 데이터 통신 모드가 종료되었다.[10]
- '''기타 서비스''': 와이드스타 II는 팩스 게이트웨이 서비스, 다이렉트 커넥트 서비스, 최대 200명에게 음성, 팩스, 전자 메일을 일제 동보하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4]
4. 1. 음성 통화
NTT 도코모가 제공하는 서비스이므로, 전화번호는 휴대폰과 마찬가지로 090 전화번호가 할당된다. 따라서 발신 및 수신 방식은 일반적인 휴대폰과 동일하다. 육상용(제1종 위성 전화)은 일반 휴대폰과 같은 전화번호 대역에서 할당되지만, 제2종 위성 전화의 위성 선박 전화·항공기 전화(폐지)·위성 항공기 전화(폐지)에는 전용 전화번호 대역이 있다[2][3]. 이 중 위성 선박 전화는 통화 요금이 일반 휴대폰과 다르므로 일부 IP 전화에서는 발신할 수 없다.4. 2. 데이터 통신
와이드스타는 ARIB STD-T49 S 밴드를 사용하는 국내 이동 위성 통신 시스템 표준 규격을 준수하며, 위성 패킷 방식 데이터 통신(하향 최대 64kbps, 상향 최대 4.8kbps)과 위성 회선 교환 방식 데이터 통신(하향, 상향 모두 4.8kbps)을 제공한다. 2000년 3월부터 제공되던 와이드스타의 최대 64kbps 무선 패킷 통신 서비스 "위성 패킷 서비스"는 2012년 3월 31일에 종료되었다.[8]2010년 4월 12일부터 제공된 "와이드스타 II"는 패킷 통신 속도를 다운로드 최대 384kbps, 업로드 최대 144kbps로 향상시켰다. 또한 64kbps 대역 보장 타입, 대역 점유 서비스, 팩스 게이트웨이 서비스, 다이렉트 커넥트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4] 패킷 통신 단가는 기존의 1/4 이하로 낮아졌다. 2020년 10월 1일에는 64kb/s 데이터 통신 모드의 제공이 종료되었다.[10]
4. 3. 기타 서비스
와이드스타 II는 팩스 게이트웨이 서비스, 다이렉트 커넥트 서비스, 최대 200명에게 음성, 팩스, 전자 메일을 일제 동보하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4]5. 이용 사례
64k 데이터 통신 393.75JPY/30초